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홍수예보시스템 구축 및 개선 : 낙동강·형산강·태화강 /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 2012
청구기호
627.4 -12-1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xii, 705 p. : 삽화, 설계도, 지도,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241666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편 개요 및 현황 35

제1장 과업개요 37

1.1. 과업의 목적 37

1.2. 과업의 범위 및 내용 37

1.2.1. 과업의 범위 37

1.2.2. 과업의 내용 38

1.3. 기대효과 40

제2장 일반현황 41

2.1. 낙동강 권역 43

2.1.1. 낙동강 수계 45

2.1.2. 형산강 수계 49

2.1.3. 태화강 수계 50

2.1.4. 서낙동강 수계 51

2.1.5. 회야강 수계 52

2.1.6. 영덕오십천 수계 52

2.1.7. 낙동강 동해권 수계 52

2.1.8. 낙동강 남해권 수계 52

2.2. 홍수예보 53

2.2.1. 홍수예보 지점 53

2.2.2. 홍수예보 발령이력 조사 54

제3장 홍수예보시스템 현황 59

3.1. 홍수예보 시설 59

3.1.1. 수문관측소 60

3.1.2. 시설물 77

3.1.3. 전산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 83

3.2. 홍수예보모형 현황 84

3.2.1. 기존 수문학적 예측모형의 분할유역 및 분할하도 현황 84

3.2.2. 기존 수리학적 예측모형의 구축 현황 119

제4장 문헌조사 121

4.1. 유역종합치수계획 121

4.1.1. 낙동강 수계 121

4.2. 하천기본계획 124

4.2.1. 낙동강 124

4.2.2. 형산강 154

4.2.3. 태화강 156

4.3.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157

4.3.1. 하천준설 160

4.3.2. 다기능보 설치 161

4.3.3. 신규댐 건설 163

4.3.4. 농업용저수지 증고 164

4.3.5. 하구둑 배수문 증설 165

4.3.6. 합류부 대책(도류제) 166

4.3.7. 노후제방 보강 166

4.3.8. 홍수위 저감효과 167

4.4. 홍수예보시스템 관련 연구 168

제2편 공사 중 흥수예보모형 보완 171

제1장 서론 173

1.1. 공사 중 홍수예보모형 보완방향 173

1.2. 주요 홍수예보모형 보완내용 175

제2장 수문학적 예측모형 177

2.1. 유출모식도 177

2.2. 유역유출를 178

2.3. 유역저류상수 183

2.4. 하도저류상수 187

제3장 수리학적 예측모형 207

3.1. 현장조사 207

3.1.1. 창녕·함안보 208

3.1.2. 합천·창녕보 213

3.1.3. 달성보 218

3.1.4. 강정고령보 223

3.1.5. 칠곡보 230

3.1.6. 구미보 236

3.1.7. 낙단보 241

3.1.8. 상주보 247

3.2. 단면구축 252

3.2.1. 단면변화 자료수집 252

3.2.2. 단면구축 및 수위변화 검토 275

3.3. 내부경계조건 검토 292

3.3.1.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 292

3.3.2. 단면 처리 조건 297

3.3.3. 수위 변화 검토 297

3.4. 홍수예보모형 현장 검·보정 308

3.4.1. 2010년 7월 16일 홍수사상 308

3.4.2. 2010년 8월 10일 홍수사상 312

3.4.3. 2010년 8월 16일 홍수사상 322

3.4.4. 2010년 9월 1일 홍수사상 328

3.4.5. 2010년 9월 6일 홍수사상 335

3.4.6. 2011년 6월 23일 홍수사상 354

3.4.7. 2011년 7월 6설 홍수사상 371

3.4.8. 조도계수 검·보정 375

제4장 홍수정보 제공 377

4.1. 홍수정보 제공시스템 구축 377

4.2. 홍수정보 제공시스템 운영 378

제5장 결론 381

제3편 공사완료 후 홍수예보모형 구축 383

제1장 서론 385

1.1. 공사완료 후 홍수예보모형 구축의 필요성 385

1.1.1. 기존 홍수예보모형의 구축 과정 386

1.1.2. 신규 홍수예보모형의 분할유역 386

1.2. 홍수예보시스템의 구성 389

1.2.1. 홍수예보시스템의 구비조건 389

1.2.2. 홍수예보 방법 392

제2장 모형 이론 395

2.1. 수문학적 예측모형 395

2.1.1. 강우-유출 모형의 일반 사항 395

2.1.2. 유역 및 하도 분할 402

2.1.3. 유효우량 산정 모형 404

2.1.4. 유역유출 모형 443

2.1.5. 하도유출 모형 456

2.1.6. 저수지 운영 규정 468

2.1.7. 강우-유출 모형의 구성 470

2.1.8. 강우-유출 모형의 정보의 입력 472

2.2. 수리학적 예측모형 484

2.2.1. 1차원 흐름해석 모듈 개발 484

2.2.2. 1차원 흐름모형 입력자료 492

2.2.3. 내수위 예측 모듈 496

2.2.4. 다기능보 운영모듈 503

2.2.5. 시간매개변수 수정 510

제3장 낙동강 513

3.1. 현황 513

3.1.1. 강수량관측소 513

3.1.2. 수위 관측소 513

3.1.3. 수위-유량관계식 513

3.1.4. 시설물 513

3.2. 수문학적 예측모형 528

3.2.1. 유출구조 528

3.2.2. 입력변수 528

3.3. 수리학적 예측모형 574

3.3.1. 단면 구축 574

3.3.2. 낙동강 하류경계 내수위 예측 627

3.3.3. 다기능보 제원 632

3.3.4. 기타 모듈(서낙동강 방류량 반영) 654

3.3.5. 조도계수 657

3.3.6. 적용성 검토 679

제4장 형산강 709

4.1. 현황 709

4.1.1. 강수량관측소 709

4.1.2. 수위 관측소 710

4.1.3. 수위-유량관계식 710

4.1.4. 시설물 711

4.2. 수문학적 예측모형 712

4.2.1. 유출구조 712

4.2.2. 입력변수 714

제5장 태화강 717

