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난 환경변화예측 및 방재기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제2권 : 기후변화에 대한 국내외 재해양상 분석에 따른 적응기법 및 실천전략 / 소방방재청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11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p. xix, 629-1247 : 삽화, 표 ; 27 cm
제어번호
MONO1201214650
주기사항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단"의 연구과제임
주관연구기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김형수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목차

제III편 기후변화에 대한 국내외 재해양상 분석에 따른 적응기법 및 실천전략 연구 30

제1장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의 변화양상 분석 31

1.1. 개요 31

1.2.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유형 정의 33

1.2.1. 기후변화의 정의 및 원인 33

1.2.2. 기후변화에 의한 재해유형 선정 41

1.3.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양상 연구 조사 및 분석 46

1.3.1.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외 재해변화 양상 연구 현황조사 46

1.3.2. 기후변화로 인한 국내·외 재해변화 양상 분석기법의 조사 53

1.4.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양상 비교분석 53

1.4.1. 전 지구적, 대륙별 재해의 변화양상 53

1.4.2. 기후변화로 인한 국가별 재해양상 비교·분석 71

1.5.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유형 양상예측 100

1.5.1.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유형별 향후 재해변화 양상 예측 100

제2장 개발도상국의 재해경감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에서 개발해야 할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기법" 및 개발 로드맵 제시 133

2.1. 연구목표 및 내용 133

2.2. 기후변화 관련 주요 재난피해 현황과 대상국가 선정 및 분석 135

2.2.1. 기후변화 관련 대륙별 재난피해 현황 조사 및 대상국가 선정 135

2.2.2. 선정 국가별 재난피해 세부현황 조사 141

2.2.3. 선정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 노력 분석 155

2.3. 우리나라에 필요한 기술의 현재 보유현황 비교, 분석 163

2.3.1. 국내 재난관리 체계 및 보유기술 현황 163

2.3.2. 국외 재난관리체계 및 보유기술 현황 176

2.3.3. 국내 주요 부처별 재난관리현황의 비교 및 시사점 206

2.4. 보유한 기술의 활용방안 제시 및 미보유 기술의 개발 방안 제시 208

2.4.1. 국내·외 주요 기후변화 관련 기술 적용사례 208

2.4.2. 국내 보유기술 활용방안 227

2.4.3. 기술 개발방안 231

2.4.4. 시사점 237

2.5. 기술활용 및 개발을 통한 개발도상국 지원방안 수립 240

2.5.1. 기술지원을 위한 개발도상국 재해 분석 240

2.5.2. 선정국가의 보유기술 및 원조현황 분석 260

2.5.3. 선정지역 지원방안 280

2.6. 개발도상국 지원방안수립 및 개발로드맵 제시 303

2.6.1. 지원체계 확립방안 303

2.6.2. 소방방재청의 구체적 추진 방안 304

2.6.3. 개발도상국 지원방안 개발 로드맵 제시 307

제3장 IT 및 GT의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 분야 활용방안 연구 309

3.1. 현재 개발되어 있는 IT 및 GT의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 분야 활용방안 제시 309

3.1.1. 개요 309

3.1.2. 재해경감을 위한 국내·외 IT 기술 현황 분석 310

3.1.3. 현재 개발되어 있는 GT[Green IT] 기술 현황 분석 353

3.1.4. 현재 개발되어 있는 IT 및 GT 핵심기술 분류 370

3.1.5. IT 및 GT의 기후변화 적응의 활용, 적용가능성 분석 372

3.1.6.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의 IT 및 GT 활용방안 379

3.2. 첨단 IT 및 GT의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 분야 활용방안 제시 395

3.2.1. 개요 395

3.2.2. 첨단 IT 및 GT 기술 현황 분석 396

3.2.3. IT 및 GT 핵심기술 분류 455

3.2.4. 기후변화 적응분야의 IT 및 GT 우선순위 분석 457

3.2.5.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의 첨단 IT 및 GT 활용방안 제시 466

제4장 효고실행계획 이후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세계재해경감" 전략을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비전 및 실행전략 제시 471

