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홍수예보시스템 구축 및 개선 : 금강·삽교천 /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 2012
청구기호
627.4 -12-1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ix, 413 p. : 삽화, 설계도, 지도,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241668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편 개요 및 현황 22

제1장 과업개요 24

1.1. 과업의 목적 24

1.2. 과업의 범위 및 내용 24

1.2.1. 과업의 범위 24

1.2.2. 과업의 내용 25

1.3. 기대효과 27

제2장 일반현황 28

2.1. 금강 권역 30

2.1.1. 금강 수계 31

2.1.2. 삽교천 수계 34

2.2. 홍수예보 38

2.2.1. 홍수예보 지점 38

2.2.2. 홍수예보 발령이력 조사 38

제3장 홍수예보시스템 현황 42

3.1. 홍수예보 시설 42

3.1.1. 수문관측소 43

3.1.2. 시설물 54

3.1.3. 전산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 59

3.2. 홍수예보모형 현황 60

3.2.1. 기존 수문학적 예측모형의 분할유역 및 분할하도 현황 60

3.2.2. 기존 수리학적 예측모형의 구축 현황 82

제4장 문헌조사 84

4.1. 유역종합치수계획 84

4.1.1. 금강 수계 84

4.2. 하천기본계획 85

4.2.1. 금강 85

4.2.2. 삽교천 93

4.3.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95

4.3.1. 홍수방어 대책 96

4.3.2. 물확보 방안 96

4.3.3. 농업용저수지 증고 98

4.4. 홍수예보시스템 관련 연구 100

제2편 공사 중 홍수예보모형 보완 104

제1장 서론 106

1.1. 공사 중 홍수예보모형 보완방향 106

1.2. 공사 중 홍수예보모형 보완내용 108

제2장 수문학적 예측모형 110

2.1. 유출모식도 110

2.2. 유역유출률 111

2.3. 유역저류상수 113

2.4. 하도저류상수 115

제3장 수리학적 예측모형 128

3.1. 현장조사 128

3.1.1. 세종보 128

3.1.2. 공주보 134

3.1.3. 백제보 140

3.2. 단면구축 146

3.2.1. 단면변화 자료수집 146

3.2.2. 단면 구축 및 수위변화 검토 152

3.3. 내부경계조건 검토 162

3.3.1.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 162

3.3.2. 단면처리 조건 164

3.3.3. 수위 변화 검토 168

3.4. 홍수기 예보모형 검·보정 173

3.4.1. 2011년 7월 7일 홍수사상 173

제4장 홍수정보 제공 180

4.1. 홍수정보 제공시스템 구축 180

4.2. 홍수정보 제공시스템 운영 181

제5장 결론 184

제3편 공사완료 후 홍수예보모형 구축 186

제1장 서론 188

1.1. 공사완료 후 홍수예보모형 구축의 필요성 188

1.1.1. 기존 홍수예보모형의 구축 과정 189

1.1.2. 신규 홍수예보모형의 분할유역 189

1.2. 홍수예보시스템의 구성 192

1.2.1. 홍수예보시스템의 구비조건 192

1.2.2. 홍수예보 방법 195

제2장 모형 이론 198

2.1. 수문학적 예측모형 198

2.1.1. 강우-유출 모형의 일반 사항 198

2.1.2. 유역 및 하도 분할 205

2.1.3. 유효우량 산정 모형 207

2.1.4. 유역유출 모형 245

2.1.5. 하도유출 모형 258

2.1.6. 저수지 운영 규정 270

2.1.7. 강우-유출 모형의 구성 272

2.1.8. 강우-유출 모형의 정보의 입력 274

2.2. 수리학적 예측모형 286

2.2.1. 1차원 흐름해석 모듈 개발 286

2.2.2. 1차원 흐름모형 입력자료 293

2.2.3. 내수위 예측 모듈 299

2.2.4. 다기능보 운영 모듈 306

2.2.5. 시간매개변수 수정 313

제3장 금강 314

3.1. 현황 314

3.1.1. 강수량관측소 314

3.1.2. 수위관측소 314

3.1.3. 수위-유량관계식 314

3.1.4. 시설물 314

3.2. 수문학적 예측모형 323

3.2.1. 유출구조 323

3.2.2. 입력변수 323

3.3. 수리학적 예측모형 349

3.3.1. 단면 구축 349

3.3.2. 금강 하류경계 내수위 예측 365

3.3.3. 내부경계 입력을 위한 다기능보 제원 366

3.3.4. 상류경계조건 설정 372

3.3.5. 조도계수 374

3.3.6. 적용성 검토 381

제4장 삽교천 394

4.1. 현황 394

4.1.1. 강수량관측소 394

4.1.2. 수위관측소 394

4.1.3. 수위-유량관계식 394

4.1.4. 시설물 394

4.2. 수문학적 예측모형 397

4.2.1. 유출구조 397

4.2.2. 입력변수 397

