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제2차 비파괴검사기술 진흥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 교육과학기술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12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xxiv, 471 p. : 삽화,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222856
주기사항
최종연구보고서
"2011년도 원자력정책연구사업"의 세부과제임
주관연구기관: (사)한국비파괴검사협회
연구책임자: 이홍재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요약서

요약문

목차

제I장 서론 27

제1절 비파괴검사기술 진흥계획 수립의 배경 29

1. 수립배경 및 필요성 29

2. 진흥계획의 의의 및 성격과 범위 30

3. 추진체계 및 추진경과 31

제2절 비파괴검사기술의 의의와 중요성 32

1. 비파괴검사기술의 의의 32

2. 비파괴검사기술의 범위 34

3. 비파괴검사기술의 중요성 41

제3절 제1차 NDT기술 진흥계획의 성과분석 46

1. 제1차 진흥계획의 중점 추진과제 46

2. 비파괴검사의 연구개발 47

3. 비파괴검사의 활용촉진 48

4. 비파괴검사의 전문인력 양성 50

5. 비파괴검사 산업의 기반강화 52

제II장 국내·외 비파괴검사 기술현황과 산업동향 55

제1절 국내 비파괴검사 기술현황과 산업동향 57

1. 비파괴검사업체 현황 57

2. 비파괴검사 발주업체 현황 68

3. 비파괴검사 장비 현황 74

4. 비파괴검사 연구개발 현황 78

5. 국내 인력현황 분석 82

6. 국내 비파괴검사기술 동향과 전망(종합) 86

제2절 선진 외국의 비파괴검사 기술현황과 동향 88

1. 선진 외국의 NDT기술 동향 88

2. NDT 신기술개발 현황 91

3. 세계 NDT 장비시장 현황 120

4. 미국의 NDT시장 현황 126

5. 일본의 NDT시장 현황 130

6. 선진 외국의 NDT 기술동향 및 전망(종합) 137

제III장 첨단 비파괴검사 기술개발과 전략 141

제1절 1차 계획의 성과분석 및 향후 추진방향 143

1. 제1차 진흥계획에 따른 연구개발 추진현황 및 성과 143

2. 제2차 진흥계획에서의 연구개발 추진 필요성 147

3. 주요 산업분야별 첨단비파괴검사기술의 중요성 148

4. 국내외 동향 154

5. 2차 진흥계획에서의 연구개발 추진계획 요약 157

제2절 기술분야별 첨단기술의 동향과 전망 162

1. 초음파 162

참고문헌 200

2. 적외선 열화상 202

3. 전자기 212

참고 문헌 218

4. 음향방출 219

참고문헌 230

5. 광응용 231

참고 문헌 262

6. 구조건전성 상시감시[SHM] 263

참고 문헌 284

7. 방사선 및 그 외 첨단기술 286

참고문헌 294

제3절 신규 추진과제 296

1. 첨단 NDT 핵심원천기술개발 296

2. NDT 시스템 및 애로기술 개발 318

3. 융합 NDT기술 개발 [대형과제] 327

제IV장 비파괴검사 기술의 활용 촉진 331

제1절 추진배경 및 1차 진흥계획에서의 추진성과 333

1. 기술 활용촉진 부문 추진배경 333

2. 1차 진흥계획에서의 기술 활용촉진 추진성과 334

제2절 NDT기술의 전주기적 적용 및 제도개선 336

1. 비파괴검사관련 제도현황 336

2. 비파괴검사관련 주요 제도개선 항목 339

3. 국제표준 NDT 신기술기준의 도입 적용 347

4. 제3자 검사제도의 도입 348

5. 중점(신규) 추진계획 349

제3절 국제교류 및 기업의 해외진출 확대지원 352

1. NDT업체의 해외진출 현황 352

2. 향후 NDT업체의 해외진출 전망 356

3. NDT 해외시장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 357

4. 중점(신규) 추진계획 358

제4절 NDT기술 및 안전검사문화에 대한 인식제고 360

1. NDT기술의 국내 적용현황 360

2. 추진 목표 및 개선방향 362

3. 중점(신규) 추진계획 363

제V장 비파괴검사의 전문인력 양성 365

제1절 추진배경 및 1차 진흥계획에서의 추진성과 367

1. 인력양성부문 추진배경 367

2. 1차 진흥계획에서의 전문인력양성 추진성과 368

제2절 전문인력양성 현황 및 전망 370

1. 고급 비파괴검사 전문인력양성 체계 구축 370

2. 기술인력의 교육훈련 체제 강화 374

3.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기술자격제도 구축 384

제3절 중점(신규) 추진계획 391

1. 고급 비파괴검사 전문인력양성 체계 구축 391

2. 기술인력의 교육 · 훈련 체제 강화 393

3.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기술자격제도(ISO 9712) 시스템 구축 395

