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 기술 개발 / 산림청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산림청, 2012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338 p. : 삽화,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229571
주기사항
산림과학기술개발사업 최종연구보고서
연구기관: 경상대학교
연구책임자: 마호섭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40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40

제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41

1. 기술적 측면 41

2. 경제적·산업적 중요성 42

3. 사회·문화적 측면 42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4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49

제1절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 구조물의 시공기술개발 49

1. 산지야계의 유역환경조사 49

가. 야계의 특성 분석 49

나. 산청지역의 기상조사 58

2.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버트리스 사방댐 설계 66

가. 테트라블록 66

나.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 개발을 위한 예비시공 69

3. 계류의 특성에 따른 시공모델 개발 84

가.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의 모델 85

나.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의 특징 92

다.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의 설계 93

4.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의 안정성 평가 98

가. 사방댐의 안정성 평가 98

나.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의 안정성 검토 102

5.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 시공기법 105

가. 시공장소와 시공요령 105

나. 설치에 따른 문제점 및 유지관리 107

6.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구조물의 경제성 분석 109

가. 야계구조물의 특성 비교분석 109

나. 야계구조물의 경제성 비교분석 116

제2절 맞춤형 테트라블록 구조물의 시공에 의한 환경영향 평가 119

1. 국내·외에 적용된 야계사방구조물 환경영향 자료 조사 119

가. 국내·외에 적용된 야계사방구조물 환경영향 자료 조사 119

나. 국내에 적용된 각종 야계사방공작물의 환경영향 요인 분석 149

다. 국내에 적용된 야계사방공작물의 환경영향평가 154

2. 국내에 적용된 각종 야계사방공작물의 환경영향 요인 분석 166

가.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에 의한 수질 영향 분석 166

나. 야계내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에 대한 경관영향 분석 172

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에 대한 야계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평가 177

3. 국내에 적용된 야계사방공작물의 환경영향평가 185

가.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수문학적 기능 평가 185

나.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사회 문화적 기능 평가 194

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야계생태계에 미치는 기능 평가 207

제3절 야계유역의 입지해석 및 맞춤형 테트라블록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평가 219

1. GIS기법을 응용한 야계 유역의 입지해석 모델의 개발 219

가. 야계유역 입지 해석 219

나. 야계유역 인자 추출 230

다. 야계입지해석모델 개발 242

2. 수문 및 수리 분석에 의한 맞춤형 테트라블록 구조물의 현장적용성 평가 267

가. 맞춤형 테트라블록 구조물 설치 유역의 유출해석을 통한 홍수량 산정 267

나. 수리계산을 통한 수위, 유속 및 소류력 검토 268

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의 현장적용성 평가 277

3. 맞춤형 테트라블록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평가 292

가. 수리기능 평가 292

나.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평가 294

다.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 하도의 하상변동 예측기법 개발 304

제4장 목표달성도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326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332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34