4.1. 개요 471

4.2. 효고 실행계획 현황 조사 472

4.2.1. 재해경감을 위한 세계 추진계획 발전과정 현황 조사 472

4.2.2. 효고 실행계획 이후 성과분석[2007-2009] 475

4.3. 비전 및 실행전략 검토 481

4.4. 실천계획 도출 483

4.4.1. 시나리오 플래닝 483

4.4.2. 핵심이슈 및 변화동인 분석 485

4.4.3. 실천계획수립 495

제5장 새로운 방재 아젠다에 기초한 국가간 합의체 및 UN 활동계획 제시 497

5.1. 국가간 협의체 현황조사 497

5.1.1. 국제사회의 국가간 협의체 현황조사 497

5.1.2. 국가간 협의체의 진행과정 533

5.2. 국가간 협력방안 제시 537

5.2.1. 효고행동계획 실행을 위한 국가간 협력방안 537

5.2.2. 국가간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역할 정의 539

5.2.3. 새로운 방재 아젠다에 기초한 국가간 협력방안 제시 542

5.3. UN활동계획 수립 543

5.3.1.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핵심내용 543

5.3.2. 새로운 아젠다를 실현하기 위한 UN활동계획 551

제IV편 요약 및 결론 557

제1장 세부 분야별 요약 559

1.1.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기준 설정방안 연구 559

1.1.1.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우패턴의 변화 평가 559

1.1.2.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설패턴의 변화 평가 및 교통영향평가 560

1.1.3.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풍패턴의 변화 평가 561

1.1.4.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주변 해역의 해수면변화 상세 예측 및 영향 분석 561

1.1.5.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기준 재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 562

1.2. 기후변화에 대한 국내외 재해양상 분석에 따른 적응기법 및 실천전략 연구 563

1.2.1. 개발도상국의 재해경감을 지원하기 위한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변화양상 분석 및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기법" 개발 로드맵 제시 563

1.2.2. IT 및 GT 기술의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적응" 분야 활용방안 제시 563

1.2.3. 효고실행계획 이후의 "새로운 방제 아젠다에 국제사회의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실천계획 및 추진전략 제시 564