4.3. 수리학적 예측모형 403

4.3.1. 단면 구축 403

4.3.2. 삽교천 하류경계 내수위 예측 409

4.3.3. 조도계수 410

제5장 웅천천 414

5.1. 현황 414

5.1.1. 강수량관측소 414

5.1.2. 수위관측소 414

5.1.3. 수위-유량관계식 414

5.1.4. 시설물 414

5.2. 수문학적 예측모형 416

5.2.1. 유출구조 416

5.2.2. 입력변수 416

제6장 홍수예보 방안 제시 420

6.1. 홍수위 추정 도표 작성 420

6.2. 홍수기 다기능보 운영기준 검토 424

6.3. 홍수예보 지점 및 기준수위 적정성 검토 426

6.3.1. 홍수예보 지점의 적정성 검토 426

6.3.2. 홍수예보 기준수위의 적정성 검토 427

6.4. 실시간 수위자료를 활용한 홍수정보 제공 검토 429

6.4.1. 필요성 429

6.4.2. 검토방안 430

제7장 결론 및 제언 432

7.1. 결론 432

7.2. 제언 433

제1편 개요 및 현황 9

표 2.1.1. 금강홍수통제소 관할 중권역 현황 30

표 2.1.2. 금강 수계 등급별 주요하천 통계 33

표 2.1.3. 금강 수계 유역면적 150㎢ 이상 하천 현황 33

표 2.1.4. 삽교천 수계 등급별 주요하천 통계 36

표 2.1.5. 삽교천 수계 유역면적 150㎢ 이상 하천 현황 36

표 2.2.1. 2011년 기준 홍수예보 지점 현황 38

표 2.2.2. 금강 권역 홍수예보 발령이력 조사 39

표 2.2.3. 1995년부터 2011년까지 전국 흥수주의보 발령횟수 40

표 2.2.4. 1995년부터 2011년까지 전국 홍수경보 발령횟수 40

표 3.1.1. 강수량관측소 현황 46

표 3.1.2. 수위관측소 현황 48

표 3.1.3. 2010년 유량측정 현황 52

표 3.1.4. 수리학적 예측모형의 하류경계조건으로 반영된 검조소 현황 53

표 3.1.5. 2011년 기준 농업용 저수지 현황 54

표 3.1.6. 다목적댐 제원 57

표 3.1.7. 금강하구둑 시설현황 57

표 3.1.8. 삽교천방조제 시설현황 58

표 3.1.9. 분할유역의 평균강우량 관측주기 현황 59

표 3.1.10. 1999년 이후 주요홍수 현황 59

표 3.2.1. 수문학적 예측모형 구축 현황 60

표 3.2.2. 금강 수계 분할유역별 티센계수 64

표 3.2.3. 금강 수계 유역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71

표 3.2.4. 금강 수계 하도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73

표 3.2.5. 삽교천수계 분할유역별 티센계수 78

표 3.2.6. 삽교천 수계 유역유줄 매개변수 산출결과 80

표 3.2.7. 삽교천 수계 하도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81

표 3.2.8.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축 현황 82

표 4.1.1. 금강 수계 주요 하천의 계획홍수량 및 비홍수량 85

표 4.2.1. 금강 계획홍수량, 계획홍수위, 하폭, 기설제방고 86

표 4.2.2. 삽교천 계획홍수량, 계획홍수위, 하폭, 제방고 93

표 4.3.1. 금강 구간별 준설량 96

표 4.3.2. 다기능보 주요 제원 98

표 4.3.3. 다기능보 설치에 따른 기대효과 98

표 4.3.4. 농업용 저수지 증고 사업내용 99

제2편 공사중 홍수예보모형 보완 10

표 2.2.1. 금강 수계 유역유출률 111

표 2.3.1. 금강 수계 유역저류상수 113

표 2.4.1. 금강 수계 하도저류상수 124

표 4.2.1. 금강 살리기 사업구간의 홍수기 참조수위표 및 관리수위 현황 182

제3편 공사완료 후 홍수예보모형 구축 10

표 1.2.1. 홍수도달시간별 적정 흥수예보모형 197

표 2.1.1. 강우-유출 사상모형의 종류 199

표 2.1.2. 일본 하천자료에 의한 초기유출률, 포화유출률과 포화우량 209

표 2.1.3. 선행토양함수 조건의 분류 212

표 2.1.4. 수문학적 토양형의 분류 213

표 2.1.5. 배수등급에 의한 수문학적 토양형의 분류 214

표 2.1.6. 토지피복별 수문학적 토양형에 의한 SCS 유출 곡선지수(CN) 216

표 2.1.7. LULC code별 토지피복 특성 217

표 2.1.8. LULC code별 수문학적 통양형의 SCS 유출 곡선지수(CN) 218

표 2.1.9. 토지피복 및 피복처 리별 수문학적 토양형의 SCS 유출 곡선지수(CN) 219

표 2.1.10. LULC code별 수문학적 토양형의 SCS 유출 곡선지수(CN) 223

표 2.1.11. 분할유역의 토지 피 복형 별-수문학적 토양형 별 면적과 유출 곡선지수 226

표 2.1.12. 토성별 Green-Ampt 모형 매개변수 231

표 2.1.13. 정밀토양도 토성의 재분류 233

표 2.1.14. 토지피복별 불투수 비율 235

표 2.1.15. 토성별 최대 침투율 236

표 2.1.16. 토양수 모형 매개변수의 물리적 범위 240

표 2.1.17. 미국 지질조사국 Massachusetts주 유량관측소 지하수 감수계수 241

