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홍수예보시스템 구축 및 개선 : 영산강·섬진강·만경강·동진강·탐진강 /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 2012
청구기호
627.4 -12-1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xviii, 579 p. : 삽화, 설계도, 지도,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241673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편 개요 및 현황 32

제1장 과업개요 34

1.1. 과업의 목적 34

1.2. 과업의 범위 및 내용 34

1.2.1. 과업의 범위 34

1.2.2. 과업의 내용 35

1.3. 기대효과 37

제2장 일반현황 38

2.1. 영산강 권역 40

2.1.1. 영산강 수계 41

2.1.2. 섬진강 수계 43

2.1.3. 만경강 수계 45

2.1.4. 동진강 수계 47

2.1.5. 탐진강 수계 49

2.2. 홍수예보 50

2.2.1. 홍수예보 지점 50

2.2.2. 홍수예보 발령이력 조사 51

제3장 홍수예보시스템 현황 54

3.1. 홍수예보 시설 54

3.1.1. 수문관측소 55

3.1.2. 시설물 70

3.1.3. 전산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 76

3.2. 홍수예보모형 현황 77

3.2.1. 기존 수문학적 예측모형의 분할유역 및 분할하도 현황 77

3.2.2. 기존 수리학적 예측모형의 구축 현황 102

제4장 문헌조사 104

4.1. 유역종합치수계획 104

4.1.1. 영산강 수계 104

4.1.2. 섬진강 수계 106

4.1.3. 만경·동진강 수계 106

4.1.4. 탐진강 수계 110

4.2. 하천기본계획 112

4.2.1. 영산강 수계 112

4.2.2. 섬진강 수계 131

4.2.3. 만경·동진강 수계 148

4.2.4. 탐진강 수계 150

4.3.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152

4.3.1. 세부 사업 계획 153

4.3.2. 홍수방어 대책 155

4.4. 홍수예보시스템 관련 연구 159

제2편 공사 중 홍수예보모형 보완 162

제1장 서론 164

1.1. 공사 중 홍수예보모형 보완방향 164

1.2. 주요 홍수예보모형 보완내용 165

제2장 수문학적 예측모형 166

2.1. 유출모식도 166

2.2. 유역유출률 167

2.3. 유역저류상수 168

2.4. 하도저류상수 169

2.4.1. 대표단면에 의한 하도저류상수 산정 169

2.4.2. 하도저류상수 회귀분석 174

2.4.3. 하도저류상수 재산정 175

제3장 수리학적 예측모형 176

3.1. 현장조사 176

3.1.1. 승촌보 176

3.1.2. 죽산보 184

3.1.3. 하도변화 및 수위관측소 192

3.2. 단면구축 203

3.2.1. 단면변화 자료수집 203

3.2.2. 단면구축 및 수위변화 검토 212

3.3. 내부경계조건 검토 235

3.3.1. 내부경계조건 235

3.3.2. 수위 변화 검토 237

3.4. 홍수기 예보모형 검·보정 245

3.4.1. 2010년 7월 11일 홍수사상 245

3.4.2. 2010년 8월 10일 홍수사상 254

3.4.3. 2010년 8월 17일 홍수사상 261

3.4.4. 2011년 5월 11일 홍수사상 269

3.4.5. 2011년 6월 23일 홍수사상 276

3.4.6. 2011년 7월 11일 홍수사상 284

3.4.7. 조도계수 291

제4장 홍수정보 제공 292

4.1. 홍수정보 제공시스템 구축 292

4.2. 홍수정보 제공시스템 운영 293

제5장 결론 294

