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알기쉬운)항만설계기준 핸드북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해설서 / 국토해양부 항만개발과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국토해양부 항만개발과, 2010
청구기호
627.2 -11-7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90 p. : 삽화, 표 ; 19 cm
제어번호
MONO1201125129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항만협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머리말 / 강범구

목차

제1장 파랑 18

1. 파랑의 분류 및 규칙파의 종류 19

1.1. 파랑의 분류 19

1.2. 규칙파의 종류 22

2. 규칙파와 불규칙파 이론 26

2.1. 규칙파 이론 26

2.2. 불규칙파 이론 35

3. 파랑 스펙트럼 40

3.1. 파랑 스펙트럼의 개요 40

3.2. 파랑 스펙트럼의 종류 41

3.3. 불규칙파의 대표파고와 주기 46

4. 설계파 개요 및 산정방법 49

4.1. 심해설계파(深海設計波) 49

4.2. 천해설계파 50

4.3. 설계파의 통계분석 50

5. 파의 추산 52

5.1. 파의 발생과 발달 52

5.2. 파랑 추산법 53

5.3. 바람의 추산 54

5.4. 유의파법 59

5.5. 너울(swell)의 추산 65

5.6. 스펙트럼법 67

6. 파랑의 변형 72

6.1. 천수(淺水, shoalijng) 변형 72

6.2. 굴절(屈折, refraction) 변형 76

6.3. 회절(回折, diffraction) 변형 80

6.4. 굴절·회절 변형 85

6.5. 반사(反射, reflection) 변형 86

6.6. 환산 심해파고 88

7. 장주기파와 부진동 90

7.1. 장주기파와 부진동의 개요 90

7.2. 장주기파와 부진동의 산정방법 91

7.3. 장주기파와 부진동에 대한 대응 94

8. 항내정온도 및 항만가동율 96

8.1. 항내 파랑의 교란 요소 96

8.2. 항내정온도 96

8.3. 항만가동율 100

9. 폭풍해일 및 지진해일 104

9.1. 폭풍 해일 104

9.2. 지진 해일 108

10. 연안·하구역의 수치모형실험 115

10.1. 수치모형실험 개요 115

10.2. 파랑변형 실험 116

10.3. 해수유동 실험 124

10.4. 폭풍해일 실험 127

10.5. 지진해일 실험 132

10.6. 부진동 실험 133

10.7. 해빈류 실험 135

10.8. 해안선변형 실험 139

10.9. 퇴적물이동 실험 143

제2장 쇄파/월파/파력 147

1. 쇄파 148

1.1. 쇄파의 개요 및 형태 148

1.2. 규칙파의 쇄파 한계파고 153

1.3. 쇄파에 의한 파고변화 154

1.4. 쇄파고와 쇄파수심 158

1.5. 쇄파에 의한 평균수면 상승 160

2. 처오름 164

2.1. 처오름의 개요 164

2.2. 처오름 높이 산정방법 164

3. 월파 170

3.1. 월파의 개요 170

