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도심재생 사업화 모델 개발 최종보고서 : 2-1-1 세세부 / 국토해양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도시재생사업단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 2012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xxvi, 625 : 삽화,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230915
주기사항
도시재생사업 최종 결과 보고서
2핵심 도시재생 기반기술 개발
연구기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안건혁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목차

제1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31

제1절 연구개발 목표 31

1. 최종목표 31

2. 단계별 연구목표 31

제2절 연구개발 필요성 34

1. 기술적 측면 34

2. 경제/산업적 측면 35

3. 사회/문화적 측면 35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7

1. 1단계 연구개발의 범위 및 방법 37

2. 2단계 연구개발의 범위 및 방법 38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3

제1절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3

1. 국내 기술개발 현황 43

2. 국외 기술개발 현황 46

제2절 연구결과가 차지하는 위치 49

1. 전체 연구결과가 차지하는 위치 49

2. 세부 연구목표가 전체 연구결과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 51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53

제1절 이론 및 실험적 접근방법 53

1. 이론적 접근방법 53

2. 실험적 접근방법 55

제2절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 57

1. 복합개발형 도심재생 사업화 모델 57

가. 사업화 모델 개발 57

나. 사업화 모델 정교화 161

다. 사업화 모델 테스트베드 적용, 환류 및 보완 169

2. 도심재생 사업 파급효과 313

가. 입체복합공간 개발의 파급효과분석 313

나. 입체/복합 공간 개발로 인한 지역파급효과 측정 339

다. 테스트베드 대상지 개발에 따른 파급효과 분석 347

3. GIS 의사결정지원도구 361

가. GIS를 활용한 입체/복합 사업 의사결정 지원도구 알고리즘 361

4. 사업우선대상지 및 공간조성 평가기법 373

가. 국내 입체복합공간 사례의 유형화 및 입지여건분석 373

나. 입체복합공간의 핵시설 및 사업우선대상지 선정 389

다. 입체복합공간의 공간유형화기법 및 공간분석 436

라. 입체/복합공간 공간조성 및 평가기법 개발 458

5. 지방 중소도시 복합용도 재생사업 방안 469

가. 지방 중소도시 여건분석 469

나. 복합개발 사례분석 490

다. 지방 중소도시에 적용 가능한 복합개발 모형 500

라. 지방 중소도시 재생사업 지원정책 506

마. 국내 적용 방안 528

제3절 Test Bed 추진내용 결과 575

1. Test Bed 개요 575

2. Test Bed 적용 결과 575

제4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587

제1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587

1. 연구개발 수행 진도율 587

2.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590

제2절 연구개발 성과지표 달성도 596

제3절 관련분야 기여도 597

1. 전반적인 산업구조의 개선을 통한 각 산업의 발전 598

2. 도심재생사업의 시너지 효과 및 경제력 향상 598

제5장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600

제1절 연구성과 600

제2절 연구성과 활용계획 609

제6장 연구개발 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613

제1절 연구개발 중 수집한 자료 613

제2절 해외출장 중 수집한 자료 614

제7장 참고문헌 626

제1절 국내문헌 626

제2절 국외문헌 650

판권기 656

〈표 1-1〉 연구 내용 및 흐름 32

〈표 1-2〉 도심재생 사업화 모델 개발 연차별 연구개발 내용 39

〈표 2-1〉 국내 전문가 및 연구기관 현황 43

〈표 2-2〉 선진국 대비 건설기술 인프라 수준 44

〈표 2-3〉 세부 기술별 기술수준 45

〈표 2-4〉 세부 기술별 국외대비 기술수준 45

〈표 2-5〉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주요 업체 46

〈표 2-6〉 입체/복합공간 사업과 관련된 국외 특허 47

〈표 2-7〉 복합개발 관련 특허 동향 48

〈표 2-8〉 초고층 건축물 시공 및 설계관련 기술 특허동향 48

〈표 2-9〉 지하 건축물 사공 및 설계관련 기술 특허동향 49

〈표 2-10〉 연구개발과제의 중복방지를 위한 조사 및 검토결과 50

〈표 3-1〉 이론적 접근방법 53

〈표 3-2〉 실험적 접근방법 55

〈표 3-3〉 지역경제분석 구분 57

〈표 3-4〉 구별 쇠퇴지수 60

〈표 3-5〉 2005년 서울시 구별 낙후지수 61

〈표 3-6〉 2-변수 회귀분석 결과 61

〈표 3-7〉 잠재력 분석 과정 및 결과 62

〈표 3-8〉 수요와 접근성을 고려한 도서관 입지 우선순위(운선순위) 선정 예 65

〈표 3-9〉 지역의 평균 도달거리 산정 65

〈표 3-10〉 주요 변수 구성 66

〈표 3-11〉 도서관 구조방정식 추정 결과 67

〈표 3-12〉 도서관 축약방정식 추정 결과 68

〈표 3-13〉 부족률 기준에 의한 도서관 입지 우선순위 68

〈표 3-14〉 효용 기준에 의한 도서관 입지 우선순위 69

〈표 3-15〉 박물관 구조방정식 추정 결과 70

〈표 3-16〉 박물관 축약방정식 추정 결과 70

〈표 3-17〉 소요면적 기준에 의한 박물관 입지 우선순위 71

〈표 3-18〉 부족률 기준에 의한 박물관 입지 우선순위 71

〈표 3-19〉 효용 기준에 의한 박물관 입지 우선순위 72

〈표 3-20〉 미술관 구조방정식 추정 결과 73

〈표 3-21〉 미술관 축약방정식 추정 결과 73

〈표 3-22〉 소요면적 기준에 의한 미술관 입지 우선순위 74

〈표 3-23〉 부족률 기준에 의한 미술관 입지 우선순위 74

〈표 3-24〉 효용 기준에 의한 미술관 입지 우선순위 75

〈표 3-25〉 문예회관 구조방정식 추정 결과 76

〈표 3-26〉 문예회관 축약방정식 추정 결과 76

〈표 3-27〉 소요면적 기준에 의한 문예회관 입지 우선순위 77

〈표 3-28〉 부족률 기준에 의한 문예회관 입지 우선순위 77

〈표 3-29〉 효용 기준에 의한 문예회관 입지 우선순위 78

〈표 3-30〉 문화의집 구조방정식 추정 결과 79

〈표 3-31〉 문화의집 축약방정식 추정 결과 79

〈표 3-32〉 소요면적 기준에 의한 문화의집 입지 우선순위 80

〈표 3-33〉 부족률 기준에 의한 문화의집 입지 우선순위 80

〈표 3-34〉 효용 기준에 의한 문화의집 입지 우선순위 81

〈표 3-35〉 효용 기준에 의한 공공문화시설 입지 우선순위 81

〈표 3-36〉 연구 흐름 85

〈표 3-37〉 서울, 인천, 경기지역의 가구수와 총방수 85

〈표 3-38〉 1인당 방수와 1인당 지역총생산 86

〈표 3-39〉 서울 1인당 방수추정모형 86

〈표 3-40〉 서울 주택수요추정 87

〈표 3-41〉 모형차이에 따른 추정결과의 비교 88

〈표 3-42〉 모형의 검정을 위한 전세가격지수와의 회귀분석 89

〈표 3-43〉 서울지역의 주택수요와 공급전망 90

〈표 3-44〉 연구 흐름 93

〈표 3-45〉 선행 연구 정리 93

〈표 3-46〉 변수 선정 (1차) 96

〈표 3-47〉 최종 변수 97

〈표 3-48〉 업무시설 분석 결과 99

〈표 3-49〉 연구 흐름 102

〈표 3-50〉 패널을 이용한 횡단면시계열의 검정 결과 103

〈표 3-51〉 상업시설 연면적에 대한 패널프로시저 결과 104

〈표 3-52〉 변수선정(1차) 107

〈표 3-53〉 호텔 분석 결과 108

〈표 3-54〉 입체복합공간의 시장성 112

〈표 3-55〉 지역경제분석에 따른 입지성 113

〈표 3-56〉 시장성 분석 결과 114

〈표 3-57〉 변수 선정 116