제3편 공사완료 후 홍수예보모형 구축 296

제1장 서론 298

1.1. 공사완료 후 홍수예보모형 구축의 필요성 298

1.1.1. 기존 홍수예보모형의 구축 과정 299

1.1.2. 신규 홍수예보모형의 분할유역 299

1.2. 홍수예보시스템의 구성 301

1.2.1. 홍수예보시스템의 구비조건 301

1.2.2. 홍수예보 방법 304

제2장 모형 이론 308

2.1. 수문학적 예측모형 308

2.1.1. 강우-유출 모형의 일반 사항 308

2.1.2. 유역 및 하도 분할 315

2.1.3. 유효우량 산정 모형 317

2.1.4. 유역유출 모형 354

2.1.5. 하도유출 모형 368

2.1.6. 저수지 운영 규정 379

2.1.7. 강우-유출 모형의 구성 382

2.1.8. 강우-유출 모형의 정보의 입력 383

2.2. 수리학적 예측모형 395

2.2.1. 1차원 흐름해석 모듈 개발 395

2.2.2. 1차원 흐름모형 입력자료 402

2.2.3. 내수위 예측 모듈 407

2.2.4. 다기능보 운영모듈 414

2.2.5. 시간매개변수 수정 421

제3장 영산강 422

3.1. 현황 422

3.1.1. 강수량관측소 422

3.1.2. 수위 관측소 422

3.1.3. 수위-유량관계식 422

3.1.4. 시설물 422

3.2. 수문학적 예측모형 427

3.2.1. 유출구조 427

3.2.2. 입력변수 427

3.3. 수리학적 예측모형 440

3.3.1. 단면구축 440

3.3.2. 영산강 하류경계 내수위 예측 462

3.3.3. 다기능보 제원 464

3.3.4. 기타 모듈(나주 저류지) 467

3.3.5. 조도계수 478

3.3.6. 적용성 검토 487

제4장 섬진강 504

4.1. 현황 504

4.1.1. 강수량관측소 504

4.1.2. 수위관측소 504

4.1.3. 수위-유량관계식 504

4.1.4. 시설물 504

4.2. 수문학적 예측모형 509

4.2.1. 유출구조 509

4.2.2. 입력변수 509

4.3. 수리학적 예측모형 522

4.3.1. 단면구축 522

4.3.2. 상·하류 경계조건 546

4.3.3. 홍수기 예보모형 검·보정 549

4.3.4. 조도계수 556

4.3.5. 적용성 검토 562

4.3.6. 지류 연계 모형 적용성 검토 570

제5장 만경·동진강 578

5.1. 현황 578

5.1.1. 강수량관측소 578

5.1.2. 수위관측소 578

5.1.3. 수위-유량관계식 578

5.1.4. 시설물 578

5.2. 수문학적 예측모형 582

5.2.1. 유출구조 582

5.2.2. 입력변수 582

제6장 탐진강 590

6.1. 현황 590

6.1.1. 강수량관측소 590

6.1.2. 수위 관측소 590

6.1.3. 수위-유량관계식 590

6.1.4. 시설물 590

6.2. 수문학적 예측모형 592

6.2.1. 유출구조 592

6.2.2. 입력변수 592

제7장 홍수예보 방안 제시 596

7.1. 홍수위 추정 도표 작성 596

7.2. 홍수기 다기능보 운영기준 검토 600

7.3. 홍수예보 지점 및 기준수위 적정성 검토 602

7.3.1. 홍수예보 지점의 적정성 검토 602

7.3.2. 홍수예보 기준수위의 적정성 검토 603

7.4. 실시간 수위자료를 활용한 홍수정보 제공 검토 605

7.4.1. 필요성 605

7.4.2. 검토방안 605

제8장 결론 및 제언 608

8.1. 결론 608

8.2. 제언 609

제1편 개요 및 현황 9

표 2.1.1. 영산강홍수통제소 관할 중권역 현황 40

표 2.1.2. 영산강 수계 등급별 주요하천 통계 42

표 2.1.3. 영산강 수계 유역면적 150㎢ 이상 하천 현황 42

표 2.1.4. 섬진강 수계 등급별 주요하천 통계 44

표 2.1.5. 섬진강 수계 유역면적 150㎢ 이상 하천 현황 44

표 2.1.6. 만경강 수계 등급별 주요하천 통계 46

표 2.1.7. 만경강 수계 유역면적 150㎢ 하천 현황 46

