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PRIME Project 실험자료 기술검토보고서 / 박종석, 강대일, 한경수, 김응수, 지문학, 이규복, 윤진규, 윤미연 [저]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2010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143
제어번호
MONO1201117922
주기사항
공동발행: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한전전력연구원, 한국전력기술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머리말

목차

요약문 3

제1장 서론 18

1.1. 배경 및 필요성 18

1.2. 목표 및 내용 19

제2장 본론 20

2.1. 실험 개요 20

2.1.1. 실험 목적 20

2.1.2. 실험 시나리오 20

2.1.3. 실험 매트릭스 26

2.1.4. 측정 26

2.2. PRS-LK-1 실험 29

2.2.1. 개요 29

2.2.2. 실험설비 29

2.2.3. 실험내용 42

2.2.4. 실험 절차 43

2.2.5. 결과 48

2.3. PRS-LK-2 실험 61

2.3.1. 개요 61

2.3.2. 실험설비 61

2.3.3. 실험 내용 74

2.3.4. 실험 절차 75

2.3.5. 결과 81

2.4. PRISME LEAK TEST-3 94

2.4.1. 개요 94

2.4.2. 실험설비 94

2.4.3. 실험내용 109

2.4.4. 실험 절차 110

2.4.5. 실험 결과 112

2.5. PRISME LEAK TEST-4 Report 118

2.5.1. 개요 118

2.5.2. 실험시설 118

2.5.3. 실험 특성 검토 130

2.5.4. 시험 절차 131

2.5.5. 실험 결과 134

2.6. 참고자료 139

제3장 활용방안 140

표 2.2-1. TPH 물성치 34

표 2.2-2. 케이블 특성 38

표 2.2-3. 자료의 측정이 불량하게 이루어진 측정치들 48

표 2.3-1/표 2.4-1. TPH 물성치 65

표 2.3-2. 실험에 사용된 케이블 특성 70

표 2.3-3. 자료의 측정이 불량하게 이루어진 측정치들 81

표 2.4-1. TPH 물성치 101

표 2.4-2. 실험에 사용된 케이블 특성 106

표 2.5-1. TPH 물성치 125

표 2.5-2. 실험에 사용된 케이블 특성 128

그림 2.1-1/그림 3.1-1. DIVA 실험 설비 개략도 21

그림 2.1-2. PRS-LK1 실험 개략도 21

그림 2.1-3. 원형 닥트 모양 22

그림 2.1-4. PRS-LK2 실험 개략도 22

그림 2.1-5. 수직 슬롯의 설치 형태 23

그림 2.1-6. PRS-LK3 실험 개략도 23

그림 2.1-7. 부분 개방된 방화문 설치 형태 24

그림 2.1-8. PRS-LK4 실험 개략도 24

그림 2.1-9. 닥트 배치 형태 25

그림 2.1-10. 케이블 실험 장치 개략도 25

그림 2.1-11. PRS-LK1 측정 개략도 27

그림 2.1-12. PRS-LK2 측정 개략도 27

그림 2.1-13. PRS-LK3 측정 개략도 28

그림 2.1-14. PRS-LK4 측정 개략도 28

그림 2.2-1. DIVA 실험시설 평면도 30

그림 2.2-2. DIVA 실험시설 투시도 30

그림 2.2-3. Rock Wool 판넬의 위치 및 두께 30

그림 2.2-4. 격실2의 상하부의 원형 개구부 31

그림 2.2-5. 원형 개구부 실험에 쓰이는 배관 31

그림 2.2-6. 환기시설 배치도 33

그림 2.2-7. 연료팬 및 버너 장치 34

그림 2.2-8. 실험케이블의 배치도 35

그림 2.2-9. 연소 전 실험케이블 설비 사진(하부) 36

그림 2.2-10. 케이블 실험을 위한 배치도 36

그림 2.2-11. 상부 케이블 트레이 케이블 37

그림 2.2-12. 하부 케이블 트레이 케이블 37

그림 2.2-13. SCDU 및 IRIMS 제어 패널 37

그림 2.2-14. 화원이 있는 격실 : SE 코너 38