〈표 3-58〉 기초통계량 117

〈표 3-59〉 다중회귀분석 결과 118

〈표 3-60〉 모형의 적합성 및 설명력 119

〈표 3-61〉 추정계수 비교 119

〈표 3-62〉 능형회귀분석 결과 120

〈표 3-63〉 용적률 계수값 121

〈표 3-64〉 공간구문론 지표 122

〈표 3-65〉 개별특성 독립변수 124

〈표 3-66〉 단지특성 독립변수 125

〈표 3-67〉 입지특성 독립변수 126

〈표 3-68〉 회귀분석 결과 127

〈표 3-69〉 업무시설 임대료 분석을 위한 변수구성 129

〈표 3-70〉 서울 업무시설 임대료 헤도닉 가격모형 결과 130

〈표 3-71〉 상업시설 임대료 분석을 위한 변수구성 132

〈표 3-72〉 상업시설 임대료의 헤도닉 가격모형결과 134

〈표 3-73〉 호텔 구조방정식에 사용된 변수 136

〈표 3-74〉 호텔 구조방정식 추정결과 136

〈표 3-75〉 호텔의 축약방정식 추정 결과 138

〈표 3-76〉 도서관 공간별 면적 구성 140

〈표 3-77〉 배후지역 인구규모에 따른 기능별 면적 142

〈표 3-78〉 행정구역 내 시설 수 142

〈표 3-79〉 배후지역 인구규모에 따른 기능별 면적 144

〈표 3-80〉 배후지역 인구규모에 따른 기능별 면적 146

〈표 3-81〉 연구 흐름도 151

〈표 3-82〉 이산선택모형(로짓모형) 결과 152

〈표 3-83〉 삼성동 쇼핑통행량 구별 분포 154

〈표 3-84〉 코엑스 증축 후 구별 통행확률 변화 156

〈표 3-85〉 코엑스 증축 후 행정동별 통행확률 변화 157

〈표 3-86〉 구별 코엑스 이용자수(이용확률) 변화 158

〈표 3-87〉 투자수익률 분석을 위한 가정 159

〈표 3-88〉 재무적 투자수익률 분석(용적률 인센티브 없을 시) 160

〈표 3-89〉 재무적 투자수익률 분석(용적률 인센티브 적용) 160

〈표 3-90〉 서울시 판매시설 위계분석결과(1000m) 165

〈표 3-91〉 서울시 판매시설 위계분석결과(5000m) 165

〈표 3-92〉 상권별 가구 수 167

〈표 3-93〉 상권별 2012년 가구 수 추정 167

〈표 3-94〉 가구당 소비지출액 168

〈표 3-95〉 2012년 가구당 소비지출액 추정 168

〈표 3-96〉 연간 ㎡당 효율 168

〈표 3-97〉 판매시설 연면적 추정 169

〈표 3-98〉 2006-2010 가구별 주거면적 기초통계량 177

〈표 3-99〉 2006-2010 가구별 소득 기초통계량 177

〈표 3-100〉 2006-2010 가구별 가구원수 기초통계량 177

〈표 3-101〉 연도별 수정된 M-W 모형 추정 결과 178

〈표 3-102〉 2011-2020 수정된 M-W 모형의 연도별 연령별 계수값 산정 결과 179

〈표 3-103〉 지역별 신규주택 수요(호) 179

〈표 3-104〉 지역별 신규주택 수요(호) 180

〈표 3-105〉 서울시 전세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1

〈표 3-106〉 부산시 전세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1

〈표 3-107〉 대구시 전세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1

〈표 3-108〉 인천시 전세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1

〈표 3-109〉 광주시 전세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2

〈표 3-110〉 대전시 전세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2

〈표 3-111〉 울산시 전세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2

〈표 3-112〉 서울시 매매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2

〈표 3-113〉 부산시 매매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3

〈표 3-114〉 대구시 매매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3

〈표 3-115〉 인천시 매매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3

〈표 3-116〉 광주시 매매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3

〈표 3-117〉 대전시 매매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4

〈표 3-118〉 울산시 매매가격지수모형 추정 결과 184

〈표 3-119〉 서울시 및 6대 광역시 전세가격지수·매매가격지수 예측 184

〈표 3-120〉 추가 신규 주택공급으로 인한 가격변동 예측 예시 (부산광역시) 185

〈표 3-121〉 오피스 관련 선행연구 187

〈표 3-122〉 오피스 수요변수 설정 188

〈표 3-123〉 오피스 공급변수 설정 189

〈표 3-124〉 오피스 가격변수 설정 190

〈표 3-125〉 수급 및 가격변수의 정의 및 적정 공급규모 산정방법 과정 191

〈표 3-126〉 분석 자료의 내역 및 출처 193

〈표 3-127〉 11층 이상 대형 오피스 현황 ① 194

〈표 3-128〉 11층 이상 대형 오피스 현황 ② 194

〈표 3-129〉 서울·경기 및 광역시 대형 오피스 공실률 현황 194

〈표 3-130〉 서울·경기 및 광역시 대형 오피스 누적수요 현황 195

〈표 3-131〉 서울·경기 및 광역시 대형 오피스 신규수요 현황 195

〈표 3-132〉 서울·경기 및 광역시 대형 오피스 전세금 현황 196

〈표 3-133〉 수요모형 구축결과① 197

〈표 3-134〉 수요모형 구축결과② 197

〈표 3-135〉 공급모형 구축결과① 198

〈표 3-136〉 공급모형 구축결과② 198

〈표 3-137〉 가격모형 구축결과① 199

〈표 3-138〉 가격모형 구축결과② 199

〈표 3-139〉 상업시설 수급시장 주체 영향 요인 201

〈표 3-140〉 분석절차 205

〈표 3-141〉 데이터 구축을 위한 자료의 출처 206

〈표 3-142〉 상업시설 공급모형 분석결과 207

〈표 3-143〉 면적당 매출액 모형 분석결과 207

〈표 3-144〉 추정결과 208

〈표 3-145〉 분석 과정 210

〈표 3-146〉 쇼핑목적 통행량 추정 모형의 독립변수 구성 213

〈표 3-147〉 서울특별시 쇼핑목적 통행량 추정 모형 구축 결과 216

〈표 3-148〉 인천광역시 쇼핑목적 통행량 추정 모형 구축 결과 216

〈표 3-149〉 경기도 쇼핑목적 통행량 추정 모형 구축 결과 217

〈표 3-150〉 실제 백화점 매출액을 이용한 모형의 오차율 검증 217

〈표 3-151〉 객단가 추정 모형 구축 결과 218

〈표 3-152〉 평효율 추정 모형 구축 결과 218

〈표 3-153〉 내국인 수요모형 224

〈표 3-154〉 외국인 수요모형 225

〈표 3-155〉 공급모형 226

〈표 3-156〉 가격모형 228

〈표 3-157〉 숙박시설 거시추정량 230

〈표 3-158〉 시도별 수요, 공급, 객실이용률 현황(2010년) 231

〈표 3-159〉 시도별 연판매객실수 (천실) 233

〈표 3-160〉 시도별 판매가능객실수(실) 233

〈표 3-161〉 시도별 객실이용률 234

〈표 3-162〉 분석 과정 237

〈표 3-163〉 도서관 회귀방정식 추정 결과 237

〈표 3-164〉 도서관 공급 우선순위 238

〈표 3-165〉 박물관 회귀방정식 추정 결과 239

〈표 3-166〉 박물관 공급 우선순위 240

〈표 3-167〉 미술관 회귀방정식 추정 결과 240

〈표 3-168〉 미술관 공급 우선순위 241

〈표 3-169〉 문예회관 회귀방정식 추정 결과 242

〈표 3-170〉 문예회관 공급 우선순위 243

〈표 3-171〉 지역경제요인 및 전시운영요인을 고려한 인천광역시 전시장 수요 (예시) 245

〈표 3-172〉 지역경제요인을 고려한 인천광역시 전시장 수요 (예시) 245

〈표 3-173〉 국가 내 전시장 면적수요 예측모형의 원자료 246

〈표 3-174〉 전시장 면적수요 예측값 (2010~2020) 247

〈표 3-175〉 국내 컨벤션 센터별 국제회의, 전시회 개최건수 (UIA, GEP 집계) 247

〈표 3-176〉 추정된 시설별 면적수요 배분 248

〈표 3-177〉 추정된 시설별 면적수요 배분 248

〈표 3-178〉 변수 설정 252

〈표 3-179〉 서울시 전세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3

〈표 3-180〉 부산시 전세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3

