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국제사회의 민간부문개발 지원 현황과 한국의 추진과제 : 우리나라 ODA 정책방향과 전략모색 / 정지선, 이주영 [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청구기호
338.9151 -12-1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159 p. : 삽화, 표 ; 24 cm
총서사항
ODA 정책연구 ; 11-05 연구자료 ; 11-09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2222462
ISBN: 9788932220642(세트)
제어번호
MONO1201218588
주기사항
대등표제: Private sector development : approaches, donor practice and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참고문헌: p. 146-155
부록: <부표 1>. 개도국 빈곤층 대상 빈곤퇴치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 <부표2>. DAC 회원국으로부터 개도국에 유입된 자금 흐름(1990∼2009년) ; <부록> 글상자. UN 글로벌 콤팩트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4

제1장 서론 11

1. 연구배경 및 목적 12

2. 논의 흐름 및 선행연구 15

제2장 민간부문개발 원조 개념, 유형 및 쟁점 22

1. 민간부문개발의 개념과 범위 23

2. 민간부문개발에 대한 접근유형 28

가. 비즈니스 환경개선 31

나. 빈곤친화적 시장개발(MM4P) 35

다. 기타: 민관협력(PPP) 39

3. 민간부문개발과 원조효과성 43

제3장 주요 공여국의 민간부문개발 원조 현황 53

1. 독일 57

가. 전략 및 체제 57

나. 지원 현황 59

2. 스웨덴 65

가. 전략 및 체제 65

나. 지원 현황 67

3. 영국 71

가. 전략 및 체제 71

나. 지원 현황 75

4. 미국 79

가. 전략 및 체제 79

나. 지원 현황 81

5. 일본 85

가. 전략 및 체제 85

나. 지원 현황 86

6. 수원국별 사례 90

가. 모잠비크 90

나. 캄보디아 100

제4장 한국의 민간부문개발 원조 현황과 추진과제 113

1. 현황 114

2. 평가 및 시사점 121

3. 추진과제 128

가. 정책 차원 128

나. 시행 차원 133

4. 맺음말 139

참고문헌 142

부록 152

Executive Summary 155

판권기 167

표 2-1. 민간부문개발 원조의 형태 27

표 2-2. 개도국 민간부문활동 제약요인 및 지원 예 28

표 2-3. 비즈니스 환경개선을 통한 MDG 달성 33

표 2-4. 민간부문개발 원조의 시행주체, 지원방식 46

표 2-5. 민간부문개발 사업 성과 측정 사례 50

표 3-1. CRS 목적코드 중 민간부문개발 관련 분야 내용 및 규모 54

표 3-2. 독일 GIZ의 민간부문개발 원칙 60

표 3-3. 독일 GIZ의 민간부문개발 원조 분야별 사례 61

표 3-4. 스웨덴 SIDA 민간부문개발 정책 가이드라인의 핵심 내용 67

표 3-5. 스웨덴 SIDA의 민간부문개발 원조 사례 70

표 3-6. 영국 DFID의 민간부문개발 접근법 및 원칙 74

표 3-7. 영국 DFID의 민간부문개발 원조 사례 78

표 3-8. 미국 USAID의 경제성장 원칙별 지원분야 81

표 3-9. 미국 USAID의 민간부문개발 원조 사례 84

표 3-10. 일본 신JICA의 민간부문개발 원조 사례 89

표 3-11. 공여국별 모잠비크 민간부문개발 지원사업(2011년) 94

표 3-12. 캄보디아 및 주변 국가의 비즈니스 여건(2011년) 102

표 3-13. 캄보디아 원조 부문별 규모(2004~09년) 106

표 4-1. KOICA의 PPP 사업 지원현황(2010, 2011년) 116

표 4-2. KSP 중소기업개발 정책자문 사례 119

표 4-3. 주요 공여국 민간부문개발 원조 비교: 독일, 스웨덴, 영국, 미국, 일본 vs 한국 126

표 4-4. 우리나라 민간부문개발 원조의 향후과제 및 추진방안 138

그림 2-1. 개발목표 달성을 위한 민간부문개발-PPP 관계도 25

그림 2-2. 민간부문개발 원조의 경로 26

그림 2-3. 비즈니스 환경개선 지원 프로그램의 단계 34

그림 2-4. 빈곤층 참여적 시장개발 관련 다양한 접근 비교 37

그림 2-5. MM4P -빈곤감소 연결고리 예: 저소득 축산농가 지원 39

그림 2-6. DCED 민간부문개발 사업 성과측정 3대 기준 49

그림 3-1. CRS 목적코드 중 민간부문개발 관련 ODA 규모(2009년) 55

그림 3-2. DAC 공여국 민간부문개발 관련 ODA 규모 변화(2000~09년) 55

그림 3-3. 주요 공여국별 민간부문개발(PSD) 관련 ODA 규모비교(2009년) 56

그림 3-4. 독일 KfW 개발은행의 부문별 지원 비중(2009년) 62

그림 3-5. 스웨덴 SIDA의 부문별ㆍ지역별 PSD 예산배분 비율(2007년) 69

그림 3-6. 미국 USAID의 경제성장 프레임워크 80

그림 3-7. USAID의 분쟁 후 취약국의 단계별 경제성장 지원 82

그림 3-8. USAID GDA 사업의 부문별ㆍ지역별 배분(1999~2007년) 84

그림 3-9. 모잠비크 FDI 유입액 및 GDP 성장률(2001~10년) 90

그림 3-10. DAC 공여국 모잠비크 지원 ODA 추이(2003~09년) 93

그림 3-11. DAC 공여국 모잠비크 지원 ODA 규모(2009년) 93

그림 3-12. 캄보디아 FDI 유입액 및 GDP 성장률(2001~10년) 101

그림 3-13. 캄보디아의 개발전략: 제2차 사각전략 103

그림 3-14. 캄보디아 정부의 민간부문 협의 메커니즘 105

그림 3-15. 캄보디아 유입 자금: 공적자금 대민간자금 규모 108

그림 3-16. 공여국의 캄보디아 민간부문 지원 현황(2000~11년) 110

부표 1. 개도국 빈곤층 대상 빈곤퇴치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153

부표 2. DAC 회원국으로부터 개도국에 유입된 자금 흐름(1990~2009년) 153

글상자목차

글상자 2-1. MM4P vs. 포괄적 비즈니스 vs. 빈곤층 대상 비즈니스 37

글상자 2-2. 국제개발협력과 CSR 개념의 변화 41

글상자 3-1. 소액금융 64

글상자 3-2. USAID, Technoserves의 캐슈너트 가치사슬 개발 지원 사례 98

글상자 4-1. 한국의 경제개발 경험에서 정부-민간 역할분담 120

부록글상자목차

부록 글상자. UN 글로벌 콤팩트 15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740804 338.9151 -1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740805 338.9151 -1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