3.2. 월파량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요인 170

3.3. 월파량 산정방법 171

3.4. 허용 월파량 174

4. 전달파고 177

4.1. 전달파고의 개요 177

4.2. 경사방파제의 전달파고 177

4.3. 혼성방파제의 전달파고 178

5. 파력 179

5.1. 파력의 개요 179

5.2. 직립벽에 작용하는 파력 179

5.3. 경사제 제체에 작용하는 파력 192

5.4. 부체에 작용하는 파력 196

6. 수리모형실험 198

6.1. 수리모형실험의 개요 198

6.2. 수리모형실험의 목적 및 장단점 198

6.3. 수리모형실험의 구분 199

6.4. 상사법칙 200

6.5. 수리모형실험의 방법 201

6.6. 수리모형실험의 장비 202

6.7. 평면 수리모형시험의 주된 항목 203

6.8. 단면 수리모형시험의 주된 항목 204

제3장 외곽시설 206

1. 방파제 207

1.1. 방파제의 개요 207

1.2. 방파제 배치 208

1.3. 방파제 구조형식의 분류 214

1.4. 혼성식 방파제 234

2. 호안 274

2.1. 설계기본방침 274

2.2. 구조형식 선정 275

2.3. 마루높이 결정 276

2.4. 단면설정 및 안정계산 278

2.5. 상세설계 278

제4장 계류시설 279

1. 계류시설과 부두 280

2. 부두의 계획 281

2.1. 물동량에 따른 선석소요 검토 281

2.2. 부두의 배치 282

3. 부두의 설계 284

3.1. 선석(Berth)의 길이와 수심의 결정 284

3.2. 계류시설의 마루높이 285

3.3. 안벽의 축조한계 285

3.4. 설계수심 286

3.5. 세굴방지공 286

3.6. 구조형식의 선정 286

4. 중력식 안벽의 설계 289

4.1. 기본개요 289

4.2. 중력식 안벽의 설계 290

4.3. 최근의 중력식 안벽 설계사례 296

5. 잔교식 안벽의 설계 300

5.1. 잔교식 안벽의 특성 300

5.2. 형식의 분류 301

5.3. 직항식 횡잔교안벽의 설계 302

5.4. 흙막이부의 설계 311

5.5. 세부설계 312

5.6. 경사말뚝식 횡잔교의 설계 314

5.7. 잔교식 안벽의 설계사례 315

6. 기타 형식 317

6.1. 널말뚝식 안벽 317

6.2. 선반식 318

6.3. 강널말뚝 셀식 319

6.4. 강판 셀식 안벽 319

6.5. 부잔교 320

6.6. 돌핀 322

7. 부속설비 325

7.1. 방충제 325

7.2. 계선주 326

7.3. 차막이 및 모서리 보호공 326

7.4. 조명시설 327

7.5. 하역시설 328

8. 안벽의 설계사례 330

8.1. 중력식 안벽 330

8.2. 잔교식 안벽 340

제5장 마리나 364

1. 마리나 시설 365

1.1. 마리나의 정의 365

1.2. 마리나 주요 시설 365

1.3. 마리나 시설계획 367

2. 마리나의 자연조건 368

2.1. 기상 368

2.2. 바람 368

2.3. 파랑 368

2.4. 조위 및 조류 369

2.5. 부진동 369

2.6. 쓰나미와 폭풍 해일 369

2.7. 퇴적 369

3. 대상보트의 제원 370

3.1. 플레저보트의 종류 370