제2장 결론 565

참고문헌 567

부록 581

1. 연구 추진 현황 및 내용 581

2. 자문의견 및 평가의견 반영 사항 582

[별지 제13-2호 서식] 연구개발결과 활용계획서 637

첨부 638

[첨부1] 연구결과 활용계획서 638

[첨부2] 기술 요약서 646

표 III-1.1. 전 지구 표면기온의 선형 변화경향 36

표 III-1.2. 기후변화의 2차적 요인 37

표 III-1.3. 기후변화 현상 39

표 III-1.4. 재해유형 42

표 III-1.5. 연구기관 및 연구보고서 43

표 III-1.6. 22개 재해유형과 CRED의 11개 재해유형간 비교 44

표 III-1.7. 1970년대 재해의 변화양상 연구 47

표 III-1.8. 환경적 요인의 변화에 따른 재해 변화양상에 대한 연구 48

표 III-1.9. 기후변화로 인한 전세계 재해의 변화양상 50

표 III-1.10. IPCC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현황 51

표 III-1.11. 1991~2005년 동안 기후변화 재해유형별 대륙별 발생건수 63

표 III-1.12. 베트남의 자연재해 발생개요 72

표 III-1.13. 베트남의 자연재해 유형별 연평균 발생건수 73

표 III-1.14. 베트남의 이재민수 상위 자연재해 74

표 III-1.15. 베트남의 사망자수 상위 자연재해 74

표 III-1.16. 베트남의 경제피해 상위 자연재해 75

표 III-1.17. 베트남의 기후변화 자연재해 유형별 연평균 사망자수 76

표 III-1.18. 베트남의 자연재해 유형별 연평균 이재민수 77

표 III-1.19. 베트남의 자연재해 유형별 연평균 경제적 피해 78

표 III-1.20. 베트남의 거주인구 취약성 78

표 III-1.21. 베트남의 총 GDP에 대한 재해피해규모에 따른 경제적 취약성 79

표 III-1.22. 베트남의 국가 재난취약도와 위험도 80

표 III-1.23. UNISDR의 국가 재해위험도 평가기준 80

표 III-1.24. 멕시코의 자연재해 발생개요 81

표 III-1.25. 멕시코의 자연재해 유형별 연평균 발생건수 82

표 III-1.26. 멕시코의 이재민수 상위 자연재해 83

표 III-1.27. 멕시코의 사망자수 상위 자연재해 83

표 III-1.28. 멕시코의 경제피해 상위 자연재해 84

표 III-1.29. 멕시코의 자연재해 유형별 연평균 사망자수 85

표 III-1.30. 멕시코의 자연재해 유형별 연평균 이재민수 85

표 III-1.31. 멕시코의 자연재해 유형별 연평균 경제적 피해 86

표 III-1.32. 멕시코의 거주인구 취약성 87

표 III-1.33. 멕시코의 총 GDP에 대한 재해피해규모에 따른 경제적 취약성 87

표 III-1.34. 멕시코의 국가 재난취약도와 위험도 88

표 III-1.35. 대륙별 기후변화의 영향예측(1/2) 100

표 III-1.36. 21세기말 지구 기온변화와 해수면 상승 전망 101

표 III-1.37. 기후변화와 관련된 분석지표 116

표 III-1.38. 자연환경지표와 사회경제지표 특성 분석 117

표 III-1.39. 주요 국가의 기후변화 재해전망 118

표 III-2.1. 1990~2007년 대륙별 자연재해 발생 현황 136

표 III-2.2. 1990년 이후 아시아 대륙에서의 자연재해 발생 현황 137

표 III-2.3. 1990-2008년 기후위험지표(CRI) 순위 139

표 III-2.4. OECD/DAC의 2009-2010년 ODA수원국 목록에 따른 개발도상국의 분류 140

표 III-2.5. 방글라데시 자연재난 현황 (1981~2008) 142

표 III-2.6. 방글라데시 자연재난 유형별 피해규모 (1980~2008) 142

표 III-2.7. 방글라데시 상위 자연재난별 피해순위 (1980~2008) 143

표 III-2.8. 홍수와 사이클론에 가장 취약한 국가 순위(사망자수/100,000) 144

표 III-2.9. 방글라데시 최근 25년간의 심각한 홍수피해 144

표 III-2.10. 세계 괄목할만한 사이클론 발생지와 사망자 수 146

표 III-2.11. 베트남 자연재난 현황(1981~2008) 147

표 III-2.12. 베트남 자연재난 유형별 피해규모 (1980~2008) 147

표 III-2.13. 베트남 상위 자연재난별 피해순위 (1980~2008) 148

표 III-2.14. 지역에 따른 재해발생 위험도 149

표 III-2.15. 지역에 따른 재해양상 150

표 III-2.16. 기후변화 취약 지역 및 부문 153

표 III-2.17. 베트남 자연재해 및 피해현황 154

표 III-2.18. 방글라데시 National Adaptation Programme of Action(NAPA) Project 156

표 III-2.19.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행동계획 조직 구성표 159