제VI장 비파괴검사산업의 기반강화 397

제1절 추진배경 및 1차 진흥계획에서의 추진성과 399

1. 산업기반강화 부문 추진배경 399

2. 1차 진흥계획에서의 산업기반강화 추진성과 400

제2절 방사선작업환경의 종합개선 402

1. 국내 방사선작업의 현황 402

2. 국내 방사선작업의 문제점 404

3. 중점(신규) 추진계획 406

제3절 기관 · 단체 육성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 412

1. NDT관련 기관 및 단체현황 412

2. 국내 산 · 학 협력현황 414

3. 국내 비파괴검사기술의 개선과제 416

4. 기관 및 단체의 육성을 위한 중점(신규) 추진계획 418

5.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중점(신규) 추진계획 419

제4절 비파괴검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421

1. 정보시스템의 구축배경 421

2. 현재까지의 시스템 구축현황 421

3. 중점(신규) 추진계획 : 종합 정보시스템의 구축 425

제VII장 제2차 진흥계획의 핵심 추진과제 429

제1절 비파괴검사기술 진흥계획의 비전과 목표 431

1. 비전 및 목표 431

2. 중점 추진과제(4대 부문 12개 과제) 432

3. 추진 전략 435

제2절 부문별 진흥계획 436

I. 비파괴검사기술의 연구개발 436

II. 비파괴검사기술의 활용-촉진 443

III. 비파괴검사의 전문인력양성 449

IV. 비파괴검사 산업의 기반강화 456

제3절 소요재원 및 기대효과 463

1. 소요재원 463

2. 기대효과 465

3. 연도별 추진계획 466

제VIII장 결언 및 정책적 제언 467

제1절 결언 469

제2절 정책적 제언 472

참고서지 476

별지 477

【별지 1】 1차 진흥계획에서의 연구개발 추진현황 상세 479

【별지 2】 연구개발 수요조사 제안과제 목록 493

【별지 3】 비파괴검사업 등록업체 리스트 494

[표 2-1] 국내 비파괴 전문업체 검사방법 분포 57

[표 2-2] 비파괴검사업체 현황(연도 및 지역별) 58

[표 2-3] 방사선투과검사 종사자 현황 58

[표 2-4] NDT근로자의 학력구분 59

[표 2-5] NDT업체 비파괴검사 책임자 기술자격 보유현황(2009년) 59

[표 2-6] NDT업체 비파괴검사자의 기술자격 보유 현황(2009) 60

[표 2-7] NDT전문엔지니어링사업자 매출액 연도별 추이 60

[표 2-8] RT사용 유무와 NDT업 유무에 따른 매출액 현황 62

[표 2-9] 비파괴검사방법별 매출액 비중(2009) 62

[표 2-10] 검사대상 별 매출비중 63

[표 2-11] NDT업체의 해외진출 현황 64

[표 2-12] NDT업체별 해외진출 국가현황 64

[표 2-13] 해외진출 분야별 매출실적 65

[표 2-14] 비파괴검사 관련 지출현황 66

[표 2-15] 비파괴검사 관련 지출 비중 66

[표 2-16] 2009년 전문업체 의뢰검사 방법별 비중 68

[표 2-17] 발주업체 총 검사비용 및 검사수행형태 비중 68

[표 2-18] 발주업체 자체수행 검사 방법별 비중(2009) 69

[표 2-19] 자동화장비/설비 검사 방법별 비중(2009) 69

[표 2-20] 비파괴검사 수행 단계 70

[표 2-21] 비파괴검사 수행 목적 70

[표 2-22] 비파괴검사 기술 발전 개선 선결 과제 71

[표 2-23] 향후 비파괴검사의 적용 및 활용성 전망 72

[표 2-24] 비파괴검사 적용 및 활용성 확대 전망의 이유 n=62/중복% 72

[표 2-25] 비파괴검사 적용 및 활용성 유지 및 축소 전망의 이유 n=26/중복% 73

[표 2-26] 등록업체의 비파괴검사 장비보유현황 74

[표 2-27] 등록업체의 첨단장비 보유율 74

[표 2-28] 비파괴검사 장비업체 매출현황 75

[표 2-29] 장비업체 시장구조 75

[표 2-30] 국내 매출 검사방법별 매출구성 76