제7장 참고문헌 335

표 1-1. 집수구역의 현황 53

표 1-2. 지표수 항목별 분석방법 및 원리 55

표 1-3. 수질측정 결과 56

표 1-4. 등급별 수질기준 및 수생태계 상태(환경부) 57

표 1-5. 관측소 현황 58

표 1-6. 기온 59

표 1-7. 습도 및 증발량 60

표 1-8. 연평균 천기일수 60

표 1-9. 풍속 61

표 1-10. 기상자료 정리(산청 관측소) 62

표 1-11. 연평균 강우량 63

표 1-12. 지속시간별 연최대 강우량 64

표 1-13. 산청 관측소의 과거 최대강우량 65

표 1-14. Kutter 공식의 조도계수 n의 값 69

표 1-15. 평균경사 S에 따른 유속결정 71

표 1-16. Kerby공식에서의 n값 변화 73

표 1-17. 도달시간 산정결과 73

표 1-18. 합리식 적용식 유출계수 산정표 74

표 1-19. 설계 현황 76

표 1-20. 토석류구간에 있어서 안정계산에 이용하는 하중(1) 93

표 1-21. 토석류구간에 있어서 안정계산에 이용하는 하중(2) 94

표 1-22. 각종 재료의 마찰계수 및 한계각 99

표 1-23. 콘크리트의 허용강도 100

표 1-24. 각종 축설공사의 허용항압강도 101

표 1-25. 각종 지반의 안전지지력 101

표 1-26. 테트라 블록 버트리스 사방댐의 설계조건 103

표 1-27. 테트라 블록 버트리스 사방댐의 시공조건 103

표 1-28. 합력의 수직분력(∑V) 및 저항모멘트(moment)의 계산 103

표 1-29. 합력의 수평분력(∑H) 및 저항모멘트(moment)의 계산 104

표 1-30. 합리식에 적용되는 유출계수 106

표 1-31. 맞춤형 테트라블록과 타 사방댐별 경제성 분석을 위한 사방댐 규모 116

표 1-32. 맞춤형 테트라블록 사방댐과 타 사방댐별 경제성 분석결과 117

표 2-1. 설치 목적에 따른 유형 구분 149

표 2-2. 재료에 따른 유형 구분 150

표 2-3. 시험유역의 수문특성 167

표 2-4. 계류수질 분석 결과 168

표 2-5.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주변 계곡 경관 분석 결과(전문가 집단) 176

표 2-6.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주변 계곡 경관과 비교 분석 결과(비전문가 집단) 176

표 2-7.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설치에 따른 어류(버들치)의 소상영향 분석 결과 179

표 2-8. 맞춤형 테트라블록 설치에 따른 수서생물(다슬기)의 소상영향 분석 결과 180

표 2-9. 기성 사방댐과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훼손발생면적 비교 183

표 2-10.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설치지의 연평균 강우량 191

표 2-11. 2010년과 2011년 일강우량이 가장 많았던 날의 시간당 강우량 192

표 2-12. 가장 강우량이 많았던 시기에 시간당 강우량에 대한 홍수유출량 192

표 2-13. 지속시간이 24시간인 최대 일강우량에 대한 홍수유출량 193

표 2-14. 계류변 입지특성 209

표 2-15.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 전과 후 계절별 수질변화 209

표 2-16.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상·하류와 사방댐 하류의 전기전도도 213

표 2-17.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설치지 어류소상 결과 215

표 2-18.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설치지 수서생물 채집 결과 217

표 3-1. 사면운동의 분류 220

표 3-2. 지속기간 6시간의 강우중심 223

표 3-3. 2002년 8월 호우현황 및 예년대비 강수량(2002.8.1~9.1) 226

표 3-4. 기상측후소별 최다 시간강수량 기록순위 226

표 3-5. 기상측후소별 최다 일강수량 기록순위 226

표 3-6. 자료분석에 활용되는 강우량 231

표 3-7. 양산 지점의 시간당 강우량(2002. 8. 9) 231

표 3-8. 마천 지점의 시간당 강우량(2002. 8. 31) 231

표 3-9. 삼장 지점의 시간당 강우량(2006. 7. 10) 232

표 3-10.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http://www.wamis.go.kr)의 강우관측소 일람예(경남) 233