3.2. 플레저보트의 제원 371

3.3. 플레저보트의 특징 372

4. 수역시설 373

4.1. 항 입구 및 항로 373

4.2. 항로폭 373

4.3. 수심 373

4.4. 선회장 373

4.5. 정온도 373

5. 외곽시설 375

5.1. 방파제 배치시 주요 고려사항 375

5.2. 항 입구부 배치의 기본방향 375

5.3. 방파제 및 호안 376

6. 계류시설 378

6.1. 계류시설의 배치 378

6.2. 계류시설의 형식 379

6.3. 부잔교의 형상과 배치 382

6.4. 부잔교의 구조 384

6.5. 부잔교의 연결 386

6.6. 부잔교의 안정성 검토시 적용하중 387

6.7. 부잔교의 안정성 검토 388

6.8. 부체에 작용하는 외력 388

6.9. 부잔교 구조설계 391

6.10. 부잔교 계류방식 392

6.11. 연락교 393

6.12. 부대설비 394

7. 지원시설 397

7.1. 급수 및 급유시설 397

7.2. 급전 및 조명시설 398

7.3. 오수처리시설 398

7.4. 상하가시설 400

7.5. 세정 및 수리시설 403

7.6. 육상보관시설 404

7.7. 클럽하우스 406

7.8. 마리나 관리 시설 406

7.9. 위생 시설 406

7.10. 쇼핑센터 및 부대시설 407

7.11. 도로와 주차장 407

8. 환경오염방지 408

8.1. 마리나의 환경 오염 발생원 408

8.2. 선상 오수에 의한 환경 오염 및 대책 408

8.3. 연료 및 화공 약품 오염원 408

8.4. 보트 유지관리시 발생하는 오염원 409

8.5. 강우시 우수 방류 409

8.6. 마리나 수질의 유지관리 410

참여자명단 413

판권기 414

[표 1.1] 상대수심별 파장과 파속 계산식 33

[표 1.2] 해상풍속에 대한 관측풍속의 비율 55

[표 1.3] 경도풍과 해상풍의 관계 57

[표 1.4] 불규칙파의 경우에 회절파의 축선 방향(θ') 83

[표 1.5] 반사율의 개략치 88

[표 1.6] 만구(灣口) 보정계수 92

[표 1.7] 50년 빈도 설계파 내습시 새만금신항 선석별 유의파고의 평균과 최대 99

[표 1.8] 새만금신항 항만가동율 산정을 위한 입사파 조건 100

[표 1.9] 새만금신항 항만가동율 산정을 위한 바람 조건 101

[표 1.10] 동해안의 지진해일 기록(동해중부 지진, 1983. 5. 26) 111

[표 1.11] 수치모형과 수리모형의 제한시항 및 장점 115

[표 2.1] 콘크리트 피복의 조도 조정계수 165

[표 2.2] 피복재에 따른 경험 계수 (Smith, 1986) 168

[표 2.3] 월파유량의 추정치에 대한 정확한 값의 가정 범위 171

[표 2.4] 배후지의 중요도를 고려한 허용 월파량 174

[표 2.5] 배후지 이용상황과 재해한계상 월파량 174

[표 2.6] 피재한계(被災限界)의 월파량 174

[표 3.1] 선형별 하역한계파고 208

[표 3.2] 하역과 선체의 동요와의 관계(PIANC 제안내용) 209

[표 3.3] 피복재 질량을 결정하기 위한 KD값(이미지참조) 246

[표 3.4] 2층피복의 경우에 각 단계의 피재(被災)에 대한 변형정도(S) 248

[표 3.5] 하중의 조합과 하중계수 258

[표 3.6] 전면벽의 하중계수 259