표 III-2.20. 베트남 정부 환경분야 정부예산 현황 2009-2010 161

표 III-2.21.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분야의 세부 연구내용 168

표 III-2.22. 미국의 재난관리 조직체계 177

표 III-2.23. 미국의 장애인 안전대책 사례 179

표 III-2.24. 미국의 재난 경감 활동 180

표 III-2.25. 일본 중앙정부 내각부의 방재조직 및 기능 181

표 III-2.26. 일본의 방재체제 182

표 III-2.27. 일본의 재난관리시스템 현황 183

표 III-2.28. 일본의 재난 경감 활동 185

표 III-2.29. 일본 부처별 방재 활동 186

표 III-2.30. 말레이시아 기후관련 부처별 구축 현황 196

표 III-2.31. 적응과 관련된 필리핀 전국가적인 정책 201

표 III-2.32. 기후변화 국가행동계획 주요 계획 및 내용 205

표 III-2.33. 국내 주요 부처별 재난관리 206

표 III-2.34. 미국의 국가재난관리 정보시스템(NEMIS)의 세부기능 215

표 III-2.35. 일본의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현황 220

표 III-2.36. U-방재서비스 현황 222

표 III-2.37. 예멘의 원조사례 224

표 III-2.38. 프로젝트 비용 225

표 III-2.39. 사모아의 원조사례 226

표 III-2.40. 프로젝트 비용 226

표 III-2.41. 자연재해저감산업 관련 주요 육성가능 분야 232

표 III-2.42. 개도국 원조 및 지원 관련 주요 분야 233

표 III-2.43. 유형별 재해 발생횟수(1950-2010) 245

표 III-2.44. 베트남 상위 자연재난별 피해순위(1980-2008) 246

표 III-2.45. 동부해안 기원의 열대사이클론의 발생 및 베트남으로 직접적 영향을 준 횟수(1964-2008) 247

표 III-2.46. 최근 주요 재해 발생 및 피해(1999-2008) 254

표 III-2.47. 해수면상승(cm) 시나리오 256

표 III-2.48. 베트남 기후변화 영향 예측 258

표 III-2.49. 지역별 잠재적 기후변화 영향 259

표 III-2.50. 인프라 및 기술 준비도 세계 순위 261

표 III-2.51. 베트남 기후변화 대응전략 및 프로그램 264

표 III-2.52. 자연재해에 대한 국가적 책임분야 266

표 III-2.53. 베트남의 재난관련법규 268

표 III-2.54. 국제원조 및 협력체제의 재해경감 프로젝트 269

표 III-2.55. DMWG 회원의 프로젝트 273

표 III-2.56. DREF의 지원내용 276

표 III-2.57. 라오까이, 꼰뚬 지역의 원조 사례 277

표 III-2.58. 원조로 인한 예상 수혜자 277

표 III-2.59. 꽝나이성의 원조 사례 278

표 III-2.60. 꽝빈 외 지역의 원조 사례 278

표 III-2.61. 베트남 행정구역별 풍수해 발생횟수(1989-2008) 281

표 III-2.62. 베트남 풍수해 관련 피해이력 (1989-2008) 282

표 III-2.63. 홍수피해잠재능의 구성요소와 세부항목 285

표 III-2.64. 베트남 상위 풍수해 취약지역 286

표 III-2.65. 꽝찌성 개괄 289

표 III-2.66. 꽝찌성의 농업위험성 및 작물재배전략 291

표 III-2.67. 재난 복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92

표 III-2.68. 메콩강 유역 개괄 293

표 III-2.69. 메콩강 유역의 풍수해 피해 (1991년~2005년) 294

표 III-2.70. 기후변화가 수생물에 미치는 영향 295

표 III-2.71. 해수면이 1m 상승 할 경우 예상되는 침수면적 296

표 III-2.72. 베트남 지원대상 선정지역 지원방안 297

표 III-2.73. 재해지원을 통한 사업 추진 방안 306

표 III-3.1. 재난관리 단계별 IT기술 활용 현황 311

표 III-3.2. 예방단계의 주요 기술 현황 312

표 III-3.3. 대비단계의 주요 기술 현황 314

표 III-3.4. 모바일 매핑(Mobile Mapping) 기술의 기능 323

표 III-3.5. 대응단계의 주요 기술 현황 325

표 III-3.6. 대응단계의 재난현장 정보 수집 및 전달에 활용되는 IT 기술 326

표 III-3.7. 복구단계의 주요 기술 현황 327

표 III-3.8. 국내 재해유형별 재난관리 시스템 현황 (1/3) 329

표 III-3.9. 국내 재해유형별 재난관리 시스템 현황 (2/3) 330

표 III-3.10. 국내 재해유형별 재난관리 시스템 현황 (3/3) 331

표 III-3.11.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유형별 '재난관리 시스템' 현황 332