표 3-11. 산사태 발생지역의 고도별 발생빈도 234

표 3-12. 산사태 발생지구별 발생위치(발생지점고도/정상고도x100) 및 횡단형 235

표 3-13. 산사태 발생지역의 경사 및 야계 평균경사 235

표 3-14. 각 지구별 경사향(방위)별 산사태 발생빈도 236

표 3-15. 각 지구의 지질별 산사태 발생빈도 237

표 3-16. 각 지구별 토양별 산사태 발생빈도 237

표 3-17. 각 지구별 임상별 산사태 발생빈도 238

표 3-18. 기존의 국내외 사면안정 평가기준 비교 분석 239

표 3-19. 토사사면의 평가기준(안) 241

표 3-20. 토사사면의 평가기준 249

표 3-21. 토사사면의 평가기준 집계표 250

표 3-22. GIS기법을 이용한 야계입지해석모델에 활용가능한 국가 DB 251

표 3-23. 홍계 및 내리 시험유역의 현황 252

표 3-24. 홍계 및 내리 시험유역의 표고분포 253

표 3-25. 홍계 및 내리 시험유역의 경사분포 253

표 3-26. 자연유역의 유출계수(I) 257

표 3-27. 자연유역의 유출계수(II) 258

표 3-28. 자연하천 유역에 대한 도달시간 공식(국립방재연구소, 1998a) 260

표 3-29. 입력자료의 분류 및 도달시간 산정방법 261

표 3-30. 합리식에 의한 시험유역의 홍수량 산정결과 262

표 3-31. 홍계지구의 HEC-RAS에 의한 수리계산결과 264

표 3-32. 내리지구의 HEC-RAS에 의한 수리계산결과 266

표 3-33. 합리식에 의한 시험유역의 홍수량 산정결과 268

표 3-34. 수리계산을 위한 HEC-RAS의 입력조건 272

표 3-35. 홍계 1지구의 HEC-RAS에 의한 수리계산결과 273

표 3-36. 홍계 2지구의 HEC-RAS에 의한 수리계산결과 275

표 3-37. 맞춤형 테트라블록의 제원 279

표 3-38. 수심별 한계유속과 테트라블록 중량 282

표 3-39. 수심별 한계유속과 테트라블록 중량 283

표 3-40. 수심별 한계유속과 테트라블록 중량 283

표 3-41. 수심별 한계유속과 테트라블록 중량 283

표 3-42. 한계유속과 테트라블록 중량 284

표 3-43. 맞춤형 테트라블록의 소요중량 산정식의 평가 287

표 3-44. 유속과 각 공식별 소요사석 직경의 관계 287

표 3-45. 유속과 각 공식별 소요사석 중량의 관계 288

표 3-46. 활동에 대한 안정검토 결과 290

표 3-47. 전도에 대한 안정검토 결과 291

표 3-48. 홍계 1지구의 HEC-RAS에 의한 수리기능 평가 293

표 3-49. 홍계 2지구의 HEC-RAS에 의한 수리기능 평가 293

표 3-50. 연구대상지의 홍수량 산정결과 295

표 3-51. 테트라블록의 제원 296

표 3-52. 홍계 1지구의 수리계산결과 300

표 3-53. 홍계 2지구의 수리계산결과 301

표 3-54. 수심별 한계유속과 테트라블록 중량 301

표 3-55. 수심별 한계유속과 테트라블록 중량 301

표 3-56. 수심별 한계유속과 테트라블록 중량 302

표 3-57. 한계유속과 테트라블록 중량 302

표 3-58. 활동에 대한 안정성 평가 결과 303

표 3-59. 전도에 대한 안정성 평가 결과 303

표 3-60. Program level 305

표 3-61. 산청군 시천관측소(국토해양부) 강우량 320

표 3-62. 테트라블록 사방댐 상·하류의 단면별 퇴적 및 침식량 평가 토적표 323

표 3-63. 테트라블록 사방댐 상·하류의 퇴적량 323

그림 1-1. 시공지역의 위치도(산청군 삼장면) 50

그림 1-2. 시공지역 위치도 51

그림 1-3. 유역구분도 52

그림 1-4. 하상퇴적물 54

그림 1-5. 산청 월별 기온 59

그림 1-6. 산청 월별 천기일수 61

그림 1-7. 산청 월별 풍속 61

그림 1-8. 산청 월별 강우량 63

그림 1-9. 테트라블록 66

그림 1-10. 테트라블록의 개량형 66

그림 1-11. 국내에서 시공된 사방댐 유형 69

그림 1-12. 현장 시공 위치도 78

그림 1-13.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 설계 78

그림 1-14.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 설계도 79

그림 1-15. 테트라블록 79

그림 1-16. 다목적 사방댐 반수면 80

그림 1-17. 다목적 사방댐 대수면 80

그림 1-18.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 예정지 전경 81

그림 1-19.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 시공전 횡단측량 모습 81

그림 1-20.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 시공 전경 82

그림 1-21.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 시공 중 모습 82

그림 1-22.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 모습 83

그림 1-23. 시공한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 전경 85

그림 1-24. H형강 테트라 블록 버트리스 사방댐 설계도 86

그림 1-25. H형강 테트라 블록 버트리스 사방댐 전경 86

그림 1-26. 테트라블록 기슭막이의 시공 사례 88

그림 1-27. 테트라블록 바닥막이 및 대공의 시공사례 89

그림 1-28. 테트라블록 수제의 시공사례 91

그림 1-29. 하중조건(1) 93

그림 1-30. 하중조건(2) 94

그림 1-31. 테트라블록의 순간격과 유속에 따른 수위 95