[표 3.7] 후면벽의 하중계수 260

[표 3.8] 측벽의 하중계수 260

[표 3.9] 저판 파력작용의 하중분류 261

[표 3.10] 저판 하중계수의 조합 262

[표 3.11] 근고블록의 소요두께와 제원 270

[표 4.1] 화물선의 선석제원 예 284

[표 4.2] 접안시설의 표준적인 마루높이 285

[표 4.3] 각종 중력식안벽의 특징 289

[표 4.4] 널말뚝벽의 위치에 따른 분류 318

[표 4.5] 선반형식에 따른 분류 318

[표 4.6] 강관 말뚝의 합성응력 검토 방법 359

[표 4.7] 측방유동에 의한 강관말뚝의 휨응력 360

[표 4.8] 철근 덮개 361

[표 5.1] 마리나 허용파고 368

[표 5.2] 플레저보트의 종류 및 특징 370

[표 5.3] 플레저보트의 표준선형 371

[표 5.4] 계류시설 제원 379

[표 5.5] 부잔교의 배치와 특징 383

[표 5.6] 수리시설 규모 403

[표 5.7] 보트의 종류에 따른 보관 형태 404

[표 5.8] 육상보관시설의 제원 405

[표 5.9] 마리나 기타 부대시설 407

〈그림 1.1〉 진행파의 변수 정의 19

〈그림 1.2〉 파랑 주기별 에너지 분포 20

〈그림 1.3〉 상대수심과 파고에 의한 파 이론의 적용범위 23

〈그림 1.4〉 스토크스 파형 23

〈그림 1.5〉 크노이드 파형 23

〈그림 1.6〉 고립파형 24

〈그림 1.7〉 트로코이드 파형 25

〈그림 1.8〉 불규칙파 현상 26

〈그림 1.9〉 파랑 분산 모식도 28

〈그림 1.10〉 파랑에 의한 물입자 운동(수평, 연직 축척이 다름) 29

〈그림 1.11〉 심해역에서 유한 파열(有限波列)의 분산 모식도 31

〈그림 1.12〉 수심에 따른 파고와 파봉고의 관계 34

〈그림 1.13〉 최대 파봉고 (ηc)max와 최대파고 Hmax의 비와 H1/3/h의 관계(이미지참조) 34

〈그림 1.14〉 규칙파의 중첩에 의한 불규칙파형 35

〈그림 1.15〉 영점 상향교차법의 예 36

〈그림 1.16〉 레일레이 확률분포의 예 38

〈그림 1.17〉 주파수 스펙트럼(위)과 방향 스펙트럼(아래)의 예 40

〈그림 1.18〉 풍속별 「충분히 발달한 파랑」의 스펙트럼(Moskowitz, 1964) 42

〈그림 1.19〉 Pierson-Moskowitz 스펙트럼에서 풍속에 대한 유의파고와 주기의 변화 42

〈그림 1.20〉 취송거리에 따른 파랑 스펙트럼의 진화(Hasselmann 등, 1973). 43

〈그림 1.21〉 파형경사와 Smax의 관계(이미지참조) 45

〈그림 1.22〉 굴절에 의한 Smax의 변화(이미지참조) 46

〈그림 1.23〉 북반구에서 경도풍의 모식도 56

〈그림 1.24〉 북반구에서 바람을 일으키는 힘의 균형과 풍향 모식도 57

〈그림 1.25〉 북반구에서 바람의 유입과 유출 모식도 57

〈그림 1.26〉 SMB법에 의한 풍파 추산도 62

〈그림 1.27〉 Wilson법에서 H-t-F-T 관계도 63

〈그림 1.28〉 미국 NOAA의 제3세대 파랑 예보모델 결과 71

〈그림 1.29〉 천수 변형 모식도 72

〈그림 1.30〉 미소진폭파 이론에 의한 천수계수의 산정도 74

〈그림 1.31〉 유한진폭 효과를 고려한 천수계수의 산정도 75

〈그림 1.32〉 파랑 굴절 모식도 76

