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고 수율 방향식물 정유 생산 공정에 의한 LOHAS제품 개발 및 산업화 / 농림수산식품부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농림수산식품부, 2011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264 p. : 삽화,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216689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서울향료
주관연구책임자: 최규열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33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33

제2절 연구개발의 범위 34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5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35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 36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38

제1절 방향식물 정유를 이용한 LOHAS제품 개발 38

1. 국산 방향식물 추출 정유의 향료 원료의 적합성 검증 38

가. 연구재료 및 방법 38

(1) 전문가 집단에 의한 추출 정유의 향료원료 평가 38

나. 연구 결과 38

(1) 전문가 집단에 의한 추출 정유의 향료원료 평가 38

2. 국산 방향식물 추출정유를 이용한 조합 향료 개발 40

가. 연구재료 및 방법 40

(1) 피톤치드 성분 조사 40

(2) 추출정유 선별 및 적합성 평가 40

(3) 추출 정유를 이용한 조합향료 개발 40

(4) 조합향료의 안정성 테스트 40

(5) 조합향료의 향 방출(developing)특성분석 및 향 지속성 개선 방안 연구 41

나. 연구 결과 41

(1) 피톤치드 성분 조사 41

(2) 추출정유 선별 및 적합성 평가 42

(3) 추출 정유를 이용한 조합향료 개발 42

(4) 조합향료의 안정성 테스트 44

(5) 조합향료의 향 방출(developing)특성분석 및 향 지속성 개선 방안 연구 45

3. 조합향료의 Delivery System 연구 50

가. 연구재료 및 방법 50

(1) 아토피 저감용 제품 개발 50

(2) V.O.C.제거용 제품 개발 50

(3) 섬유탈취제 제품 개발 50

나. 연구결과 50

(1) 아토피 저감용 제품 개발 50

(2) V.O.C. 제거용 제품 개발 55

(3) 섬유탈취제 제품 개발 55

제2절 방향식물 정유의 고 수율 생산 공정기술 개발 56

1. 국내·외 방향성 자원식물 수집 및 선발 56

가. 국내·외 방향성 자원식물 수집 및 대량증식 기술 개발 56

(1) 연구재료 및 방법 56

(가) 국내·외 방향성 자원식물 수집 및 대량증식 기술 개발 56

(나) 저비용, 고 수율 방향성 정유생산 기술 개발 58

(2) 연구 결과 59

(가) 국내·외 방향성 자원식물 수집 및 대량증식 기술 개발 59

(3) 방향성 자원식물의 대량 증식방법 개발 65

2. 저비용 고 수율 방향성 자원식물의 정유생산 기술 개발 71

가. 증류추출방법에 따른 방향성 식물자원의 정유수율 조사 71

나. 증류추출기의 냉각관 길이별 정유생산량과 정유품질 조사 73

3. 자생자원을 이용한 한국형 정유생산 기술 개발 75

가. 연구재료 및 방법 75

(1) 자생자원을 이용한 한국형 정유생산 기술 개발 75

(2) 지역별 자원식물을 이용한 천연정유 대량생산 및 수익성 분석 76

나. 연구 결과 76

(1) 자생자원을 이용한 한국형 정유생산 기술 개발 76

(2) 자생 분포지역을 중심으로 한 방향성 천연정유 생산량 수익성 평가 80

4. 방향성 천연정유의 안정성 검증 및 향 심리 유형 검사 92

가. 연구재료 및 방법 92

(1) 천연정유의 세포생존율 및 피부산화적 스트레스 검증 92

(2) 방향성 천연 정유가 중추신경 및 자율신경 반응에 미치는 영향 93

(3) 방향성 천연 정유가 피부의 수분함량, 멜라닌(미백), 홍반, 피부 pH, 탄력도 측정 99

나. 연구 결과 100

(1) 방향성 천연정유의 안정성 검증 100

(2) 방향성 천연 정유가 충추신경 및 자율신경 반응에 미치는 영향 104

(3) 방향성 천연 정유가 피부의 수분함량, 멜라닌(미백), 홍반, 피부 pH, 탄력도에 미치는 영향 111

5. 향료작물 계획 재배생산 모델 개발 122

가. 연구재료 및 방법 122

(1) 향료작물의 계획 재배생산 모델 개발 122