표 2.1.8. 동진강 수계 등급별 주요하천 통계 48

표 2.1.9. 동진강 수계 유역면적 150㎢ 이상 하천 현황 48

표 2.1.10. 탐진강 수계 등급별 주요하천 통계 49

표 2.1.11. 탐진강 수계 유역면적 150㎢ 이상 하천 현황 49

표 2.2.1. 2011년 기준 홍수예보 지점 현황 51

표 2.2.2. 영산강 권역 홍수예보 발령이력 조사 52

표 2.2.3. 1995년부터 2011년까지 영산강 권역 홍수주의보 발령횟수 53

표 2.2.4. 1995년부터 2011년까지 영산강 권역 홍수경보 발령횟수 53

표 3.1.1. 영산강 수계 강수량관측소 현황 58

표 3.1.2. 섬진강 수계 강수량관측소 현황 59

표 3.1.3. 만경강 수계 강수량관측소 현황 61

표 3.1.4. 동진강 수계 강수량관측소 현황 62

표 3.1.5. 탐진강 수계 강수량관측소 현황 62

표 3.1.6. 영산강 수계 수위관측소 현황 63

표 3.1.7. 섬진강 수계 수위 관측소 현황 65

표 3.1.8. 만경강 수계 수위관측소 현황 67

표 3.1.9. 동진강 수계 수위관측소 현황 68

표 3.1.10. 탐진강 수계 수위 관측소 현황 69

표 3.1.11. 2010년 유량측정 현황 69

표 3.1.12. 수리학적 예측모형의 하류경계조건으로 반영된 검조소 현황 70

표 3.1.13. 2011년 기준 농업용 저수지 현황 71

표 3.1.14. 다목적 댐 제원 73

표 3.1.15. 용수전용댐 제원 73

표 3.1.16. 주요 수력발전댐 제원 73

표 3.1.17. 하구둑 및 방조제 제원 74

표 3.1.18. 영산호와 하구둑 배수문 제원 74

표 3.1.19. 분할유역의 평균강우량 관측주기 현황 76

표 3.1.20. 1999년 이후 주요홍수 현황 76

표 3.2.1. 수문학적 예측모형 구축 현황 77

표 3.2.2. 영산강 수계 분할유역별 지배면적 및 티센계수 80

표 3.2.3. 영산강 수계 유역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81

표 3.2.4. 영산강 수계 하도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82

표 3.2.5. 섬진강 수계 분할유역별 지배면적 및 티센계수 85

표 3.2.6. 섬진강 수계 유역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88

표 3.2.7. 섬진강 수계 하도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89

표 3.2.8. 만경강 수계 분할유역별 지배면적 및 티센계수 93

표 3.2.9. 만경강 수계 유역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94

표 3.2.10. 만경강 수계 하도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94

표 3.2.11. 동진강 수계 분할유역별 지배면적 및 티센계수 97

표 3.2.12. 동진강 수계 유역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97

표 3.2.13. 동진강 수계 하도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98

표 3.2.14. 탐진강 수계 분할유역별 지배면적 및 티센계수 101

표 3.2.15. 탐진강 수계 유역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101

표 3.2.16. 탐진강 수계 하도유출 매개변수 산출결과 102

표 3.2.17.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축 현황 102

표 4.1.1. 영산강 수계 주요지점별 홍수량 및 홍수분담량 105

표 4.1.2. 섬진강 수계 주요지점별 계획홍수량 106