〈그림 1.33〉 직선 해안에서 굴절각과 굴절계수 산정표 78

〈그림 1.34〉 해안선 및 등수심선 형태에 따른 굴절변형 모식도 79

〈그림 1.35〉 파의 회절 실험(위)과 에너지 전파 모식도(아래) 80

〈그림 1.36〉 곶과 섬 배후에서의 회절 현상 81

〈그림 1.37〉 반무한(半無限) 방파제에 의한 규칙파의 회절도 81

〈그림 1.38〉 방파제 개구부에서 규칙파의 회절도(B/L=0.1) 82

〈그림 1.39〉 방파제 개구부에서 규칙파의 회절도(B/L=5.0) 82

〈그림 1.40〉 가상 개구폭 B'와 회절파의 축선 방향 θ' 83

〈그림 1.41〉 굴절·회절 변형의 근사 계산 모식도 85

〈그림 1.42〉 파의 반사 모식도 86

〈그림 1.43〉 항내 부진동 모식도 90

〈그림 1.44〉 포항신항의 부진동 관측기록 (2008. 11. 16 - 18) 91

〈그림 1.45〉 좁고 긴 직사각형 항의 공진스펙트럼 93

〈그림 1.46〉 폭이 넓은 직사각형 항의 공진스펙트럼 94

〈그림 1.47〉 새만금신항 완공 후의 선석 배치 97

〈그림 1.48〉 새만금신항 완공 후의 파랑 벡터도 98

〈그림 1.49〉 새만금신항 완공 후의 파고 등치선도 98

〈그림 1.50〉 새만금신항 A-1 선석의 외해 내습파 시계열 102

〈그림 1.51〉 새만금신항 F-1 선석의 항내 풍파 시계열 102

〈그림 1.52〉 폭풍 해일고의 정의 104

〈그림 1.53〉 바람에 의한 해수 퇴적 모식도 105

〈그림 1.54〉 기압 강하에 의한 해면 상승 모식도 106

〈그림 1.55〉 지진해일의 발생 및 전파 모식도 108

〈그림 1.56〉 1979년 콜롬비아 지진해일의 전파시간 109

〈그림 1.57〉 2004년 인도네시아 지진해일의 전파시간 109

〈그림 1.58〉 지진해일 용어의 설명도 110

〈그림 1.59〉 일본 동해안의 진앙 위치 111

〈그림 1.60〉 동해중부지진(1983)에 의한 지진해일시 임원항의 피해 사례 112

〈그림 1.61〉 지진해일의 파력 모식도 113

〈그림 1.62〉 쌍곡선형 완경사방정식 모형에 의한 파랑 전파도(평택·당진항) 117

〈그림 1.63〉 SWAN 모형에 의한 파랑 벡터도(경기만) 120

〈그림 1.64〉 수치 파동수조의 구성 예 121

〈그림 1.65〉 수치파동수조 실험 예 122

〈그림 1.66〉 FLOW-3D 모형에 의한 항주파 계산 예(대산항) 123

〈그림 1.67〉 직교 곡선 격자망의 예(경기만 및 인천신항) 125

〈그림 1.68〉 조석 검정의 예(인천신항) 126

〈그림 1.69〉 홍수시 해수유동 실험 예(강릉항) 127

〈그림 1.70〉 여수신항 폭풍해일 모델의 둥지 격자체계 129

〈그림 1.71〉 태풍 Rusa의 경로 130

〈그림 1.72〉 태풍 Rusa 통과시 해상풍 모델 결과 130

〈그림 1.73〉 태풍 Maemi 통과시 해일고 계산결과(2003.9.12. 21h) 131

〈그림 1.74〉 태풍 Rusa 통과시 여수신항의 해일고 관측치와 모델치 시계열 131

〈그림 1.75〉 가상 지진해일의 전파 경로 계산결과 132

〈그림 1.76〉 장주기파의 주기와 파향에 따른 증폭비 계산 예(울산신항) 134

〈그림 1.77〉 장주기파의 증폭비 분포 계산 예(울산신항) 134