[표 2-31] 해외 매출 검사방법별 매출구성 77

[표 2-32] 장비업체 매출구성 77

[표 2-33] NDT관련 연구 및 교육기관 (2008년) 78

[표 2-34] 비파괴검사업체 근로자 직능별 인력현황 82

[표 2-35] 전공학력별 기술직 인원현황(2010년) 82

[표 2-36] 기술사 합격률 현황 83

[표 2-37] 비파괴검사기사 합격률 현황 83

[표 2-38] 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합격률 현황 84

[표 2-39] 비파괴검사기능사 합격률 현황 85

[표 2-40] 세계 방사선투과검사 장비시장 연도별 추이 120

[표 2-41] 세계 방사선투과검사 장비 시장(비율) 121

[표 2-42] 세계 초음파검사 장비시장 연도별 추이 122

[표 2-43] 세계 표면검사 장비시장 연도별 추이 123

[표 2-44] 세계 표면검사 장비 시장(비율) 124

[표 2-45] 분야별 세계 비파괴검사 장비시장 연도별 추이 125

[표 2-46] 미국의 산업분야별 NDT시장 전망 126

[표 2-47] 미국의 NDT시장 전망 128

[표 2-48] 일본 전체의 비파괴검사 시험장치 · 기기의 용도별 시장규모 132

[표 2-49] 일본 주요 비파괴검사 시험장치 · 기기관련 출하 추이 133

[표 3-1] 첨단 비파괴검사기술개발사업 연도별 투자현황 144

[표 3-2] 선진국의 NDT전문 연구소 154

[표 3-3] 국내 비파괴검사기술의 SWOT 분석 159

[표 3-4] 도출과제 목록 160

[표 3-5] 초음파 탐상과 유도초음파 탐상 기법 특징 비교 170

[표 3-6] 대표적인 외국 연구기관 및 기술 170

[표 3-7] 국내외 연구기관의 기술 대비 171

[표 3-8] 대표적인 초음파 모델링 외국 연구기관 및 기술 175

[표 3-9] 대표적인 외국 연구기관 및 기술 178

[표 3-10] 각종 압전재료 특성 비교 (Ultrasonics 50 (2010) 790-797) 180

[표 3-11] EMAT 관련 대표적인 연구기관과 개발기술 186

[표 3-12] 비접촉 Ms-EMAT의 대표적 기술 및 제품 192

[표 3-13] 초음파 비파괴 평가 기술별 특징 비교 193

[표 3-14] 대표적인 외국 연구기관과 개발기술 194

[표 3-15] 초음파 기술의 국내기술 수준 SWOT 분석표 200

[표 3-16] 적외선 열화상 비파괴 평가 기술별 특징 비교 208

[표 3-17] 대표적인 외국 연구기관과 개발기술 209

[표 3-18] 적외선 열화상 기술의 국내기술수준에 대한 SWOT 분석표 211

[표 3-19] PEC System Comparison 215

[표 3-20] 전자기 기술의 국내기술수준에 대한 SWOT 분석표 217

[표 3-21] Specification of Mistras 4 channel AE Node 226

[표 3-22] 음향방출 주요 특허 출원 현황 229

[표 3-23] 음향방출기술의 국내기술수준에 대한 SWOT 분석표 230

[표 3-24] 국외 연구기관의 연구 현황 236

[표 3-25] 디지털 홀로그래피 국내 대학 및 연구소 연구현황 245

[표 3-26] 선진기업 대비 국내 기술수준 비교 246

[표 3-27] 삼차원 시각의 대표적인 산업적 수요 252

[표 3-28] 현 관련 국내외 기술상태의 비교 260

[표 3-29] 광응용기술의 국내기술수준에 대한 SWOT 분석표 261

[표 3-30] 광섬유 센서 측정 기술 268

[표 3-31] 네트워크 기술 응용 서비스 273

[표 3-32] 국내 현장시험 및 시범사업 274

[표 3-33] 최근 중국에서 발생한 교량 붕괴 사례 279

[표 3-34] 철도 손상의 종류 281

[표 3-35] SHM기술의 국내기술수준에 대한 SWOT 분석표 283

[표 3-36] 방사선기술 및 기타 국내기술수준에 대한 SWOT 분석표 293

[표 4-1]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시행령 별표3. : 엔지니어링사업자의 신고기준 337

