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2011)공예백서(선행연구) = Craft report advanced research 2011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12
청구기호
745 -12-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67 p. : 표 ; 26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7252053
ISBN: 9788997252060(세트)
제어번호
MONO1201235953
주기사항
부록: 1. 공예전시와 행사 현황 ; 2. 공예품 수출입 품목 및 현황 ; 3.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 종목 현황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2011 공예백서-선행연구를 출간하며 / 최범 ; 허보윤

목차

제1장 공예개념과 영역 12

1절 개관 13

2절 공예개념의 역사적 변천 14

01. 개화기부터 1950년대까지 14

02. 1960년대-1970년대 16

03. 1980년대-1990년대 18

04. 2000년대 이후 19

3절 공예의 정의 및 범주 22

01. 공예의 정의 22

02. 공예의 범주 27

4절 결론 32

제2장 공예정책 36

1절 개관 37

01. 공예정책의 개념 37

02. 공예정책의 전개 42

2절 현황 45

01. 법률과 제도 45

02. 정책주체 : 조직 64

03. 공예정책의 평가 81

3절 결론 84

01. 공예정책의 과제 84

02. 공예정책의 전망 84

제3장 공예산업 88

1절 개관 89

01. 공예산업의 정의 89

02. 공예산업의 범주 92

2절 현황 97

01. 공예산업의 시장규모 97

02. 공예품 수출입 현황 100

03. 공예사업체 현황 103

04. 기타 현황 108

3절 결론 114

01. 한국 공예산업의 당면과제 115

02. 한국 공예산업의 비전과 전략 115

제4장 공예전시와 행사 118

1절 개관 119

01. 전시의 구분 및 범주 119

02. 행사의 구분 및 범주 121

2절 현황 123

01. 전시 현황과 분석 123

02. 행사 현황과 분석 133

3절 결론 136

제5장 공예 연구 140

1절 개관 141

01. 공예연구의 정의 141

02. 공예연구의 범주 146

2절 현황 150

01. 공예연구의 형태 150

02. 공예연구의 주체 160

3절 결론 163

제6장 공예교육 166

1절 개관 167

01. 근대의 공예교육 167

02. 공예교육의 분류 171

2절 공예의 일반교육 173

01. 개관 173

02. 현황 174

03. 소결 196

3절 공예의 전문교육 198

01. 개관 198

02. 현황 199

03. 소결 214

4절 공예의 사회교육 215

01. 개관 215

02. 현황 216

03. 소결 224

5절 결론 225

부록 228

부록 01. 공예전시와 행사 현황 228

부록 02. 공예품 수출입 품목 및 현황 246

부록 03. 중요무형문화재 공예기술 종목 현황 265

판권기 269

표 1-1. 공예의 일반적 정의에 등장하는 용어 27

표 1-2. 공예의 범주 28

표 2-1. 공예 관련 현행법의 분류 45

표 2-2. 전국 자치단체에서 시행 중인 디자인 관련 조례 및 시행규칙 54

표 2-3. 전국 167개 시·도자치단체 디자인 관련 조직 및 업무현황 77

표 3-1. 신공예산업분류체계 92

표 3-2. 신공예산업분류 및 8차/9차 한국표준산업분류 매칭 비교표 93

표 3-3. 공예산업 조사 개요 97

표 3-4. 국내 공예사업체 전채 시장규모 추정(2009년) 98

표 3-5. 국내 공예사업체 및 종사자 수 현황(2009년) 98

표 3-6. 국내 공예사업체 시장규모 추정(2009년) 100

표 3-7. 신공예산업분류체계에 따른 공예품 수출입 품목(HSK코드) 101

표 3-8. 연도별 공예품 수출현황 101

표 3-9. 연도별 공예품 수입현황 102

표 3-10. 연도별 공예품 무역수지 현황 103

표 3-11. 연도별 공예 총사업체 및 종사자수 추이 104

표 3-12. 제작 및 유통 현황(2009년) 104