그림 2.2-15. 화원이 있는 격실 : 북쪽 벽 39

그림 2.2-16. 화원 격실내 흡기구 39

그림 2.2-17. 화원 격실내 배출구 39

그림 2.2-18. 표적 격실내 흡기구 39

그림 2.2-19. 표적 격실내 배출구 39

그림 2.2-20. 3번 격실 : 북쪽 벽 40

그림 2.2-21. 3번 격실의 하부 원형 개구부 40

그림 2.2-22. 3번 격실의 상부 원형 개구부 41

그림 2.2-23. 3번 격실의 상부 원형 개구부(천정) 41

그림 2.2-24. 설비 구성의 개략도 42

그림 2.2-25. 화재 연소 추이 44

그림 2.2-26. 화원 격실 45

그림 2.2-27. 상부 케이블 트레이 45

그림 2.2-28. 상부 케이블 트레이 안의 케이블 45

그림 2.2-29. 상위 케이블 트레이 근접 사진 46

그림 2.2-30. 절연 물질과 하부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46

그림 2.2-31. 하부 케이블 트레이 근접 사진 47

그림 2.2-32. 환기구 배기 브랜치 47

그림 2.2-33. pan 연료 무게 49

그림 2.2-34. pan 연료 온도 49

그림 2.2-35. 수조 주변 기체 온도 49

그림 2.2-36. 상부 케이블트레이 기체 온도 49

그림 2.2-37/그림 2.2-36. 상부 케이블트레이 기체 온도 49

그림 2.2-38. 질소 주입유량(Medtherm purge) 50

그림 2.2-39. 질소 주입유량(화원 격실) 50

그림 2.2-40. 질소 온도(화원격실) 50

그림 2.2-41. Network 압력 50

그림 2.2-42. 환기network 배관기체 온도(1/2) 50

그림 2.2-43. 환기network 배관기체 온도(2/2) 50

그림 2.2-44. 격실 2의 일산화탄소 농도 51

그림 2.2-45. 격실 3의 일산화탄소 농도 51

그림 2.2-46. 격실 2의 이산화탄소 농도 51

그림 2.2-47. 격실 3의 이산화탄소 농도 51

그림 2.2-48. 격실 2의 산소 농도 51

그림 2.2-49. 격실 3의 산소 농도 51

그림 2.2-50. 격실 2의 북쪽 벽 및 천정의 복사열속 52

그림 2.2-51. 격실 2의 총 열속 52

그림 2.2-52. 격실 2의 총 열속(절연체) 52

그림 2.2-53. 격실 의 총 열속(콘크리트) 52

그림 2.2-54. 격실 2의 벽체 온도 52

그림 2.2-55. 격실 3의 총 열속 52

그림 2.2-56. 격실 2의 가스 온도 CC(1/2) 53

그림 2.2-57. 격실 2의 가스 온도 CC(1/2) 53

그림 2.2-58. 격실 2의 가스 온도 NE(1/2) 53

그림 2.2-59. 격실 2의 가스 온도 NE(1/2) 53

그림 2.2-60. 격실 2의 가스 온도 SW(1/2) 53

그림 2.2-61. 격실 2의 가스 온도 SW(1/2) 53

그림 2.2-62. 상부 원형 개구부로 인한 격실 온도(1/6) 54

그림 2.2-63. 격실온도(2/6) 54

그림 2.2-64. 상부 원형 개구부로 인한 격실 온도(3/6) 54

그림 2.2-65. 격실온도(4/6) 54

그림 2.2-66. 상부 원형 개구부로 인한 격실 온도(5/6) 54

그림 2.2-67. 격실온도(6/6) 54

그림 2.2-68. L0 격실 가스 압력 55

그림 2.2-69. 위쪽(Top) 환기 55

그림 2.2-70. 격실 L3 가스 압력 55

그림 2.2-71. L2/L3 간 압력차 55

그림 2.2-72. 격실 L1 가스 압력 55

그림 2.2-73. 격실 L2L3 누설 유동율 하부 56

그림 2.2-74. 격실 L2L3 누설 유동율 상부 56

그림 2.2-75. 격실 L2L3 누설 온도 56

그림 2.2-76. 격실 L0 누출유량율 57

그림 2.2-77. 격실 L3 누출 가스 온도 57

그림 2.2-78. 격실 L3 누출유량율 57

그림 2.2-79. 격실 L2 누출 가스 온도 57

그림 2.2-80. 격실 L2 누출 가스 습도 57

그림 2.2-81. 격실 L2 누출유량율 57

그림 2.2-82. Air watcher 출구압력 58

그림 2.2-83. Dilution branch의 가스 유량 58

