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친환경 건설공사 현장관리 기준 마련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 국토해양부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국토해양부, 2011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279 p. : 삽화, 사진,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116631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책임자: 안재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서론 1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1

1.1. 연구 배경 11

1.2. 연구 필요성 12

2. 연구의 목표 및 범위 13

2.1. 연구 목표 13

2.2. 연구 범위 13

제2장 국내외 건설공사 현장관리 현황 조사 15

1. 국내 건설현장 환경관리 15

1.1. 관련 법·제도 15

1.2. 건설사업의 환경관리비 운영 체계 20

2. 국외 건설현장 환경관리 24

2.1. 일본 24

2.2. 미국 28

2.3. 기타 29

제3장 토사유출량 산정기법 분석 30

1. 건설현장내 발생 토사 및 오염물질 유출특성 조사 31

1.1. 오염물질의 분류 31

1.2. 오염물질 유출특성 분석 32

1.3. 개발사업 비점오염원 관리방향 37

1.4. 현장별 유출가능 오염물질 저감방안 40

2. 국내·외 건설현장 적용 토사유출 저감 기술 42

2.1. 국내 토사유출 저감 기술 42

2.2. 국외 토사유출 저감 기술 42

2.3. 토사유출 저감 기술의 설계기준 45

3. 토사유출량 산정기법 분석 52

3.1. 토사 유출량 산정기법의 분류 53

3.2. RUSLE 모형의 인자 분석 61

3.3. 원단위를 이용한 토사 유출량 산정 분석 63

4. 토사유출량 산정기법 비교 평가 64

4.1. RUSLE 기법과 토사유출원단위 비교 64

5. 토사유출량 최적 산정기법 69

5.1. 토사유출량 산정기법 선정 69

5.2. 토사유출량 산정 방안 70

제4장 건설현장 침사지 설계방안 수립 77

1. 침사지 관리현황 및 특성 조사 77

1.1. 침사지 관리현황 77

1.2. 침사지의 특성 분류 77

1.3. 저류개념에 따른 침사지 구분 78

1.4. 구조적 특성에 따른 침사지 구분 78

2. 국내 건설현장 침사지 운영현황 현장조사 80

2.1. ○○ 도로공사 80

2.2. ○○ 하천정비 사업 현장(1) 82

2.3. ○○ 하천정비 사업 현장(2) 83

2.4. ○○○ 댐 건설공사 84

2.5. 기타(건축) 공사 85

3. 국내·외 건설현장 침사지 설계 기준 87

3.1. 국내 침사지 설계 기준 87

3.2. 국외 침사지 설계 기준 90

4. 침사지 최적 설계방안 93

4.1. 건설현장별 침사지 최적 설계기준 93

4.2. 건설현장의 분류 및 선정 96

4.3. 건설현장별 침사지 최적 설계 방안 97

4.4. 침사지 최적 설계 용량산정 예시 114

제5장 건설현장 비탈면 복원방안 121

1. 비탈면의 정의 및 분류 121

1.1. 비탈면 정의 121

1.2. 비탈면 분류 121

1.3. 비탈면 녹화에 있어서 식생 영향 인자 123

2. 비탈면의 녹화 및 생태복원 기술 검토 124

2.1. 비탈면 녹화 124

2.2. 도로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지침 126

2.3. 비탈면 녹화 및 생태복원 관련 공법 조사 138

2.4. 토사 비탈면 대책공법 141

2.5. 암반 비탈면 대책공법 145

3. 비탈면의 복원방안 수립 149

3.1. 건설현장 비탈면 복원시의 문제점 149

3.2. 경관성과 자연미를 고려한 비탈면 복원방안 수립 152