5.1. 현황 717

5.1.1. 강수량관측소 717

5.1.2. 수위 관측소 718

5.1.3. 수위-유량관계식 718

5.1.4. 시설물 719

5.2. 수문학적 예측모형 720

5.2.1. 유출구조 720

5.2.2. 입력변수 721

제6장 홍수예보 방안 제시 725

6.1. 홍수위 추정 도표 작성 725

6.2. 홍수기 다기능보 운영기준 검토 729

6.3. 홍수예보 지점 및 기준수위 적정성 검토 731

6.3.1. 홍수예보 지점의 적정성 검토 731

6.3.2. 홍수예보 기준수위의 적정성 검토 732

6.4. 실시간 수위자료를 활용한 홍수정보 제공 검토 734

6.4.1. 필요성 734

6.4.2. 검토방안 734

제7장 결론 및 제언 737

7.1. 결론 737

7.2. 제언 738

제1편 개요 및 현황 9

표 2.1.1. 낙동강홍수통제소 관할 중권역 현황 44

표 2.1.2. 낙동강 수계 등급별 주요하천 통계 47

표 2.1.3. 낙동강 수계 유역면적 150㎢ 이상 하천 현황 47

표 2.1.4. 형산강 수계 등급별 주요하천 통계 49

표 2.1.5. 형산강 수계 유역면적 150㎢ 이상 하천 현황 49

표 2.1.6. 태화강 수계 등급별 주요하천 통계 50

표 2.1.7. 태화강 수계 유역면적 150㎢ 이상 하천 현황 50

표 2.1.8. 서낙동강 수계 등급별 주요하천 통계 51

표 2.1.9. 낙동강 권역 유역면적 150㎢ 이상 하천 현황 51

표 2.2.1. 2011년 기준 홍수예보 지점 현황 53

표 2.2.2. 낙동강 권역 홍수예보 발령이력 조사 54

표 2.2.3. 1987년부터 2011년까지 낙동강 권역 홍수주의보 발령횟수 57

표 2.2.4. 1987년부터 2011년까지 낙동강 권역 홍수경보 발령횟수 57

표 3.1.1. 낙동강 수계 강수량관측소 현황 63

표 3.1.2. 낙동강 수계 수위관측소 현황 71

표 3.1.3. 2010년 유량측정 현황 75

표 3.1.4. 수리학적 예측모형의 하류경계조건으로 반영된 검조소 현황 76

표 3.1.5. 2011년 기준 농업용 저수지 현황 77

표 3.1.6. 다목적 댐 제원 80

표 3.1.7. 용수전용댐 제원 80

표 3.1.8. 신규 계획중인 댐 제원 81

표 3.1.9. 낙동강 하구둑 주배수문 제원 82

표 3.1.10. 분할유역의 평균강우량 관측주기 현황 83

표 3.1.11. 1999년 이후 주요홍수 저장 현황 83

표 3.2.1. 수문학적 예측모형 구축 현황 84

표 3.2.2. 낙동강 수계 분할유역별 티센계수 88

표 3.2.3. 낙동강 수계 유역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102

표 3.2.4. 낙동강 수계 하도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106

표 3.2.5. 형산강 수계 분할유역별 티센계수 112

표 3.2.6. 형산강 수계 유역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113

표 3.2.7. 형산강 수계 하도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113

표 3.2.8. 태화강 수계 분할유역별 티센계수 117

표 3.2.9. 태화강 수계 유역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118

표 3.2.10. 태화강 수계 하도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118

표 3.2.11.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축 현황 119

표 4.1.1. 주요 지점별 홍수량 및 홍수분담량 122

표 4.2.1. 낙동강 상류구간 계획홍수량,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125

표 4.2.2. 낙동강 하류 계획홍수위 및 계획하폭 139

표 4.2.3. 형산강 유역의 기본홍수량 및 계획홍수량 155

표 4.2.4. 태화강 계획홍수량 156

표 4.3.1. 구간별 준설량 160

표 4.3.2. 다기능보 주요 제원 162

표 4.3.3. 신규댐 주요제원 163

표 4.3.4. 농업용 저수지 증고 사업내용 164

표 4.3.5. 시.도별 노후 제방보강 사업내용 166

표 4.3.6. 구간별 홍수위 저감효과 167

제2편 공사 중 홍수예보모형 보완 10

표 2.2.1. 낙동강 수계 유역유출률 178

표 2.3.1. 낙동강 수계 유역저류상수 183

표 2.4.1. 낙동강 수계 하도저류상수 202

표 3.4.1. 현풍 지점 관측 첨두홍수위(발생시간) : 4.28 m(12일 05:30) 318

표 3.4.2. 합천·창녕보 지점 관측 첨두홍수위(발생시간) : 10.28 m(12일 04:30) 319

표 3.4.3. 진동 지점 관측 첨두홍수위(발생시간) : 5.26 m(12일 04:00) 320

표 3.4.4. 창녕·함안보 지점 관측 첨두홍수위(발생시간) : 6.58 m(12일 03:30) 321

표 3.4.5. 왜관 지점 예측-관측 첨두홍수위 비교 323

표 3.4.6. 화원 지점 예측-관측 첨두홍수위 비교 324

표 3.4.7. 현풍 지점 예측-관측 첨두홍수위 비교 325

표 3.4.8. 진동 지점 예측-관측 첨두홍수위 비교 326

표 3.4.9. 삼랑진 지점 예측-관측 첨두홍수위 비교 327

표 3.4.10. 시간대별 오차(합천·창녕보) 328

표 3.4.11. 시간대별 오차(진동) 329

표 3.4.12. 시간대별 오차(창녕·함안보) 330

표 3.4.13. 시간대별 오차(합천·창녕보) 331

표 3.4.14. 시간대별 오차(적포교) 332

표 3.4.15. 시간대별 오차(진동) 333

표 3.4.16. 시간대별 오차(창녕·함안보) 334

표 3.4.17. 낙동 지점 수위예측-관측 비교 346

표 3.4.18. 왜관 지점 수위예측-관측 비교 347

표 3.4.19. 고령교 지점 수위예측-관측 비교 348

표 3.4.20. 현풍 지점 수위예측-관측 비교 349

표 3.4.21. 합천·창녕보 지점 수위예측-관측 비교 350

표 3.4.22. 적포교 지점 수위예측-관측 비교 351

표 3.4.23. 진동 지점 수위예측-관측 비교 352