표 2.1.18. 지점별 유역 특성과 대표 단위도 특성 255

표 2.1.19. 강수량관측소 정보 입력 275

표 2.1.20. 수위관측소 정보 입력 275

표 2.1.21. 분할유역 정보 입력 276

표 2.1.22. 분할유역 티센 가중치 정보 입력 279

표 2.1.23. 분할하도 정보 입력 280

표 2.1.24. 유출구조 정보 입력 281

표 2.1.25. 시설물 정보 입력 282

표 2.1.26. 시설물의 수위-저류량 정보 입력 284

표 2.1.27. 시설물의 여수로 방류량 정보 입력 285

표 2.2.1. DESCRIPTION 파일의 입력변수 301

표 2.2.2. FLOWIN.DAT 파일의 입력변수 302

표 2.2.3. TIDEIN.DAT 파일의 입력변수 302

표 2.2.4. DISCOE.DAT 파일의 입력변수 303

표 2.2.5. HVOLUME.DAT 파일의 입력변수 304

표 2.2.6. GATESPEC.DAT 파일의 입력 변수 304

표 2.2.7. TIDECOR.DAT 파일의 입력 변수 305

표 2.2.8. 시간단위 매개변수 입력 313

표 3.1.1. 강수량관측소 현황 315

표 3.1.2. 수위관측소 현황 317

표 3.1.3. 수위-유량관계식 현황 319

표 3.1.4. 시설물 현황 322

표 3.2.1. 분할유역 정보 324

표 3.2.2. 분할하도 정보 326

표 3.2.3. 합류점 정보 330

표 3.2.4. 포화우량 모형과 유출지수 모형 입력변수 335

표 3.2.5. Green-Ampt 모형 입력 변수 337

표 3.2.6. 침투율 모형 입력변수 339

표 3.2.7. 토양수 모형 입력 변수 341

표 3.2.8. 유역 저류함수 모형과 단위도 모형 입력변수 343

표 3.2.9. 하도 저류함수 모형과 Muskingum 모형 입력변수 345

표 3.3.1. 금강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351

표 3.3.2. 미호천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360

표 3.3.3. 세종보 현황 366

표 3.3.4. 세종보 제원 366

표 3.3.5. 공주보 현황 368

표 3.3.6. 공주보 제원 368

표 3.3.7. 백제보 현황 370

표 3.3.8. 백제보 제원 370

표 4.1.1. 강수량관측소 현황 395

표 4.1.2. 수위관측소 현황 395

표 4.1.3. 수위-유량관계식 현황 396

표 4.1.4. 시설물 현황 396

표 4.2.1. 분할유역 정보 398

표 4.2.2. 분할하도 정보 398

표 4.2.3. 합류점 정보 399

표 4.2.4. 포화우량 모형과 유출지수 모형 입력변수 400

표 4.2.5. Green-Ampt 모형 입력변수 400

표 4.2.6. 침투율 모형 입력변수 401

표 4.2.7. 토양수 모형 입력 변수 401

표 4.2.8. 유역 저류함수 모형과 단위도 모형 입력변수 402

표 4.2.9. 하도 저류함수 모형과 Muskingum 모형 입력변수 402

표 4.3.1. 삽교천, 무한천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405

표 4.3.2. 곡교천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407

표 5.1.1. 강수량관측소 현황 415

표 5.1.2. 수위관측소 현황 415

표 5.1.3. 수위-유량관계식 현황 415

표 5.1.4. 시설물 현황 415

표 5.2.1. 분할유역 정보 417

표 5.2.2. 분할하도 정보 417

표 5.2.3. 합류점 정보 417

표 5.2.4. 포화우량 모형과 유출지수 모형 입력변수 418

표 5.2.5. Green-Ampt 모형 입력변수 418

표 5.2.6. 침투율 모형 입력변수 418

표 5.2.7. 토양수 모형 입력변수 418

표 5.2.8. 유역 저류함수 모형과 단위도 모형 입력변수 419

표 5.2.9. 하도 저류함수 모형과 Muskingum 모형 입력변수 419

표 6.1.1. 금강 살리기 사업구간 유량규모별 주요지점 도달시간 423

표 6.2.1. 다기능보 수문조작 대비를 위한 강수량과 유량기준 425

표 6.3.1. 홍수예보지점 변경 및 신설 검토 427

표 6.3.2. 홍수예보 지점 기준수위 적정성 검토 428

표 6.4.1. 홍수정보제공 기준수위 적정성 검토 430

제1편 개요 및 현황 14

그림 2.1.1. 홍수통제소별 관할 유역 현황 28

그림 2.1.2. 우리나라 중권역 현황 29

그림 2.1.3. 금강 수계 32

그림 2.1.4. 삽교천 수계 37

그림 3.1.1. 금강 권역 강수량관측소 위치도 44

그림 3.1.2. 금강 권역 수위관측소 위치도 45

그림 3.1.3. 자료 공유 농업용저수지 현황 55

그림 3.1.4. 댐·보 위치도 56

그림 3.2.1. 금강 분할유역 61

그림 3.2.2. 금강 수계 모식도 62

그림 3.2.3. 금강 수계 티센 분할도 63

그림 3.2.4. 삽교천 분할유역 75

그림 3.2.5. 삽교천 유역 모식도 76

그림 3.2.6. 삽교천수계 티센 분할도 77