표 3-13. 제작업체별 사업체 및 종사자 수 현황(2009년) 105

표 3-14. 시도별 공예 사업체 및 종사자 수(2009년) 105

표 3-15. 사업체 형태-연도별 사업체 수 추이 106

표 3-16. 대표자 및 종사자 성별 추이 107

표 3-17. 공예업체 규모별 종사자 수 추이 107

표 3-18. 공예업체 유형별 종사자 수 추이 108

표 3-19. 공예 관련 단체 현황 108

표 3-20. 국내 공예마을 및 단지 조성현황 112

표 4-1. 2010-2011년 상업화랑 및 아트홀 공예전시 개최현황 123

표 4-2. 2010-2011년 회위 관련 전시 개최현황 124

표 4-3. 20i0-20i1년 비상업적 공예전시 개최현황 126

표 4-4. 2010-2011년 공예 공모전 개최현황 130

표 4-5. 2010-2011년 공예 관련 기타 유사전시 개최현황 132

표 4-6. 2010-2011년 공예 관련 축제 개최현황 133

표 4-7. 2010-2011년 공예비엔날레 및 국제행사 개최현황 134

표 4-8. 2010-2011년 공예 관련 복합문화행사 개최현황 135

표 5-1. 2010-2011년 학회-연구주제별 학술지 발표논문 수 151

표 5-2. 2010-20i1년 범주별 학술지 발표논문 수 152

표 5-3. 공예 관련 학술지발행 학회 리스트 153

표 5-4. 연구주제-내용별 박사학위논문 수 154

표 5-5. 2010-2011년 연구별 석사학위논문 수 154

표 5-6. 2010-2011년 연구주제-내용별 석사학위논문 수 155

표 5-7. 2010-2011년 범주별 단행본 수 156

표 5-8. 연대별 공예 관련 단행본(번역본 포함)의 발행 수 156

표 5-9. 2010-2011년 범주별 단행본 수 157

표 5-10. 2010-2011년 범주별 번역서 수 158

표 5-11. 간행률 및 전문잡지 출판현황(해방 후-현재) 159

표 5-12. 2010-2011년 학술행사 개최현황 160

표 5-13. 2010-2011년 학술행사 개최현황 161

표 5-14. 전국 대학 공예 관련 학과의 분야별 분포현황 162

표 6-1-1. 공예교육의 범주 : 교육주체 및 대상에 따른 구분 172

표 6-2-1. 공예일반교육의 범주 : 교육주체 및 대상에 따른 구분 174

표 6-2-2. 2011년 이후 교육과정 적용 일정 175

표 6-2-3.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175

표 6-2-6. 제6차/제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 비교 178

표 6-2-7.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미술교과 내용체계 비교 178

표 6-2-8. 2009 개정교육과정 미술 내용체계 179

표 6-2-9. 2007-2009 개정교육과정 비교 179

표 6-2-10. 국정 및 검정 미술교과서 종류(2011년 1학기 기준) 180

표 6-2-11. 초·중·고 미술교과서 공예 관련 단원 현황(각 1중 표본조사) 182

표 6-2-12. 초등 3-4학년 미술교과서 중 공예 관련 학습내용((주)교학사 표본조사) 183

표 6-2-13. 초등 5-6학년 미술교과서 중 공예 관련 학술내용((주)천재교육 표본조사) 184

표 6-2-14. 중등 미술교과서 중 공예 관련 학습내용((주)지학사 표본조사) 185

표 6-2-15. 고등 미술교과서 중 공예 관련 학습내용(미진사 표본조사) 187

표 6-2-16. 중학교 미술교과서 집필자 전공현황 188

표 6-2-17. 2011년 현재 전체교사 수 대비 미술교사 수 189

표 6-2-18. 디자인·공예교직과정 설치대학 현황 189

표 6-2-19. 출신별 자격증 과목별 미술교원 수(중학교) 189

표 6-2-20. 분야별 미술 관련 교사연수 프로그램 수 190

표 6-2-21. 창의적 체험활동의 하위 목표 및 영역 구분 191

표 6-2-22. 학교급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배당 191

표 6-2-23. 초·중등학교의 공예교육 수업 형태 192

표 6-2-24. 창의·인성교육넷 공예 관련 체험활동 프로그램 192

표 6-2-25. 20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예술강사 지원 사업(신규분야-공예, 디자인, 사진) 193