표 3.4.24. 창녕·함안보 지점 수위예측-관측 비교 353

표 4.2.1. 낙동강 살리기 사업구간의 홍수기 참조 수위관측소 및 관리수위 현황 379

제3편 공사완료 후 홍수예보모형 구축 11

표 1.2.1. 홍수도달시간별 적정 홍수예보모형 394

표 2.1.1. 강우-유출 사상모형의 종류 396

표 2.1.2. 일본 하천자료에 의한 초기유출물, 포화유출률과 포화우량 406

표 2.1.3. 선행토양함수 조건의 분류 409

표 2.1.4. 수문학적 토양형의 분류 410

표 2.1.5. 배수등급에 의한 수문학적 토양형의 분류 411

표 2.1.6. 토지피복별 수문학적 토양형에 의한 SCS 유출 곡선지수(CN) 413

표 2.1.7. LULC code별 토지피복 특성 414

표 2.1.8. LULC code별 수문학적 통양형의 SCS 유출 곡선지수(CN) 415

표 2.1.9. 토지피복 및 피복처리별 수문학적 토양형의 SCS 유출 곡선지수(CN) 416

표 2.1.10. LULC code별 수문학적 토양형의 SCS 유출 곡선지수(CN) 420

표 2.1.11. 분할유역의 토지피복형별·수문학적 토양형별 면적과 유출 곡선지수 423

표 2.1.12. 토성별 Green-Ampt 모형 매개변수 428

표 2.1.13. 정밀토양도 토성의 재분류 430

표 2.1.14. 토지피복별 불투수 비율 432

표 2.1.15. 토성별 최대 침투율 433

표 2.1.16. 토양수 모형 매개변수의 물리적 범위 437

표 2.1.17. 미국 지질조사국 Massachusetts주 유량관측소 지하수 감수계수 438

표 2.1.18. 지점별 유역 특성과 대표 단위도 특성 453

표 2.1.19. 강수량관측소 정보 입력 473

표 2.1.20. 수위관측소 정보 입력 473

표 2.1.21. 분할유역 정보 입력 474

표 2.1.22. 분할유역 티센 가중치 정보 입력 477

표 2.1.23. 분할하도 정보 입력 478

표 2.1.24. 유출구조 정보 입력 479

표 2.1.25. 시설물 정보 입력 479

표 2.1.26. 시설물의 수위-저류량 정보 입력 482

표 2.1.27. 시설물의 여수로 방류량 정보 입력 483

표 2.2.1. DESCRIPTION 파일의 입력변수 499

표 2.2.2. FLOWIN.DAT 파일의 입력변수 500

표 2.2.3. TIDEIN.DAT 파일의 입력변수 500

표 2.2.4. DISCOE.DAT 파일의 입력변수 501

표 2.2.5. HVOLUME.DAT 파일의 입력변수 502

표 2.2.6. GATESPEC.DAT 파일의 입력변수 502

표 2.2.7. TIDECOR.DAT 파일의 입력변수 503

표 2.2.8. 시간단위 매개변수 입력 511

표 3.1.1. 강수량관측소 현황 514

표 3.1.2. 수위관측소 현황 518

표 3.1.3. 수위-유량관계식 현황 521

표 3.1.4. 시설물 현황 526

표 3.2.1. 분할유역 정보 529

표 3.2.2. 분할하도 정보 533

표 3.2.3. 합류점 정보 539

표 3.2.4. 포화우량 모형과 유출지수 모형 입력변수 548

표 3.2.5. Green-Ampt 모형 입력변수 552

표 3.2.6. 침투율 모형 입력변수 556

표 3.2.7. 토양수 모형 입력변수 560

표 3.2.8. 유역 저류함수 모형과 단위도 모형 입력변수 564

표 3.2.9. 하도 저류함수 모형과 Muskingum 모형 입력변수 568

표 3.3.1. 낙동강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576

표 3.3.2. 반변천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602

표 3.3.3. 내성천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604

표 3.3.4. 위천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606

표 3.3.5. 감천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608

표 3.3.6. 금호강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611

표 3.3.7. 황강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615

표 3.3.8. 남강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621

표 3.3.9. 상주보 현황 632

표 3.3.10. 상주보 제원 633

표 3.3.11. 낙단보 현황 635

표 3.3.12. 낙단보 제원 635

표 3.3.13. 구미보 현황 637

표 3.3.14. 구미보 제원 638

표 3.3.15. 칠곡보 현황 640

표 3.3.16. 칠곡보 제원 641

표 3.3.17. 강정고령보 현황 643

표 3.3.18. 강정고령보 제원 644

표 3.3.19. 달성보 현황 646

표 3.3.20. 달성보 제원 647

표 3.3.21. 합천·창녕보 현황 649

표 3.3.22. 합천·창녕보 제원 650

표 3.3.23. 창녕·함안보 현황 652

표 3.3.24. 창녕·함안보 제원 652

표 4.1.1. 강수량관측소 현황 709

표 4.1.2. 수위관측소 현황 710

표 4.1.3. 수위-유량관계식 현황 710

표 4.1.4. 시설물 현황 711

표 4.2.1. 분할유역 정보 712

표 4.2.2. 분할하도 정보 712

표 4.2.3. 합류점 정보 713

표 4.2.4. 포화우량 모형과 유출지수 모형 입력변수 714

표 4.2.5. Green-Ampt 모형 입력 변수 714

표 4.2.6. 침투율 모형 입력변수 715

표 4.2.7. 토양수 모형 입력변수 715

표 4.2.8. 유역 저류함수 모형과 단위도 모형 입력변수 716

표 4.2.9. 하도 저 류함수 모형 과 Muskingum 모형 입력변수 716

표 5.1.1. 강수량관측소 현황 717

표 5.1.2. 수위관측소 현황 718

표 5.1.3. 수위-유량관계식 현황 718

표 5.1.4. 시설물 현황 719

표 5.2.1. 분할유역 정보 720

표 5.2.2. 분할하도 정보 720

표 5.2.3. 합류점 정보 721

표 5.2.4. 포화우량 모형과 유출지수 모형 입력변수 721

