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서론 6

Ⅱ. 디지털교과서 추진 현황 분석 8

2.1. 디지털교과서의 정의 8

2.2. 추진 현황 8

2.3. 활성화 장애요인 10

2.4. 디지털교과서 추진 계획 11

2.5. 디지털교과서 추진의 당면 과제 14

Ⅲ. 디지털교과서의 법적 지위 확보 방안 15

3.1. 쟁점 사항 15

3.2. 쟁점 분석 18

3.2.1. 디지털교과서의 개념 명시 방안 18

3.2.2. 디지털교과서에 관한 특례조항 신설 여부 19

3.2.3. 디지털교과서 특성에 적합한 용어 사용 여부 20

3.3. 법령 개선안 21

3.3.1. 디지털교과서의 개념 명시(안) 21

3.3.2. 디지털교과서에 관한 특례조항 신설(안) 26

3.3.3. 디지털교과서 특성에 적합한 용어 사용(안) 27

Ⅳ. 디지털교과서 국ㆍ검ㆍ인정 업무 절차 및 방법 35

4.1. 디지털교과서 국정 업무 절차 및 방법 35

4.1.1. 국정 디지털교과서 발행 절차 35

4.1.2. 국정 디지털교과서 편찬(개발) 38

4.1.3. 국정 디지털교과서 심의 38

4.1.4. 국정 디지털교과서 보급 40

4.2. 검ㆍ인정 디지털교과서 업무 절차 및 방법 40

4.2.1. 검ㆍ인정 디지털교과서 발행 절차 40

4.2.2. 디지털교과서 검ㆍ인정 출원 및 심의 절차 및 방법 43

4.2.3. 검ㆍ인정 디지털교과서 선정 50

4.2.4. 디지털교과서 검ㆍ인정 공급 절차 및 방법 53

4.2.5. 디지털교과서 수정ㆍ보완 55

4.3. 디지털교과서 가격 결정 기준 56

4.3.1. 디지털교과서 개발비 산정 56

4.3.2. 디지털교과서 가격 결정 57

Ⅴ. 결론 및 제언 58

5.1. 결론 58

5.2. 제언 59

참고 문헌 62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 개정(안) 비교표 63

판권기 81

[표 Ⅱ-1]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개발 현황 9

[표 Ⅱ-2] 디지털교과서 개발 일정(안) 12

[표 Ⅱ-3]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사업의 특징 13

[표 Ⅱ-4] 연구학교 운영 계획(안) 14

[표 Ⅲ-1] 디지털교과서 관련 법령 개정의 쟁점 사항 18

[표 Ⅲ-2] 디지털교과서 개념 명시방안 19

[표 Ⅲ-3] 디지털교과서에 관한 특례조항 신설 여부 20

[표 Ⅲ-4] 디지털교과서의 특성에 적합한 용어 사용 여부 21

[표 Ⅲ-5] 교과용도서의 한 형태로 디지털교과서를 명시하는 방안 22

[표 Ⅲ-6] 교과서의 한 형태로 “디지털교과용도서”라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명시하는 방안 23

[표 Ⅲ-7] 교과용도서의 한 형태로 디지털교과서를 명시하는 방안 24

[표 Ⅲ-8] 디지털교과서의 개념을 명시하는 방안 25

[표 Ⅲ-9] 디지털교과서에 관한 특례 조항(안) 26

[표 Ⅲ-10] 교과용도서의 분량에 있어 디지털교과서의 명기 필요 여부 27

[표 Ⅲ-11] 교과용도서 수정 대상 열거에 멀티미디어 요소의 명기 필요 여부 28

[표 Ⅲ-12] 디지털교과서 사용의 의무화 방안 29

[표 Ⅲ-13] 검정 실시 공고에서 디지털교과서 특성 반영 여부 30

[표 Ⅲ-14] 디지털교과서에 적합한 개발의 개념 명기 여부 31

[표 Ⅲ-15] 디지털교과서의 사용 환경 명시 여부 32

[표 Ⅲ-16] 검정수수료 산정 시 디지털교과서의 수량 계산 단위 32

[표 Ⅲ-17] 교과용도서심의회의 실무위원 구성 시 개발ㆍ서비스 전문가 참여 명시 여부 33

[표 Ⅲ-18] 국정 디지털교과서의 가격 책정 여부 33

[표 Ⅲ-19] 디지털교과서 검정 취소 요인 34

[표 Ⅳ-1] 검ㆍ인정 서책 교과서 발행 후 디지털교과서 수정ㆍ보완 심의 장ㆍ단점 47

[표 Ⅳ-2] 검ㆍ인정 서책 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 동시 심의 장ㆍ단점 49

[표 Ⅳ-3] 디지털교과서 검ㆍ인정 심의위원 구성(안) 50

[표 Ⅳ-4] 학교의 디지털교과서 선정 절차(안) 53

[표 Ⅴ-1] 인정도서에 관한 정의 및 권한 위임 60

[표 Ⅴ-2] 교육청 디지털교과서 전담 부서 구성(안) 61

[그림 Ⅱ-1] 디지털교과서의 개념도 8

[그림 Ⅱ-2] 디지털교과서의 학업성취도 효과 10

[그림 Ⅱ-3] 디지털교과서의 문제해결력 효과 10

[그림 Ⅳ-1] 국정도서 발행 절차 35

[그림 Ⅳ-2] 국정 서책 교과서 발행 후 디지털교과서 발행 절차(안) 36

[그림 Ⅳ-3] 디지털교과서 활용체제 37

[그림 Ⅳ-4] 국정 서책 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 동시 발행 절차(안) 37

[그림 Ⅳ-5] 디지털교과서 심의 영역(안) 39

[그림 Ⅳ-6] 검정도서 발행 절차 41

[그림 Ⅳ-7] 인정도서 발행 절차 41

[그림 Ⅳ-8] 검정 서책 교과서 발행 후 디지털교과서 발행 절차(안) 42

[그림 Ⅳ-9] 인정 서책 교과서 발행 후 디지털교과서 발행 절차(안) 42

[그림 Ⅳ-10] 검정 서책 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 동시 발행 절차(안) 43

[그림 Ⅳ-11] 인정 서책 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 동시 발행 절차(안) 43

[그림 Ⅳ-12] 서책 교과서 검ㆍ인정 심의 절차 45

[그림 Ⅳ-13] 검ㆍ인정 디지털교과서 합격/불합격 심의 절차(안) 46

[그림 Ⅳ-14] 검ㆍ인정 디지털교과서 수정ㆍ보완 심의 절차(안) 47

[그림 Ⅳ-15] 검ㆍ인정 서책 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 동시 심의 절차(안) 48

[그림 Ⅳ-16] 검정 서책 교과서 선정 절차 51

[그림 Ⅳ-17] 학교의 검ㆍ인정 디지털교과서 선정 절차(안) 52

[그림 Ⅳ-18] 국ㆍ검정도서 주문, 공급 체계도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