표 4.1.3. 만경강 수계 지점별 기본홍수량 비교 107

표 4.1.4. 동진강 수계 지점별 기본홍수량 비교 109

표 4.1.5. 탐진강 수계 주요지점의 기본홍수량 111

표 4.2.1. 영산강 계획홍수량, 계획홍수위, 제방고, 하폭 114

표 4.2.2. 황룡강 계획홍수량, 계획홍수위, 제방고, 하폭 124

표 4.2.3. 지석천 계획홍수량, 계획홍수위, 제방고, 하폭 125

표 4.2.4. 섬진강 계획홍수량,계획홍수위, 하폭, 제방고 133

표 4.2.5. 동진강·만경강 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 과업 범위 148

표 4.2.6. 동진강·만경강 수계 지점별 기본 및 계획홍수량 149

표 4.4.7. 탐진강 수계 현황 150

표 4.2.8. 탐진댐 유역 포함여부에 따른 기본홍수량 151

표 4.2.9. 탐진강 수계의 계획홍수량 152

표 4.3.1. 구간별 준설량 155

표 4.3.2. 시·도별 노후 제방보강 사업내용 155

표 4.3.3. 강변저류지 제원 156

표 4.3.4. 홍수위 저감효과 157

표 4.3.5. 다기능보 주요 제원 158

표 4.3.6. 농업용 저수지 증고 사업내용 158

제2편 공사 중 홍수예보모형 보완 11

표 2.2.1. 영산강 수계 유역유출률 167

표 2.3.1. 영산강 수계 유역저류상수 168

표 2.4.1. 영산강 수계 하도저류상수 175

표 3.1.1. 승촌보 단계별 가물막이 계획 177

표 3.1.2. 가물막이 단면도 177

표 3.1.3. 가물막이 현황 및 공법 185

표 3.1.4. 죽산보 가물막이 계획고 185

표 3.1.5. 영산강 하도준설 기준 193

표 3.2.1. 공구별 측량 자료 수집 현황 204

표 3.4.1. 과거 홍수 대비 첨두 수위 2m 하강 배수 시간 비교 245

표 3.4.2. 대표 홍수 사상 도달 시간 비교(2010년 7월 11 일) 245

표 3.4.3. 대표 홍수 사상 도달 시간 비교(2009년 7월 16일) 246

표 3.4.4. 대표 홍수 사상 도달 시간 비교(2007년 9월 15일) 246

표 4.2.1. 4대강 살리기 사업구간의 홍수기 참조수위관측소 및 관리수위 현황 293

제3편 공사완료 후 홍수예보모형 구축 12

표 1.2.1. 홍수도달시간별 적정 홍수예보모형 306

표 2.1.1. 강우-유출 사상모형의 종류 309

표 2.1.2. 일본 하천자료에 의한 초기유출률, 포화유출률과 포화우량 319

표 2.1.3. 선행토양함수 조건의 분류 322

표 2.1.4. 수문학적 토양형의 분류 323

표 2.1.5. 배수등급에 의한 수문학적 토양형의 분류 324

표 2.1.6. 토지피복별 수문학적 토양형에 의한 SCS 유출 곡선지수(CN) 326

표 2.1.7. LULC code별 토지 피복 특성 327

표 2.1.8. LULC code별 수문학적 통양형의 SCS 유출 곡선지수(CN) 328

표 2.1.9. 토지피복 및 피복처리별 수문학적 토양형의 SCS 유출 곡선지수(CN) 329

표 2.1.10. LULC code별 수문학적 토양형의 SCS 유출 곡선지수(CN) 333

표 2.1.11. 분할유역의 토지피복형별.수문학적 토양형별 면적과 유출 곡선지수 336

표 2.1.12. 토성별 Green-Ampt 모형 매개변수 341

표 2.1.13. 정밀토양도 토성의 재분류 343

표 2.1.14. 토지피복별 불투수 비율 345

표 2.1.15. 토성별 최대 침투율 346

표 2.1.16. 토양수 모형 매개변수의 물리적 범위 350

표 2.1.17. 미국 지질조사국 Massachusetts주 유량관측소 지하수 감수계수 351

표 2.1.18. 지점별 유역 특성과 대표 단위도 특성 365

표 2.1.19. 강수량관측소 정보 입력 384

표 2.1.20. 수위관측소 정보 입력 384

표 2.1.21. 분할유역 정보 입력 385

표 2.1.22. 분할유역 티센 가중치 정보 입력 388