표 5.2.5. Green-Ampt 모형 입력변수 722

표 5.2.6. 침투율 모형 입력변수 722

표 5.2.7. 토양수 모형 입력 변수 722

표 5.2.8. 유역 저류함수 모형과 단위도 모형 입력변수 723

표 5.2.9. 하도 저류함수 모형과 Muskingum 모형 입력변수 723

표 6.1.1. 낙동강 살리기 사업구간 주요 지점별 도달시간 728

표 6.2.1. 다기능보 수문조작 대비를 위한 강수량과 유량기준 730

표 6.3.1. 홍수예보 지점 변경 및 신설 검토 731

표 6.3.2. 홍수예보 지점 기준수위 적정성 검토 732

표 6.4.1. 홍수정보제공 기준수위 적정성 검토 736

제1편 개요 및 현황 16

그림 2.1.1. 홍수통제소별 관할 유역 현황 41

그림 2.1.2. 우리나라 중권역 현황 42

그림 2.1.3. 낙동강 수계 46

그림 3.1.1. 낙동강 권역 강수량관측소 위치도 61

그림 3.1.2. 낙동강 권역 수위관측소 위치도 62

그림 3.1.3. 자료 공유 농업용저수지 현황 78

그림 3.1.4. 댐·보 위치도 79

그림 3.1.5. 낙동강 하구둑 주배수문부 구성 82

그림 3.2.1. 낙동강 분할유역 85

그림 3.2.2. 낙동강 홍수예보시스템 유출계산 모식도 86

그림 3.2.3. 낙동강 수계 티센 분할도 87

그림 3.2.4. 형산강 분할유역 109

그림 3.2.5. 형산강 유역 모식도 110

그림 3.2.6. 형산강 수계 티센 분할도 111

그림 3.2.7. 태화강 분할유역 114

그림 3.2.8. 태화강 유역 모식도 115

그림 3.2.9. 태화강 수계 티센 분할도 116

그림 4.1.1. 낙동강 유역종합치수계획 홍수방어 대안 123

그림 4.3.1. 낙동강의 문제점 및 맞춤형 대책 158

그림 4.3.2. 낙동강 살리기 사업 내용 159

그림 4.3.3. 다기능보 설치 계획평면도 161

그림 4.3.4. 다기능보 설치 계획종단도 162

그림 4.3.5. 안동-임하댐 연결 개념도 163

그림 4.3.6. 낙동강 하구둑 배수문 증설 조감도 165

그림 4.3.7. 도류제 설치 대상 166

제2편 공사 중 홍수예보모형 보완 17

그림 2.1.1. 낙동강 수계 유출모식도 177

그림 2.4.1. 낙동강 수계 대표단면에 의한 하도저류상수 산정 187

그림 2.4.2. 낙동강 수계 하도 특성 인자와 저류상수 K의 관계 201

그림 2.4.3. 낙동강 수계 하도 특성 인자와 저류상수 P의 관계 201

그림 3.1.1. 창녕·함안보 1차 가물막이 설치계획 평면도 209

그림 3.1.2. 창녕·함안보 2차 가물막이 설치계획 평면도 209

그림 3.1.3. 창녕·함안보 구간 공사현장(2010년 7월 8일) 210

그림 3.1.4. 창녕·함안보 하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10

그림 3.1.5. 창녕·함안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5월 24일) 211

그림 3.1.6. 창녕·함안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6월 16일) 211

그림 3.1.7. 창녕·함안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8월 31일) 212

그림 3.1.8. 창녕·함안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9월 29일) 212

그림 3.1.9. 합천·창녕보 가물막이 설치계획 평면도 213

그림 3.1.10. 합천·창녕보 구간 공사현장(2010년 7월 8일) 214

그림 3.1.11. 합천·창녕보 하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7월 8일) 214

그림 3.1.12. 합천·창녕보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15

그림 3.1.13. 합천·창녕보 하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15

그림 3.1.14. 합천·창녕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5월 24일) 216

그림 3.1.15. 합천·창녕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6월 16일) 216

그림 3.1.16. 합천·창녕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8월 31일) 217

그림 3.1.17. 합천·창녕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9월 29일) 217

그림 3.1.18. 달성보 1차 가물막이 설치계획 평면도 218

그림 3.1.19. 달성보 2차, 3차 가물막이 설치계획 평면도 219

그림 3.1.20. 달성보 구간 공사현장(2010년 7월 8일) 219

그림 3.1.21. 달성보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20

그림 3.1.22. 달성보 상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20

그림 3.1.23. 달성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5월 24일) 221

그림 3.1.24. 달성보 구간 공사현장년(2011년 6월 16일) 221

그림 3.1.25. 달성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8월 31일) 222

그림 3.1.26. 달성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9월 29일) 222

그림 3.1.27. 강정고령보 1차 가물막이 설치계획 평면도 223

그림 3.1.28. 강정고령보 2차 가물막이 설치계획 평면도 224

그림 3.1.29. 강정고령보 상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7월 8일) 225

그림 3.1.30. 강정고령보 하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7월 8일) 225