그림 1-32. 댐의 전도에 대한 안정 조건 98

그림 1-33. 제저에 작용하는 압력의 등변적분포 100

그림 1-34. 댐의 규격 및 각부치수 102

그림 1-35. 중력식 콘크리트 사방댐 110

그림 1-36. 깬돌 사방댐 111

그림 1-37. 콘크리트 블록 사방댐 111

그림 1-38. 철강재 사방댐 112

그림 1-39. 돌망태 사방댐 112

그림 1-40. 목재 사방댐 113

그림 1-41. 철강재 슬리트 사방댐 114

그림 1-42. ARC형 슬리트 사방댐 114

그림 1-43. 버트리스(부벽식) 사방댐 114

그림 1-44. 에코필라 사방댐 115

그림 1-45. 테트라블록 버트리스 사방댐 115

그림 2-1. 자연형 하천의 계류변 비교 121

그림 2-2. 바닥막이와 어도 122

그림 2-3. 호박돌을 이용한 유속감쇠공 122

그림 2-4. 다리 및 교량 123

그림 2-5. 돌과 나무말뚝을 이용한 수제 125

그림 2-6. 호박돌을 이용한 여울조성 및 계안보호공 125

그림 2-7. 통나무 및 콘크리트계단을 이용한 휴식터 126

그림 2-8. 계안 침식 방지 및 보호 공법 126

그림 2-9. 수변 침식방지 방법 127

그림 2-10. 계곡의 자연성 보존 127

그림 2-11. 산사태발생지 처리 128

그림 2-12. 계안 관리 128

그림 2-13. 낙차공 비교 129

그림 2-14. 사방댐 비교 130

그림 2-15. 여울과 목재를 이용한 유속감소 130

그림 2-16. 기 설치된 국내·외 하천의 구조/기능 비교 131

그림 2-17. 국내·외에 적용된 자연친화적 야계사방공작물 사례 133

그림 2-18. 맹아지 고정공법 적용 136

그림 2-19. 부분적인 식생-지오그라드 공법과 적용한 복원공법이 완성된 전경 137

그림 2-20. 미국에서 적용하는 계류 및 야계 복원공법 138

그림 2-21. 미국에서 적용하는 계류 및 야계 복원공법 140

그림 2-22. 미국에서 적용하는 야계 또는 계독 유역 복원공법 141

그림 2-23. 조사지역 위치도,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166

그림 2-24.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한 후 계류수의 pH 변화 169

그림 2-25.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한 후 계류수의 전기전도도(EC) 변화 170

그림 2-26.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한 후 계류수의 용존산소량(DO) 변화 171

그림 2-27.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설치한 후 계류수의 이온총량의 변화 172

그림 2-28. 시공된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174

그림 2-29. 맞춤형 테트라블록에 녹화피복재를 부탁한 상태 174

그림 2-30. 주변 암석과 유사한 색으로 페인트칠을 한 위장 공법 174

그림 2-31.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거푸집을 자연석처럼 만들어 틀 구성 위장공법 174

그림 2-32. 테트라블록 댐 제작시 거푸집을 자연석처럼 만든 틀구성 위장공법 174

그림 2-33. 어류 포획(좌) 후 몸체크기 측정(중) 후 꼬리지느러미 절단(우) 177

그림 2-34. 버들치 포획 후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소상 개체 확인(좌),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상류 어류 채집지(중)·하류 채집지(우) 179

그림 2-35.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에서 테트라블록이 놓이는 곳(좌)와 하류에서 보았을 때(중)와 상류에서 보았을 때 상시 계류흐름이 계상 물매와 같이 진행되는 전경(우) 180

그림 2-36. 수서곤충(다슬기) 서식(좌)지와 포획 후 개체 수 확인 작업(우) 181

그림 2-37.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을 시공 과정 182

그림 2-38. 맞춤형 테트라블록 설치를 위한 장비진입로는 기존 등산로의 정비로 산지훼손을 저감하였고(좌),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의 설치로 하류 저수댐의 피해 저감 184

그림 2-39. 현재 시공된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185

그림 2-40.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하부에 있는 콘크리트 틀을 평탄화 하여 상부 계곡과 자연 계상 물매를 준 상태 186

그림 2-41.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하단부에 계곡경관을 살리기 위하여 자연석을 축설하여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상단부를 축소한 상태 186

그림 2-42.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측벽을 주변 자연석과 동일하게 처리한 방법 186

그림 2-43.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측벽을 주변 자연석과 동일하게 처리하고, 댐 하부 콘크리트 틀을 평탄화 하여 상부 계곡과 자연 계상 물매를 준 상태 187