표 III-3.12. 재해 유형별 재난관리 IT 현황 333

표 III-3.13. 방재기상정보시스템 기능별 주요 화면 339

표 III-3.14. 수문자료공유시스템 기능별 주요 화면 340

표 III-3.15. 돌발홍수예측시스템 기능도 343

표 III-3.16. 산사태위험지관리시스템 주요 기능 344

표 III-3.17. 미국의 홍수관리 시스템 347

표 III-3.18. 일본의 재해 유형별 재난관리 시스템 현항 350

표 III-3.19. 독일이 재해 유형에 따른 재난관리 시스템 현황 351

표 III-3.20. 일본의 Green IT관련 활동 356

표 III-3.21. 미국의 Green IT 관련 연구 및 활동 현황 357

표 III-3.22. 영국의 Green IT 관련 활동 현황 358

표 III-3.23. 영국의 정부 그린 IT 가이드라인 359

표 III-3.24. 덴마크 Green IT 실행계획의 8대 이니셔티브 360

표 III-3.25. 국가별 Green IT 정책 비교 361

표 III-3.26. 국가 총배출량 및 IT 부문 배출량 현황 및 전망 362

표 III-3.27. '08년 IT 부문 탄소배출 현황 362

표 III-3.28. 정부통합전산센터의 Green IT기반 환경구축 실행 로드맵 364

표 III-3.29. 부처별 Green IT 추진 현황 365

표 III-3.30. ITS 서비스의 분류 367

표 III-3.31. IT를 활용한 전자요금징수시스템의 탄소배출 저감량 368

표 III-3.32. IT 및 GT 기술 분류 체계 370

표 III-3.33. IT 및 GT 기술 분류 체계에 따른 핵심기술 371

표 III-3.34. IT 및 GT 기후변화 적응의 활용, 적용가능성 평가 (1/2) 373

표 III-3.35. IT 및 GT 기후변화 적응의 활용, 적용가능성 평가 (2/2) 374

표 III-3.36. 영역별 IT 및 GT기술 (1/2) 377

표 III-3.37. 영역별 IT 및 GT기술 (2/2) 378

표 III-3.38. 국가별 정보통신기반시설 수준 조사 (1/3) 381

표 III-3.39. 국가별 정보통신기반시설 수준 조사 (2/3) 382

표 III-3.40. 국가별 정보통신기반시설 수준 조사 (3/3) 383

표 III-3.41. 베트남 감시 및 모니터링을 위한 위성 이미지 387

표 III-3.42. 관측망(station network) 현황 388

표 III-3.43. 베트남 수문-기상 예측센터(NCHMF) 제공 이미지 391

표 III-3.44. NWP(numerical weather Prediction)를 이용한 예측 정보 392

표 III-3.45. 첨단 IT 정의 396

표 III-3.46. 첨단 GT 정의 397

표 III-3.47. 해외 u-방재 관련 연관 서비스 현황 (1/2) 403

표 III-3.48. 해외 u-방재 관련 연관 서비스 현황 (2/2) 404

표 III-3.49. u-방재 관련 기반 기술 405

표 III-3.50. u-방재 관련 연계 기술 406

표 III-3.51. 세대별 이동통신기술 420

표 III-3.52. 기술 적용 사례 427

표 III-3.53. 국외 첨단 IT 기술 재난분야 적용 사례 447

표 III-3.54. 첨단 IT 기술 예시 450

표 III-3.55. G-ITS 구성 기본 기술 454

표 III-3.56. 첨단 IT 및 GT 기후변화 적용가능 평가(1/3) 459

표 III-3.57. 첨단 IT 및 GT 기후변화 적용가능 평가(2/3) 460

표 III-3.58. 첨단 IT 및 GT 기후변화 적용가능 평가 (3/3) 461

표 III-3.59. 영역별 첨단 IT 및 GT기술 (1/2) 464

표 III-3.60. 영역별 첨단 IT 및 GT기술 (2/2) 465

표 III-3.61. 첨단 기술 적용을 위한 베트남 현황 467

표 III-3.62. 첨단 IT 및 GT 베트남 적용방안 468

표 III-4.1. 효고실행계획 전략적 목표에 대한 경과분석 세부 척도 475

표 III-4.2. 효고실행계획 우선행동에 대한 경과분석 세부 척도 (1/2) 476

표 III-4.3. 효고실행계획 우선행동에 대한 경과분석 세부 척도 (2/2) 477

표 III-4.4. 효고실행계획 우선행동의 성과 평가틀 477

표 III-4.5. 효고실행계획 성과에 대한 비교 분석 479

표 III-4.6.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론 주요 특징 483

표 III-4.7. 제4차 AMCDRR 인천선언문 발췌 486