〈그림 1.78〉 해빈류 모식도 136

〈그림 1.79〉 해빈류 관측 결과와 수치실험 결과 비교(강릉항 인근) 138

〈그림 1.80〉 해안선변형 모델의 수치계산 모식도 141

〈그림 1.81〉 해안선변형 모델 검정 예(안목 해수욕장) 142

〈그림 1.82〉 장기 해안선변형 실험 예(안목 해수욕장) 142

〈그림 1.83〉 퇴적물이동 실험의 검정 예(강릉항) 145

〈그림 1.84〉 퇴적물이동 예측 실험 예(강릉항) 146

〈그림 2.1〉 파랑의 변형 148

〈그림 2.2〉 파형경사 148

〈그림 2.3〉 권파의 모식도 149

〈그림 2.4〉 권파 149

〈그림 2.5〉 권파의 한 형태 150

〈그림 2.6〉 붕괴파 모식도 151

〈그림 2.7〉 붕괴파 151

〈그림 2.8〉 쇄기파 모식도 152

〈그림 2.9〉 쇄기파 152

〈그림 2.10〉 쇄파한계파고 산정도표 153

〈그림 2.11〉 유의파고 산정도표 156

〈그림 2.12〉 최대파고 산정도표 157

〈그림 2.13〉 쇄파고 산정도표 158

〈그림 2.14〉 쇄파수심 산정도표 159

〈그림 2.15〉 (a) 평균수면 산정도 161

〈그림 2.15〉 (b) 평균수면 산정도 161

〈그림 2.16〉 파의 처오름 164

〈그림 2.17〉 처오름 보정계수 165

〈그림 2.18〉 파의 처오름(R/H'o)과 상대깊이(ds/H'o>3.0)의 관련도(이미지참조) 166

〈그림 2.19〉 파의 처오름(R/H'o)과 상대깊이(ds/H'o=2.0)의 관련도(이미지참조) 166

〈그림 2.20〉 매끈한 경사면과 사석경사면의 처오름 비교(ds/H'o>3.0)(이미지참조) 167

〈그림 2.21〉 ds/H'o>3.0 인 경우(이미지참조) 169

〈그림 2.22〉 ds/H'o=2.0 인 경우(이미지참조) 169

〈그림 2.23〉 월파광경 170

〈그림 2.24〉 직립호안의 월파유량 산정도(해저경사 1:30) 172

〈그림 2.25〉 소파호안의 월파유량 산정도(해저경사 1:30) 173

〈그림 2.26〉 전달파고 개념도 177

〈그림 2.27〉 혼성방파제의 전달파고계수 178

〈그림 2.28〉 직립제의 설계파압 분포 180

〈그림 2.29〉 제체의 수직선과 입사각의 보정각(β) 180

〈그림 2.30〉 케이슨 확대기초가 있는 경우의 양압력 183

〈그림 2.31〉 부의 설계파압 분포 184

〈그림 2.32〉 최대 충격쇄파에 의한 평균파압강도(급경사 사면상의 직립벽) 186

〈그림 2.33〉 충격쇄파력 계수 187

〈그림 2.34〉 소파블록으로 피복된 경우의 설계파압 분포(고다(合田)식) 189

〈그림 2.35〉 소파블록으로 피복된 경우의 설계파압 분포〈모리히라(森平, 1967)〉 190

〈그림 2.36〉 안전성의 검토에 쓰이는 파압 분포(유수실의 덮개판이 없는 경우) 191

〈그림 2.37〉 사면상의 부분 중복파형[이달수 등, 2002; 고다(合田) 등, 2004] 192

〈그림 2.38〉 최대파에 의해 제체의 하부 지반에 전달되는 연직파력의 분포 195

〈그림 2.39〉 폰툰형 선박에 작용하는 파력 197

〈그림 2.40〉 수리모형 198

〈그림 2.41〉 원형상과 모형상(단면) 198

〈그림 2.42〉 사전 자료조사 내용 201

〈그림 2.43〉 모형제작 201