그림 4.3.1. 다기능보 설치 계획 97

제2편 공사 중 흥수예보모형 보완 14

그림 2.1.1. 금강 수계 유출모식도 110

그림 2.4.1. 금강 수계 대표단면에 의한 하도저류상수 산정 115

그림 2.4.2. 금강 수계 하도 특성 인자와 저류상수 K의 관계 123

그림 2.4.3. 금강 수계 하도 특성 인자와 저류상수 P의 관계 123

그림 3.1.1. 세종보 가물막이 공법 개요도 129

그림 3.1.2. 세종보 가물막이 1차 및 2차 계획평면도 129

그림 3.1.3. 세종보 공사현장(2010년 4월 6일) 130

그림 3.1.4. 세종보 공사현장(2010년 6월 16일) 131

그림 3.1.5. 세종보 공사현장(2011년 3월 7일) 132

그림 3.1.6. 세종보 공사현장(2011년 6월 3일) 133

그림 3.1.7. 세종보 공사현장(2011년 8월 29일) 133

그림 3.1.8. 세종보 공사현장(2011년 9월 29일) 134

그림 3.1.9. 공주보 가물막이 공법 개요도 135

그림 3.1.10. 공주보 가물막이 1차 및 2차 계획평면도 135

그림 3.1.11. 공주보 공사현장(2010년 4월 6일) 136

그림 3.1.12. 공주보 공사현장(2010년 6월 16일) 137

그림 3.1.13. 공주보 공사현장(2011년 3월 7일) 138

그림 3.1.14. 공주보 공사현장(2011년 5월 25일) 139

그림 3.1.15. 공주보 공사현장(2011년 8월 29일) 139

그림 3.1.16. 공주보 공사현장(2011년 9월 29일) 140

그림 3.1.17. 백제보 가물막이 공법 개요도 141

그림 3.1.18. 백제보 가물막이 1차 및 2차 계획평면도 141

그림 3.1.19. 백제보 공사현장(2010년 4월 6일) 142

그림 3.1.20. 백제보 공사현장(2010년 6월 16일) 143

그림 3.1.21. 백제보 공사현장(2010년 3월 7일) 143

그림 3.1.22. 백제보 공사현장(2010년 5월 25일) 144

그림 3.1.23. 백제보 공사현장(2010년 8월 29일) 144

그림 3.1.24. 백제보 공사현장(2010년 9월 29일) 145

그림 3.2.1. 세종보 횡단면도 147

그림 3.2.2. 공주보 횡단면도 147

그림 3.2.3. 백제보 횡단면도 148

그림 3.2.4. 금남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148

그림 3.2.5. 마어구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148

그림 3.2.6. 공주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149

그림 3.2.7. 진두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149

그림 3.2.8. 반조원 수위관측소 횡단면도 149

그림 3.2.9. 세종보 가물막이 계획도 150

그림 3.2.10. 공주보 가물막이 계획도 151

그림 3.2.11. 백제보 가물막이 계획도 151

그림 3.2.12.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현도) 152

그림 3.2.13.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매포) 153

그림 3.2.14.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부강) 153

그림 3.2.15.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금남) 154

그림 3.2.16.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마어구) 154

그림 3.2.17.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공주) 155

그림 3.2.18.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진두) 155

그림 3.2.19.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규암) 156

그림 3.2.20.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반조원) 156

그림 3.2.21.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강경) 157

그림 3.2.22.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입포) 157

그림 3.2.23.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옥포) 158

그림 3.2.24.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공주) 159

그림 3.2.25.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공주) 159

그림 3.2.26.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규암) 160

