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발간사 3
머리말 5

1부 〈고려대 한국어대사전〉과 사전학
홍종선ㆍ도원영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편찬 사업의 특징과 향후 발전 방향
도원영ㆍ정유남 용언형 관용구의 문형 정보에 대한 고찰
김양진ㆍ정경재 국어사전에서 ‘-어/-아’계열 어미의 결합 정보 기술에 대하여
박주원 의성의태 용언의 특성과 사전 처리 방향
김혜령 ‘몰(沒)-’, ‘무(無)-’, ‘미(未)-’, ‘불(不)-’, ‘비(非)-’계 접두 파생어와 어기의 의미 관계
도원영ㆍ김의수ㆍ김숙정 본말/준말’류 대한 재고 - 사전의 어휘 관계 기술을 위하여
김양진ㆍ정연주 국어사전에서 최초 출현형의 기준 설정에 대하여

2부 사전과 응용 언어학
박재승 중한 번역기에서의 형태소 분석의 문제와 해결 방안에 대한 소고
정철 웹 백과사전 개편 경험과 전망-다음백과 2007 개편을 중심으로한필드 스터디
이현희ㆍ박미영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 활용 방안
차준경 어휘 의미의 특성을 반영한 의미 기술- 사건 명사의 다의를 중심으로

3부 사전 편찬과 문제 제기
김양진 국어사전 속의 동자동형이의(同字同形異意) 한자어(漢字語)의 처리에 대하여
도원영 사전 뜻풀이 방식에 대한 검토- 상위언어식 뜻풀이를 중심으로
김혜령 역사 전문어의 세부 유형과 처리 방안
정경재 결합 정보 상세화의 필요성과 방향 - 문법 형태소를 중심으로
박주원 감탄사와 부사의 범주 구분과 처리

이용현황보기

&lt;고려대 한국어대사전&gt;과 사전학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645220 411.3 -1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645221 411.3 -1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편찬부의 ‘사전과 언어학 총서’그 첫번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이 이번에 새로 시작하는 ≪사전과 언어학 총서≫는 지난 40년간 민족문화연구원에서 진행해 온 사전학적 연구의 성과물을 단행본으로 엮어서 학계에 보고하고자 기획한 새로운 총서이다. 이 ≪사전과 언어학 총서≫ 1권인 ‘<고려대 한국어대사전>과 사전학’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는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을 완성하기까지 사전의 거시 구조에서부터 미시 항목에 이르는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 궁구한 결과물을 실었다. 첫 번째에 실은 홍종선.도원영의 논문은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편찬 사업의 목적과 경과, 사전의 특징을 소개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나머지 논문은 이미 기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이지만 우리말의 어법을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속에 담아내는 데 혁혁한 기여를 한 주제들이어서 한데 모았다.
2부에는 사전과 연계된 다양한 분과에서 응용 연구한 논문을 실었다. 각각 온라인 백과사전 서비스의 기획, 중한 기계번역에서의 중의성 해소 방안, 국어사전을 통한 국어 교육, 의미 기술의 상세화 방안 등을 주제로 한 글이다. 이 중 2편의 글은 사전편찬부 제1차 워크숍에서 발표된 내용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3부에는 제2차 워크숍에서 사전 편찬과 문제 제기라는 주제로 발표된 6편의 논문을 다듬어서 실었다.

필자 소개
김숙정 안양대학교 강사
김양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김의수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교육과 교수
김혜령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박사수료
도원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박미영 서울여자대학교 강사
박재승 한국외국어대학교 flex센터 책임연구원
박주원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이현희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
정경재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박사수료
정연주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박사수료
정유남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박사수료
정 철 다음커뮤니케이션 지식서비스기획팀 팀장
차준경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홍종선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책속에서

알라딘제공
민족문화연구원에서 그동안 축적해 온 연구 성과들은 여러 가지 연속 기획물로 출간되어 왔다. 이제 새로 시작하는 ≪사전과 언어학 총서≫는 지난 40년간 본 연구원에서 진행해 온 사전학적 연구의 성과물을 단행본으로 엮어서 학계에 보고하고자 기획한 새로운 총서이다. 40만 표제어 규모의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 담긴 다양한 언어 정보들이 학문적 언어로 재해석될 때 한국어와 한국의 언어문화에 대한연구가 새로운 단계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며 30만 표제어 규모의 <中韓大辭典>에 실린 중국어와 중국의 언어문화에 대한 다양한 안내를 통해 국내의 중국학 연구가 미래의 지향점을 찾아갈 수 있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전과 언어학 총서≫에는 사전과 연계된 국어학, 중국어학, 일본어학 등을 비롯한 외국어학, 코퍼스 언어학, 정보 처리, 언어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 결과를 담아내려고 한다.
본 총서의 출간이 향후 한국학과 중국학, 나아가 동아시아학의 발전을 이끌어 낼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학계 전문가의 깊은 관심과 애정 어린 지도를 기대하는 바이다.
-발간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