그림 2-44.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고정밴드 상세도 187

그림 2-45.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상세도 188

그림 2-46. 1호기는 콘크리트로 측벽을 설치해 중앙부로 계류가 소통하고, 측벽의 침식 등 영향이 없으나(左上, 右上), 2호기는 측벽을 설치하지 않아 물받침이 세굴되는 현상이 나타남(右下). 189

그림 2-47. 계류수 수소이온농도 변화 210

그림 2-48. 계류수 전기전도도변화 211

그림 2-49. 계류수 용존산소량 변화 212

그림 2-50.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1호기 상류(左上), 하류(右上),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하류 콘크리트 사방댐(左下), 사방댐 하류 녹조발생계류(右下) 214

그림 2-51. 버들치 포획 후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소상 개체 확인(좌),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 상류 어류 채집지(중)·하류 채집지(우) 215

그림 2-52. 맞춤형 테트라블록을 이용한 야계사방구조물에서 테트라블록이 놓이는 곳(좌)와 하류에서 보았을 때(중)와 상류에서 보았을 때 상시 계류흐름이 계상 물매와 같이 진행되는 전경(우) 216

그림 3-1. 태풍 '루사' 이동 경로관통(강우량은 8월31일~9월1일) 224

그림 3-2. '루사'에 의한 호우 시간적·공간적 분포(2002. 8. 31, 3시간연속강우) 225

그림 3-3. 마천면 당흥마을 산사태 227

그림 3-4. 마천면 가흥마을 산사태 227

그림 3-5. 마천면 덕전마을 산사태 227

그림 3-6. 마천면 군자마을 산사태 227

그림 3-7. 가북면 용암리 산사태(사망2명) 227

그림 3-8. 가북면 몽석리 산사태 228

그림 3-9. 가북면 중촌리 산사태 228

그림 3-10. 시천면 반천지구 산사태 발생지점 상황 228

그림 3-11. 산사태 발생지와 토석류 퇴적위치(2002년 피해사진) 229

그림 3-12. 피해주택 상류 급류부의 측방침식 229

그림 3-13. 주택 파손지점 전경 229

그림 3-14. 사변붕괴-강우량 상관관계('02, '06년 집중호우시 경남 지역) 231

그림 3-15. 산사태 발생지역의 고도별 발생빈도 234

그림 3-16. 산사태 발생지구의 고도-경사의 관계 236

그림 3-17. 야계입지해석을 위한 기초자료 240

그림 3-18. 야계입지해석모델 구성도 242

그림 3-19. 야계사면안정성 평가모델 구성도 243

그림 3-20. 함양군 마천면 군자리, 가흥리 244

그림 3-21. 거창군 가북면 몽석리 244

그림 3-22. 산청군 시천면 반천리 245

그림 3-23. 거창군 웅양면 산포리 245

그림 3-24. 가흥지구의 수치지형도와 항공사진을 중첩한 레이어 246

그림 3-25. 가흥지구의 수치지형도와 지질도를 중첩한 레이어 246

그림 3-26. 가흥지구의 수치지형도와 토양도를 중첩한 레이어 247

그림 3-27. 가흥지구의 수치지형도, 임상도를 중첩한 레이어 247

그림 3-28. 야계하도입지해석모델 구성도 251

그림 3-29. 홍계리의 표고분포 253

그림 3-30. 홍계리의 경사분포 253

그림 3-31. 홍계리의 경사향 분포 253

그림 3-32. 홍계리 음영기복도 253

그림 3-33. 홍계지구의 지질, 임상도 및 식생도 254

그림 3-34. 내리의 표고분포 254

그림 3-35. 내리의 경사분포 254

그림 3-36. 내리의 경사향 분포 254

그림 3-37. 내리의 음영기복도 254

그림 3-38. 내리지구의 지질, 임상도 및 식생도 255

그림 3-39. 홍계지구 야계의 고도, 경사 및 경사향 분포 255

그림 3-40. 내리지구 야계의 고도, 경사 및 경사향 분포 256

그림 3-41. 합리식의 가정 256

그림 3-42. 홍계지구 CAD의 평면도, 횡단도 및 HEC-RAS의 계산결과 및 횡단면도 263

그림 3-43.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한 홍계지구 종단면도 263