〈표 3-181〉 대구시 전세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4

〈표 3-182〉 인천시 전세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4

〈표 3-183〉 광주시 전세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4

〈표 3-184〉 대전시 전세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5

〈표 3-185〉 울산시 전세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5

〈표 3-186〉 서울시 매매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5

〈표 3-187〉 부산시 매매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6

〈표 3-188〉 대구시 매매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6

〈표 3-189〉 인천시 매매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7

〈표 3-190〉 광주시 매매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7

〈표 3-191〉 대전시 매매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7

〈표 3-192〉 울산시 매매가격 헤도닉가격 모형 추정 결과 258

〈표 3-193〉 전용면적기준 평형구분 259

〈표 3-194〉 주상복합 가격모형 변수구성 260

〈표 3-195〉 전국 광역시 주상복합 매매현황 262

〈표 3-196〉 서울특별시 주상복합 매마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264

〈표 3-197〉 인천광역시 주상복합 매마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265

〈표 3-198〉 울산광역시 주상복합 매마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266

〈표 3-199〉 대구광역시 주상복합 매마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267

〈표 3-200〉 부산광역시 주상복합 매마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269

〈표 3-201〉 대전광역시 주상복합 매마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270

〈표 3-202〉 광역시 아파트 시장 비교 270

〈표 3-203〉 대전광역시 주상복합 매마가격모형으로 추정된_광주광역시 주상복합 매매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271

〈표 3-204〉 전용면적기준 평형구분 272

〈표 3-205〉 오피스텔 가격모형 변수구성 273

〈표 3-206〉 전국 광역시 오피스텔 매매현황 275

〈표 3-207〉 서울특별시 오피스텔 매마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277

〈표 3-208〉 부산광역시 오피스텔 매마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279

〈표 3-209〉 대전광역시 오피스텔 매마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280

〈표 3-210〉 대구광역시 오피스텔 매마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281

〈표 3-211〉 인천광역시 오피스텔 매마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283

〈표 3-212〉 광역시 아파트시장 비교 283

〈표 3-213〉 대전광역시 오피스텔 매마가격모형으로 추정된_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오피스텔 매매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284

〈표 3-214〉 연면적기준 오피스 구분 287

〈표 3-215〉 오피스 임대료 모형 변수구성 288

〈표 3-216〉 Duncan's Multiple Range Test결과 289

〈표 3-217〉 공간적 종속성 검정 통계량 289

〈표 3-218〉 수도권 오피스 임대료모형 (Spatial error Model)추정결과 290

〈표 3-219〉 공간적 종속성 검정 통계량 290

〈표 3-220〉 기타 광역시 오피스 임대료모형 (Spatial autoregressive Model)추정결과 291

〈표 3-221〉 공간자기상관 검정결과 294

〈표 3-222〉 서울시 상가분양가 추정모형(SAC) 295

〈표 3-223〉 부산시 상가분양가 추정모형(SAC) 296

〈표 3-224〉 인천시 상가분양가 추정모형(SAC) 297

〈표 3-225〉 대구시 상가분양가 추정모형 298

〈표 3-226〉 대전시 상가분양가 추정모형 299

〈표 3-227〉 광주시 상가분양가 추정모형 300

〈표 3-228〉 울산시 상가분양가 추정모형 301

〈표 3-229〉 서울지역 호텔들의 기술통계량 305

〈표 3-230〉 서울지역 관광호텔 평균객실요금 추정모형 306

〈표 3-231〉 서울 외 도심지역 호텔들의 기술통계량 308

〈표 3-232〉 서울 외 도심지역 관광호텔 평균객실요금 추정모형 309

〈표 3-233〉 기타지역 호텔들의 기술통계량 311

〈표 3-234〉 기타지역 관광호텔 평균객실요금 추정모형 312

〈표 3-235〉 입체·복합공간 기능별 산업 분류 320

〈표 3-236〉 고용함수 추정 결과 321

〈표 3-237〉 인구함수 추정 결과 322

〈표 3-238〉 생산액 함수 추정 결과 323

〈표 3-239〉 재정(재산세) 추정 결과 324

〈표 3-240〉 산업별 생산액함수 추정 결과 324

〈표 3-241〉 사업체 기초통계조사 산업 및 산업연관표 산업 분류 325

〈표 3-242〉 산업별 종사자 100명 증가에 따른 부가가치 변화 325

〈표 3-243〉 실험 대상지 327

〈표 3-244〉 대안 1에 대한 부가가치 변화 336

〈표 3-245〉 대안 2에 대한 부가가치 변화 337

〈표 3-246〉 대안 3에 대한 부가가치 변화 337

〈표 3-247〉 대안 4에 대한 부가가치 변화 338

〈표 3-248〉 대안별 부가가치 직접 및 간접파급효과 338

〈표 3-249〉 도시재생 연립방정식 수립을 위한 공간자기회귀모형(SAR) 추정 342

〈표 3-250〉 도시재생사업의 건설효과 343

〈표 3-251〉 대구광역시 입체복합개발시설 개발로 인한 전국 파급효과 평균변화율 344

〈표 3-252〉 전라북도 입체복합개발시설 개발로 인한 전국 파급효과 평균변화율 344

〈표 3-253〉 분석 과정 349

〈표 3-254〉 분석 대상 및 범위 353

〈표 3-255〉 통행량 추정 모형의 독립변수 구성 354

〈표 3-256〉 교통수단 선택확률 모형의 독립변수 구성 355

〈표 3-257〉 통행량 추정 모형 분석 결과 356

〈표 3-258〉 입체복합시설 소재 행정구 쇼핑통행량 변화 357

〈표 3-259〉 교통수단 선택확률 모형 분석 결과 358

〈표 3-260〉 교통수단별 1일 추정 통행량 359

〈표 3-261〉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 및 화폐가치 360

〈표 3-262〉 GIS활용 의사결정지원도구 알고리즘 수정보완 내용 362

〈표 3-263〉 주거시설 비용과 수익 항목별 구성 367

〈표 3-264〉 업무시설 비용과 수익 항목별 구성 368

〈표 3-265〉 이경춘 - 층별 매매가 비율 369

〈표 3-266〉 입체복합공간 개발사례 입지현황 유형분류 375

〈표 3-267〉 입체복합공간 개발 사례의 기존 토지이용현황의 유형 분류 377

〈표 3-268〉 입체복합공간의 도입 기능요소 379

〈표 3-269〉 입체복합공간의 앵커시설 유형 380

〈표 3-270〉 입체복합공간 사례의 도입시설 구분 380

〈표 3-271〉 입체복합공간 사례의 기능별 배분 381

〈표 3-272〉 국내 입체복합공간 개발사례 기능별 유형 분류 381

〈표 3-273〉 국내 입체복합공간 개발사례 규모별 유형 분류 383

〈표 3-274〉 서울특별시 정비구역 지정요건 394

〈표 3-275〉 도촉법 상의 촉진지구 지구지정 면적기준 395

〈표 3-276〉 용도지역 변경에 따른 공공기여비율 (서울특별시) 396

〈표 3-277〉 선행연구 검토결과 지역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지표항목 399