[표 4-2] 비파괴검사업 등록기준(장비) 337

[표 4-3] 원자력안전법의 이동사용(비파괴검사) 허가기준 337

[표 4-4] 비파괴검사 관련 개별법령 현황 338

[표 4-5] 엔지니어링법사업 인력기준 변경내용 340

[표 4-6] 교육훈련의 종류별 교육대상 및 교육시간(제13조제2항관련) 342

[표 4-7] NDT법의 과태료 부과기준(시행령 별표3) 344

[표 4-8] NDT법의 행정처분 기준(시행규칙 별표) 345

[표 4-9] 국내 비파괴검사업체의 해외공사 매출실적 352

[표 4-10] 국내 NDT업체의 해외진출 현황 354

[표 4-11] NDT업체별 해외진출 국가현황 355

[표 4-12] 해외진출 분야별 NDT 매출실적 355

[표 5-1] 외국의 전문인력 양성기관 현황 370

[표 5-2] 국내 전문인력 양성기관 현황 371

[표 5-3] 국내 비파괴검사 교육기관 현황 372

[표 5-4] 비파괴검사업체 근로자 직능별 인력현황 375

[표 5-5] 학력별 기술직 인원현황(2010년) 376

[표 5-6] 국내 국가기술자격자 현황(한국산업인력공단, 2010년말 기준) 377

[표 5-7] NDT 업체 국가기술자격 취득현황('10년도말 기준) 378

[표 5-8] 비파괴검사 분야 외국기술자격증 보유현황(2010년말 기준) 379

[표 5-9] 비파괴검사자 기술교육의 종류 381

[표 5-10] 연도별 비파괴검사자 기술교육 실시현황 381

[표 5-11] 방사선작업종사자 교육실시 현황 381

[표 5-12] 교육훈련 과정별 현황 382

[표 5-13] 교육훈련과정 개최 현황(최근 20년간) 383

[표 5-14] ISO 제도의 용어 개념 386

[표 5-15] 자격부여 기관의 기능비교 387

[표 5-16] 자격제도의 관리체계 상호비교 387

[표 5-17] 우리 제도와 ISO-9712 자격과의 차이비교 387

[표 5-18] 유럽 국가의 ISO-9712 채택 동향 388

[표 5-19] 주요국가의 비파괴검사 자격인정 조직 및 특징 388

[표 5-20] 아시아 태평양 국가의 ISO 9712 부합화 현황 및 정도 389

[표 5-21] 각국의 산업적용 표준규격 제정현황 390

[표 6-1] 한국과 일본의 검사방법별 매출액 비율 비교(2007년) 405

[표 6-2] 연구기관 R&D 현황 단위 412

[표 6-3] 검사방법별 연구현황 412

[표 6-4] 국내 연구기관의 산학협력 현황 414

[표 6-5] 국내 산학협력 체계의 개선과제(연구기관 응답) 415

[표 6-6] 첨단 NDT기술 기업연구클러스터 운영실적 416

〈그림 1-1〉 비파괴기술의 활용 분야 41

〈그림 1-2〉 제1차 NDT기술 진흥계획의 중점추진과제 46

〈그림 2-1〉 전체 업체별 NDT 검사방법 분포도 57

〈그림 2-2〉 RT 작업종사자 수 증가 추이 58

〈그림 2-3〉 비파괴검사업체의 연도별 매출액 추이 61

〈그림 2-4〉 비파괴검사업체의 매출액 대비 1인당 생산성 추이 61

〈그림 2-5〉 비파괴검사 전문업체 선정 기준 n=88/% 71

〈그림 2-6〉 검사방법별 매출 구성 76

〈그림 2-7〉 비파괴검사 기사 자격증 취득현황 83

〈그림 2-8〉 비파괴검사 산업기사 자격증 취득현황 84

〈그림 2-9〉 비파괴검사 기능사 자격증 취득현황 85

〈그림 2-10〉 일본 비파괴검사(비파과괴검사) 연도별 매출액(비파괴검사공업회 가맹기업에 의한 집계) 130

〈그림 2-11〉 비파괴검사 장치·기기의 시장규모 예측(시야경제연구소 추산) 131

〈그림 2-12〉 비파괴검사 장치·기기의 시장규모(2005~2007) 132

〈그림 3-1〉 발전 방법에 따른 발전 비율(한국전력공사) 148

〈그림 3-2〉 발전 에너지원별 전력생산 단가(원자력문화재단) 149

〈그림 3-3〉 UH-60 상륙기동헬기(조선일보) 150

〈그림 3-4〉 러시아에서 북한 또는 해상으로 운반될 가스(한겨례 2011.08.12) 151

〈그림 3-5〉 대한항공 A380인도식(Airbus) 152

〈그림 3-6〉 Boeing 787 복합재료 비율 152

〈그림 3-7〉 KTX 고속열차 탈선(뉴시스) 153

〈그림 3-8〉 초음파 기술 발전 동향 163

〈그림 3-9〉 MsT 기술분야 발전 방향 166

〈그림 3-10〉 위상배열 탐상의 집속 및 조향 168

〈그림 3-11〉 초음파 국부 탐상 기법 및 유도초음파 탐상 기법 개념도 169

〈그림 3-12〉 유도초음파를 활용한 배관 진단 개념 169

〈그림 3-13〉 비선형 초음파 기술과 타 기술의 결함검출 정밀도 비교 (Meyendorf et al. 2003) 172

〈그림 3-14〉 비선형 초음파기술 기술의 연대별 동향 174

〈그림 3-15〉 다중 부식형 결함 모델링 175

〈그림 3-16〉 유도초음파를 활용한 결함 진단 토모그래피 영상 177

〈그림 3-17〉 공기접촉초음파탐상원리(http://www.springerimages.com) 178

〈그림 3-18〉 1-3 복합안전소자 기술의 발전방향 179

〈그림 3-19〉 1-3 복합압전재료 구조(http://www.morganelectroceramics.com) 180

〈그림 3-20〉 상용화된 공기접촉 초음파 탐상장비(www.vastek.co.kr) 182

〈그림 3-21〉 EMAT의 초음파 발생을 위한 로렌쯔 힘 184

〈그림 3-22〉 다양한 모우드의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EMAT 구조. 185

〈그림 3-23〉 매설배관 결함 탐상용 EMAT-PIG 185

〈그림 3-24〉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개발한 EMAT 187

〈그림 3-25〉 NORDINKRAFT 사의 절강 공정 비파괴검사용 EMAT 시스템 188

〈그림 3-26〉 SH파 변환용 자기변형 트랜스듀서 및 배관 적용 190

〈그림 3-27〉 자기변형 유도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배관 검사 191

〈그림 3-28〉 자기변형 트랜스듀서를 이용한 다채널 위상배열 유도초음파 영상화 192

〈그림 3-29〉 레이저 초음파 기술의 특허 출원현황(2010 특허청 비파괴계측검사기술 특허동향조사 보고서) 195

〈그림 3-30〉 cMUT의 single cell 구조(www.matrixsensorsinc.com) 196

〈그림 3-31〉 pMUT의 single cell 구조(www.springerimages.com) 196

〈그림 3-32〉 MEMS기반 극소형 탐촉자의 발전 방향 196

〈그림 3-33〉 Kuri-Yakub 교수팀에서 개발된 cMUT를 이용한 탐상 시스템 198

〈그림 3-34〉 적외선의 파장대역별 이용 202

〈그림 3-35〉 열화상 측정 시스템 203

〈그림 3-36〉 적외선열화상 관련 응용분야 203

〈그림 3-37〉 직접식 및 간접식 적외선 열화상 원리 204

〈그림 3-38〉 적외선 열화상 기술의 이용 206

〈그림 3-39〉 TT 방법의 자동화 및 수동 검사 분류 207

〈그림 3-40〉 IRT 기술 분류 208

〈그림 3-41〉 배열와전류탐촉자의 개발사 213

〈그림 3-42〉 배열프로브 213

〈그림 3-43〉 Sonovation B.V. 사의 PEC 장비와 탐촉자 216

〈그림 3-44〉 음향방출 기법의 기술 발전 방향 219

〈그림 3-45〉 U.S. Acoustic emission sales by end_user markets 224

〈그림 3-46〉 Mistras Group historical annual revenues 224

〈그림 3-47〉 Cabon-fiber market transition(3rd IT-2010 Strategy seminar. Toray industries, Inc.) 225