〈그림 2.44〉 예비실험 및 실험파 설정 201

〈그림 2.45〉 평면배치안별 정온도 실험 201

〈그림 2.46〉 단면안정성 실험 202

〈그림 2.47〉 평면안정성 실험 202

〈그림 2.48〉 단면 실험장비 202

〈그림 2.49〉 천해설계파 계측 203

〈그림 2.50〉 평면배치안 도출 203

〈그림 2.51〉 제두부구간 안정성 실험 203

〈그림 2.52〉 블록식 구조물 안정성 실험 203

〈그림 2.53〉 단면 수리모형실험 사례 205

〈그림 3.1〉 방파제의 설계순서 207

〈그림 3.2〉 선체의 운동성분 209

〈그림 3.3〉 방파제 시설 213

〈그림 3.4〉 방파제 구조형식 215

〈그림 3.5〉 경사제 형식 216

〈그림 3.6〉 경사제 파괴요인 217

〈그림 3.7〉 경사제 파괴사례 220

〈그림 3.8〉 경사제의 마루폭 및 마루높이 221

〈그림 3.9〉 소파공과 직립부의 마루높이 관계 221

〈그림 3.10〉 경사제 단면도 제시예 222

〈그림 3.11〉 직립제 형식 223

〈그림 3.12〉 혼성제 형식 226

〈그림 3.13〉 소파블록 피복제 형식 228

〈그림 3.14〉 중력식 소파블록 피특수방파제 230

〈그림 3.15〉 파력분력 개념도 231

〈그림 3.16〉 파고전단율과 상대마루높이 231

〈그림 3.17〉 커튼식 방파제 232

〈그림 3.18〉 커튼식 방파제(일본 구마모토항) 233

〈그림 3.19〉 부유식방파제 개념도 233

〈그림 3.20〉 원전항 부유식방파제 233

〈그림 3.21〉 케이슨 제작 운반 236

〈그림 3.22〉 슬릿형태 236

〈그림 3.23〉 유수실 개념도(직립소파블록) 237

〈그림 3.24〉 상치콘크리트 형상 238

〈그림 3.25〉 방파제 침하원인 239

〈그림 3.26〉 기초처리 공법 239

〈그림 3.27〉 액상화 및 세굴방지 시설 240

〈그림 3.28〉 쇄석의 활동저항면 242

〈그림 3.29〉 콘크리트블록의 활동저항면 242

〈그림 3.30〉 보강체의 활동저항면 243

〈그림 3.31〉 H1/20과 H1/3의 비(이미지참조) 247

〈그림 3.32〉 투수지수(P) 247

〈그림 3.33〉 침식부의 면적(A) 247

〈그림 3.34〉 혼성제의 표준적인 단면과 기호 249

〈그림 3.35〉 방파제 제두부 형상 250

〈그림 3.36〉 흐름에 대한 사석의 안정질량 및 안정직경 251

〈그림 3.37〉 상세설계 흐름도 255

〈그림 3.38〉 케이슨 각부의 명칭 256

〈그림 3.39〉 부체의 평형 257

〈그림 3.40〉 전면벽의 설계하중 259

〈그림 3.41〉 후면벽의 설계하중 259

〈그림 3.42〉 측벽의 설계하중 260

〈그림 3.43〉 저판의 설계하중 261

〈그림 3.44〉 외벽에 작용하는 수압 263

〈그림 3.45〉 저판에 작용하는 외력 263

〈그림 3.46〉 예항시의 인장력 264

〈그림 3.47〉 내부토압과 내부수압 265

〈그림 3.48〉 외벽의 격벽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에 대한 검토시의 설계하중 267

〈그림 3.49〉 저판의 격벽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에 대한 검토시의 설계하중 267