〈표 3-278〉 사업우선대상지 상관분석을 위한 지표설정 결과 399

〈표 3-279〉 제3원칙의 선정된 지표간 상관분석 결과 400

〈표 3-280〉 입체·복합 공간개발 사업우선대상지 평가기법 지표 (종합) 402

〈표 3-281〉 선행연구 404

〈표 3-282〉 사례별 도입기능에 따른 세부 도입시설 408

〈표 3-283〉 입지별 유형화에 따른 사례 구분 결과 411

〈표 3-284〉 입지별 유형화에 따른 도입기능 검토 411

〈표 3-285〉 입지별 유형화 시 주요 도입 기능의 고려사항(사례조사 분석) 415

〈표 3-286〉 입지별 유형화 시 주요 도입 기능 고려사항(설문조사 분석) 415

〈표 3-287〉 건축연면적 기준에 따른 도입기능별 유형화 검증 417

〈표 3-288〉 도입기능별 주요 도입시설 418

〈표 3-289〉 기능별 유형화 시 핵시설 도입의 고려사항(사례조사 분석) 422

〈표 3-290〉 기능별 유형화 시 핵시설 도입의 고려사항(설문조사 분석) 423

〈표 3-291〉 집객성 분석시 제외하거나 조정한 기능 및 시설 425

〈표 3-292〉 기능 및 시설별 우선순위 426

〈표 3-293〉 집객성 분석결과 427

〈표 3-294〉 집객성 분석결과 도출된 기능별 핵시설 428

〈표 3-295〉 집객성 분석결과 도출된 기능별 핵시설 428

〈표 3-296〉 1단계 : 입지특성 분석 과정(예 : 용산민자역사) 429

〈표 3-297〉 1~2단계 : 기존 토지이용현황 분석 과정(예 : 용산민자역사) 430

〈표 3-298〉 1~3단계 : 주요 기능분석 과정(예 : 용산민자역사) 430

〈표 3-299〉 적정 도입 핵시설 431

〈표 3-300〉 기능 및 시설별 유발인원 432

〈표 3-301〉 1~4단계 : 핵시설 설정 과정(예 : 용산민자역사) 433

〈표 3-302〉 사례분석을 통한 핵시설의 평가절차 검토 434

〈표 3-303〉 입체복합공간 계획방식에 관한 연구 437

〈표 3-304〉 입체복합공간 구성방식에 관한 연구 437

〈표 3-305〉 입체복합공간 유형화에 관한 연구 438

〈표 3-306〉 시설의 이용목적(2개까지 선택) 452

〈표 3-307〉 매개공간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이용자 의식 452

〈표 3-308〉 매개공간의 입체복합공간과의 관계에 대한 이용자 의식 452

〈표 3-309〉 입체복합공간 이용의 장점 453

〈표 3-310〉 입체복합공간의 이용에 대한 개선점 453

〈표 3-311〉 입체/복합시설 매개공간의 분석틀 460

〈표 3-312〉 입체/복합시설 사례대상지 개요 461

〈표 3-313〉 입체/복합시설 사례대상지의 매개공간 분석 462

〈표 3-314〉 입체/복합공간의 양적평가지표 463

〈표 3-315〉 입체/복합공간의 질적평가지표 464

〈표 3-316〉 사례대상지별 이용객 지도응답 조사 466

〈표 3-317〉 입체복합 도입기능별 관련산업 분류 470

〈표 3-318〉 파급효과 분석결과 : 종합 (해당동) 474

〈표 3-319〉 파급효과 분석결과 : 종합 (차상위지자체) 474

〈표 3-320〉 파급효과 분석결과 : 종합 (최상위지자체) 475

〈표 3-321〉 파급효과 분석결과 : 서울 (해당동) 476

〈표 3-322〉 파급효과 분석결과 : 수도권 (해당동) 477

〈표 3-323〉 파급효과 분석결과 : 지방_광역시 (해당동) 477

〈표 3-324〉 파급효과 분석결과 : 지방_기타도시 (해당동) 478

〈표 3-325〉 대상지 사업개요 480

〈표 3-326〉 지역별 현황 482

〈표 3-327〉 준공년도별 현황 482

〈표 3-328〉 지역별 사업주체별 현황 483

〈표 3-329〉 입체복합공간의 입지요인 분석결과 487

〈표 3-330〉 해외 입체복합 사례별 세부내역 492

〈표 3-331〉 서울시 공공복지시설 복합화 계획 497

〈표 3-332〉 파사데나 메모리얼 파크역 498

〈표 3-333〉 San Elijo Hills Village Center 499

〈표 3-334〉 Union Square, North Shields, Tyne & Wear 499

〈표 3-335〉 지방투자지원을 주요 법령 516

〈표 3-336〉 공공기관 이전 인센티브 517

〈표 3-337〉 지원한도 521

〈표 3-338〉 연구대상 도시권 및 소속 도시 530

〈표 3-339〉 분석단위별 유형화 판단 기준 533

〈표 3-340〉 중소도시권 유형화 결과 534

〈표 3-341〉 분석항목의 설정 536

〈표 3-342〉 분석에 사용된 설문대상자 538

〈표 3-343〉 초기 대행렬 결과 539

〈표 3-344〉 가중 대행렬 결과 540

〈표 3-345〉 수렴 대행렬 결과 541

〈표 3-346〉 원도심 활성화 방안 평가모델 542

〈표 3-347〉 입체/복합 개발의 도입기능 평가모델 543

〈표 3-348〉 사례도시별 항목별 평가 결과 544

〈표 3-349〉 사례도시별 항목별 평가 결과 547

〈표 3-350〉 국내 입체복합공간 개발사례 기능별 유형 분류 549

〈표 3-351〉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도입시설 550

〈표 3-352〉 도입시설의 시설규모 기준 551

〈표 3-353〉 시설규모당 배후인구 551

〈표 3-354〉 지역별 평균 시설규모 552

〈표 3-355〉 도입시설의 지역별 배후인구(호텔의 경우 관광객) 553

〈표 3-356〉 중소도시권의 입체/복합개발 시설별 도입가능성 판단지표 555

〈표 3-357〉 중소도시권의 입체/복합개발 시설별 도입가능성 556

〈표 3-358〉 도시계층별 인구규모 559

〈표 3-359〉 우리나라 시(市) 인구 규모 현황(서울 및 수도권, 제주제외 : 2010년) 559

〈표 3-360〉 최종 대상 중소도시 선정결과 560

〈표 3-361〉 대도시인접형 구분기준 및 해당도시 561

〈표 3-362〉 특화도시형 구분기준 및 해당도시 561

〈표 3-363〉 역세권중심형 구분기준 및 해당도시 562

〈표 3-364〉 역사문화관광형 구분기준 및 해당도시 562

〈표 3-365〉 산업배후형 구분기준 및 해당도시 563

〈표 3-366〉 복합형 유형 및 해당도시 563

〈표 3-367〉 지방 중소도시 유형별 분류 종합현황 564

〈표 3-368〉 지방 중소도시 유형별 도입가능한 입체복합 기능 565

〈표 3-369〉 기존지방 중소도시 개발유형별 사업방식 567

〈표 3-370〉 유형화된 지방 중소도시에 기존 사업종류 569

〈표 3-371〉 유형화된 지방 중소도시의 사업화 방안 574

〈표 3-372〉 부산시 전세가격지수 예측 결과 576

〈표 3-373〉 테스트베드 지역내 주거시설 개발 규모 산정 결과 576

〈표 3-374〉 부산시 및 동래구 업무시설 현황(2010년) 577

〈표 3-375〉 동래구 오피스(대형) 시장 예측 577