표 6-2-26. 방과후학교 참여율(초·중·고등학교 전체 평균) 194

표 6-2-27. 방과후학교 참여율(초·중·고등학교 개별 평균) 194

표 6-2-28. 2010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수 194

표 6-2-29. 교과프로그램과 특기 적성 프로그램의 개수 및 비율 194

표 6-2-30. 방과후학교 공예 프로그램 195

표 6-2-31. 대학교의 공예 관련 교양과목 196

표 6-3-1. 고등학교 체제 현황 199

표 6-3-2. 공예 관련 국정 / 검정 / 인정 전문교과서 현황 200

표 6-3-3. 공예과정 개설 전문계고등학교 현황 201

표 6-3-4.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서울예술고등학교 미술부 전문교과 표본조사 202

표 6-3-5. 예술고등학교 교육과정(서울예술고등학교 전공(디자인) 연간학습계획 표본조사) 202

표 6-3-6. 2-3년제 대학의 범주별 학과(전공) 수 203

표 6-3-7. 2년제 대학 공예교육과정(숭의여자대학 텍스타일&메탈디자인전공 표본조사) 204

표 6-3-8. 2-3년제 대학의 공예과(전공) 현황 204

표 6-3-9. 2-3년제 대학의 예체능계열 교원비율 205

표 6-3-10. 4년제 대학의 범주별 학과(전공) 수 205

표 6-3-11. 4년제 대학교 공예교육 과정(서울대학교 도자공예전공 교육과정 표본조사) 206

표 6-3-12. 4년제 대학교 공예학과(전공) 현황 206

표 6-3-13. 예체능계열 교원비율 207

표 6-3-14. 공예학과 일반대학원 석·박사 학생 현황 207

표 6-3-17. 직업훈련기관의 종류 209

표 6-3-18. 양성과정법 폴리텍대학 공예계열 학과 209

표 6-3-19. 직업훈련기관 공예 관련 교육내용(경문직업전문학교 표본조사) 210

표 6-3-20. 2010년 공예 관련 국가기술 자격증 현황 210

표 6-3-21.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개설학과 현황 211

표 6-3-22.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진통미술공예과 개요 211

표 6-3-23. 시·도별 전수교육관 현황 212

표 6-3-24. 문화유산교육원 교육과정 개설현황 213

표 6-4-1. 2010-2011년 평생교육기관 현황 216

표 6-4-2. 공예 관련 사회교육강좌 217

표 6-4-3. 지방자치기관 공예교육프로그램(서울특별시 표본조사) 218

표 6-4-4. 지방자치기관 공예교육프로그램(강남장애인복지관 표본조사) 218

표 6-4-5. 기관 공예교육(한국공예 디자인문화진흥원 공예·디자인문화강좌 표본조사) 219

표 6-4-6. 기관 공예교육(한국공예 디자인문화진흥원 공예·디자인문화강좌 프로그램 표본조사) 219

표 6-4-7. 사회교육 사설교육기관 공예 관련 프로그램 개설 현황 220

표 6-4-8. 사설교육기관 공예교육(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 사회교육 프로그램 표본조사) 221

표 6-4-9. 사설교육기관 공예교육((주)쌈지농부 공예 관련 교육프로그램 표본조사) 222

표 6-4-10. 사설교육기관 공예교육(상원미술관 공예 관련 교육프로그램 표본조사) 222

표 6-4-11. 전국 공예 관련 사설자격증의 종류 223

그림 2-1. 고용노동부 조직도 65

그림 2-2. 한국산업인력공단 조직도 66

그림 2-3. 조달청조직도 68

그림 2-4. 문화체육관광부조직도 69

그림 2-5. 국립민속박물관 조직도 71

그림 2-7.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조직도 72

그림 2-8. 중소기업청조직도 73

그림 2-9. 기술표준원 조직도 73

그림 2-10. 지식경제부 조직도 75

그림 3-1. 공예품의 양면적 속성 분류기준 91

그림 3-2. 공예산업의 당면과제 115

그림 3-3. 공예산업 비전과 전략 116

그림 4-1. 2010-2011년 상업/비상업적 공예전시 현황 125

그림 4-2. 2010-2011년 공예 장르별 전시 개최현황 128

그림 5-1. 공예연구 조사를 위한 범주분류 149

그림 5-2. 2010-2011년 범주별 학술지 발표논문 수 152

그림 5-3. 연구주제-내용별 박사학위논문 수 154

그림 5-4. 2010-2011년 범주별 석사학위논문 수 154

그림 5-5. 2010-2011년 연구주제-내용별 석사학위논문 수 155

그림 5-6. 2010-2011년 범주별 단행본 수 156

그림 5-7. 연대별 공예 관련 단행본(번역본 포함)의 발행 수 156

그림 5-8. 2010-2011먼 범주별 단행본 수 157

그림 5-9. 2010-2011년 범주별 번역서 수 158

그림 5-10. 분야별 공예연구단체 수 161

그림 5-11. 전국 대학 공예 관련 학과의 분야별 분포현황 162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740568 745 -1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740569 745 -1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2011 공예백서 선행연구>를 출간하며