그림 3.1.31. 강정고령보 상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26

그림 3.1.32. 강정고령보 하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26

그림 3.1.33. 강정고령보 상류 구간 공사현장(2011년 5월 24일) 227

그림 3.1.34. 강정고령보 하류 구간 공사현장(2011년 5월 24일) 227

그림 3.1.35. 강정고령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6월 16일) 228

그림 3.1.36. 강정고령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8월 31일) 228

그림 3.1.37. 강정고령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9월 29일) 229

그림 3.1.38. 칠곡보 가물막이 설치계획 평면도 231

그림 3.1.39. 칠곡보 구간 공사현장(2010년 7월 8일) 231

그림 3.1.40. 칠곡보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32

그림 3.1.41. 칠곡보 하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32

그림 3.1.42. 칠곡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5월 24일) 233

그림 3.1.43. 칠곡보 하류 구간 공사현장(2011년 5월 24일) 233

그림 3.1.44. 칠곡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6월 16일) 234

그림 3.1.45. 칠곡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8월 31일) 234

그림 3.1.46. 칠곡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9월 29일) 235

그림 3.1.47. 구미보 가물막이 설치계획 평면도 237

그림 3.1.48. 구미보 구간 공사현장(2010년 7월 8일) 237

그림 3.1.49. 구미보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38

그림 3.1.50. 구미보 상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38

그림 3.1.51. 구미보 하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38

그림 3.1.52. 구미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5월 24일) 239

그림 3.1.53. 구미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6월 16일) 239

그림 3.1.54. 구미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8월 31일) 240

그림 3.1.55. 구미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9월 29일) 240

그림 3.1.56. 낙단보 가물막이 설치계획 평면도 242

그림 3.1.57. 낙단보 가물막이 설치시 유수전환흐름 242

그림 3.1.58. 낙단보 구간 공사현장(2010년 7월 8일) 243

그림 3.1.59. 낙단보 하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7월 8일) 243

그림 3.1.60. 낙단보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44

그림 3.1.61. 낙단보 하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44

그림 3.1.62. 낙단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5월 24일) 245

그림 3.1.63. 낙단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6월 16일) 245

그림 3.1.64. 낙단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8월 31일) 246

그림 3.1.65. 낙단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9월 29일) 246

그림 3.1.66. 상주보 1차 가물막이 설치계획 평면도 247

그림 3.1.67. 상주보 2차 가물막이 설치계획 평면도 247

그림 3.1.68. 상주보 구간 공사현장(2010년 7월 8일) 248

그림 3.1.69. 상주보 하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7월 8일) 248

그림 3.1.70. 상주보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49

그림 3.1.71. 상주보 하류 구간 공사현장(2010년 10월 12일) 249

그림 3.1.72. 상주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5월 24일) 250

그림 3.1.73. 상주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6월 16일) 250

그림 3.1.74. 상주보 구간 공사현장(2011년 8월 31일) 251

그림 3.1.75. 상주보 구간 구간 공사현장(2011년 9월 29일) 251

그림 3.2.1. 창녕·함안보 구간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53

그림 3.2.2. 낙동강 20공구 평면도 253

그림 3.2.3. 합천·창녕보 구간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54

그림 3.2.4. 낙동강 22공구 평면도 254

그림 3.2.5. 달성보 구간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54

그림 3.2.6. 강정고령보 구간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55

그림 3.2.7. 낙동강 24공구 평면도 255

그림 3.2.8. 칠곡보 구간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56

그림 3.2.9. 낙동강 30공구 평면도 256

그림 3.2.10. 구미보 구간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56

그림 3.2.11. 낙동강 32공구 평면도 257

그림 3.2.12. 낙단보 구간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57

그림 3.2.13. 낙동강 33공구 평면도 258

그림 3.2.14. 상주보 구간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58

그림 3.2.15. 구포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59

그림 3.2.16. 월촌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59

그림 3.2.17. 삼랑진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59

그림 3.2.18. 수산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0

그림 3.2.19. 임해진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0

그림 3.2.20. 진동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0

그림 3.2.21. 마수원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1

그림 3.2.22. 적포교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1

그림 3.2.23. 이방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1

그림 3.2.24. 대암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2

그림 3.2.25. 현풍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2

그림 3.2.26. 고령교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2

그림 3.2.27. 화원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3

그림 3.2.28. 죽곡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3

그림 3.2.29. 성주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3

그림 3.2.30. 왜관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4

그림 3.2.31. 구미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4

그림 3.2.32. 일선교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4

그림 3.2.33. 낙동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5

그림 3.2.34. 사벌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5

그림 3.2.35. 말응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5

그림 3.2.36. 달지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6

그림 3.2.37. 지보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6

그림 3.2.38. 구담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및 좌표추출 단면자료 266