그림 3.2.27.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규암) 160

그림 3.2.28.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강경) 161

그림 3.2.29.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강경) 161

그림 3.3.1. FLDWAV 모형에 반영된 수위-유량관계곡선(세종보) 162

그림 3.3.2. FLDWAV 모형에 반영된 수위-유량관계곡선(공주보) 163

그림 3.3.3. FLDWAV 모형에 반영된 수위-유량관계곡선(백제보) 163

그림 3.3.4. 세종보 수문 완전 개방 단면 164

그림 3.3.5. 세종보 수문 완전 개방 단면 B-H 165

그림 3.3.6. 공주보 수문 완전 개방 단면 165

그림 3.3.7. 공주보 수문 완전 개방 단면 B-H 166

그림 3.3.8. 백제보 수문 완전 개방 단면 166

그림 3.3.9. 백제보 수문 완전 개방 단면 B-H 167

그림 3.3.10.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금남) 168

그림 3.3.11.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세종보) 169

그림 3.3.12.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마어구) 169

그림 3.3.13.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공주) 170

그림 3.3.14.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공주보) 170

그림 3.3.15.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진두) 171

그림 3.3.16.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백제보) 171

그림 3.3.17.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규암) 172

그림 3.3.18.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강경) 172

그림 3.4.1. 부강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7일~7월 14일) 173

그림 3.4.2. 금남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7일~7월 14일) 174

그림 3.4.3. 세종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7일~7월 14일) 174

그림 3.4.4. 공주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7일~7월 14일) 175

그림 3.4.5. 공주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7일~7월 14일) 175

그림 3.4.6. 진두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7일~7월 14일) 176

그림 3.4.7. 백제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7일~7월 14일) 176

그림 3.4.8. 규암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7일~7월 14일) 177

그림 3.4.9. 반조원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7일~7월 14일) 177

그림 3.4.10. 강경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7일~7월 14일) 178

그림 3.4.11. 입포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7일~7월 14일) 178

그림 4.1.1. 금강 살리기 사업구간 홍수정보제공 시스템 181

제3편 공사완료 후 홍수예보모형 구축 17

그림 1.2.1. 홍수예보 선행시간 구성 193

그림 2.1.1. 유출 성분 200

그림 2.1.2. 유출률과 포화우량 관계 207

그림 2.1.3. 유입계수와 강우 손실량의 시간적 변화 208

그림 2.1.4. SCS의 유출 곡선지수(CN)을 이용한 초기유출률과 포화우량 결정 209

그림 2.1.5. SCS 유효우량 모형 210

그림 2.1.6. 최대잠재보유수량과 초기손실의 관계 211

그림 2.1.7. 연속 형태의 CN 213

그림 2.1.8. 정밀토양도(1,325개 토양통) 214

그림 2.1.9. 토지이용도(22개 등급) 215

그림 2.1.10. 침투 과정의 영역 구분 228

그림 2.1.11. Green-Ampt 모형 229

그림 2.1.12. (모관)흡인수두와 투수계수의 관계 232

그림 2.1.13. 삼각형 토성 분류 232