나. 연구 결과 123

(1) 향료작물의 계획 재배생산 모델 개발과 순환생산 123

제3절 방향식물 정유의 향 활성 성분 분석 127

1. 방향식물 정유의 향기성분 분석 127

가. 연구재료 및 방법 127

(1) GC-MS에 의한 방향식물 정유의 향기성분 분석 127

(2) Chiral chromatography를 이용한 방향식물 정유의 거울상 이성질체 분석 127

(3) 부위별, 계절별 방향식물 정유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130

나. 연구 결과 130

(1) GC-MS에 의한 방향식물 정유의 향기성분 분석 130

(2) Chiral chromatography을 이용한 방향식물 정유의 거울상 이성질체 분석 173

(3) 부위별, 계절별 방향식물 정유의 향기 성분 분석 183

2. 방향식물 정유의 향 활석 성분 분석 193

가. 연구재료 및 방법 193

(1)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GC-O)에 의한 방향식물 정유의 향 활성 성분 분석 193

(2) 부위별, 계절별 방향식물 정유의 향 활성 성분 분석 194

(3) Chiral chromatography를 이용한 방향식물 정유의 거울상 이성질체 향 활성 성분 분석 195

나. 연구 결과 197

(1) GC-O에 의한 방향식물 정유의 향 활성 성분 분석 197

(2) 부위별, 계절별 방향식물 정유의 향기성분 분석 209

(3) Chiral chromatography를 이용한 방향식물 정유의 거울상 이성질체의 향기성분 분석 214

3. 개발제품의 향 방출 특성 분석 및 향 지속성 개선 방안 연구 218

가. 연구재료 및 방법 218

(1) 저장 조건에 따른 고체 개발제품의 향 방출 특성 및 지속성 분석 218

(2) 저장 조건에 따른 액체 개발제품의 향 방출 특성 및 지속성 분석 219

나. 연구 결과 219

(1) 저장 조건에 따른 고체 개발제품의 향 방출 특성 및 지속성 분석 219

(2) 저장 조건에 따른 액체 개발제품의 향 방출 특성 및 지속성 분석 224

제4절 방향식물 정유의 공기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기능성 검증 230

1. 방향식물 정유의 항균력 검증 230

가. 연구재료 및 방법 230

(1) 대장균과 녹농균을 이용한 정유의 항균력 및 MIC 측정 230

(2)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및 녹농균을 이용한 정유의 항균력 및 MIC 측정 230

나. 연구 결과 232

(1) 대장균과 녹농균을 이용한 정유의 항균력 및 MIC 측정 232

(2)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및 녹농균을 이용한 정유의 항균력 및 MIC 측정 234

2. 피부 마사지를 통한 아로마테라피가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237

가. 연구재료 및 방법 237

(1) 오일별 피부 패치 테스트 237

(2) 오일별 마사지 전후의 심리상태 테스트 238

(3) 오일별 마사지를 통한 의학적 증상 완화 효과 238

나. 연구 결과 238

(1) 오일별 피부 패치 테스트 238

(2) 오일별 마사지 전후의 심리상태 테스트 239

(3) 오일별 마사지를 통한 의학적 증상 완화 효과 239

3. 흡입을 통한 아로마테라피가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241

가. 연구재료 및 방법 241

나. 연구 결과 242

4. 기도상피세포에서 추출 오일이 인터루킨-8 분비 억제 효과 243

가. 연구재료 및 방법 243

(1) 세포주 및 시약 243

(2) 세포독성에 따른 시약농도의 선택 243

(3) IL-8의 전사 활성 비교 243

(4) IL-8의 분비 억제 비교 243

(5) 통계 및 검정 방법 244

나. 연구 결과 244

(1) 오일처리에 따른 농도별 세포독성 244

(2) 오일 처리가 IL-8 전사에 미치는 영향 246

(3) 오일 처리가 IL-8 분비에 미치는 영향 247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249

제5장 연구개발 성과 및 성과활용 계획 25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259

제7장 참고문헌 261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6150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