    공예가 가진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공예 분야의 현황을 파악하려는 시도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형편이었다. 산발적인 실태조사가 있었지만 공예 분야 전체를 아우르지 못해 오히려 공예에 대한 편견을 낳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사회 구성원들이 공예가 무엇인지 인식하고, 정부를 비롯한 여타 기관들이 유용한 정책을 수립하고, 미래의 바람직한 공예상을 수립하기 위해서 현 시대 공예의 전체적 상황을 파악하는 일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따라서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에서 2011년부터 시작하는 이 <공예백서> 사업은 그 의의와 가치가 높은 일로, 한국 공예 분야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다.
    <공예백서>는 공예계의 현황을 조사/연구하고 그 결과물을2 년에 한 번씩 백서 형태로 출간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2011년도의 첫 <공예백서>는 차후 본격적인 백서 발간을 위한 선행연구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는 <공예백서>의 기본 틀을 구축하여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될 백서 사업의 바탕을 마련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선행연구의 성격상, 이번 연구 결과물에는 앞으로의 <공예백서>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는 공예의 역사적 고찰이나 개념과 정의, 범주 구분에 관한 내용을 집어넣어, 공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왔다. 또한 앞으로의 백서에 기본 바탕이 될 구체적인 연구 틀 및 연구 방법, 조사 대상, 조사 방식 등을 설계하였다.
    이번 선행연구는 <공예백서>의 기본 구조로서, 공예 분야를1 장 개념과 영역, 2장 정책, 3장 산업, 4장 전시와 행사, 5장 연구, 6장 교육으로 구분하여 조사, 연구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개념/정책 - 생산 - 유통 - 연구/교육에서 다시 개념/정책으로 이어지는 순환구조를 염두에 둔 것이다. 또한, 1장을 제외한 각 장을 개관, 현황, 결론의 틀로 구성하여 현황의 조사와 분석이 백서의 핵심임을 부각하였다.
    1년간 진행된 〈2011 공예백서-선행연구〉는 2012년 1~2월에 결과보고서 발간작업을 거쳐 완성된다. 연구 과정은 먼저 총괄책임연구원을 선정하여 연구의 전반적인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를 거쳐, 집필 책임자와 현황조사 연구원으로 구성된 장별 연구진이 세부 내용을 설계하고 현황을 조사,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자문위원회가 별도로 구성되어 연구의 방향과 내용 구성을 검수했다. 자문회의 개최를 비롯한 연구 진행의 관리와 운영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총괄하였다.
    <공예백서> 사업의 첫 걸음이었던 이번 선행연구는 연구진을 구성하는 데에 이르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려서, 현황 조사와 분석 그리고 집필이 촉박하게 이루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한 여건 속에서도 연구진들은 최선을 다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시간 부족으로 충분한 논의와 의견 수합의 과정을 거치지 못해, 집필자들의 공예에 대한 관점의 편차가 걸러지지 않은 채 드러나게 되었다. 연구 결과물로서 일관성을 떨어뜨리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다음의 백서 사업에서는 충분한 토론시간 확보로 보완되기를 바란다.
    이번 선행연구를 필두로 계속 전개될 <공예백서> 사업은, 결과물이 축적되어 가면서 한국 공예사의 근거 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분야의 역사가 그 분야의 정체성 구축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예백서>는 오늘날 공예가 무엇인지를 규정하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지식 자산의 축적으로 공예계의 지식 생산을 뒷받침하고 촉진하는 지식중재자 역할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백서의 자료와 데이터들은 정부 및 관련 기관의 정책/사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해외 사례와의 비교 데이터로도 이용되어 공예 분야에 대한 보다 정확한 평가와 진흥책 구성이 가능해질 것이다. 요컨대 공예 분야의 연구 기반 및 정책 수립을 위한 토대가 <공예백서>를 통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