표 III-4.8. 의존도평가 489

표 III-4.9. 의사결정요소의 의존도 포트폴리오 490

표 III-4.10. 의사결정요인의 내외부 핵심변화 동인 491

표 III-4.11. 핵심이슈, 의사결정요소, 변화동인 정의표 492

표 III-4.12. 핵심이슈, 의사결정요소, 변화동인 Mapping을 위한 분석표 493

표 III-5.1. 당사국총회(COP) 진행상황 501

표 III-5.2. 제1차 유엔재해경감 아시아각료회의(AMCDRR) 주요사항 504

표 III-5.3. 선진국, 개도국간 주요 쟁정사항의 반영 여부 550

표 III-5.4. 위계별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경감 주요 전략 551

표 III-5.5. UNDP의 기후변화 추진 전략 554

표 III-5.6. 평가결과의 교훈과 UNDP대응: 위기예방과 복구 554

그림 III-1.1. 연구개발 절차 32

그림 III-1.2. 본 연구의 재해유형 선정 45

그림 III-1.3. 1900년~2009년간 세계 자연재해 발생건수 추세 54

그림 III-1.4. 1975년~2009년간 세계 자연재해 발생건수 추세 55

그림 III-1.5. 1900년~2009년간 세계 자연재해 사망자수 추세 56

그림 III-1.6. 1975년~2009년간 세계 자연재해 사망자수 추세 57

그림 III-1.7. 1900년~2009년간 세계 자연재해 이재민수 추세 58

그림 III-1.8. 1975년~2009년간 세계 자연재해 이재민수 추세 59

그림 III-1.9. 1900년~2009년간 세계 자연재해피해액 추세 60

그림 III-1.10. 1975년~2009년간 세계 자연재해피해액 추세 61

그림 III-1.11. 1900~2005년간 기후변화 6개 재해 발생건수 추세 62

그림 III-1.12. 2004년과 2005년의 기후변화 6개 재해 발생건수 62

그림 III-1.13. 1974~2003년 국가별 자연재해 발생건수 분포 64

그림 III-1.14. 1974~2003년 국가별 폭풍 발생건수 분포 65

그림 III-1.15. 1974~2003년 국가별 홍수 발생건수 분포 66

그림 III-1.16. 1974~2003년 국가별 산사태·눈사태 발생건수 분포 66

그림 III-1.17. 1974~2003년 국가별 가뭄 발생건수 분포 67

그림 III-1.18. 1990-2002년 동안 대륙별 자연재해 발생건수 68

그림 III-1.19. 1995~2004년과 2005년 전세계 자연재해별 발생건수 비교 68

그림 III-1.20. 1995~2004년과 2005년 전세계 자연재해별 인명피해 69

그림 III-1.21. 1995~2004년과 2005년 전세계 자연재해별 재산피해 70

그림 III-1.22. 1970-2005년 동안 대륙별 열대성 폭풍 발생건수 70

그림 III-1.23. 1970-2005년 동안 열대성 폭풍 유형별 발생건수 71

그림 III-1.24. 국가별 재해위험도 및 취약도 분석절차 91

그림 III-1.25. 64개 국가의 열대성 폭풍 위험도와 취약도 92

그림 III-1.26. 64개 국가의 열대성 폭풍의 상대적 위험도분포 (X-축: 등급, Y-축: 국가 수) 93

그림 III-1.27. 149개 국가의 홍수 위험도와 취약도 93

그림 III-1.28. 149개 국가의 홍수 상대적 위험도 분포 (X-축: 등급, Y-축: 국가 수) 94

그림 III-1.29. 149개 국가의 산사태 위험도와 취약도 95

그림 III-1.30. 149개 국가의 산사태 상대적 위험도 분포 (X-축: 등급, Y-축: 국가 수) 95

그림 III-1.31. 25개 국가의 가뭄 위험도와 취약도 96

그림 III-1.32. 25개 국가의 가뭄 상대적 위험도 분포 (X-축: 등급, Y-축: 국가 수) 97

그림 III-1.33. 59개 국가의 이상기온 위험도 97

그림 III-1.34. 59개 국가의 이상기온 상대적 위험도 분포 (X-축: 등급, Y-축: 국가 수) 98

그림 III-1.35. 38개 국가의 산불 위험도 99

그림 III-1.36. 38개 국가의 산불 상대적 위험도 분포 (X-축: 등급, Y-축: 국가 수) 99

그림 III-2.1. 연구개발 절차 134

그림 III-2.2. 1990~2007년 자연재해 발생 현황 136

그림 III-2.3. World map of Global Climate Risk Index 1990-2008 138

그림 III-2.4. 방글라데시 침수 면적 145