그림 3.2.39. 2010년 창녕·함안보 지점 공사 전 단면과 계획 단면 비교 267

그림 3.2.40. 2011년 창녕·함안보 지점 공사 전 단면과 계획 단면 비교 268

그림 3.2.41. 2010년 합천·창녕보 지점 공사 전 단면과 계획 단면 비교 268

그림 3.2.42. 2011년 합천·창녕보 지점 공사 전 단면과 계획 단면 비교 269

그림 3.2.43. 2010년 달성보 지점 공사 전 단면과 계획 단면 비교 270

그림 3.2.44. 2011년 달성보 지점 공사 전 단면과 계획 단면 비교 270

그림 3.2.45. 강정고령보 지점 공사 전 단면과 계획 단면 비교 271

그림 3.2.46. 2010년 칠곡보 지점 공사 전 단면과 계획 단면 비교 272

그림 3.2.47. 2011년 칠곡보 지점 공사 전 단면과 계획 단면 비교 272

그림 3.2.48. 2010년 구미보 지점 공사 전 단면과 계획 단면 비교 273

그림 3.2.49. 2010년 낙단보 지점 공사 전 단면과 계획 단면 비교 274

그림 3.2.50. 2010년 상주보 지점 공사 전 단면과 계획 단면 비교 274

그림 3.2.51. 안동 수위 관측소 지점 B-H 곡선 275

그림 3.2.52. 구담 수위 관측소 지점 B-H 곡선 276

그림 3.2.53. 지보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76

그림 3.2.54. 달지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77

그림 3.2.55. 말응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77

그림 3.2.56. 사벌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78

그림 3.2.57. 낙동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78

그림 3.2.58. 일선교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79

그림 3.2.59. 구미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79

그림 3.2.60. 왜관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80

그림 3.2.61. 성주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80

그림 3.2.62. 죽곡 수위 관측소 지점 B-H 곡선 281

그림 3.2.63. 화원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81

그림 3.2.64. 고령교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82

그림 3.2.65. 현풍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82

그림 3.2.66. 대암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83

그림 3.2.67. 이방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83

그림 3.2.68. 적포교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84

그림 3.2.69. 마수원 수위 관측소 지점 B-H 곡선 284

그림 3.2.70. 진동 수위 관측소 지점 B-H 곡선 285

그림 3.2.71. 임해진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85

그림 3.2.72. 수산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86

그림 3.2.73. 삼랑진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86

그림 3.2.74. 월촌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87

그림 3.2.75. 구포 수위관측소 지점 B-H 곡선 287

그림 3.2.76.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낙동) 288

그림 3.2.77.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왜관) 289

그림 3.2.78.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현풍) 289

그림 3.2.79.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진동) 290

그림 3.2.80.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삼랑진) 290

그림 3.2.81.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구포) 291

그림 3.3.1. FLDWAV 모형에 반영된 수위-유량관계곡선(상주보) 293

그림 3.3.2. FLDWAV 모형에 반영된 수위-유량관계곡선(낙단보) 293

그림 3.3.3. FLDWAV 모형에 반영된 수위-유량관계곡선(구미보) 294

그림 3.3.4. FLDWAV 모형에 반영된 수위-유량관계곡선(칠곡보) 294

그림 3.3.5. FLDWAV 모형에 반영된 수위-유량관계곡선(강정고령보) 295

그림 3.3.6. FLDWAV 모형에 반영된 수위-유량관계곡선(달성보) 295

그림 3.3.7. FLDWAV 모형에 반영된 수위-유량관계곡선(합천·창녕보) 296

그림 3.3.8. FLDWAV 모형에 반영된 수위-유량관계곡선(창녕·함안보) 296

그림 3.3.9.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사벌) 298

그림 3.3.10.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상주보) 298

그림 3.3.11.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낙단보) 299

그림 3.3.12.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낙등) 299

그림 3.3.13.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일선교) 300

그림 3.3.14.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구미보) 300

그림 3.3.15.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칠곡보) 301

그림 3.3.16.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왜관) 301

그림 3.3.17.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강정고령보) 302

그림 3.3.18.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화원) 302

그림 3.3.19.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고령교) 303

그림 3.3.20.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달성보) 303

그림 3.3.21.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현풍) 304

그림 3.3.22.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대암) 304

그림 3.3.23.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이방) 305

그림 3.3.24.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합천·창녕보) 305

그림 3.3.25.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적포교) 306

그림 3.3.26.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마수원) 306

그림 3.3.27.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창녕·함안보) 307

그림 3.3.28. 수위-유량 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임해진) 307

그림 3.4.1. 2010년 7월 16일~7월 17일 낙동강 수계 기상현황 308

그림 3.4.2. 합천·창녕보 지점 수위 비교(2010년 7월 16일~7월 17일) 309

그림 3.4.3. 적포교 지점 수위 비교(2010년 7월 16일~7월 17일) 310

그림 3.4.4. 진동 지점 수위 비교(2010년 7월 16일~7월 17일) 310

그림 3.4.5. 창녕·함안보 지점 수위 비교(2010년 7월 16일~7월 17일) 311

그림 3.4.6. 2010년 8월 10일~8월 13일 낙동강 수계 기상현황 312

그림 3.4.7. 낙동 지점 수위 비교(2010년 8월 10일~8월 13일) 313

그림 3.4.8. 일선교 지점 수위 비교(2010년 8월 10일~8월 13일) 314

그림 3.4.9. 구미 지점 수위 비교(2010년 8월 10일~8월 13일) 314

그림 3.4.10. 왜관 지점 수위 비교(2010년 8월 10일~8월 13일) 315

그림 3.4.11. 고령교 지점 수위 비교(2010년 8월 10일~8월 13일) 315

그림 3.4.12. 현풍 지점 수위 비교(2010년 8월 10일~8월 13일) 316

그림 3.4.13. 합천·창녕보 지점 수위 비교(2010년 8월 10일~8월 13일) 316

그림 3.4.14. 진동 지점 수위 비교(2010년 8월 10일~8월 13일) 317

그림 3.4.15. 창녕·함안보 지점 수위 비교(2010년 8월 10일~8월 13일) 317

그림 3.4.16. 현풍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8월 10일~8월 13일) 318

그림 3.4.17. 합천·창녕보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8월 10일~8월 13일) 319

그림 3.4.18. 진동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8월 10일~8월 13일) 320

그림 3.4.19. 창녕·함안보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8월 10일~8월 13일) 321

그림 3.4.20. 2010년 8월 16일~8월 18일 낙동강 수계 기상현황 322

그림 3.4.21. 왜관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8월 16일~8월 19일) 323

그림 3.4.22. 화원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8월 16일~8월 19일) 324

그림 3.4.23. 현풍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8월 16일~8월 19일) 325

그림 3.4.24. 진동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8월 16일~8월 19일) 326

그림 3.4.25. 삼랑진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8월 16일~8월 19일) 327

그림 3.4.26. 합천·창녕보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2일 13:00) 328

그림 3.4.27. 진동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2일 13:00) 329

그림 3.4.28. 창녕·함안보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2일 13:00) 330

그림 3.4.29. 합천·창녕보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2일 20:30) 331

그림 3.4.30. 적포교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2일 20:30) 332

그림 3.4.31. 진동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2일 20:30) 333

그림 3.4.32. 창녕·함안보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2일 20:30) 334

그림 3.4.33. 달지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35

그림 3.4.34. 말응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36

그림 3.4.35. 사벌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36

그림 3.4.36. 낙등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37

그림 3.4.37. 일선교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37

그림 3.4.38. 구미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38

그림 3.4.39. 왜관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38

그림 3.4.40. 성주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39

그림 3.4.41. 죽곡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39

그림 3.4.42. 화원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40

그림 3.4.43. 고령교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40

그림 3.4.44. 현풍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41

그림 3.4.45. 이방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41

그림 3.4.46. 적포교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42

그림 3.4.47. 마수원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42

그림 3.4.48. 진동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43

그림 3.4.49. 임해진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43

그림 3.4.50. 수산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44

그림 3.4.51. 삼랑진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44

그림 3.4.52. 월촌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45

그림 3.4.53. 구포 지점 모의시간별 수위 비교(2010년 9월 6일~9월 7일) 345

그림 3.4.54. 낙동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8일 12:00) 346

그림 3.4.55. 왜관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8일 12:00) 347

그림 3.4.56. 고령교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8일 12:00) 348

그림 3.4.57. 현풍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8일 12:00) 349

그림 3.4.58. 합천·창녕보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8일 12:00) 350