〈그림 3-48〉 Mistras 4 channel AE Node 226

〈그림 3-49〉 비파괴진단평가 연도별 특허 출원 현황 (교과부 방사선 기술개발사업, 2010 연구기획시 특허동향조사) 228

〈그림 3-50〉 비파괴진단평가 분류별 출원 점유율 (교과부 방사선 기술개발사업, 2010 연구기획시 특허동향조사) 228

〈그림 3-51〉 광응용 비파괴검사 기술의 발전 과정(State of the Art) 232

〈그림 3-52〉 독일 Ettemeyer사의 ESPI 시스템 233

〈그림 3-53〉 듀얼기능의 ESPI을 이용한 면외 변위와 기울기의 측정 235

〈그림 3-54〉 덴마크 DANTEC 사 Shearography System 237

〈그림 3-55〉 Shearography 광학 간섭계 240

〈그림 3-56〉 압력파이프 내부결함 비파괴 검사 240

〈그림 3-57〉 항공기 표면결함검사 241

〈그림 3-58〉 타이어 내부결함 진전 모니터링 241

〈그림 3-59〉 로터 블레이드 검사를 위한 전단간섭계 카메라 242

〈그림 3-60〉 디지털 홀로그래피의 투과형&반사형 간섭계 구성 243

〈그림 3-61〉 Typical fringe pattern obtained using the moire microscope 247

〈그림 3-62〉 모아레 기술 관련 특허 건수 249

〈그림 3-63〉 그라펜 시트의 중첩된 모아레 패턴 250

〈그림 3-64〉 기판위의 실리콘 트랜지스터 변형의 2차원 분포 251

〈그림 3-65〉 가변 초점거리가 겹친 2개의 위상판 251

〈그림 3-66〉 모아레 위상패턴과 광학배율 251

〈그림 3-67〉 광탄성의 구성(The diagram of photoelasticity) 253

〈그림 3-68〉 초고속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세라믹 구와 펑펑한 크롬 사이의 접촉면에 열 영상 255

〈그림 3-69〉 유도초음파의 측정된 신호를 통한 토모그래피 영상 257

〈그림 3-70〉 레이저 유도 초음파 기법을 가시화하기 위한 계통도 259

〈그림 3-71〉 구조물 검사 및 평가 기법의 변천 과정 264

〈그림 3-72〉 구조 건전성 감시 관련 특허 출원현황 265

〈그림 3-73〉 구조 건전성 감시의 발전 단계 266

〈그림 3-74〉 광섬유 센서 및 음향방출 기술 267

〈그림 3-75〉 교량(Yokohama Bridge, Japan)과 주파수 분석에 의한 전통 기반 감지 기법 270

〈그림 3-76〉 Lamb wave를 이용한 유도초음파 기법 271

〈그림 3-77〉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한 온라인 감시 시스템 272

〈그림 3-78〉 구조 건전성 감시 기술의 적용 대상 구조물 275

〈그림 3-79〉 에너지 발전 구조물(풍력 터빈/원자력 발전소) 276

〈그림 3-80〉 풍력 발전용 터빈의 붕괴 사례 277

〈그림 3-81〉 풍력 발전용 터빈의 부품별 손상 비율 277

〈그림 3-82〉 사회 기반 구조물(댐/트러스 교량) 278

〈그림 3-83〉 수송 구조물(항공기/철도 차량) 280

〈그림 3-84〉 방사선 및 그 외 기술에 대한 기술 동향 및 추이 287

〈그림 3-85〉 국내 방사선 기술 시장 분포 288

〈그림 3-86〉 테라헤르츠 기술 수요분야 289

〈그림 3-87〉 테라헤르츠 기술 전개 방향 290

〈그림 3-88〉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결함(void, disbond)검사 291

〈그림 3-89〉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보안검사(Smiths Detection사) 292