그림 3-44. HEC-RAS의 계산결과에 의한 홍계지구 종단면도 264

그림 3-45. 내리지구 CAD의 평면도, 횡단도 및 HEC-RAS의 계산결과 및 횡단면도 265

그림 3-46.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한 내리지구 종단면도 265

그림 3-47. HEC-RAS의 계산결과에 의한 내리지구 종단면도 266

그림 3-48. 합리식의 가정 267

그림 3-49. 에너지 방정식의 도해 269

그림 3-50. 홍계 1지구 현장(시공 1년후) 272

그림 3-51. 홍계 2지구 현장(시공 1년후) 272

그림 3-52. 홍계1지구 유역평면도, 횡단도 및 HEC-RAS의 계산결과 횡단면도 274

그림 3-53. 홍계1지구 종단면도 274

그림 3-54. HEC-RAS의 계산결과에 의한 홍계1지구 종단면도 275

그림 3-55. 홍계 2지구 유역평면도, 횡단도 및 HEC-RAS의 계산결과 및 횡단면도 276

그림 3-56. 홍계 2지구 종단면도 276

그림 3-57. HEC-RAS의 계산결과에 의한 홍계 2지구 종단면도 277

그림 3-58. 맞춤형테트라블록의 현장 적용성 평가 흐름도 278

그림 3-59. 맞춤형 테트라블록의 제원 279

그림 3-60. 소류모델 280

그림 3-61. 활동모델 280

그림 3-62. 전도모델 280

그림 3-63. 힘의 평형모델 280

그림 3-64. 하상에서의 소류력 280

그림 3-65. 수심별 한계유속-테트라블록 중량 282

그림 3-66. 수심별 한계유속-테트라블록 중량 283

그림 3-67. 수심별 한계유속-테트라블록 중량 283

그림 3-68. 수심별 한계유속-테트라블록 중량 283

그림 3-69. 한계유속과 테트라블록 중량 284

그림 3-70. 유속과 사석직경의 관계 288

그림 3-71. 유속과 사석중량의 관계 288

그림 3-72. 테트라블록의 활동 모델 288

그림 3-73. 테트라블록의 평면 배치에 따른 전도검토 290

그림 3-74. 맞춤형테트라블록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평가 흐름도 292

그림 3-75. 연구 대상지 295

그림 3-76. 테트라블록의 제원 295

그림 3-77. 힘의 평형모델 296

그림 3-78. 소류모델 296

그림 3-79. 활동모델 296

그림 3-80. 전도모델 296

그림 3-81. 테트라블록의 활동 모델 298

그림 3-82. 테트라블록의 평면배치에 따른 전도 평가 299

그림 3-83. 홍계 1지구의 평면도 및 횡단면도 300

그림 3-84. 홍계 2지구 평면도 및 횡단면도 300

그림 3-85. 수심별 한계유속-테트라블록 중량 301

그림 3-86. 수심별 한계유속-테트라블록 중량 301

그림 3-87. 수심별 한계유속-테트라블록 중량 302

그림 3-88. 한계유속과 테트라블록 중량 302

그림 3-89. 사방댐 상류의 흐름의 천이 307

그림 3-90. 천이점 부근의 하상변동 차분 307

그림 3-91. 사방댐 상류 퇴사계산에 대한 표준축차계산법과 MacConmack법 308

그림 3-92. 좌표계 309

그림 3-93. 계산의 수순 310

그림 3-94. 연직 Slit dam과 수평 Slit dam 313

그림 3-95. 좌표계 315

그림 3-96. 부주(浮州)의 발생과 수몰 316

그림 3-97. 격자점상의 변수의 정의 317

그림 3-98. 풍상차분 설명도 318

그림 3-99. 경계조건의 측정 319

그림 3-100. 홍계 1지구의 현황 320

그림 3-101. 홍계 2지구의 현황 320

그림 3-102. 홍계 1지구 지형측량 성과(평면도, 종단도, 횡단도) 322

그림 3-103. 홍계 2지구 지형측량 성과(평면도, 종단도, 횡단도) 323

그림 3-104. 홍계 1지구의 테트라블록 사방댐의 퇴사현황 324

그림 3-105. 홍계 2지구의 테트라블록 사방댐의 퇴사현황 324

그림 3-106. 홍계 1지구 하상재료 퇴적상황 325

그림 3-107. 홍계 2지구 하상재료 퇴적상황 325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7029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