제6장 건설현장 소음·진동 저감방안 159

1. 건설현장 소음·진동 특성 및 현황 159

1.1. 건설현장 소음·진동관련 특성 159

1.2. 건설현장 소음·진동관련 민원 발생 현황 159

2. 건설현장 소음·진동 관리기준 160

2.1. 소음·진동규제법 160

2.2. 지방 자치단체별 조례 163

2.3. 부처별 소음·진동 관련법 167

3. 건설현장 소음·진동 장비 현황 및 문제점 168

3.1. 공종별 건설기계 종류 및 특성 168

3.2. 건설현장 소음진동 관리 문제점 172

4. 건설현장 소음진동 상쇄기술 및 방음재료 조사 174

4.1. 건설현장 소음진동 상쇄기술 174

4.2. 방음재료 174

4.3. 방음시설 174

4.4. 방진시설 178

5. 방음벽의 성능 및 설치기준(환경부고시 제2009-221호) 179

5.1. 방음벽의 음향성능 및 재질기준 179

5.2. 방음벽의 설계 및 설치기준 179

6. 소음·진동 최소화를 위한 최적 설계방안 수립 182

6.1. 공종별 소음진동 최소화를 위한 대책 수립 182

6.2. 건설현장 소음진동 최소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 183

제7장 건설환경관리표준시방서 제·개정(안) 185

1. 개요 185

2. 건설환경관리표준시방서 제·개정(안) 조문대비표 : 침사지 186

3. 건설환경관리표준시방서 제·개정(안) 조문대비표 : 비탈면 녹화·복원 193

4. 건설환경관리표준시방서 제·개정(안) 조문대비표 : 소음·진동 저감 202

제8장 종합 결론 206

1. 최적 침사지 설계 방안 206

2. 비탈면 복원 방안 208

3. 소음 진동 최적 설계 방안 210

참고문헌 212

부록 214

부록 1. 국외 토사유출량 산정기법 적용 사례 215

부록 2. 건설공사 침사지 현황 조사 219

부록 3. 건설현장 소음·진동 관련법 231

부록 4. 건설현장 공종별 발생 소음·진동 분류체계 243

부록 5. 건설기계별 소음·진동 발생량 247

부록 6. 공종별 표준시방서(토목, 도로, 하천 등) 검토 260

부록 7. 자문의견 및 반영(안) 286

표 2-1.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별 사업범위 17

표 2-2. 공사종류에 따른 환경보존비 적용 요율 23

표 2-3. 환경오염방지시설 24

표 2-4. 일본의 건설사업 환경관리 현황 25

표 2-5. 일본 건설공사 관련 수질오염방지 분야 26

표 2-6. 일본 건설공사 관련 소음규제 분야 26

표 2-7. 일본 건설공사 관련 진동규제 분야 27

표 2-8. 토지교란이 이루어지는 건설산업별 2007 NAICS 세부 분류 28

표 3-1. 건설지역으로부터 유출되는 고형물질 농도(TSS 기준) 35

표 3-2. 비점오염원의 관리 목적 및 정의 39

표 3-3. 국내 건설 현장 내 토사유출 저감 기술 42

표 3-4. 응집제 종류별 처리 개요 43

표 3-5. 습지연못의 설계기준 - 수질처리용량의 할당 비율 47

표 3-6. 습식연못의 강우유출수 규모별 유출구 설치 기준 47

표 3-7. 인공습지 설계기준 50

표 3-8. 모형의 분류 52

표 3-9. 토사 유출 모형별 비교 58

표 3-10. 토사 유출량 원단위(하수도 시설기준, 2005) 63

표 3-11. 토성 조직에 따른 S₁ 및 P₁ 값 72

표 3-12. 토양특성 분류에 따른 K값 73

표 3-13. 토성 조직에 따른 S 값 74

표 3-14. 경사장지수 m값 75

표 4-1. 토양의 특성에 따른 토사유출량(중량)을 체적으로 환산할 수 있는 계수 92

표 4-2. 건설공종별 사업범위 및 특성 분류 96

표 5-1. 생태자연도 등급별 비탈면 복원목표 127

표 5-2. 녹화지역과 생태자연도별 비탈면 복원목표 127

표 5-3. 도로 비탈면 녹화를 위한 시험시공 절차 132

표 5-4. 녹화공법 품질 및 경제성 평가기준과 방법 134

표 5-5. 녹화공법 품질 및 경제성 평가표 135