〈그림 4-1〉 국내 NDT업체 해외진출 현황 : 중동 및 아프리카 북부 353

〈그림 4-2〉 국내 NDT업체의 지역별 해외진출 현황 354

〈그림 4-3〉 향후 해외진출의향 국가 및 분야(n=11/%) 356

〈그림 4-4〉 일본 비파괴검사공업회의 안전표어 및 마스코트(논디) 362

〈그림 5-1〉 비파괴검사 인력양성 관련 SWOT분석 결과 374

〈그림 5-2〉 기술직 연령별 인원현황 375

〈그림 5-3〉 기술직 학력별 비중 376

〈그림 5-4〉 종류별 외국기술자격증 보유비중 379

〈그림 5-5〉 ISO 제도의 기관 구성 385

〈그림 5-6〉 우리나라의 국제 자격인증체계 구축안 396

〈그림 6-1〉 RI 선원 및 방사선조사기(660 Type)의 구조 403

〈그림 6-2〉 비파괴검사업체 악순환 연계고리 405

〈그림 6-3〉 비파괴검사 정보시스템 서비스 구성도 422

〈그림 6-4〉 NDT정보시스템(www.ndtis.kr) 메인화면 423

〈그림 6-5〉 비파괴검사자 경력관리시스템(http://ems.ndtis.kr) 메인화면 423

〈그림 6-6〉 일시적사용장소 신고시스템(http://ers.ndtis.kr) 메인화면 424

〈그림 6-7〉 비파괴검사자 온라인 교육시스템(www.ndtedu.kr) 메인화면 424

〈그림 6-8〉 방사선작업종사자 온라인교육시스템(http://rndt.ndtis. kr) 메인화면 425

〈그림 6-9〉 비파괴검사 종합정보시스템의 개념 426

〈그림 7-1〉 제2차 비파괴검사기술 진흥계획의 비전과 목표 431

〈그림 7-2〉 제2차 비파괴검사기술 진흥계획의 줌점 추진과제 434

〈그림 7-3〉 비파괴검사 정보시스템(www.ndtis.kr) 461

〈그림 7-4〉 NDT 종합정보시스템 구축개념도 461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제2차 비파괴검사기술 진흥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II. 연구 목적 및 필요성

ㅇ 비파괴검사기술은 산업분야에 전반적으로 활용되는 기술로써 자율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는 더욱 커지고 있음에 따라 국가적 차원에서 비파괴검사기술의 체계적인 진흥과 발전을 위한 비파괴검사 진흥계획의 수립이 요구되는 것임.

ㅇ 이를 위해 정부는 "비파괴검사기술의 진흥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3조의 규정에 따라 비파괴검사기술 진흥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하고 있음. 제1차 진흥계획('06~11)이 마무리되는 이 시점에 즈음하여 1차 진흥계획의 성과를 평가하여 미비점을 보완하고 더욱 체계적인 진흥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국내 비파괴검사기술의 선진화, 전문화, 국제화를 이루기 위해 더욱 노력할 필요가 있음.

III. 연구내용 및 범위

1. 연구개발의 주요 내용

가. 국내외 비파괴검사 기술동향과 산업동향

(1) 국내 비파괴검사 기술현황과 산업동향

(2) 선진 외국의 비파괴검사기술 현황과 동향

나. 첨단 비파괴검사 기술 개발과 전략(환경 분석 및 과제도출)

(1) 기술분야별 첨단기술의 동향과 전망

(2) 분야별 핵심과제(첨단 핵심원천기술, 시스템 및 애로기술, 융합 기술)

다. 비파괴검사 산업의 발전방향 및 진흥방안(구체화 방안)

(1) 비파괴검사 기술의 활용 촉진방안

(2) 비파괴검사 전문인력 양성방안

(3) 비파괴검사 산업의 기반강화 방안

2. 연구개발의 방법

ㅇ 산·학·연으로 구성된 국내 NDT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활용분야별, 검사방법별 활용실태를 파악하고, 국내 산업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 및 외국의 기술동향과 실태 등의 분석을 통해 NDT 진흥발전 방안과 그 범위·기준을 도출함

ㅇ 아울러 국내 NDT관련 법령 및 기술기준 등 관련 제도를 파악하고 이를 우리 산업 발전에 합리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도록 하였으며, 설문조사 및 공청회 개최 등 의견수렴을 통해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해 미래지향적이고 실행 가능한 구체적 방안을 도출하도록 추진하였음.

IV. 현재의 문제점

ㅇ 금번 정책연구를 통해 도출된 현재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음.

1. 비파괴검사기술의 연구개발

ㅇ 1차 진흥계획에 의해 추진된 연구에서는 부분적으로 선진국 수준에 근접한 원천기술을 확보하였으나 기술수준의 선진화를 조속히 달성하기에는 규모와 예산이 매우 부족한 수준

- 따라서 1차 진흥계획에 의해 추진된 기술개발의 선진화와 조기에 선진 수준에 도달 가능한 연구개발의 추가적인 추진이 절실한 실정이며 완성도 높은 연구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의 선택과 집중에 의한 특성화가 필요함.

2. 비파괴검사기술의 활용현황

ㅇ 사회 각 분야에서 안전진단의 핵심요소기술인 비파괴검사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

- 일반 국민이 쉽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홍보방안을 통한 비파괴검사기술 관련 안전검사문화의 확산 필요

ㅇ 안전진단 관련 8개 부처 20개 법률에서 서로 상이한 NDT 기술기준이 규정되어 있고, 열화상·중성자·음향방출과 같은 새로운 NDT 기술 등은 아직 기술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이에 대한 제도 정비가 필요

3. 비파괴검사 인력양성 분야

ㅇ 중공업, 조선, 원전분야 수출 등으로 인한 국내 NDT 업체의 해외진출 증가로 인해 NDT 전문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국내의 NDT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대응체계가 미흡한 상황

- 국내·외 모두 NDT 관련 고급 전문인력의 양성은 일부 대학원 교과과정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

ㅇ 현재 급속하게 전개되고 있는 양자간·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에 대비하여 NDT 전문인력 양성체계를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도록 재정비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국가 간·교육기관 간의 상호인증과 전문인력의 교류 등을 위해 기술자격제도가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것이 필수 요건이기 때문임.

