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0)서울시 중심지체계 개편에 따른 생활중심의 도입방안 연구 / 연구책임: 맹다미 ; 연구원: 장남종, 오정현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1
청구기호
711.55 -12-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34 p. : 삽화, 표 ; 25 cm
총서사항
시정연 ; 2010-PR-70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80528585
제어번호
MONO1201205653
주기사항
참고문헌: p. 127-129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및 정책건의 4

제1장 서론 2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0

1. 연구의 배경 30

2. 연구의 목적 32

제2절 연구의 주요 내용 33

1.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3

2. 연구의 흐름 34

제2장 서울시 중심지 지정 실태 및 생활중심 도입의 필요성 36

제1절 서울시 지구중심의 현황분석 37

1.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에 의한 서울시 중심지체계 37

2. 지구중심의 실태분석 39

제2절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밀착형 생활중심 도입의 필요성 57

1. 도시계획의 중심가치로서 삶의 질 향상 57

2. 생활밀착형 생활중심 도입의 필요성 58

제3장 주민생활과 밀착한 중심지계획의 해외사례 분석 60

제1절 영국 런던 : 장소만들기를 통한 중심지 활성화 61

1. 개요 61

2. 런던의 중심지 지정 및 관리 현황 62

3. 자치구계획 사례 : 타워 햄릿(Borough of Tower Hamlets) 69

4. 자치구 내 중심지의 상세계획 사례 : 뉴 바넷(New Barnet) 중심지 76

5. 계획과정으로서의 주민참여 79

제2절 일본 도쿄 : 생활권 중심의 계획 수립 83

1. 개요 83

2. 도쿄의 중심지 지정 87

3. 생활권 중심의 계획 수립을 통한 지역특성 반영 88

4. 주민참여의 의무화 93

제3절 미국 시애틀 : 주민참여에 의한 근린생활권 계획 수립 96

1. 근린생활권 계획(Neighborhood Planning)의 개요 96

2. 오델로(Othello) 근린생활권 계획의 사례 97

3. 근린생활권 계획의 실행 98

4. 근린생활권 계획에서의 주민참여 100

제4절 시사점 103

제4장 생활밀착형 생활중심의 도입방안 105

제1절 생활밀착형 생활중심의 도입을 위한 기본 원칙 106

1. 생활밀착형 생활중심 도입을 위한 기본 원칙 106

2. 생활권을 기반으로 한 생활중심의 계획 요소 107

제2절 생활권을 기반으로 한 생활중심의 도입방안 109

1. 생활권을 기반으로 한 생활중심 조성방안 109

2. 1단계 : 생활권을 기반으로 한 생활중심의 공간범위 설정 109

3. 2단계 : 생활권을 기반으로 한 생활중심의 계획 수립 117

4. 3단계 : 생활중심 계획의 집행 126

5. 4단계 : 생활중심의 관리 및 평가 126

제3절 소결 127

제5장 생활밀착형 생활중심의 활성화 방안 129

제1절 생활밀착형 생활중심의 활성화를 위한 역할 정립 130

1. 협력적 생활중심 만들기의 필요성 130

2. 관련 주체별 역할의 정립 130

제2절 생활중심의 활성화를 위한 운영방안 132

1. 계획적 수단을 통한 자치구의 운영방안 132

2.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운영방안 134

제3절 생활중심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135

1. 계획체계의 개선방안 135

2. 운영상 개선방안 138

3. 협력적 생활중심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140

제4절 소결 143

참고문헌 145

영문요약 149

판권기 152

[표 2-1] 2020 서울도시기본계획과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의 중심지체계 비교 39