표 2.1.23. 분할하도 정보 입력 389

표 2.1.24. 유출구조 정보 입력 390

표 2.1.25. 시설물 정보 입력 391

표 2.1.26. 시설물의 수위-저류량 정보 입력 393

표 2.1.27. 시설물의 여수로 방류량 정보 입력 394

표 2.2.1. DESCRIPTION 파일의 입력변수 409

표 2.2.2. FLOWIN.DAT 파일의 입력변수 410

표 2.2.3. TIDEIN.DAT 파일의 입력변수 410

표 2.2.4. DISCOE.DAT 파일의 입력변수 411

표 2.2.5. HVOLUME.DAT 파일의 입력변수 412

표 2.2.6. GATESPEC.DAT 파일의 입력변수 412

표 2.2.7. TIDECOR.DAT 파일의 입력변수 413

표 2.2.8. 시간단위 매개변수 입력 421

표 3.1.1. 강수량관측소 현황 423

표 3.1.2. 수위관측소 현황 424

표 3.1.3. 수위-유량관계식 현황 425

표 3.1.4. 시설물 현황 426

표 3.2.1. 분할유역 정보 428

표 3.2.2. 분할하도 정보 429

표 3.2.3. 합류점 정보 431

표 3.2.4. 포화우량 모형과 유출지수 모형 입력변수 433

표 3.2.5. Green-Ampt 모형 입력변수 434

표 3.2.6. 침투율 모형 입력변수 435

표 3.2.7. 토양수 모형 입력변수 436

표 3.2.8. 유역 저류함수 모형과 단위도 모형 입력변수 437

표 3.2.9. 하도 저류함수모형과 Muskingum 모형 입력변수 438

표 3.3.1. 영산강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442

표 3.3.2. 황룡강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456

표 3.3.3. 지석천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459

표 3.3.4. 죽산보 현황 464

표 3.3.5. 죽산보 제원 465

표 3.3.6. 승촌보 현황 466

표 3.3.7. 승촌보 제원 466

표 3.3.8. 나주 강변저류지 제원 468

표 3.3.9. 주요지점별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 468

표 3.3.10. 저류지 용량 검토 결과 469

표 3.3.11. 주요 시설물 현황 471

표 3.3.12. 월류제 제원 471

표 3.3.13. 방류구조물 제원 473

표 3.3.14. 유입 구조물 제원 474

표 3.3.15. 강변저류지 홍수조절효과 수리학적 예측모형 검토 475

표 4.1.1. 강수량관측소 현황 505

표 4.1.2. 수위관측소 현황 506

표 4.1.3. 수위-유량관계식 현황 507

표 4.1.4. 시설물 현황 508

표 4.2.1. 분할유역 정보 510

표 4.2.2. 분할하도 정보 511

표 4.2.3. 합류점 정보 513

표 4.2.4. 포화우량 모형과 유출지수 모형 입력 변수 515

표 4.2.5. Green-Ampt 모형 입력변수 516

표 4.2.6. 침투율 모형 입력변수 517

표 4.2.7. 토양수 모형 입력변수 518

표 4.2.8. 유역 저류함수 모형과 단위도 모형 입력변수 519

표 4.2.9. 하도 저류함수 모형과 Muskingum 모형 입력변수 520

표 4.3.1. 섬진강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524

표 4.3.2. 요천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537

표 4.3.3. 보성강 수리학적 예측모형 구성 541

표 5.1.1. 강수량관측소 현황 579

표 5.1.2. 수위 관측소 현황 580

표 5.1.3. 수위-유량관계식 현황 581

표 5.1.4. 시설물 현황 582