- 우리나라의 NDT 관련 기술자격제도는 지속적으로 확충되어 왔으나, 국제 수준에 부합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으로 이로 인해 현재 국내의 NDT 기술자는 국가기술자격이 아직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인증을 받지 못함으로 인해 ASNT, EN473 등의 외국자격을 2중으로 취득해야 하는 부담이 계속되고 있음.

4. 국내 비파괴검사 산업의 기반

ㅇ 현재 국내 일부 기관에서 비파괴검사기술과 관련한 연구개발을 추진 중이나 산·학·연이 연계된 연구개발 체제 구축은 미흡

- NDT 관련 인력, 시설 및 장비의 산·학·연 공동 활용이나 공유 경험이 부족하고 연구자원의 효율적 활용 및 연구 성과의 연계·확산 실적이 거의 전무한 형편임.

ㅇ NDT관련 산업전반의 통계자료 및 각종 정보의 산발적인 관리로 표준화가 미흡하고 정보의 연계·활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결여되어 있음

ㅇ 현재 산·학·연이 개별적·독자적으로 활동하고 있어 이를 연계하는 체계적인 구심점으로서의 기구가 필요함

- 산·학·연 간의 다양한 정보 교류 및 정책건의를 주도할 수 있는 의견 수렴의 장이 절실한 실정

ㅇ NDT 기술관련 연구개발 및 연구성과 사업화 등을 수행할 전담 기관 및 관련 단체의 실질적 활동이 미미하여 산업전반의 체계적인 육성이 어려운 실정

V.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

ㅇ 금번 정책연구를 통해 도출된 제2차 진흥계획의 핵심 추진과제 및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음.

1. 비파괴검사기술의 연구개발

가. 첨단 NDT 핵심 원천기술 개발

ㅇ 미래 산업 및 구조물의 안전과 품질향상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는 비파괴검사 원천기술 및 기반 기술 확보로 선진국형 기술 자립 기반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 새로운 NDT 센서 개발, 비접촉·고기능 NDT 기술 개발, 스마트 센서를 이용한 구조건전성 상시감시 기술 개발, 대체 방사선원 기술 개발 등

나. NDT 시스템 및 애로기술 개발

ㅇ 해외의존도가 높은 검사장비 수입을 대체할 수 있는 국산장비 개발이 시급하며, 산업현장의 여건 및 환경에 따라 실용화 장비 개발이 필요

- 범용 및 첨단 NDT장비의 국산화, 검사기술의 향상을 위한 전용 장비개발

다. 융합 NDT기술 개발(대형과제)

ㅇ NT, BT, IT, ST 등 국가 성장동력기술을 융합한 차세대형 신개념 비파괴검사기술 개발의 필요성 증가

- RT 로봇 등 첨단 산업분야와의 융합 기술 및 하이브리드 기술 개발

- 원전 경년열화관리 기반 구축 등

2. 비파괴검사기술의 활용·촉진

가. NDT 기술 적용범위 확대를 위한 제도정비

ㅇ 비파괴검사기술의 전주기적인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법률 및 기술 기준을 합리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음.

- 관련제도(법령) 정비, 국제표준 기술기준 도입, 제3자 검사제도 도입 등

나. 국제교류 및 기업의 해외진출 확대 지원

ㅇ 비파괴검사 해외시장의 확대 추세에 따라 비파괴검사업체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인 지원체제 구축이 필요함.

- 정보·규정 및 수요조사, 정부 지원체계 구축(사업아이템 발굴) 등

다. NDT 기술 및 안전검사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

ㅇ 일반 국민에게 비파괴검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침체된 비파괴분야 종사자의 사기진작을 위한 안전한 검사문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음

3. 비파괴검사 전문인력 양성

가. 고급 NDT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

ㅇ 대학원 석·박사 과정 중심 고급연구인력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및 중장기 R&D 추진방향과 인력양성 간 유기적 연계를 위한 "NDT 센터"를 설립·운영

ㅇ 학부과정, 전문대학 과정은 별도로 NDT 전문인력양성센터를 지정하고 산·학·연 협력의 맞춤형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

나. 기술인력의 교육·훈련체제 강화

ㅇ 비파괴검사 기술자격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훈련 시스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NDT 교육훈련센터"를 설립 운영

ㅇ 중·장기적으로 비파괴진단분야의 웹기반 글로벌 사이버교육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및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 체험학습 시스템을 구축

다.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기술자격제도 구축

ㅇ 국제규격(ISO 9712, 17024)에 근거한 비파괴검사기술자 자격인정(personnel qualification) 및 인증(cerification)제도의 국내 도입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

ㅇ 인증기관(National Cerification Body;NCB) 및 인정기관(Qualification Body;QB)을 설립 운영하여 국제상호인증 가능한 비파괴검사기술 자격자를 배출

4. 비파괴검사산업의 기반강화

가. 방사선작업환경의 종합개선

ㅇ 극도로 열악한 방사선작업환경의 근본적인 개선을 통해 방사선안전문화를 확산하고 방사선피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음

- 비파괴검사 안전기술 개발사업 추진(제도개선, 기술개발, 안전문화 확산 등)

나. 기관·단체 육성 및 네트워크 구축

ㅇ NDT기술의 진흥과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 연구기관 및 관련 단체(협회·학회) 지원·육성을 통한 제도적 인프라를 확충할 필요가 있음

ㅇ 산발적 비파괴검사 연구환경을 체계적으로 통합·연계하여 국내의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관련된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극대화 할 필요가 있음.