그림 2.1.14. 삼각형 토성 분류(한국) 233

그림 2.1.15. 지수 변화에 따른 침투율 곡선 236

그림 2.1.16. 토양수 모형의 모식도 237

그림 2.1.17. 감수계수 239

그림 2.1.18. 상층 감수계수 회귀분석 241

그림 2.1.19.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매립형 우량계 242

그림 2.1.20. 우량계 주변의 바람 242

그림 2.1.21. 풍속에 따른 우량 보정계수 243

그림 2.1.22. 우량계의 종류 243

그림 2.1.23. 유역의 저류상수, 초기유출를 및 포화우량 결정 249

그림 2.1.24. Nash 모형의 선형 저수지 개념 253

그림 2.1.25. 유역면적과 첨두시간 관계 257

그림 2.1.26. 유역면적과 첨두유량 관계 257

그림 2.1.27. 하도 저류함수 계산 결과 262

그림 2.1.28. 하도 저류상수 및 지체시간 회귀 분석 결과 266

그림 2.1.29. 자연하도의 태형 저류와 쐐기 저류 268

그림 2.1.30. auto-ROM 운영 방식 270

그림 2.1.31. rigid-ROM 계산 방법 271

그림 2.1.32. 강우-유출모형 계산 모식도 273

그림 2.2.1. 가중 4점 음해법 격자망 290

그림 2.2.2. 하천구간의 개요도 292

그림 2.2.3. FLDWAV 단면구축을 위한 하천단면 분석 295

그림 2.2.4. 하구둑 저류구간 초기수위 산정 299

그림 2.2.5. 하구둑 저류구간 유입량 반영 수위재산정 300

그림 2.2.6. 하구둑 저류구간 최종수위 산정 300

그림 2.2.7. 저수지 유입량에 따른 하구둑 방류량 효율 설정 303

그림 2.2.8. 4대강 다기능보 수문 형태 306

그림 2.2.9. 기존 FLDWAV 가동보 방류량 산정개념 307

그림 2.2.10. 완전 오리피스 조건 307

그림 2.2.11. 불완전 오리피스 조건 308

그림 2.2.12. 수중 위어 조건 309

그림 2.2.13. 한계류 조건 309

그림 2.2.14. 위어 흐름 조건 310

그림 3.3.1. 금강 수리학적 예측모형 모식도 350

그림 3.3.2. 부강 수위관측소지점 B-H 358

그림 3.3.3. 금남 수위관측소지점 B-H 358

그림 3.3.4. 공주 수위관측소지점 B-H 359

그림 3.3.5. 규암 수위관측소지점 B-H 359

그림 3.3.6. 강경 수위관측소지점 B-H 359

그림 3.3.7. 입포 수위관측소지점 B-H 359

그림 3.3.8. 금강호 수위-저류용량 관계(하구둑~입포지점) 365

그림 3.3.9. 세종보 평면도 및 단면도 367

그림 3.3.10. 공주보 평면도 및 단면도 369

그림 3.3.11. 백제보 평면도 및 단면도 371

그림 3.3.12. 현도 수위관측소 372

그림 3.3.13. 매포 수위관측소 373

그림 3.3.14. 부강 수위관측소 373

그림 3.3.15. 매포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374

그림 3.3.16. 부강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375

그림 3.3.17. 금남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375

그림 3.3.18. 세종보 수위관즉소 조도계수 376

그림 3.3.19. 마어구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376

그림 3.3.20. 공주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377

그림 3.3.21. 공주보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377

그림 3.3.22. 진두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378

그림 3.3.23. 백제보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378

그림 3.3.24. 규암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379

그림 3.3.25. 반조원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379

그림 3.3.26. 강경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380

그림 3.3.27. 입포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380

그림 3.3.28.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06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현도) 381

그림 3.3.29.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06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매포) 382