〈표 3-376〉 부산 동래구 공급 한계면적 계산 578

〈표 3-377〉 부산광역시 대형상업시설 객단가 및 평효율 579

〈표 3-378〉 부산시 동래구 대형상업시설 매출액 및 수요면적 산출 결과 579

〈표 3-379〉 2014년까지 부산시 관광호텔수급 추정 579

〈표 3-380〉 공급되는 아파트에 대한 가정 580

〈표 3-381〉 TB대상지 아파트 전세가격 예측 581

〈표 3-382〉 TB대상지 아파트 매매가격 예측 581

〈표 3-383〉 공급되는 주상복합에 대한 가정 581

〈표 3-384〉 부산광역시 주상복합 매마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582

〈표 3-385〉 공급되는 주상복합에 대한 가정 582

〈표 3-386〉 부산광역시 오피스텔 매마가격모형 (Hedonic Price Model)추정결과 583

〈표 3-387〉 공급되는 주상복합에 대한 가정 583

〈표 3-388〉 기타 광역시 오피스 임대료모형 (Spatial autoregressive Model)추정결과 584

〈표 3-389〉 상가 분양가 추정에 사용되는 변수 584

〈표 3-390〉 호텔객실요금 추정에 사용되는 변수 (서울 외 도심지역 모형) 585

〈표 4-1〉 연구개발 수행 진도율 587

〈표 4-2〉 1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590

〈표 4-3〉 2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590

〈표 4-4〉 3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591

〈표 4-5〉 4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591

〈표 4-6〉 5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592

〈표 4-7〉 6차년도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594

〈표 4-8〉 2단계 성과지표 달성도 596

〈표 4-9〉 지역별 건설투자의 생산유발효과 599

〈표 5-1〉 참여기업의 현황분석 611

〈표 5-2〉 참여기업별 연계방안 612

〈그림 1-1〉 도심재생 사업화 모델 개발 연구 흐름 38

〈그림 3-1〉 쇠퇴성 분석 과정 58

〈그림 3-2〉 낙후성 분석 과정 58

〈그림 3-3〉 잠재력 분석 과정 59

〈그림 3-4〉 주거지역 쇠퇴성 60

〈그림 3-5〉 상업지역 쇠퇴성 60

〈그림 3-6〉 주거지역 낙후성 61

〈그림 3-7〉 상업지역 낙후성 61

〈그림 3-8〉 연구 흐름 64

〈그림 3-9〉 문화시설 이용권역의 크기와 평균 교통비용간의 관계 64

〈그림 3-10〉 서울지역의 주택수요추정 87

〈그림 3-11〉 실제 전세가격지수와 추정치와의 비교 89

〈그림 3-12〉 서울지역의 주택수요와 공급전망 91

〈그림 3-13〉 선행연구의 시장전망(누적면적) 93

〈그림 3-14〉 연도별 업무시설 누적면적 98

〈그림 3-15〉 연도별 업무시설 신규공급량 98

〈그림 3-16〉 분석 결과 그래프 98

〈그림 3-17〉 업무시설 신규공급 100

〈그림 3-18〉 업무시설 누적 면적 100

〈그림 3-19〉 실측치와 예측치 비교 105

〈그림 3-20〉 분석모형을 통한 상업시설의 수요예측 105

〈그림 3-21〉 분석결과 그래프(특급호텔 신규공급량) 110

〈그림 3-22〉 호텔 연판매가능객실수 신규공급량 110

〈그림 3-23〉 호텔 연판매가능객실수 변화 110

〈그림 3-24〉 입지성 분석 과정 112

〈그림 3-25〉 모형선정 과정 116

〈그림 3-26〉 Ridge Parameter 선정과정 119

〈그림 3-27〉 시뮬레이션 결과 121

〈그림 3-28〉 배후지역 인구규모에 따른 도서관 면적 140

〈그림 3-29〉 배후지역 인구규모에 따른 기능별 면적구성비 140

〈그림 3-30〉 도서관 표준모듈 140

〈그림 3-31〉 배후지역 인구규모에 따른 박물관·미술관 면적 142

〈그림 3-32〉 배후지역 인구규모에 따른 기능별 면적구성비 142

〈그림 3-33〉 박물관·미술관의 공간적 표준모듈 143

〈그림 3-34〉 배후지역 인구규모에 따른 문예회관 기능별 면적 144

〈그림 3-35〉 문예회관 기능별 면적비 144

〈그림 3-36〉 문예회관의 공간적 표준모듈 145

〈그림 3-37〉 배후지역에 따른 문화시설의 기능별 면적 구성비 147

〈그림 3-38〉 문화의 집 표준모듈 147

〈그림 3-39〉 강북구·강남구 공통의 소매점간 관계 148

〈그림 3-40〉 강북구의 소매점간 관계 149

〈그림 3-41〉 강남구의 소매점간 관계 149

〈그림 3-42〉 서울시 내 대규모점포시설과 전시시설의 위치 153

〈그림 3-43〉 수급면적 추정기법 프로세스 161

〈그림 3-44〉 서울시 판매시설 분포도현황 162

〈그림 3-45〉 상권 경계설정 기법과 수문학적 모델링 비교 163

〈그림 3-46〉 상권의 밀도 값 (밀도의 최대 값 - 전체 밀도의 값) 164

〈그림 3-47〉 서울시판매시설 상권경계 분석결과(검색반경 1000m) 164

〈그림 3-48〉 서울시판매시설 상권경계 분석결과(검색반경 5000m) 164

〈그림 3-49〉 서울시판매시설 위계분석결과(검색반경 1000m) 165

〈그림 3-50〉 서울시판매시설 위계분석결과(검색반경 1000m) 165

〈그림 3-51〉 수급면적 추정 프로세스 166

〈그림 3-52〉 상권구분 166

〈그림 3-53〉 오피스 수급 및 가격 관계도 190

〈그림 3-54〉 서울·경기 및 광역시 대형 오피스 연도별 신규공급 현황 195

〈그림 3-55〉 서울·경기 및 광역시 대형 오피스 전세금 현황 196

〈그림 3-56〉 상업시설 수급 구조 202

〈그림 3-57〉 299개 쇼핑 중심지 214

〈그림 3-58〉 시군구청 분포 215

〈그림 3-59〉 지하철역 분포 215

〈그림 3-60〉 터미널 분포 215

〈그림 3-61〉 대학교 분포 215

〈그림 3-62〉 실제 백화점 매출액을 이용한 모형의 오차율 검증 218

〈그림 3-63〉 외국인 연숙박객수 (1996-2007) 225

〈그림 3-64〉 설비투자지수(1996~2010) 227

〈그림 3-65〉 수요, 공급 및 가격의 관계 229

〈그림 3-66〉 주상복합 매매가격의 Moran's I 검정결과 261

〈그림 3-67〉 광역시별 주상복합 평균 매매가격 262

〈그림 3-68〉 광역시별 주상복합 매매건수 262

〈그림 3-69〉 서울특별시 내 주상복합 위치 정보 263

〈그림 3-70〉 인천광역시 내 주상복합 위치 정보 265

〈그림 3-71〉 울산광역시 내 주상복합 위치 정보 266

〈그림 3-72〉 대구광역시 내 주상복합 위치 정보 267

〈그림 3-73〉 부산광역시 내 주상복합 위치 정보 268