다. 비파괴검사 정보시스템의 구축

ㅇ 분산 구축된 개별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여 종합 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할 필요가 있음

V. NDT기술 진흥을 위한 정책적 제언

ㅇ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진흥계획(안)이 실제로 NDT기술의 진흥과 육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제도적인 지원과 체계적인 육성전략이 반드시 뒷받침 되어야만 가능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정책적인 제안을 함.

1. 제1차 비파괴검사기술 진흥계획 기간 중에 폐지된 비파괴검사기술위원회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NDT 실무추진위원회(가칭)"를 구성하여 비파괴검사기술의 활용촉진을 위한 NDT 기술 적용범위의 확대를 위한 제도정비, 국제교류 및 기업의 해외진출 확대 지원, NDT 기술 및 안전검사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고양하기 위한 비파괴검사기술인상 제정 등 범국가적인 NDT 기술 진흥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할 것을 제안함.

2. 비파괴검사기술의 연구개발에서는 첨단 NDT 핵심 원천기술 개발, NDT 시스템 및 애로기술 개발, 융합 NDT기술 개발 등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지원이 요구됨.

ㅇ 첨단 NDT 핵심 원천기술 개발의 경우는 산업계, 연구계 및 대학원 석·박사 과정 중심 고급 NDT전문연구양성 프로그램과 유기적인 연계를 갖는 "NDT 연구센터 (Center for NDT)"의 설립·운영이 요구됨.

ㅇ NDT 시스템 및 애로기술 개발과 융합 NDT기술 개발(대형과제)의 경우는 범용 및 첨단 NDT장비의 국산화와 RT 로봇 등 첨단 산업분야와의 융합 기술 및 하이브리드 기술 개발, 원전 경년열화관리 기반 구축 등 NT, BT, IT, ST 등 국가 성장 동력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형 신개념의 비파괴검사기술을 개발을 위해 지식경제부의 실용화 관련 연구 개발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될 수 있도록 범정부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

3. 비파괴검사 전문인력 양성에서는 고급 NDT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 기술인력의 교육·훈련체제 강화,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기술자격제도 구축 등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지원이 요구됨.

ㅇ 고급 NDT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 분야에서는 첨단 NDT 핵섬 원천기술 개발과 유기적 연계를 갖는 "NDT 연구센터"를 지정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기술인력의 교육·훈련체제 강화를 위해서는 비파괴검사 기술자격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훈련 시스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NDT 교육훈련센터"의 설립·운영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

ㅇ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기술자격제도 구축 분야에서는 국제규격(ISO 9712, 17024)에 근거한 비파괴검사기술자 자격인정(personnal qualification) 및 인증(certification)제도의 국내 도입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인증기관(National Certification Body;NCB) 및 인정기관(Qualification Body; QB), 시험센터 (Authorized Examination Center;AEC), 교육센터(Training Center, TC)를 설립 운영하여 국제상호인증이 가능한 비파괴검사기술 자격자를 배출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

4. 비파괴검사산업의 기반강화에서는 방사선비파괴검사 작업환경의 종합개선, 기관·단체 육성 및 네트워크 구축, 비파괴검사 정보시스템의 구축 등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지원이 요구됨.

ㅇ 비파괴검사 안전기술 개발사업 추진(제도개선, 기술개발, 안전문화 확산) 등 극도로 열악한 방사선작업환경의 근본적인 개선을 통해 방사선안전문화를 확산하고 방사선피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사선비파괴검사 신기술 개발과 산업적 적용"을 위한 중장기적인 연구 과제 수행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됨.

ㅇ 현재 국내의 비파괴검사기술은 선진국에 비해 낙후되어 있고 기술수준과 역량도 매우 뒤떨어져 있음.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국내에서 비파괴검사의 적용 분야를 확대하고 다양화함으로써 기술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음. 이를 위해서는 NDT기술의 진흥과 체계적인 발전을 위해 연구기관 및 관련 단체(협회·학회) 지원·육성을 통한 제도적 인프라 확충과 선진화된 국가 정보화 체계, 인프라 및 NDT 산업경험을 바탕으로 현장 파급효과가 큰 정보기술의 기반구축이 필요하며, 정보기술을 활용한 온라인(on-line) 기반과 오프라인(off-line)을 통합·연계한 NDT기술통합네트워크의 구축과 운영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됨.

VI.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ㅇ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제2차 비파괴검사기술 진흥계획(안)을 향후 정부정책에 적극 반영함으로써 국내 NDT산업의 건전한 발전기반을 조성하고 국내 NDT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의 첨단기술로 발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이를 위한 정책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ㅇ 아울러 향후 이 연구결과를 활용함으로써 비파괴검사기술의 진흥을 위한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발전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국내 NDT기술의 첨단화, 정밀화, 세계화를 지향함은 물론 국제경쟁력 확보를 통해 국내 NDT기술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는 바임.

ㅇ 아울러 비파괴검사의 신뢰성 확보는 산업현장의 안전성 확보로 귀결되는 한편, 제품의 신뢰성 확보에도 기여하여 국내산업의 발전 및 해외수출을 통한 국가경쟁력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6519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