그림 3.3.30.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06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부강) 382

그림 3.3.31.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06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공주) 383

그림 3.3.32.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06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진두) 383

그림 3.3.33.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06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규암) 384

그림 3.3.34.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06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반조원) 384

그림 3.3.35.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06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강경) 385

그림 3.3.36.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06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입포) 385

그림 3.3.37.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06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옥포) 386

그림 3.3.38.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신규 모형 예측수위 검토(매포) 387

그림 3.3.39.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신규 모형 예측수위 검토(부강) 388

그림 3.3.40.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신규 모형 예측수위 검토(금남) 388

그림 3.3.41.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신규 모형 예측수위 검토(세종보) 389

그림 3.3.42.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신규 모형 예측수위 검토(마어구) 389

그림 3.3.43.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신규 모형 예측수위 검토(공주) 390

그림 3.3.44.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신규 모형 예측수위 검토(공주보) 390

그림 3.3.45.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신규 모형 예측수위 검토(진두) 391

그림 3.3.46.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신규 모형 예측수위 검토(백제보) 391

그림 3.3.47.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신규 모형 예측수위 검토(규암) 392

그림 3.3.48.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신규 모형 예측수위 검토(반조원) 392

그림 4.3.1. 삽교천 수리학적 예측모형 모식도 404

그림 4.3.2. 삽교호 수위-저류용량 관계(하구둑~우강지점) 410

그림 4.3.3. 원평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411

그림 4.3.4. 창소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411

그림 4.3.5. 우강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412

그림 4.3.6. 충무교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412

그림 4.3.7. 강청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413

그림 6.1.1. 홍수 도달시간 추정방법 421

그림 6.1.2. 금강 살리기 사업구간 주요지점 현황 422

그림 6.1.3. 금강 살리기 사업구간 유량규모별 주요지점 도달시간 422

그림 6.3.1. 금강 살리기 사업구간 수위검토 42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750204 627.4 -12-1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