표 5.2.1. 분할유역 정보 583

표 5.2.2. 분할하도 정보 584

표 5.2.3. 합류점 정보 585

표 5.2.4. 포화우량 모형과 유출지수 모형 입력 변수 586

표 5.2.5. Green-Ampt 모형 입력변수 587

표 5.2.6. 침투율 모형 입력변수 587

표 5.2.7. 토양수 모형 입력변수 588

표 5.2.8. 유역 저류함수 모형과 단위도 모형 입력변수 588

표 5.2.9. 하도 저류함수 모형과 Muskingum 모형 입력변수 589

표 6.1.1. 강수량관측소 현황 591

표 6.1.2. 수위관측소 현황 591

표 6.1.3. 수위-유량관계식 현황 591

표 6.1.4. 시설물 현황 591

표 6.2.1. 분할유역 정보 593

표 6.2.2. 분할하도 정보 593

표 6.2.3. 합류점 정보 593

표 6.2.4. 포화우량 모형과 유출지수 모형 입력변수 593

표 6.2.5. Green-Ampt 모형 입력변수 594

표 6.2.6. 침투율 모형 입력변수 594

표 6.2.7. 토양수 모형 입력변수 594

표 6.2.8. 유역 저류함수 모형과 단위도 모형 입력변수 594

표 6.2.9. 하도 저류함수 모형과 Muskingum 모형 입력변수 594

표 7.1.1. 영산강 살리기 사업구간 유량규모별 주요지점 도달시간 599

표 7.1.2. 섬진강 수계 방류조건별 주요지점 도달시간 600

표 7.2.1. 다기능보 수문조작 대비를 위한 강수량과 유량기준 601

표 7.3.1. 홍수예보 지점 변경 및 신설 검토 603

표 7.3.2. 홍수예보 지점 기준수위 적정성 검토 604

표 7.4.1. 홍수정보제공 기준수위 적정성 검토 606

제1편 개요 및 현황 16

그림 2.1.1. 홍수통제소별 관할 유역 현황 38

그림 2.1.2. 우리나라 중권역 현황 39

그림 2.1.3. 영산강 수계 국가 및 지방하천도 42

그림 2.1.4. 섬진강 수계 국가 및 지방하천도 44

그림 2.1.5. 만경강 수계 국가 및 지방하천도 46

그림 2.1.6. 동진강 수계 국가 및 지방하천도 48

그림 2.1.7. 탐진강 수계 국가 및 지방하천도 50

그림 3.1.1. 영산강 권역 강수량관측소 위치도 56

그림 3.1.2. 영산강 권역 수위관측소 위치도 57

그림 3.1.3. 자료 공유 농업용저수지 현황 71

그림 3.1.4. 댐·보 위치도 72

그림 3.1.5. 영산강 하구둑 전경 74

그림 3.2.1. 영산강 분할유역 78

그림 3.2.2. 영산강 홍수예보시스템 유출계산 모식도 78

그림 3.2.3. 영산강 수계 티센 분할도 79

그림 3.2.4. 섬진강 분할유역 83

그림 3.2.5. 섬진강 홍수예보시스템 유출계산 모식도 84

그림 3.2.6. 섬진강 수계 티센 분할도 87

그림 3.2.7. 만경강 분할유역 91

그림 3.2.8. 만경강 홍수예보시스템 유출계산 모식도 91

그림 3.2.9. 만경강 수계 티센 분할도 92

그림 3.2.10. 동진강 분할유역 95

그림 3.2.11. 동진강 홍수예보시스템 유출계산 모식도 95

그림 3.2.12. 동진강 수계 티센 분할도 96

그림 3.2.13. 탐진강 분할유역 99

그림 3.2.14. 탐진강 홍수예보시스템 유출계산 모식도 99

그림 3.2.15. 탐진강 수계 티센 분할도 100

그림 4.1.1. 홍수량 산정지점 위치도 110

그림 4.3.1. 영산강의 문제점 및 맞춤형 대책 153

그림 4.3.2. 영산강 살리기 사업 내용 154

그림 4.3.3. 담양홍수조절지 운영 방안 156

그림 4.3.4. 영산강 하구둑 배수문 증설 조감도 156

그림 4.3.5. 다기능보 설치 계획(영산강) 157

제2편 공사 중 홍수예보모형 보완 17

그림 2.1.1. 영산강 수계 유출모식도 166

그림 2.4.1. 영산강 수계 대표단면에 의한 하도저류상수 산정 169

그림 2.4.2. 영산강 수계 하도 특성 인자와 저류상수 K의 관계 174