〈그림 3-74〉 대전광역시 내 주상복합 위치 정보 269

〈그림 3-75〉 오피스텔 매매가격의 Moran's I 검정결과 274

〈그림 3-76〉 광역시별 오피스텔 평균 매매가격 275

〈그림 3-77〉 광역시별 오피스텔 매매건수 275

〈그림 3-78〉 서울특별시 내 오피스텔 위치 정보 276

〈그림 3-79〉 부산광역시 내 오피스텔 위치 정보 278

〈그림 3-80〉 대전광역시 내 오피스텔 위치 정보 279

〈그림 3-81〉 대구광역시 내 오피스텔 위치 정보 280

〈그림 3-82〉 인천광역시 내 오피스텔 위치 정보 282

〈그림 3-83〉 전국 오피스 데이터 분포현황 285

〈그림 3-84〉 전국 오피스 월임대료 평균 288

〈그림 3-85〉 서울시 상가데이터 분포 현황 294

〈그림 3-86〉 부산시 상가데이터 분포 현황 296

〈그림 3-87〉 인천시 상가데이터 분포 현황 297

〈그림 3-88〉 대구시 상가데이터 분포 현황 298

〈그림 3-89〉 대전시 상가데이터 분포 현황 299

〈그림 3-90〉 광주 상가데이터 분포 현황 300

〈그림 3-91〉 울산시 상가데이터 분포 현황 301

〈그림 3-92〉 서울지역 관광호텔 분포현황 306

〈그림 3-93〉 서울 외 도심지역 관광호텔 분포현황 309

〈그림 3-94〉 기타지역 관광호텔 분포현황 311

〈그림 3-95〉 5개년 고용자 평균 320

〈그림 3-96〉 5개년 인구 평균 321

〈그림 3-97〉 5개년도 생산 평균 322

〈그림 3-98〉 5개년도 재산세 평균 323

〈그림 3-99〉 대안1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328

〈그림 3-100〉 대안 1에 대한 고용 변화 328

〈그림 3-101〉 대안 1에 대한 인구 변화 329

〈그림 3-102〉 대안 1에 대한 생산액 변화 329

〈그림 3-103〉 대안 1에 대한 재산세 변화 329

〈그림 3-104〉 대안2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330

〈그림 3-105〉 대안 2에 대한 고용변화 331

〈그림 3-106〉 대안 2에 대한 인구변화 331

〈그림 3-107〉 대안 2에 대한 생산액 변화 331

〈그림 3-108〉 대안 2에 대한 재산세 변화 332

〈그림 3-109〉 대안 3에 대한 고용 변화 333

〈그림 3-110〉 대안 3에 대한 인구 변화 333

〈그림 3-111〉 대안 3에 대한 생산액 변화 333

〈그림 3-112〉 대안 3에 대한 재산세 변화 333

〈그림 3-113〉 대안3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334

〈그림 3-114〉 대안 4에 대한 고용 변화 335

〈그림 3-115〉 대안 4에 대한 인구 변화 335

〈그림 3-116〉 대안 4에 대한 매출에 변화 335

〈그림 3-117〉 대안 4에 대한 재산세 변화 335

〈그림 3-118〉 대안4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336

〈그림 3-119〉 연립방정식 모형의 구조 341

〈그림 3-120〉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파급효과 345

〈그림 3-121〉 전라북도 전주시 지역파급효과 346

〈그림 3-122〉 의사결정지원도구 프로세스 361

〈그림 3-123〉 거시경제전망의 예- 경제지표 현황 중 건설기성액을 나타낸 화면 363

〈그림 3-124〉 분석대상지역 확장(수도권 전역) 364

〈그림 3-125〉 실거래가 추정기법의 변경 364

〈그림 3-126〉 분석단위의 확장 365

〈그림 3-127〉 예비타당성 겸토 1단계 예시 - 주거시설 366

〈그림 3-128〉 예비타당성 검토 예시 - 고양시(상업시설) 370

〈그림 3-129〉 숙박시설 타당성 분석 예시 371

〈그림 3-130〉 분석의 틀 374

〈그림 3-131〉 입체복합공간의 입지-기능유형간 상관관계 386

〈그림 3-132〉 입체복합공간의 입지-규모 유형간 상관관계 386

〈그림 3-133〉 입체복합공간의 기능-규모 유형간 상관관계 387

〈그림 3-134〉 핵시설 및 사업우선대상지 평가를 위한 연구 흐름도 390

〈그림 3-135〉 입체복합공간 개발에 따른 기대효과 설문조사 결과 392

〈그림 3-136〉 입체·복합 공간개발 사업우선대상지 평가기법 개발절차 393

〈그림 3-137〉 핵시설의 개념 및 유형화 연구 흐름도 403

〈그림 3-138〉 응답자의 업무분야 406

〈그림 3-139〉 서울시 입체복합공간 개발사례의 입지 현황 407

〈그림 3-140〉 경기도 및 인천시 입체복합공간 408

〈그림 3-141〉 핵시설의 유형화 연구흐름도 409

〈그림 3-142〉 핵시설의 입지별 유형화 410

〈그림 3-143〉 입지별 유형화에 따른 주요 도입기능 412

〈그림 3-144〉 노후주거지개발형 주요 도입기능 413

〈그림 3-145〉 노후사업지개발형 주요 도입기능 413

〈그림 3-146〉 노후공업지개발형 주요 도입기능 413

〈그림 3-147〉 노후도시기반시설개발형주요 도입기능 413

〈그림 3-148〉 나대지개발형 주요 도입기능 414

〈그림 3-149〉 핵시설의 입지별 유형화 종합 416

〈그림 3-150〉 핵시설의 기능별 유형화 416

〈그림 3-151〉 핵시설의 기능별 유형화의 주요 도입시설 418

〈그림 3-152〉 중심형(도심권) 적정 기능 복합 419

〈그림 3-153〉 중심형(부도심권) 적정 기능 복합 419

〈그림 3-154〉 교외형 적정 기능 복합 419

〈그림 3-155〉 주거-상업중심복합 도입 핵시설 420

〈그림 3-156〉 주거-업무중심복합 도입 핵시설 420

〈그림 3-157〉 상업-업무중심복합 도입 핵시설 420

〈그림 3-158〉 상업-문화중심복합 도입 핵시설 420

〈그림 3-159〉 상업-교통중심복합 도입 핵시설 421

〈그림 3-160〉 업무-문화중심복합 도입 핵시설 421

〈그림 3-161〉 핵시설의 기능별 유형화 종합 423

〈그림 3-162〉 입체복합공간 개발에 따른 핵시설 설정기준 연구 흐름도 424

〈그림 3-163〉 입체복합공간의 핵시설 유형화에 따른 설정기법 429

〈그림 3-164〉 대상지 위치 440

〈그림 3-165〉 대상지 동측의 주간선도로 440

〈그림 3-166〉 대상지 주변 교통시설 440

〈그림 3-167〉 지하철역과 썬큰 배치 441

〈그림 3-168〉 지하철역과 연계된 썬큰광장 441

〈그림 3-169〉 지하보행로 단면 441

〈그림 3-170〉 대상지내 서비스도로 441

〈그림 3-171〉 지하 보행자동선 442

〈그림 3-172〉 코엑스 차량·보행자 주진입부 442

〈그림 3-173〉 보행자 주진입부 단면도 442

〈그림 3-174〉 용도배치방식(평면) 442

〈그림 3-175〉 용도배치방식(단면) 442

〈그림 3-176〉 코엑스몰 지하보행동선에 따른 용도배치 442