그림 2.2-84. 배기 팬 속도 58

그림 2.2-85. 배기 가스 압력차 58

그림 2.2-86. 배기 가스 유량율 58

그림 2.2-87. 배기 가스 압력 58

그림 2.2-88. Inlet knot 압력 59

그림 2.2-89. 격실 3의 입구측 유량 59

그림 2.2-90. 격실 1의 입구측 유량 59

그림 2.2-91. L0 입구측 유량 59

그림 2.2-92. Inlet Knot 온도 59

그림 2.2-93. Inlet 밸브 열림 59

그림 2.2-94. 유입구 가스온도 60

그림 2.2-95. 유입구 개구부 60

그림 2.2-96. 유입구 가스온도 60

그림 2.2-97. 유입구 가스 습도 60

그림 2.2-98. 입구 팬 속도 60

그림 2.2-99. 입구 팬 압력차 60

그림 2.3-1. DIVA 실험시설 평면도 62

그림 2.3-2. JUOITER 건물내 DIVA 실험시설 투시도 62

그림 2.3-3. 암면판의 위치와 두께 63

그림 2.3-4. 격실2의 상하부 순환 틈새 사진 64

그림 2.3-5. 속도측정기가 설치된 틈새 내부 사진 64

그림 2.3-6. 연료팬 및 버너 장치 66

그림 2.3-7. 실험 케이블의 배치도 67

그림 2.3-8. 케이블 트레이의 노출된 케이블과 차폐된 케이블 68

그림 2.3-9. 케이블 실험을 위한 배치도 68

그림 2.3-10. 상부 케이블 트레이의 실험 대상 케이블 배치상태 69

그림 2.3-11. 하부 케이블 트레이의 실험대상 케이블 배치상태 69

그림 2.3-12. SCDU 및 IRMS 제어 패널 69

그림 2.3-13. 실험 대상 케이블이 설치된 화재 격실의 서쪽 부분 71

그림 2.3-14. 화재 격실 사진- 북쪽 벽 71

그림 2.3-15. 화재 격실내 흡기구 72

그림 2.3-16. 화재 격실내 배기구 72

그림 2.3-17. 대상 격실의 흡기구 72

그림 2.3-18. 대상 격실의 배기구 72

그림 2.3-19. 격실3의 틈새 상부의 온도 측정기 배치 형상 72

그림 2.3-20. 격실 3에서의 틈새 형상 73

그림 2.3-21. 격실 3에서의 틈새의 위치 73

그림 2.3-22. 설비 구성의 개략도 74

그림 2.3-23. 화재 연소 추이 76

그림 2.3-24. 화원 격실 77

그림 2.3-25. 북동쪽 모서리에서 탈락된 암면 모습 77

그림 2.3-26. 보호하지 않은 케이블 부분(북서쪽) 78

그림 2.3-27. 북서쪽의 보호되지 않은 케이블의 근접 모습 79

그림 2.3-28. 남서쪽의 케이블 모습 79

그림 2.3-29. 상부 케이블의 근접 모습 80

그림 2.3-30. 하부 케이블의 근접 모습 80

그림 2.3-31. 용기의 연료 무게 82

그림 2.3-32. 용기의 연료 온도 82

그림 2.3-33. 연료 주변의 기체 온도 82

그림 2.3-34. 상단 케이블 트레이 및 내부 케이블 근처의 온도 82

그림 2.3-35. 하단 케이블 트레이 및 내부 케이블 근처의 온도 82

그림 2.3-36. 질소 주입유량(Medtherm purge) 83

그림 2.3-37. 질소 주입유량(화원격실) 83

그림 2.3-38. 질소 온도(화원격실) 83

그림 2.3-39. Network 압력 83

그림 2.3-40. 환기network 배관기체 온도(1/2) 83

그림 2.3-41. 환기network 배관기체 온도(2/2) 83

그림 2.3-42. 격실 2의 일산화탄소 농도 84

그림 2.3-43. 격실 3의 일산화탄소 농도 84

그림 2.3-44. 격실 2의 이산화탄소 농도 84

그림 2.3-45. 격실 3의 이산화탄소 농도 84

그림 2.3-46. 격실 2의 산소 농도 84

그림 2.3-47. 격실 3의 산소 농도 84

그림 2.3-48. 격실 2의 북쪽 벽 및 천정의 복사열속 85

그림 2.3-49. 격실 2의 총 열속 85

그림 2.3-50. 격실 2의 총 열속(콘크리트) 85

그림 2.3-51. 격실 2의 벽체 온도 85

그림 2.3-52. 격실 3의 벽체 온도 85

그림 2.3-53. 격실 3의 총 열속 85

그림 2.3-54. 격실 2의 가스 온도 CC(1/2) 86

그림 2.3-55. 격실 2의 가스 온도 CC(2/2) 86