〈그림 3.50〉 상치콘크리트 타설면 269

〈그림 3.51〉 근고블록 형상 예 271

〈그림 3.52〉 완전이동 한계수심 계산도표 272

〈그림 3.53〉 호안의 설계순서 274

〈그림 3.54〉 호안의 구조형식 275

〈그림 3.55〉 경사식호안의 종류 275

〈그림 3.56〉 월파유량 산정도 277

〈그림 4.1〉 부두의 배치형상 283

〈그림 4.2〉 계류시설의 구조형식 288

〈그림 4.3〉 중력식 안벽의 시공전경 289

〈그림 4.4〉 벽체에 작용하는 외력과 하중 290

〈그림 4.5〉 중력식 안벽의 벽체 산정방법 291

〈그림 4.6〉 부력을 취하는 범위 291

〈그림 4.7〉 횡잔교 단면도 301

〈그림 4.8〉 직항식 횡잔교의 설계순서 302

〈그림 4.9〉 잔교 및 상부공의 배치 304

〈그림 4.10〉 비탈경사의 결정 개념도 306

〈그림 4.11〉 가상지표면 결정 307

〈그림 4.12〉 사조항식 횡잔교의 예 314

〈그림 4.13〉 강널말뚝 셀식 안벽설계 예 319

〈그림 4.14〉 거치식 및 근입식 강판셀식 안벽 설계(예) 320

〈그림 4.15〉 부잔교 각 부의 명칭 320

〈그림 4.16〉 돌핀 계류식 부잔교 321

〈그림 4.17〉 돌핀의 형상 322

〈그림 4.18〉 돌핀의 표준계류 System 324

〈그림 4.19〉 설계단면 362

〈그림 5.1〉 마리나 시설계획 사례 366

〈그림 5.2〉 클럽하우스 366

〈그림 5.3〉 보트 정박지 및 계류시설 366

〈그림 5.4〉 육상보관 보트창고 366

〈그림 5.5〉 상하가시설 366

〈그림 5.6〉 마리나 동선 계획 367

〈그림 5.7〉 크루저 요트 370

〈그림 5.8〉 딩기 요트 370

〈그림 5.9〉 크루저 보트 370

〈그림 5.10〉 유틸리티 보트 370

〈그림 5.11〉 플레저보트의 제원 372

〈그림 5.12〉 플레저보트의 Keel 형식 372

〈그림 5.13〉 미국 롱비치 마리나 사례 374

〈그림 5.14〉 항 입구부 방향 375

〈그림 5.15〉 뉴질랜드 마리나 사례 376

〈그림 5.16〉 부산 수영만 요트마리나 방파제 377

〈그림 5.17〉 일본 마리나 부유식 방파제 377

〈그림 5.18〉 계류시설 제원의 예 378

〈그림 5.19〉 계선 안벽 379

〈그림 5.20〉 부잔교형 계류시설 380

〈그림 5.21〉 빗살형 부잔교 380

〈그림 5.22〉 주잔교 381

〈그림 5.23〉 보조잔교 381

〈그림 5.24〉 계선부표형 계류시설 381

〈그림 5.25〉 단잔교의 배치 382

〈그림 5.26〉 빗살형 잔교의 배치 382

〈그림 5.27〉 단잔교 384

〈그림 5.28〉 빗살형 잔교 384

〈그림 5.29〉 부잔교의 구조형식 385

〈그림 5.30〉 분리형 부잔교 385

〈그림 5.31〉 웨일러형 부잔교 385

〈그림 5.32〉 부잔교의 연결 방식 386

〈그림 5.33〉 반고정식 방식 386

〈그림 5.34〉 연결식 방식 386

〈그림 5.35〉 부잔교 하중 적용 387

〈그림 5.36〉 부잔교의 안정성 388

〈그림 5.37〉 부체에 작용하는 외력(1) 389

〈그림 5.38〉 부체에 작용하는 외력(2) 389

〈그림 5.39〉 파의 입사각 β를 취하는 빙법 390

〈그림 5.40〉 부잔교 구조설계시 경계조건 391

〈그림 5.41〉 말뚝식 계류 392

〈그림 5.42〉 Guide Roller 392

〈그림 5.43〉 체인식 계류 393

〈그림 5.44〉 연락교 394

〈그림 5.45〉 방충설비 395

〈그림 5.46〉 계선주-클리트 395

〈그림 5.47〉 소방 설비 396

〈그림 5.48〉 조명 설비 396

〈그림 5.49〉 급수시설 397

〈그림 5.50〉 급유시설 397

〈그림 5.51〉 Marina-Wide 시스템 399

〈그림 5.52〉 Potable/Mobile 시스템 399

〈그림 5.53〉 Slipside 시스템 400

〈그림 5.54〉 슬로프 401

〈그림 5.55〉 보트 리프터 401

〈그림 5.56〉 고정식 크레인 401

〈그림 5.57〉 이동식 크레인 401

〈그림 5.58〉 상하가시설의 종류 402

〈그림 5.59〉 세정 및 수리시설 403

〈그림 5.60〉 육상보관시설의 제원 404

〈그림 5.61〉 옥내보관창고 405

〈그림 5.62〉 옥외보관랙 405

〈그림 5.63〉 클럽하우스의 배치 406

〈그림 5.64〉 해외 마리나 사례(1) 411

〈그림 5.65〉 해외 마리나 사례(2) 41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638306 627.2 -11-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638307 627.2 -11-7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