〈그림 3-177〉 외부공간의 구성 443

〈그림 3-178〉 지상부 중앙광장 443

〈그림 3-179〉 진입 다이어그램 443

〈그림 3-180〉 진입공간 구성 다이어그램 443

〈그림 3-181〉 수평동선 444

〈그림 3-182〉 수직동선 444

〈그림 3-183〉 보행동선에 따른 공간구성 444

〈그림 3-184〉 코엑스 차량·보행자 주진입부 444

〈그림 3-185〉 대상지 차량 주진입부 444

〈그림 3-186〉 차량동선(단면) 444

〈그림 3-187〉 주차장 진입부 444

〈그림 3-188〉 용산민자역사 교통시설 445

〈그림 3-189〉 용산역 배치도 446

〈그림 3-190〉 지하철역과 연계된 썬큰광장 446

〈그림 3-191〉 용산역 단면도 446

〈그림 3-192〉 용산민자역사 배치 446

〈그림 3-193〉 주차장 진입을 위한 서비스도로 446

〈그림 3-194〉 용산민자역사 단면 446

〈그림 3-195〉 용산민자역사 전면광장 447

〈그림 3-196〉 주진입 계단 447

〈그림 3-197〉 광장을 통한 보행자 유입 단면 447

〈그림 3-198〉 용도구성(평면) 447

〈그림 3-199〉 용도구성(단면) 447

〈그림 3-200〉 용산민자역사 시설구성 447

〈그림 3-201〉 외부공간구성 448

〈그림 3-202〉 Plaza 448

〈그림 3-203〉 진입공간구성 448

〈그림 3-204〉 Semi-Zone을 통한 연결 448

〈그림 3-205〉 시설간 보행동선 구성 448

〈그림 3-206〉 데크를 통한 연결 448

〈그림 3-207〉 데크연결 448

〈그림 3-208〉 차량동선 구성 449

〈그림 3-209〉 차량 주진입부 449

〈그림 3-210〉 대상지 주변 교통시설 449

〈그림 3-211〉 센트럴시티 주변현황 449

〈그림 3-212〉 지하철역과 연결된 진입부 450

〈그림 3-213〉 호남고속터미널과의 연결 450

〈그림 3-214〉 센트럴시티 배치도 450

〈그림 3-215〉 센트럴시티 평면도 450

〈그림 3-216〉 용도배치(평면) 451

〈그림 3-217〉 용도배치(단면) 451

〈그림 3-218〉 입체복합공간 구성특성 및 유형화 특성 455

〈그림 3-219〉 코엑스 중앙 선큰광장 456

〈그림 3-220〉 용산민자역사 전면광장 456

〈그림 3-221〉 주진입 계단 456

〈그림 3-222〉 광장을 통한 보행자 유입 단면 456

〈그림 3-223〉 동선체계 456

〈그림 3-224〉 수평동선 457

〈그림 3-225〉 수직동선 457

〈그림 3-226〉 보행동선에 따른 공간구성 457

〈그림 3-227〉 입체/복합공간 공간조성 및 평가기법 개발 연구흐름도 459

〈그림 3-228〉 입체복합공간 질적 평가 465

〈그림 3-229〉 입체복합공간 양적 평가 466

〈그림 3-230〉 전국분석대상지 469

〈그림 3-231〉 입체복합공간의 파급효과 분석체계 470

〈그림 3-232〉 입체복합공간 대상지 분포현황 479

〈그림 3-233〉 대상지 현황분석 요소 479

〈그림 3-234〉 사업이전 토지용도 현황 484

〈그림 3-235〉 도입기능별 현황 484

〈그림 3-236〉 규모별 현황 485

〈그림 3-237〉 입체복합공간의 입지요건 분석체계 486

〈그림 3-238〉 인구적 요인(해당동, 반경1km) 분석결과 488

〈그림 3-239〉 경제적 요인(해당 시군구 지방세징수액) 분석결과 488

〈그림 3-240〉 접근성 요인(정류장수, 철도수) 분석결과 489

〈그림 3-241〉 연계성 요인(공공시설, 교육복지시설, 문화시설수) 분석결과 490

〈그림 3-242〉 입체복합공간의 해외사례 현황분석 체계 491

〈그림 3-243〉 Old Pasadena map 493

〈그림 3-244〉 아모모리 아우가 전경 495

〈그림 3-245〉 유라릴 전경 496

〈그림 3-246〉 지방중소도시의 입체복합공간개발 한계 501

〈그림 3-247〉 지분투자에 의한 공동사업방식 개념 501

〈그림 3-248〉 지방중소도시에 적합가능한 기본모형 502

〈그림 3-249〉 상권활성화 구역의 개념도 504

〈그림 3-250〉 거점지역 중심의 입체복합 개발모형 개념도 505

〈그림 3-251〉 연구대상 중소도시권 531

〈그림 3-252〉 도시권과 원도심 사례(진주) 531

〈그림 3-253〉 연구의 분석모형 536

〈그림 3-254〉 ANP 분석의 체계도 539

〈그림 3-255〉 사업화 방안 도출을 위한 단계 558

〈그림 3-256〉 유형화된 지방 중소도시 입체/복합 사업화 방안 도출을 위한 단계 565

〈그림 3-257〉 대도시인접형 사업화 방안 570

〈그림 3-258〉 특화도시형 사업화 방안 570

〈그림 3-259〉 역세권중심형 사업화 방안 571

〈그림 3-260〉 역사문화관광형 사업화 방안 572

〈그림 3-261〉 산업배후형 사업화 방안 573

〈그림 3-262〉 복합형 사업화 방안 573

〈그림 3-263〉 지방 중소도시의 유형화에 따른 도입기능 574

〈그림 3-264〉 Test Bed 수행목적 575

〈그림 3-265〉 입지 변수 581

〈그림 3-266〉 실측치와 예측치의 비교 582

〈그림 3-267〉 입지 변수 582

〈그림 3-268〉 실측치와 예측치의 비교 583

〈그림 3-269〉 입지 변수 583

〈그림 3-270〉 실측치와 예측치의 비교 584

〈그림 3-271〉 부산지역 상가분양가 실측치 및 예측치 585

〈그림 6-1〉 도시공간에 plug and play 적용 사례 613

〈그림 6-2〉 면담자 명함 614

〈그림 6-3〉 인터뷰 사진 614

〈그림 6-4〉 Peabody의 프로젝트 615

〈그림 6-5〉 Peabody의 2010-13 Business Plan 일부 616

〈그림 6-6〉 면담자 명함 616

〈그림 6-7〉 사옥 입구 616

〈그림 6-8〉 BedZED 채광 및 환기 시설 618

〈그림 6-9〉 공동 전기차량 618

〈그림 6-10〉 전기차 충전기 618

〈그림 6-11〉 BedZED 집 설계도 619

〈그림 6-12〉 면담자 명함 620

〈그림 6-13〉 인터뷰 사진 620

〈그림 6-14〉 One Brighton 모형 및 소개 판넬 622

〈그림 6-15〉 wind cowl 시스템 624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 도심재생 사업화 모델 개발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현재까지 도시재생 관련 기술개발은 기반시설 리뉴얼 기술, 도시구조의 입체화 기술, 도심지구조물 해체기술, 건설폐기물 재활용 기술 등의 시공 기법 및 재료와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사업의 성패와 관련이 높고 사업 진행에 필수적으로 존재하여야 하는 사업관리 기술 개발은 상대적으로 미비한 수준임