[표 2-2] 주거 연상면적 비중 상위 지구중심 41

[표 2-3] 근린상업 연상면적 비중 상위 지구중심 42

[표 2-4] 중심상업 연상면적 비중 상위 지구중심 42

[표 2-5] 업무 연상면적 비중 상위 지구중심 43

[표 2-6] 지구중심과 지역거점 비교 : 용도별 연상면적 비중 45

[표 2-7] 지역거점의 신축건물 용도 및 용도지역 분포 46

[표 3-1] 영국 자치구계획(LDFs)의 구성요소 62

[표 3-2] 중심지 위계 구분을 위한 핵심지표 65

[표 3-3] 성장 잠재력 중심지 구분 지표 및 정책방향 66

[표 3-4] 중심지의 접근성 및 기능 분포 특성 71

[표 3-5] 타워 햄릿의 중심지 위계 결정 기준 75

[표 3-6] 런던 자치구계획의 참여 대상 80

[표 3-7] 다양한 주민참여의 방법 81

[표 3-8] 도쿄도 구역MP의 주요 내용 86

[표 3-9] 세타가야구 기본계획의 거점과 축 89

[표 3-10] 지역별 정비방침의 내용 91

[표 3-11] 일본 도시계획의 주민참여 의무화 근거법 94

[표 3-12] 오델로 근린생활권 계획 개정과정 97

[표 4-1] 부문별 계획 수립 시 고려사항 118

[표 4-2] 현황분석 부문별 세부 고려사항 120

[표 4-3] 생활중심 유형별 역할과 기능 설정 121

[표 4-4] 부문별 계획 수립 시 고려할 수 있는 요소 및 프로그램 122

[표 4-5] 실행계획 예시 : 쌍문 지역 생활중심 124

[표 5-1] 생활중심 유형별 기능 및 용도지역 지정의 예시 133

[그림 1-1]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에 따른 중심지체계 개편 31

[그림 1-2] 서울시 중심지의 기능별 차별적 접근방식 33

[그림 1-3] 연구흐름도 35

[그림 2-1]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에 의한 중심지체계 38

[그림 2-2]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에 의한 지구중심의 공간적 분포 40

[그림 2-3] 주거기능 집적 지구중심 41

[그림 2-4] 근린상업기능 집적 지구중심 42

[그림 2-5] 중심상업기능 집적 지구중심 42

[그림 2-6] 업무기능 집적 지구중심 43

[그림 2-7] 업무기능 집적 : 군자 44

[그림 2-8] 중심상업기능 집적 : 건대입구 44

[그림 2-9] 지구중심의 불균형적 공간분포 46

[그림 2-10] 구로구 도시발전계획과 서울도시기본계획 : 중심지체계 48

[그림 2-11] 도봉구 도시발전계획과 서울도시기본계획 : 중심지체계 49

[그림 2-12] 성동구 장기종합발전계획과 서울도시기본계획 : 중심지체계 50

[그림 2-13] 지구중심의 주거 연상면적 비중 현황(반경 0~250m) 52

[그림 2-14] 지구중심의 주거 연상면적 비중 현황(반경 250~500m) 52

[그림 2-15] 지구중심(반경 0~250m) 내 일반주거지역의 비중 54

[그림 2-16] 지구중심의 평균 용적률(반경 0~250m) 54

[그림 2-17] 석관 지구중심 현황 55

[그림 2-18] 거리에 따른 지구중심의 주거용도 비중 56

[그림 2-19] 거리에 따른 지구중심의 상업용도 비중 57

[그림 3-1] 중심활동존의 위치 및 경계 63

[그림 3-2] 런던 도시계획체계상 중심지 지정 및 운영의 틀 68

[그림 3-3] 타워 햄릿(Tower Hamlets)의 위치 69

[그림 3-4] 타워 햄릿(Tower Hamlets) 핵심 전략의 주요 내용 70

[그림 3-5] 타워 햄릿(Tower Hamlets)의 공간비전 다이어그램 70

[그림 3-6] 장소만들기 과정 72

[그림 3-7] 장소와 중심지의 관계 73

[그림 3-8] 중심지 공간 전략의 수립과정 74

[그림 3-9] 바넷 자치구 위치 76

[그림 3-10] 계획수립 공간 범위 76

[그림 3-11] 지역전략계획의 구조 및 커뮤니티 플랜 작성 과정 82

[그림 3-12] 일본 도쿄도의 도시계획체계 84

[그림 3-13] 환상 메갈로폴리스의 구조 85

[그림 3-14] 일본 지방자치체의 계획 체계 86

[그림 3-15] 세타가야구 도시정비방침의 구성 89

[그림 3-16] 세타가야구 도시만들기 골격 플랜 90

[그림 3-17] 시애틀 근린생활권 계획의 집행체계 99

[그림 4-1] 생활중심 및 생활권의 기능 및 공간적 분포 개념도 108

[그림 4-2] 생활중심의 계획 수립 및 운영 프로세스 109

[그림 4-3] 도봉구의 물리적 환경의 검토 111

[그림 4-4] 도봉구의 토지이용특성 112

[그림 4-5] 도봉구의 대중교통서비스 현황 113

[그림 4-6] 도봉구의 생활중심 후보대상지 여건 검토 114

[그림 4-7] 생활권을 기반으로 한 생활중심의 지정 예시 115

[그림 4-8] 생활권을 기반으로 한 생활중심 설정 프로세스(안) 116

[그림 4-9] 2단계 : 지속가능한 생활중심의 계획 수립 과정 119

[그림 4-10] 생활중심의 현황분석을 바탕으로 한 유형구분 120

[그림 4-11] 생활중심 계획 구상도 예시 : 쌍문역 지역생활중심 102

[그림 5-1] 관련 주체별 역할 및 관계 132

[그림 5-2] 생활중심의 활성화를 위한 관련주체별 협력적 관계 모색 133

[그림 5-3] 중심지 지정 및 관리 주체 이원화 시스템(안) 136

[그림 5-4] 서울시 도시계획체계의 개선안 137

[그림 5-5] 생활밀착형 생활중심의 활성화를 위한 운영체계(안) 139

[그림 5-6] 주민참여의 단계적 접근(안) 141

[그림 5-7] 생활중심 계획 수립 및 운영 과정상 주민참여 방식 예시 14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691834 711.55 -1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691835 711.55 -12-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