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
책머리에 / 조영남
목차
일러두기 16
제1장 서론 17
1. 연구 주제 19
2. 기존 연구 검토와 연구 의의 23
3. 연구 내용과 책의 구성 27
4. 이 책의 주장과 함의 30
5. 연구 방법과 자료 35
6. 주요 개념 검토 37
제2장 법치논쟁의 전개와 결과: '인치에서 법치로' 43
1. 법치논쟁의 전개과정 48
(1) 마오 쩌둥 시기 중국의 법제 49
(2) 1980년대 논쟁의 전개 50
(3) 1990년대 논쟁의 전개 53
(4) 2000년대 논쟁의 전개 56
2. 법치논쟁의 쟁점과 내용 58
(1) 법치와 인치 59
(2) 중국 법치의 길 62
(3) 법치와 법제 65
3. 법치논쟁의 평가 67
(1) 도구주의 법률관의 유지 68
(2) 인치론의 지속적인 영향 70
(3) 공산당 영도하의 법치 72
4. 소결: 요약과 전망 75
제3장 법치정책의 등장과 발전: '법률에 의거한 통치' 77
1. 의법치국의 형성과 발전 80
(1) 중앙의 방침 결정 81
(2) 지방의 실천 83
2. 의법치국의 등장 배경 86
(1) 국내 배경 87
(2) 국제 배경 90
3. 의법치국 정책의 확정과 중점의 변화 92
(1) 1980년대 중반~1990년대 중반: 법제개혁과 의법치리 93
(2) 1990년대 중반 이후: 의법치국의 결정과 실시 95
(3) 의법치국 정책의 중점 변화 98
4. 의법치국의 실시: 시기, 과정, 방식 101
(1) 실시 시기와 지역 편차 102
(2) 실시 방식과 지도체제 106
5. 소결: 요약과 함의 110
제4장 법치와 공산당 개혁: '법률에 의거한 집정' 113
1. 공산당 개혁의 종류: 당내관계와 당정관계의 개혁 117
2. 1980, 90년대의 공산당 개혁: 당정분리의 등장과 폐기 121
(1) 1980년대: 권력집중 해소를 위한 민주집중제와 당정분리 121
(2) 1990년대: 당정분리의 폐기와 정치개혁의 보수화 124
3. 의법집정의 등장 과정과 배경 127
(1) 의법집정의 등장 과정 128
(2) 의법집정의 등장 배경 130
4. 의법집정의 정책내용과 실시 133
(1) 당규 정비를 통한 당내관계의 법제화 134
(2) 고위간부의 법제교육 강화와 법제의식의 제고 138
(3) 법률 제정을 통한 당정관계의 제도화 142
(4) 공산당-의회 관계의 재조정 144
5. 소결: 요약과 평가 149
제5장 법치와 정부 개혁: '법률에 의거한 행정' 153
1. 의법행정의 등장과 정책내용 160
2. 광둥성과 선전시의 의법행정 실시 165
3. 선전시의 의법행정 정책 1: 정부 행정의 법제화 168
(1) 정부 기구 및 행위의 9개 법정화 168
(2) '법치정부 지표'의 제정과 실시 170
4. 선전시의 의법행정 정책 2: 행정 인허가제도의 개혁 173
5. 선전시의 의법행정 정책 3: 행정삼분제와 대부처제 178
(1) 행정삼분제의 실시 배경과 과정 178
(2) 행정삼분제의 결과와 평가 183
(3) 2009년 '대부처제 개혁'의 전면 실시 186
6. 소결: 평가와 전망 189
제6장 법치와 법원개혁: '사법공정과 효율' 193
1. 중국 법원의 문제점 197
(1) 법원의 외부 제약요소: 사법권의 지방화 198
(2) 법원의 내부 제약요소: 법원 운영의 행정화 201
(3) 법관의 자질 문제: 법관의 대중화 204
2. 법원개혁의 정책내용 209
3. 법원개혁의 실시 사례 215
(1) 산둥성 칭다오시 중급법원의 사례 216
(2) 상하이시 황푸구 법원의 사례 217
(3) 광둥성 선전시 옌톈구 법원의 사례 218
4. 법원개혁의 평가 220
(1) 평가 220
(2) 개혁 정책과 과정의 문제점 224
5. 법원개혁의 전망 230
6. 소결: 요약 234
제7장 결론 237
1. 연구 요약 239
2. 의법치국의 평가 243
3. 법치와 중국의 민주화 논쟁 247
4. 법치와 중국의 정치발전: 몇가지 명제 251
참고문헌 256
찾아보기 289
판권기 298
그림4-1. 공산당 당헌·당규의 연도별 제정 및 수정 상황 135
그림4-2. 법률·행정법규·지방성법규의 연대별 제정 및 수정 상황 137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714501 | 320.952 -12-1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714502 | 320.952 -12-15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736944 | 320.952 -12-15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
0001736945 | 320.952 -12-15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