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머리말

목차

내가 나에게 기회를 주자! (「내가 나에게 기회를 주는 노트 필기법」과 「내가 내 친구에게 기회주기」 학습전략의 구안 및 적용을 통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 / 임승남 6

제 1 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7

제2절 연구 목적 8

제3절 이론적 배경 8

제4절 연구 방법 및 절차 10

제 2 장 실천 내용 14

제1절 실행 중점 [1]의 실천 : 자기주도적 학습환경을 조성한다 14

제2절 실행 중점 [2]의 실천 :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학습전략을 개발한다. 15

제3절 실행 중점 [3]의 실천 : 「내가 나에게 기회를 주는 노트 필기법」과 「내가 내친구에게 기회주기」학습 전략을 적용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한다. 22

제4절 실행 중점 [4]의 실천 : 「내가 나에게 전자캐드기능사 자격증을 선물하자」라는 구체적인 학습의 도착점을 명시화하여 자발적 학습동기부여와 학습의 성공을 경험하게 한다. 24

제 3 장 실천 효과 25

제1절 실천효과 검증 내용 및 검증 방법 25

제2절 실천효과 및 분석 25

제 4 장 일반화 방안 28

제1절 동일한 과목에 적용할 경우 28

제2절 동일 계열 내의 다른 과목에 적용할 경우 28

제 5 장 결론 및 제언 29

제1절 결론 29

제2절 제언 30

참고문헌 31

무학년 코 티칭 과제중심 협동학습 / 박복재;신동열 32

제 1 장 서론 3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33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33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37

제 2 장 실천 내용 41

제1절 무학년 코 티칭 과제중심 협동학습 교수ㆍ학습 설계서(폴리메카닉스/자동화공작) 41

제2절 공정자동화과 2012년 MCLPC 학습자 및 교사 구성 42

제3절 공정자동화과 자동화 공작 수업 모둠 구성 현황 42

제 3 장 실천 효과 48

제1절 설문조사 48

제2절 성취도 분석 50

제3절 무학년 과제중심 협동수업 모형의 개선점 51

제 4 장 일반화 방안 53

제 5 장 결론 및 제언 54

제1절 결론 54

제2절 제언 55

참고문헌 56

모듈식 교수-학습 방법 기반의 TAI 모형 적용을 통한 자동차기관의 정비능력 향상 / 고경철;정성욱 57

제 1 장 서론 58

제1절 연구의 필요성 58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59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60

제 2 장 실천 내용 61

제1절 연구의 이론적 배경 61

제2절 선행연구 분석 61

제3절 연구의 실천 62

제 3 장 실천 효과 71

제1절 연구결과의 검증 71

제2절 연구의 교육적 실천효과 72

제 4 장 일반화 방안 74

제 5 장 결론 및 제언 76

제1절 결론 76

제2절 제언 76

참고문헌 78

프로젝트식 수업모형을 응용한 자기주도적 교수ㆍ학습모형 개발 / 김구영 79

제 1 장 서론 80

제1절 연구의 필요성 80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81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81

제 2 장 실천 내용 83

제1절 연구의 이론적 배경 83

제2절 교수ㆍ학습 방법 적용 85

제 3 장 실천 효과 93

제1절 연구 결과의 검증 방법 93

제2절 연구 결과의 분석 93

제 4 장 일반화 방안 96

제1절 동일한 과목에서 적용한 경우 96

제2절 동일 영역내의 다른 과목에서 적용할 경우 97

제 5 장 결론 및 제언 98

제1절 결론 98

제2절 제언 98

참고문헌 100

버즈식 팀리더 협동학습 모형의 구안ㆍ적용을 통한 USN 실무 Skill 향상 / 이현정 101

제 1 장 서론 102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02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103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103

제 2 장 실천 내용 105

제1절 실천 과제 105

제2절 실천 내용 105

제 3 장 실천 효과 117

제1절 검증 내용 및 방법 117

제 4 장 일반화 방안 119

제1절 동일 과목 내에서 적용할 경우 119

제2절 동일 계열내의 다른 과목에서 적용할 경우 119

제 5 장 결론 및 제언 120

제1절 결론 120

제2절 제언 120

참고문헌 122

현장 중심 실험 실습을 통한 현장실무 적응 능력 향상 방안 / 오세구 123

제 1 장 서론 124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24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125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126