그림 2.3-56. 격실 2의 가스 온도 NE(1/2) 86

그림 2.3-57. 격실 2의 가스 온도 NE(2/2) 86

그림 2.3-58. 격실 2의 가스 온도 SW(1/2) 86

그림 2.3-59. 격실 2의 가스 온도 SW(2/2) 86

그림 2.3-60. 상부 원형 개구부로 인한 격실 온도(1/6) 87

그림 2.3-61. 격실온도(2/6) 87

그림 2.3-62. 상부 원형 개구부로 인한 격실 온도(3/6) 87

그림 2.3-63. 격실온도(4/6) 87

그림 2.3-64. 상부 원형 개구부로 인한 격실 온도(5/6) 87

그림 2.3-65. 격실온도(6/6) 87

그림 2.3-66. L0 격실 가스 압력 88

그림 2.3-67. 위쪽(Top) 환기 88

그림 2.3-68. 격실 L3 가스 압력 88

그림 2.3-69. L2/L3 간 압력차 88

그림 2.3-70. 격실 L1 가스 압력 88

그림 2.3-71. 격실 L2L3 누설 유동율 하부 89

그림 2.3-72. 격실 L2L3 누설 유동율 상부 89

그림 2.3-73. 격실 L0 누출유량율 90

그림 2.3-74. 격실 L3 누출 가스 온도 90

그림 2.3-75. 격실 L3 누출유량율 90

그림 2.3-76. 격실 L2 누출 가스 온도 90

그림 2.3-77. 격실 L2 누출 가스 습도 90

그림 2.3.78/그림 2.30-78. 격실 L2 누출유량율 90

그림 2.3-79. Air watcher 출구압력 91

그림 2.3-80. Dilution branch의 가스 유량 91

그림 2.3-81. 배기 팬 속도 91

그림 2.3-82. 배기 가스 압력차 91

그림 2.3-83. 배기 가스 유량율 91

그림 2.3-84. 배기 가스 압력 91

그림 2.3-85. Inlet knot 압력 92

그림 2.3-86. 격실 3의 입구측 유량 92

그림 2.3-87. 격실 L2의 입구측 유량 92

그림 2.3-88. L1+L2+L3 입구측 유량 92

그림 2.3-89. L1 흡기 유량 92

그림 2.3-90. L0 흡기 유량 92

그림 2.3-91. 유입구 가스온도 93

그림 2.3-92. 유입구 개구부 밸브 93

그림 2.3-93. 유입구 가스온도 93

그림 2.3-94. 유입구 가스 습도 93

그림 2.3-95. 입구 팬 속도 93

그림 2.3-96. 입구 팬 압력 차 93

그림 2.4-1. DIVA 실험시설 평면도 95

그림 2.4-2. DIVA 실험시설 투시도 95

그림 2.4-3. Rockwool 패널의 위치와 두께 96

그림 2.4-4. 방화문 설치 구조도 97

그림 2.4-5. 방화문 개방 상태(3번 격실) 97

그림 2.4-6. 방화문 개방상태(2번 격실) 97

그림 2.4-7. 방화문 좌측 상부(3번 격실) 98

그림 2.4-8. 방화문 유측 상부(3번 격실) 98

그림 2.4-9. 격실에 설치된 금속고정대 98

그림 2.4-10. 방화벽 하부 모습(3번 격실) 98

그림 2.4-11. 환기시설 배치도 100

그림 2.4-12. 연료팬 및 버너 장치 102

그림 2.4-13. 실험 케이블의 배치도 103

그림 2.4-14. 케이블 트레이의 노출된 케이블과 차폐된 케이블 104

그림 2.4-15. 케이블 실험을 위한 배치도 104

그림 2.4-16. 상부 케이블 트레이의 실험대상 케이블 배치상태 105

그림 2.4-17. 천정 남서쪽의 연결박스 105

그림 2.4-18. 천정 남서쪽의 관통부 연결박스 105

그림 2.4-19. 천정 북서쪽의 연결 박스 105

그림 2.4-20. 천정 북서쪽 관통부 박스 105

그림 2.4-21. SCDU 및 IRMS 제어 패널 106

그림 2.4-22. 실험 대상 케이블이 설치된 화재 격실의 서쪽 부분 107

그림 2.4-23. 상부 케이블 트레이 케이블 배치상태 107

그림 2.4-24. 화재 격실의 모습(격실 2번에서) 108

그림 2.4-25. 화재 격실의 모습(격실 3번에서) 108

그림 2.4-26. 설비 구성의 개략도 109

그림 2.4-27. 실험이후 액체연료팬 및 케이블 손상 모습 111

그림 2.4-28. 실험 전후 케이블 트레이의 모습 111