■ 본 입체/복합공간개발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하여 공공발주자 관점의 프로그램 레벨 수준에서 성과측정요소를 도출하고 관리하며,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방대한 자료 취득 및 분석을 위한 업무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이 요구됨. 또한 전체 프로젝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유지관리 방법론 및 체계가 요구됨

■ 입체/복합공간 개발 사업은 단순히 사업성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 편의성을 제고하고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고려해야 하므로 최적의 입지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함

■ 기존 입체/복합공간 개발은 개별사업 주체별 사업성을 기준으로 개발 여부를 결정하였으며, 지역 전체의 파급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개발이 이루어져서 사업 대상지역과 주변 지역과의 불균형이 심화되었음. 따라서 입체/복합공간은 지역파급효과 및 개별 사업의 타당성을 기준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음

■ 이에 도심재생 사업화 모델 개발의 최종 목표는 도시재생사업의 성격에 부합하는 입체/복합공간을 창출하고 나아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여 참된 의미의 도시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임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결과

■ 2-1-1세세부는 총 6차년도 기간 동안 연구를 진행시킴. 5차년도 까지는 구 3-1세부로서 연구진이 구성되어 있었고 6차년도에 2-1-1세세부로 변경됨. 3-1세부는 3-1-1세세부 "입체/복합 사업화 모델 개발"과 3-1-2세세부 "입체/복합 리스크 관리 및 자금조달 기법 개발"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3-1-2세세부는 4차년도에 종료되었음. 2-1-1세세부의 연구는 입체복합공간 사업화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며, 2단계의 주요내용과 연구범위는 다음과 같음

■ 4차년도에는 1단계에서 개발된 개별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본격적으로 사업화 모델에 들어가게 되었음. 또한 1단계 결과를 이용해 GIS를 활용한 입체복합공간 의사결정지원도구 알고리즘 개발에 착수하였음. 이외에도 1단계서부터 계속 진행시켜온 입체복합공간 파급효과 분석에서 공간분석 방법론을 개발하여 더 심화적인 결과를 도출했으며, 입체복합공간과 관련된 법, 제도관련 연구도 수행하였음. 그리고 입체복합공간개발과 교통과의 대한 실증연구를 통해 입체복합공간과 녹색성장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도 결과를 도출하였음. 한편 3-1-2세세부는 4차년도에 종료되는 과제로서 1단계 결과를 토대로 최종 결과물을 도출하였음. 1단계에서 진행시켜 온 위험관리 연구결과를 정리하여 최종적으로 위험요인 체크리스트 운영 매뉴얼을 개발하였음. 그리고 재원조달 방식과 구조화 금융모형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원조달 모형을 제시하였음. 사업타당성분석 기법을 개발하여 그에 대한 매뉴얼을 개발하였으며, 입체복합시설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관리 및 운영방안 지침을 개발하였음

■ 5차년도에는 기존에 개발해 오던 입체복합공간 사업화 모델을 정교화시키는 연구를 진행시켰음. 권역별 쇠퇴, 낙후 평가지표 개발 및 수급면적 추정기법, 수익 추정모형 등의 모델을 추가로 개발하였고, 테스트베드 추진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등 실용화 추진계획도 시작하였음. 또한 GIS를 활용한 의사결정지원도구 알고리즘도 더 진화시킬 수 있었으며, 구체적으로는 사업상권분석, 정책효과분석 단계를 알고리즘에 반영하였음. 4차년도에 진행시킨 녹생성장과 입체복합공간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계속 진행시켰으며, 입체복합공간이 시민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함으로써 입체복합공간이 가지는 공공성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음. 한편 4차년도까지의 연구결과가 연구 대상과 연구 자료의 측면에서 수도권 및 일부 대도시에만 치중되어 있다는 평가를 반영하여, 지방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입체복합개발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지방 중소도시의 유형별로 적합한 입체복합개발 형태를 제시함

■ 6차년도는 5차년도까지의 연구결과를 보완 및 정리하여 마무리하는 단계임. 테스트베드를 수행하여 개발된 입체복합 사업화 모델을 현실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음. 또한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기존의 모형을 수도권과 6대 광역시로 확장시켰으며, 도입시설 측면에서도 숙박시설, 컨벤션 시설 등을 추가하였음. GIS 의사결정지원도구 알고리즘에서도 예비타당성 검토 기법을 정교화 시켰고, 분석대상지역을 수도권 전체로 확장하였음. 1단계부터 진행시켜온 도시재생사업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를 보완하여 마무리 지었으며, 5차년도에 새로 시작했던 지방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한 복합개발 재생사업에 대한 연구도 보완하여 마무리하였음. 추가적으로 입체/복합공간의 공간조성기법과 그에 대한 평가기법을 개발하여 입체복합공간의 공간적 질에 대한 연구도 진행시킴

IV.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 입체/복합공간 개발은 앞으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로서 다양한 개발 사업이 진행될 것이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사업화 모델을 통하여 사업의 안정적 진행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됨

■ 본 연구의 수행과정에서 도출되는 용도별·세부시설별 수요 특성분석을 통해 수요창출 극대화 전략을 세울 수 있음

■ 수요창출전략 개발은 경영학에서 사용되는 마케팅기법과 연계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체계적인 시스템의 구축으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음

■ 도시재생 및 도시균형발전의 기본개념인 점(핵심지역 우선 개발), 선(핵심지역 간 연계), 면(전지역 확산)에 부합되는 개발방향을 제시할 수 있음

■ 단순한 물리적 환경을 정비하는 것 외에 역사·문화적 활력과 특성을 살려나갈 수 있도록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이용자들의 자부심과 공동체 소속감을 강화하고 공공지원을 통한 자율갱신 프로그램의 도입, 재정착과 커뮤니티 회복 등 사회통합에 중점을 두는 정책의 지원을 바탕으로 해당지역의 문화적 잠재력을 키워나갈 수 있음

■ 현재 국내 대형 공공 건설사업에서 사업기획 단계부터 준공 후 단계까지 일관되게 위험요인을 관리하는 기술이 확보되지 않아, 사업에 잠재된 위험요인으로 인한 잦은 위기발생, 사업지연, 사업비 초과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이 되고 있는 바, 본 연구 결과를 이러한 대규모 공공건설사업의 위험관리 프로세스와 매뉴얼로서 활용에 잠재된 위험요인에 대한 예측관리를 일상화시켜 사업의 성공적 완수를 통한 국가 재정 부담을 줄이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임

■ 또한 국가 또는 자치단체에서 발주하는 공공건설공사에서도 본 연구결과를 사업기획 단계부터 위험관리 표준 모델로서 활용하도록 한다면 국내 건설공사에 대한 종합사업관리능력을 한 단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임

■ 테스트 베드 적용을 거쳐 개발된 재원조달 모형이 검증되면, 주로 신도시 택지개발지구 복합단지에 적용되던 프로젝트 파이낸싱 기법의 입지를 기성시가지 정비사업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해외 개발도상국의 개발사업에도 참여할 수 있을 것임

■ 입체/복합공간 개발사업 시행자가 개발계획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 사업타당성 분석 매뉴얼로 사업타당성 분석을 수월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음

■ 입체/복합공간 개발 타당성 분석 매뉴얼이 표준화되므로 입체/복합공간 개발 사업간 비교 혹은 연구에 필요한 자료 구축이 용이하고 수월함

■ 유형별로 차별화된 관리 방안 마련에 따른 유연성으로 이후 개발되는 다양한 입체/복합공간에 대한 관리·방안의 지침으로 활용가능

■ 입체/복합공간 개발 사업의 바탕이 되는 필수 기술로써의 가능성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7180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