그림 3.4.59. 적포교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8일 12:00) 351

그림 3.4.60. 진동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8일 12:00) 352

그림 3.4.61. 창녕·함안보 지점 수위 비교(예측시간 2010년 9월 8일 12:00) 353

그림 3.4.62. 안동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54

그림 3.4.63. 구담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55

그림 3.4.64. 지보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55

그림 3.4.65. 달지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56

그림 3.4.66. 말응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56

그림 3.4.67. 사벌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57

그림 3.4.68. 상주보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57

그림 3.4.69. 낙단보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58

그림 3.4.70. 낙동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58

그림 3.4.71. 일선교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59

그림 3.4.72. 구미보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59

그림 3.4.73. 구미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0

그림 3.4.74. 칠곡보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0

그림 3.4.75. 왜관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1

그림 3.4.76. 성주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1

그림 3.4.77. 죽곡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2

그림 3.4.78. 강정고령보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2

그림 3.4.79. 화원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3

그림 3.4.80. 고령교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3

그림 3.4.81. 달성보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4

그림 3.4.82. 현풍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4

그림 3.4.83. 대암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5

그림 3.4.84. 이방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5

그림 3.4.85. 합천·창녕보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6

그림 3.4.86. 적포교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6

그림 3.4.87. 마수원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7

그림 3.4.88. 진동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7

그림 3.4.89. 창녕·함안보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8

그림 3.4.90. 임해진 지점 수위 비교(2011 년 6월 20일~6월 30일) 368

그림 3.4.91. 수산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9

그림 3.4.92. 삼랑진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69

그림 3.4.93. 월촌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70

그림 3.4.94. 구포 지점 수위 비교(2011년 6월 20일~6월 30일) 370

그림 3.4.95. 낙동강 유역 강우량 현황 371

그림 3.4.96. 동촌 지점 예측수위(2011년 7월 9일~7월 11일) 372

그림 3.4.97. 삼랑진 지점 예측수위(2011년 7월 9일~7월 11일) 372

그림 3.4.98. 구포 지점 예측수위(2011년 7월 9일~7월 11일) 373

그림 3.4.99. 진동 지점 예측수위(2011년 7월 9일~7월 11일) 373

그림 3.4.100. 동촌 지점 예측수위(2011년 7월 9일~7월 11일) 374

그림 4.1.1. 낙동강 살리기 사업구간 홍수정보제공 시스템 378

제3편 공사완료 후 홍수예보모형 구축 26

그림 1.2.1. 홍수예보 선행시간 구성 390

그림 2.1.1. 유출 성분 397

그림 2.1.2. 유출률과 포화우량 관계 404

그림 2.1.3. 유입계수와 강우 손실량의 시간적 변화 405

그림 2.1.4. SCS의 유출 곡선지수(CN)을 이용한 초기유출률과 포화우량 결정 406

그림 2.1.5. SCS 유효우량 모형 407

그림 2.1.6. 최대잠재보유수량과 초기손실의 관계 408

그림 2.1.7. 연속 형태의 CN 410

그림 2.1.8. 정밀토양도(1,325 토양통) 411

그림 2.1.9. 토지이용도(22개 등급) 412

그림 2.1.10. 침투 과정의 영역 구분 425

그림 2.1.11. Green-Ampt 모형 426

그림 2.1.12. (모관)흡인수두와 투수계수의 관계 429

그림 2.1.13. 삼각형 토성 분류 429

그림 2.1.14. 삼각형 토성 분류(한국) 430

그림 2.1.15. 지수 변화에 따른 침투율 곡선 433

그림 2.1.16. 토양수 모형의 모식도 434

그림 2.1.17. 감수계수 436

그림 2.1.18. 상층 감수계수 회귀분석 438

그림 2.1.19.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매립형 우량계 439

그림 2.1.20. 우량계 주변의 바람 440

그림 2.1.21. 풍속에 따른 우량 보정계수 441

그림 2.1.22. 우량계의 종류 441

그림 2.1.23. 유역의 저류상수, 초기유출률 및 포화우량 결정 447

그림 2.1.24. Nash 모형의 선형 저수지 개념 451

그림 2.1.25. 유역면적과 첨두시간 관계 455

그림 2.1.26. 유역면적과 첨두유량 관계 455

그림 2.1.27. 하도 저류함수 계산 결과 460

그림 2.1.28. 하도 저류상수 및 지체시간 회귀 분석 결과 464

그림 2.1.29. 자연하도의 태형 저류와 쐐기 저류 466

그림 2.1.30. auto-ROM 운영 방식 468

그림 2.1.31. rigid-ROM 계산 방법 469

그림 2.1.32. 강우-유출모형 계산 모식도 471

그림 2.2.1. 가중 4점 음해법 격자망 488

그림 2.2.2. 하천구간의 개요도 490

그림 2.2.3. FLDWAV 단면구축을 위한 하천단면 분석 493

그림 2.2.4. 하구둑 저류구간 초기수위 산정 497

그림 2.2.5. 하구둑 저류구간 유입량 반영 수위재산정 498

그림 2.2.6. 하구둑 저류구간 최종수위 산정 498

그림 2.2.7. 저수지 유입량에 따른 하구둑 방류량 효율 설정 501

그림 2.2.8. 4대강 다기능보 수문 형태 504

그림 2.2.9. 기존 FLDWAV 가동보 방류량 산정개념 505

그림 2.2.10. 완전 오리피스 조건 505

그림 2.2.11. 불완전 오리피스 조건 506

그림 2.2.12. 수중 위어 조건 507

그림 2.2.13. 한계류 조건 507

그림 2.2.14. 위어 흐름 조건 508

그림 3.3.1. 낙동강 수리학적 예측모형 모식도 575

그림 3.3.2. 안동 수위관측소 B-H 595

그림 3.3.3. 구담 수위관측소 B-H 595

그림 3.3.4. 지보 수위관측소 B-H 595

그림 3.3.5. 달지 수위관측소 B-H 595

그림 3.3.6. 말응 수위관측소 B-H 595

그림 3.3.7. 사벌 수위관측소 B-H 595

그림 3.3.8. 상주보 지점 B-H 596

그림 3.3.9. 낙단보 지점 B-H 596

그림 3.3.10. 낙동 수위관측소 B-H 596

그림 3.3.11. 일선교 수위관측소 B-H 596

그림 3.3.12. 구미보 지점 B-H 596

그림 3.3.13. 구미 수위 관측소 B-H 596

그림 3.3.14. 칠곡보 지점 B-H 597

그림 3.3.15. 왜관 수위관측소 B-H 597

그림 3.3.16. 성주 수위관측소 B-H 597

그림 3.3.17. 죽곡 수위관측소 B-H 597

그림 3.3.18. 강정 고령보 지점 B-H 597

그림 3.3.19. 화원 수위 관측소 B-H 597

그림 3.3.20. 고령교 수위관측소 B-H 598

그림 3.3.21. 달성보 지점 B-H 598

그림 3.3.22. 현풍 수위관측소 B-H 598

그림 3.3.23. 대암 수위 관측소 B-H 598

그림 3.3.24. 이방 수위 관측소 B-H 598

그림 3.3.25. 합천·창녕보 지점 B-H 598

그림 3.3.26. 적포교 수위관측소 B-H 599

그림 3.3.27. 마수원 수위관측소 B-H 599

그림 3.3.28. 진동 수위관측소 B-H 599

그림 3.3.29. 창녕·함안보 지점 B-H 599

그림 3.3.30. 임해진 수위관측소 B-H 599

그림 3.3.31. 수산 수위관측소 B-H 599

그림 3.3.32. 삼랑진 수위관측소 B-H 600

그림 3.3.33. 월촌 수위관측소 B-H 600

그림 3.3.34. 구포 수위 관측소 B-H 600

그림 3.3.35. 하구둑 수위관측소 B-H 600

그림 3.3.36. 임하조정지댐 수위관측소 B-H 603

그림 3.3.37. 임하 수위관측소 B-H 603

그림 3.3.38. 죽전 수위관측소 B-H 605

그림 3.3.39. 용곡 수위관측소 B-H 607

그림 3.3.40. 김천 수위관측소 B-H 610

그림 3.3.41. 선산 수위관측소 B-H 610

그림 3.3.42. 금호 수위관측소 B-H 614

그림 3.3.43. 하양 수위관측소 B-H 614

그림 3.3.44. 동촌 수위관측소 B-H 614

그림 3.3.45. 성서 수위관측소 B-H 614

그림 3.3.46. 합천조정지 댐 수위관측소 B-H 620

그림 3.3.47. 죽고 수위관측소 B-H 620

그림 3.3.48. 남강댐방수로 수위관측소 B-H 625

그림 3.3.49. 정암 수위관측소 B-H 625

그림 3.3.50. 거룡강 수위관측소 B-H 625

그림 3.3.51. 2009년 7월 낙동강 하구둑 외수위 및 부산 조위 관측결과 비교 628

그림 3.3.52. 부산조위 및 낙동강 하구둑 외수위 관계분석 628

그림 3.3.53. 낙동강 하구둑 외수위 예측결과 629

그림 3.3.54. 낙동강 하구둑에서 구포 지점까지 수위-저류용량 관계 630

그림 3.3.55. 낙동강 하구둑 내수위 예측결과 631

그림 3.3.56. 상주보 조감도 및 단면도 634

그림 3.3.57. 낙단보 조감도 및 단면도 636

그림 3.3.58. 구미보 조감도 및 단면도 639

그림 3.3.59. 칠곡보 조감도 및 단면도 642

그림 3.3.60. 강정고령보 조감도 및 단면도 645

그림 3.3.61. 달성보 조감도 및 단면도 648

그림 3.3.62. 합천·창녕보 조감도 및 단면도 651

그림 3.3.63. 창녕·함안보 조감도 및 단면도 653

그림 3.3.64. 서낙동강 유역도 655

그림 3.3.65. 월촌 수위관측소 서낙동강 반영전·후 수위비교 656

그림 3.3.66. 월촌 수위 관측소 서 낙동강 반영 전·후 수위비교 656

그림 3.3.67. 안동조정지댐 수위 관측소 조도계수 657

그림 3.3.68. 안동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58

그림 3.3.69. 구담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58