그림 III-2.5. 5m 해수면 상승에 따른 인구 피해 분포 152

그림 III-2.6. 국가 재난관리체계 164

그림 III-2.7. 위기재난 대응 및 복구 2단계 191

그림 III-2.8. NAHRIMD에서 제공하는 홍수 모델링 197

그림 III-2.9. 인도 기후변화 자문위원회 조직도 203

그림 III-2.10. 망우산 빗물저류시설 상부 및 내부 209

그림 III-2.11. 필동주민운동장 빗물저류조 조감도 210

그림 III-2.12. 국토해양부 관할 홍수 예보 체계 211

그림 III-2.13. 강우레이더 관측망 운영 및 활용 구성도 212

그림 III-2.14. 풍수해 보험제도 지급체계 213

그림 III-2.15. Example of "Flood Hazard Map" in Kurihashi 218

그림 III-2.16. CBS 재난방송 체계 229

그림 III-2.17. 베트남 자연재해 유형 분포 244

그림 III-2.18. 지역별 재난유형 분류 248

그림 III-2.19. 풍수해 발생횟수(1989-2008) 249

그림 III-2.20. 사상자 수(1989-2008) 250

그림 III-2.21. 농업 피해액(1989-2008) 251

그림 III-2.22. 주요 자연재해 별 발생 추이(1950-2010) 252

그림 III-2.23. 베트남 총 재해 발생횟수(1950-2010) 253

그림 III-2.24. 연도별 재해피해액(USD, 1953-2010) 254

그림 III-2.25. 베트남 기상예보 및 경보시스템의 전달과정 262

그림 III-2.26. CCFSC의 구조 266

그림 III-2.27. 1994년 이래 방재 지원 현황 271

그림 III-2.28. 노후된 주택(좌)과 구호사업으로 개선된 주택(우) 276

그림 III-2.29. 베트남 행정구역도 284

그림 III-2.30. 베트남 상습 풍수해 피해 지역 288

그림 III-2.31. 개도국 지원 협력체계(안) 304

그림 III-2.32. 소방방재청, KOICA, 기업의 협력지원체계 306

그림 III-2.33. 개도국 지원 개발로드맵(안) 307

그림 III-3.1. IT 및 GT의 기후변화 적응 활용방안 절차도 309

그림 III-3.2. GIS 기술을 활용한 위험지역 분석 313

그림 III-3.3. GIS 기반의 영상정보시스템 313

그림 III-3.4. RFID를 활용한 시설/시설물 관리 315

그림 III-3.5. 공간영상정보시스템(SIIS)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술 316

그림 III-3.6. DMB를 이용한 재난 예·경보 318

그림 III-3.7. 위치기반 서비스를 활용한 재난 정보의 수집 및 예·경보 319

그림 III-3.8. GPS를 이용한 재난 예·경보 320

그림 III-3.9. USN기술을 이용한 재난 예·경보 322

그림 III-3.10. UAV 기술을 활용한 재난상황 촬영 화면 325

그림 III-3.11. 피해조사 및 평가방식의 자동화 추진 328

그림 III-3.13. 우리나라 기상청의 국외 기상청과의 연결 현황 335

그림 III-3.14. 종합기상정보시스템 웹포탈 초기화면 336

그림 III-3.15. ALWAIS(실시간 기상실황 감시) 화면 337

그림 III-3.16. 종합기상정보시스템 웹포털의 그래픽 분석 화면 337

그림 III-3.17. 방재기상정보시스템 웹포탈 초기화면 338

그림 III-3.18. 통합홍수예보시스템 구성도 341

그림 III-3.19. 실시간 수문자료관리시스템 기능도 342

그림 III-3.20. 산불지리정보종합관리시스템(FGIS)의 산불확산 예측 346

그림 III-3.22. FEMA의 GIS 화면 349

그림 III-3.23. Green IT의 범위 354

그림 III-3.24. Standby Korea 2010 의 정책 363

그림 III-3.25. IT를 활용한 실생활에서의 CO2 감축 사례 369

그림 III-3.26. IT 및 GT 기후변화 적응의 활용, 적용가능성 평가방법 372

그림 III-3.27. IT 및 GT의 포트폴리오(Portfolio) 377

그림 III-3.28.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의 IT 및 GT 활용방안 379

그림 III-3.29. 아시아 홍수 네트워크 프로그램 절차 384

그림 III-3.30. 푸토성지역의 홍수 피해 경감을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 절차 386