제 2 장 실천 내용 129

제1절 실천내용의 계획 및 수업 설계 129

제2절 교수-학습의 실제 132

제 3 장 실천 효과 137

제 4 장 일반화 방안 139

제 5 장 결론 및 제언 141

제1절 결론 141

제2절 제언 142

참고문헌 143

디지털 논리 회로 교과의 수준별 실기지도를 통한 기능력 향상 / 박찬식 144

제 1 장 서론 14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45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145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147

제 2 장 실천 내용 151

제1절 학습 관련내용 및 특성 151

제2절 연구의 이론적 배경 151

제3절 실천 목표 및 실천 과제 154

제 3 장 실천 효과 161

제1절 실천효과의 검증 내용 및 방법 161

제2절 JOB별 검증 항목 및 결과 161

제3절 수준별 수업평가에 대한 결과 163

제 4 장 일반화 방안 165

제1절 동일 계열의 실습 교과목에 적용할 경우 165

제2절 전문교과 계열의 실습 교과목에 적용할 경우 165

제 5 장 결론 및 제언 166

제1절 결론 166

제2절 제언 166

참고문헌 168

「공업영어」과목을 통한 실무현장 중심의 영어접근 능력 배양 방안(모둠별 프로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 오동미 169

제 1 장 서론 170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70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171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174

제 2 장 실천 내용 177

제1절 실무중심 모둠별 프로젝트 교수ㆍ학습 전략 177

제2절 수업의 실제 180

제 3 장 실천 효과 185

제1절 연구 결과의 검증 185

제 4 장 일반화 방안 188

제1절 동일한 과목에서 적용할 경우 188

제2절 동일 영역내의 다른 과목에서 적용할 경우 188

제 5 장 결론 및 제언 189

제1절 결론 189

제2절 제언 189

참고문헌 190

정신강화 트레이닝으로 미래에 대한 비전 키우기(디자이너의 꿈! 이루어진다) / 윤영미 191

제 1 장 서론 192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92

제2절 연구 방법 및 절차 195

제 2 장 실천 내용 198

제1절 실천 준비 및 계획 198

제2절 실천 과제 및 내용 198

제 3 장 실천 효과 208

제 4 장 일반화 방안 210

제 5 장 결론 및 제언 211

참고문헌 213

모둠별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교수ㆍ학습 방법 개선(녹색 환경 교육 중심으로) / 김지근;엄기훈 214

제 1 장 서론 21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215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215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216

제 2 장 실천 내용 219

제1절 이론적 배경 219

제2절 실천 내용 220

제 3 장 실천 효과 227

제1절 실천 연구 효과 227

제2절 모둠별 프로젝트 학습 활동 연구 검증 결과 227

제 4 장 일반화 방안 231

제 5 장 결론 및 제언 232

참고문헌 234

인지적 도제 이론에 바탕을 둔 교과 융합형 프로젝트 수업의 구안 / 김보경 235

제 1 장 서론 236

제1절 연구의 필요성 236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236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237

제 2 장 실천 내용 239

제1절 이론적 배경 239

제2절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 240

제3절 수업의 설계 및 적용 244

제 3 장 실천 효과 249

제1절 효과 249

제2절 설문내용 249

제3절 설문 결과 250

제 4 장 일반화 방안 252

제 5 장 결론 및 제언 253

제1절 결론 253

제2절 제언 253

참고문헌 254

협동학습과 실험툴을 활용한 창의적 수업모델 개발을 통한 전공기초능력 신장/ 여순호 255

제 1 장 서론 256

제1절 연구의 필요성 256

제2절 연구 목적 및 내용 256

제3절 연구 방법 및 절차 258

제 2 장 실천 내용 261

제1절 실천과제 Ⅰ 261

제2절 실천과제 Ⅱ 262

제3절 수업의 실제 265

제 3 장 실천 효과 268

제1절 실천효과 268

제2절 실태분석에 따른 수업개선 효과 파악 269

제 4 장 일반화 방안 271

제 5 장 결론 및 제언 272

제1절 결론 272

제2절 제언 272

참고문헌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