그림 2.4-29. 연료팬의 시간에 따른 무게 및 연료온도 변화 곡선 113

그림 2.4-30. 케이블 주별 온도 및 케이블 보호용 rockwool 내부 가스온도 113

그림 2.4-31. 질소 주입 유량(medtherm purge 부분과 화재실 주입 유량) 113

그림 2.4-32. 격실 2번과 3번에서의 CO 농도 변화 114

그림 2.4-33. 격실 2번에서의 총 열속 및 벽체 온도 변화 114

그림 2.4-34. 격실 2번 가스 온도 변화 114

그림 2.4-35. 방화문을 통하여 영향을 받은 격실 3번의 온도 변화 115

그림 2.4-36. L2/L3 간의 압력차 (좌측), 격실 1번의 가스압력(우측) 115

그림 2.4-37. 방화문 주변의 온도 변화 115

그림 2.4-38. 격실의 배기 유량 (좌측), 격실 3번의 배기가스 온도 116

그림 2.4-39/그림 2.4-40. air washer 출그 압력 (좌측), dilution branch의 가스유량(우측) 116

그림 2.4-40/그림 2.4-41. inlet node의 압력 (좌측), 격실 3번의 입구측 유량 116

그림 2.4-41/그림 2.4-42. 유입구 가스온도 (좌측), 유입구 개구부 개도(우측) 117

그림 2.5-1. DIVA 실험시설 평면도 119

그림 2.5-2. DIVA 실험시설 투시도 119

그림 2.5-3. ROCK-wool 패널의 위치와 두께 120

그림 2.5-4. 방화문 설치 구조도 121

그림 2.5-5. 방화문 개방 상태(3번 격실) 121

그림 2.5-6. 방화문 개방상태(2번 격실) 121

그림 2.5-7. 방화문 좌측 상부(3번 격실에서) 122

그림 2.5-8. 방화문 우측 상부(3번 격실에서) 122

그림 2.5-9. 환기시설 배치도 124

그림 2.5-10. 실험 케이블의 배치도 126

그림 2.5-11. 화재실험실 내에 있는 케이블 트레이 126

그림 2.5-12. 케이블 배치도 127

그림 2.5-13. SCDU 및 IRMS 제어 패널 127

그림 2.5-14. 화재 격실 모습(남서쪽 모서리) 129

그림 2.5-15. 화재실험 실내 모습(북쪽 벽) 129

그림 2.5-16. 시험설비 배치도 130

그림 2.5-17. 시험시 화염 모습 132

그림 2.5-18. 시험후 닥트 모습 133

그림 2.5-19. 시험후 케이블트레이 모습 133

그림 2.5-20. 시험후 가스켓 상태(손상 없음) 133

그림 2.5-21. 팬의 오일 무게 134

그림 2.5-22. 팬의 연료 온도 134

그림 2.5-23. 상부 케이블 근처의 가스층 온도 134

그림 2.5-24. Rockwool 튜브 내의 가스 온도 134

그림 2.5-25. 2번 격실의 열속 센서 온도 134

그림 2.5-26. 3번 격실의 열속 센서 온도 134

그림 2.5-27. 2번 격실의 CO2 농도 135

그림 2.5-28/그림 2.5-27. 2번 격실의 CO2 농도 135

그림 2.5-29. 2번 격실의 O2 농도 135

그림 2.5-30. 3번 격실의 O2 농도 135

그림 2.5-31. 2번 격실의 온도 135

그림 2.5-32. 3번 격실의 온도 135

그림 2.5-33. 2번 격실의 가스 온도(CC axis) 136

그림 2.5-34. 3번 격실의 가스 온도(CC axis) 136

그림 2.5-35. 닥트로 인한 3번 격실의 온도 136

그림 2.5-36. 방화문으로 인한 3번 격실의 온도 136

그림 2.5-37. 1번 닥트 내부 온도 136

그림 2.5-38. L2 격실의 가스 압력 137

그림 2.5-39. 격실 내부 가스 온도 137

그림 2.5-40. 방화문 전역의 온도 137

그림 2.5-41. L2 격실의 배출구 가스 온도 137

그림 2.5-42. L2 격실의 배출구 유량 137

그림 2.5-43. 배출구 가스 유량 138

그림 2.5-44. 배출구 가스 온도 138

그림 2.5-45. L2 격실 입구 유량 138

그림 2.5-46. L3 격실 입구 유량 138

그림 2.5-47. 입구 가스 온도 138

그림 2.5-48. 입구 가스 유량 138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