표 5-6. 비탈면 복원목표별 식생생육판정 기준표 136

표 6-1. 부처별 소음·진동 관련법 및 역할 167

표 6-2. 건설공사 공종 구분 및 공종별 투입되는 건설기계류 종류 168

표 6-3. 공종별 건설기계류 특성 169

표 6-4. 방음재료별 특징 비교 176

표 6-5. 대표적인 방진시설의 특징 비교 178

그림 3-1. 유출 계수에 따른 비점오염원 평균 수질 농도 상관관계 분석 33

그림 3-2. 강우강도에 따른 공사 진행도에 따른 SS 유출부하량 상관관계 분석 34

그림 3-3. 자연녹지와 도시지역에서 강우시 물순환 (Scheyer and Hipple, 2005; 박 등, 2006에서 재인용) 36

그림 3-4. 토양의 구조적 불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결과(박 등, 2006) 37

그림 3-5. 오염총량관리 개발사업 비점오염원 최적관리 기본방향 37

그림 4-1. 침사지 최적 설계 순서 및 도출 설계인자 95

그림 4-2. 하도준설공사의 토사 유출 저감 공정도(예) 113

그림 5-1. 쌓기비탈면의 단면(예) 121

그림 5-2. 깍기비탈면의 단면(예) 122

그림 5-3. 단계별 비탈면의 녹화 및 복원 124

그림 5-4. 비탈면 생태복원 공법의 분류 125

그림 5-5. 건식형태의 비탈면 녹화공법 125

그림 5-6. 습식형태의 비탈면 녹화공법 125

그림 5-7. 국내의 환경녹화지역 및 생태자연도 등급별 구분 128

그림 5-8. 도로비탈면 녹화공사 업무흐름도 129

그림 5-9. 비탈면 녹화공법 선정을 위한 흐름도 131

그림 5-10. 잔디 식재공 141

그림 5-11. 종자 뿜어붙이기(거적덮기) 142

그림 5-12. 코이어네트 142

그림 5-13. 식생혈공 142

그림 5-14. 식생자루를 이용한 옹벽 143

그림 5-15. 식생자루 143

그림 5-16. 식생매트 공법 143

그림 5-17. 식생매트 143

그림 5-18. 비탈면 식재 144

그림 5-19. 식생대공 144

그림 5-20. 식생반 작용 녹화 145

그림 5-21. 식생블럭 145

그림 5-22. 새집 붙이기 146

그림 5-23. 차폐 수벽공 146

그림 5-24. 덩굴 식재 147

그림 5-25. 식생상 147

그림 5-26. 식생포트의 묘 147

그림 5-27.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 148

그림 5-28. 외래종 위주의 비탈면 조기녹화시공 사례 150

그림 5-29. 토질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비탈면 녹화시공 사례 150

그림 5-30. 불량 식생기반재료를 사용한 비탈면 녹화시공 사례 151

그림 5-31. 주변 환경과 이질적인 비탈면 녹화공법 적용사례 151

그림 5-32. 기암괴석 등을 보존한 상태의 비탈면 보강공법 적용사례(일본) 152

그림 5-33. 자연경관을 고려한 비탈면 격자공법 적용사례(일본) 153

그림 5-34. 자연비탈면을 그대로 존치한 상태에서 보호공법을 시공한 사례(홍콩) 153

그림 5-35. 비탈면내 식재를 위하여 pot hole을 만들어 놓음으로 인하여 경관미를 향상시킨 사례(홍콩) 154

그림 5-36. 비탈면내 기존의 수목을 해치지 않은 상태로 낙석방지망을 설치한 사례(홍콩) 154

그림 5-37. 비탈면의 콘크리트 시공사례(국내) 158

그림 5-38. 콘크리트로 시공된 비탈면의 녹화·복원 시공사례(국내) 158

그림 6-1. 환경분쟁조정위원의 민원분야별(좌), 공사종류별(우) 분석 159

그림 6-2. 가설방음벽 적용 일례 175

그림 6-3. 이동식 가설방음벽 적용 일례 175

그림 6-4. 이동식 방음벽 설치 일례 177

그림 6-5. 방음커버 설치 일례 177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4907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