그림 3.3.70. 지보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59

그림 3.3.71. 달지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59

그림 3.3.72. 말응 수위 관측소 조도계수 660

그림 3.3.73. 사벌 수위 관측소 조도계수 660

그림 3.3.74. 상주보(상류) 지점 조도계수 661

그림 3.3.75. 상주보(하류) 지점 조도계수 661

그림 3.3.76. 낙단보(상류) 지점 조도계수 662

그림 3.3.77. 낙단보(하류) 지점 조도계수 662

그림 3.3.78. 낙동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63

그림 3.3.79. 일선교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63

그림 3.3.80. 구미보(상류) 지점 조도계수 664

그림 3.3.81. 구미보(하류) 지점 조도계수 664

그림 3.3.82. 구미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65

그림 3.3.83. 칠곡보(상류) 지점 조도계수 665

그림 3.3.84. 칠곡보(하류) 지점 조도계수 666

그림 3.3.85. 왜관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66

그림 3.3.86. 성주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67

그림 3.3.87. 죽곡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67

그림 3.3.88. 강정고령보(상류) 지점 조도계수 668

그림 3.3.89. 강정고령보(하류) 지점 조도계수 668

그림 3.3.90. 화원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69

그림 3.3.91. 고령교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69

그림 3.3.92. 달성보(상류) 지점 조도계수 670

그림 3.3.93. 달성보(하류) 지점 조도계수 670

그림 3.3.94. 현풍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71

그림 3.3.95. 대암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71

그림 3.3.96. 이방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72

그림 3.3.97. 합천·창녕보(상류) 지점 조도계수 672

그림 3.3.98. 합천·창녕보(하류) 지점 조도계수 673

그림 3.3.99. 적포교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73

그림 3.3.100. 마수원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74

그림 3.3.101. 진동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74

그림 3.3.102. 창녕·함안보(상류) 지점 조도계수 675

그림 3.3.103. 창녕·함안보(하류) 지점 조도계수 675

그림 3.3.104. 임해진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76

그림 3.3.105. 수산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76

그림 3.3.106. 삼랑진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77

그림 3.3.107. 월촌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77

그림 3.3.108. 구포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678

그림 3.3.109.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안동) 679

그림 3.3.110.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구담) 680

그림 3.3.111.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지보) 680

그림 3.3.112.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달지) 681

그림 3.3.113.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말응) 681

그림 3.3.114.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사벌) 682

그림 3.3.115.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상주보) 682

그림 3.3.116.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낙단보) 683

그림 3.3.117.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낙동) 683

그림 3.3.118.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일선교) 684

그림 3.3.119.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구미보) 684

그림 3.3.120.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구미) 685

그림 3.3.121.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칠곡보) 685

그림 3.3.122.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왜관) 686

그림 3.3.123.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성주) 686

그림 3.3.124.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죽곡) 687

그림 3.3.125.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강정고령보) 687

그림 3.3.126.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화원) 688

그림 3.3.127.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고령교) 688

그림 3.3.128.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달성보) 689

그림 3.3.129.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현풍) 689

그림 3.3.130.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대암) 690

그림 3.3.131.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이방) 690

그림 3.3.132.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합천·창녕보) 691

그림 3.3.133.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적포교) 691

그림 3.3.134.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마수원) 692

그림 3.3.135.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진동) 692

그림 3.3.136.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창녕·함안보) 693

그림 3.3.137.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임해진) 693

그림 3.3.138.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수산) 694

그림 3.3.139.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삼랑진) 694

그림 3.3.140.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월촌) 695

그림 3.3.141.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수리학적 예측모형예측수위 비교(구포) 695

그림 3.3.142.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사벌) 697

그림 3.3.143.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상주보) 697

그림 3.3.144.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낙단보) 698

그림 3.3.145.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낙동) 698

그림 3.3.146.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일선교) 699

그림 3.3.147.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구미보) 699

그림 3.3.148.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구미) 700

그림 3.3.149. 가동보-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칠곡보) 700

그림 3.3.150.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왜관) 701

그림 3.3.151.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성주) 701

그림 3.3.152.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죽곡) 702

그림 3.3.153.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강정고령보) 702

그림 3.3.154.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화원) 703

그림 3.3.155.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고령교) 703

그림 3.3.156.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달성보) 704

그림 3.3.157.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현풍) 704

그림 3.3.158.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대암) 705

그림 3.3.159.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이방) 705

그림 3.3.160.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합천·창녕보) 706

그림 3.3.161.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적포교) 706

그림 3.3.162.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마수원) 707

그림 3.3.163.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진동) 707

그림 3.3.164.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창녕·함안보) 708

그림 3.3.165.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수산) 708

그림 6.1.1. 홍수 도달시간 추정방법 726

그림 6.1.2. 낙동강 살리기 사업구간 주요 지점 현황 727

그림 6.1.3. 낙동강 살리기 사업구간 방류량 조건별 주요 지점 도달시간 728

그림 6.3.1. 낙동강 살리기 사업구간 수위검토 73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750203 627.4 -12-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