그림 III-3.31. RANET(Radio and Internet) 절차 389

그림 III-3.32. 푸토성의 잠재적 위험 평가 사전 모델 390

그림 III-3.31. 연구 흐름도 395

그림 III-3.32. 환경보호와 경제성장 영역으로 확장되는 그린 IT 398

그림 III-3.33. 그린 경제사회 구현을 위한 그린 IT의 개념 398

그림 III-3.34. IT를 활용한 CO2 배출 감축 효과 399

그림 III-3.35. GT 범위 399

그림 III-3.36. 홍수 방어를 위한 IT 인프라 전략 401

그림 III-3.37. 수질·수생태 보존을 위한 시스템 전략 402

그림 III-3.38. 조난정보시스템 개념도 407

그림 III-3.39. WiBro 기술을 이용한 광대역 멀티미디어 재난안전 서비스 예시 408

그림 III-3.40. iDEN 활용분야 410

그림 III-3.41. 차량용 레이저 스캐너 기술 구현 411

그림 III-3.42. 멀티스트림 기술 413

그림 III-3.43. 다중사용자 MIMO 시스템 채널 415

그림 III-3.44. 증강현실 예시 416

그림 III-3.45. 위치기반서비스를 사용한 App 418

그림 III-3.46. 지식기반 사회의 진화와 월드와이드웹 발전 421

그림 III-3.47. Giga 인터넷 사업 추진전략 및 정부와 민간의 역할 423

그림 III-3.48. BcN 구축사업 개요 424

그림 III-3.49. USN 기반의 시설물 정보 실시간 관리 427

그림 III-3.50. 홀로그래픽 입체 영상 기술 429

그림 III-3.51. 복합형상 고품위 가공 기술 440

그림 III-3.52. DIBR 기반 3D 영상 생성 기술 441

그림 III-3.53. 스마트TV HW 기술 441

그림 III-3.54. 무선 네트워크 자원 가상화 기술 442

그림 III-3.55. 상황 인지 기술 443

그림 III-3.56. 3차원 위치 관리 기술 444

그림 III-3.57. Texturing 설계 기술 445

그림 III-3.58. 미국의 스마트폰 위치서비스 448

그림 III-3.59. Twitter Earthquake Detector(TED) 448

그림 III-3.60. 첨단녹색통행사회(G-ITS) 시스템 453

그림 III-3.6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상황관리 6단계 455

그림 III-3.36. IT 및 GT의 포트폴리오(Portfolio) 464

그림 III-3.63. 기후변화 적응 첨단 IT 및 GT 활용방안 466

그림 III-3.64. 연차별 첨단 IT 및 GT 실천방안 469

그림 III-4.1. 연구 절차도 471

그림 III-4.2. 효고실행계획(HFA) 473

그림 III-4.3. 효고실행계획을 위한 협력체계 수립 전략 474

그림 III-4.4. 선진국과 후진국의 HFA 성과분석 결과비교 478

그림 III-4.5. AMCDRR 진행 상황 481

그림 III-4.2. 시나리오 도출절차 484

그림 III-4.3. 실천계획(안) 485

그림 III-4.8. Mapping 우선순위 494

그림 III-4.9. 불확실성 및 영향도의 우선순위 Mapping 494

그림 III-4.10. 효고행동계획의 국내 실천을 위한 3-8-9전략 495

초록보기 더보기

I. 연구제목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난 환경변화예측 및 방재기준에 미치는 영향연구

II.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후변화를 고려한 확률강우량도, 확률적설하중도, 기본풍속도, 해수면 상승에 따른 방재기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재해의 변화양상 분석을 기초로 기후변화 적응기법을 후진국에 적용함으로서 기후변화를 고려한 세계 위험도 저감의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제시한다.

III. 연구대용

1.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기준 설정방안 연구

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우패턴의 변화 평가

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설패턴의 변화 평가 및 교통영향평가

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풍패턴의 변화 평가

라.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주변 해역의 해수면변화 상세 예측 및 영향 분석

마.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시설기준 재설정 방안을 마련

2. 기후변화에 대한 국내외 재해양상 분석에 따른 적응기법 및 실천전략 연구

가.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의 변화양상 분석: 전 지구적, 대륙별

나. 우리나라를 포함한 방재 선진국의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기법 개발현황 분석 및 후진국 적용방안 제시

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IT 및 GT의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적응" 분야 활용방안 제시

라. 효고실행계획 이후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세계재해경감" 전략을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비젼 및 실행전략 제시

IV. 주요 연구성과

1. 기후변화를 고려한 기본하중도(확률강우량도, 확률적설하중도, 기본풍속도, 해수면 상승예측도) 작성

2. 기후변화를 고려한 방재기준 가이드라인 작성

3.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변화양상 분석 결과 제시

4. 재해경감을 위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IT, GT 활용 방안 마련

5. 효고실행계획 이후 세계재해 경감을 위한 비전 및 실행전략 제시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6021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v.2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