그림 2.4.3. 영산강 수계 하도 특성 인자와 저류상수 P의 관계 174

그림 3.1.1. 승촌보 공사 현장(2010년 4월 12일) 178

그림 3.1.2. 승촌보 가물막이 내부(2010년 7월 3일) 179

그림 3.1.3. 승촌보 가물막이 상류 우안(2010년 7월 3일) 179

그림 3.1.4. 승촌보 가물막이 내부(2010년 7월 18일) 179

그림 3.1.5. 승촌보 가물막이 상류(2010년 7월 18일) 180

그림 3.1.6. 승촌보 상류 학산교(2010년 7월 18일) 180

그림 3.1.7. 승촌보 구간 구하도 수문 공사 현장(2011년 5월 20일) 180

그림 3.1.8. 승촌보 상류(2011년 5월 20일) 181

그림 3.1.9. 승촌보 하류(2011년 5월 20일) 181

그림 3.1.10. 승촌보 상류(2011년 7월 1일) 181

그림 3.1.11. 승촌보 하류(2011년 7월 1일) 182

그림 3.1.12. 승촌보 상류 학산교(2011년 7월 1일) 182

그림 3.1.13. 승촌보 상류(2011년 8월 29일) 182

그림 3.1.14. 승촌보 하류(2011년 8월 29일) 183

그림 3.1.15. 승촌보 상류 학산교(2011년 8월 29일) 183

그림 3.1.16. 승촌보 상류(2011년 10월 4일) 183

그림 3.1.17. 승촌보 하류(2011년 10월 4일) 184

그림 3.1.18. 승촌보 상류 학산교(2011년 10월 4일) 184

그림 3.1.19. 죽산보 가배수로 표준단면도 186

그림 3.1.20. 죽산보 가배수로 설치 위치도 186

그림 3.1.21. 죽산보 공사 현장(2010년 4월 12일) 187

그림 3.1.22. 죽산보 가물막이 상류(2010년 7월 3일) 188

그림 3.1.23. 죽산보 가물막이 하류(2010년 7월 3일) 188

그림 3.1.24. 죽산보 가물막이 상류(2010년 7월 18일) 189

그림 3.1.25. 죽산보 가물막이 하류(2010년 7월 18일) 189

그림 3.1.26. 죽산보 상류(2011년 5월 20일) 189

그림 3.1.27. 죽산보 하류(2011년 5월 20일) 190

그림 3.1.28. 죽산보 구간 구하도 수문 공사 현장(2011년 5월 20일) 190

그림 3.1.29. 죽산보 상류(2011년 7월 1일) 190

그림 3.1.30. 죽산보 하류(2011년 7월 1일) 191

그림 3.1.31. 죽산보 상류(2011년 8월 29일) 191

그림 3.1.32. 죽산보 하류(2011년 8월 29일) 191

그림 3.1.33. 죽산보 상류(2011년 10월 4일) 192

그림 3.1.34. 죽산보 하류(2011년 10월 4일) 192

그림 3.1.35. 하도정비 표준단면도(영산강하구~8.5㎞ 상류 구간) 193

그림 3.1.36. 하도정비 표준단면도(8.5㎞ 상류 구간~지석천 합류점 구간) 193

그림 3.1.37. 하도정비 표준단면도(지석천 합류점~광주천 합류점 구간) 193

그림 3.1.38. 하도정비 표준단면도(광주천 합류점~담양군 경계 구간) 194

그림 3.1.39. 하도정비 표준단면도(담양군 경계~과업시점 구간) 194

그림 3.1.40. 영산강 공사완료 후 종단도 194

그림 3.1.41. 주요 수위관측소(2010년 4월 12일) 195

그림 3.1.42. 영산강 3공구 육상 준설 현장(2010년 4월 12일) 196

그림 3.1.43. 마륵 수위관측소 하류 준설 현장(2010년 7월 3일) 196

그림 3.1.44. 주요 수위관측소(2010년 7월 3일) 197

그림 3.1.45. 승촌보 상류 준설용 가물막이(2010년 7월 18일) 197

그림 3.1.46. 마륵 수위관측소 하류 준설 현장(2010년 7월 18일) 198

그림 3.1.47. 마륵 수위관측소 구간 공사 현장(2011년 5월 20일) 198

그림 3.1.48. 마륵 수위관측소 구간 공사 현장(2011년 5월 20일) 198

그림 3.1.49. 지석천 합류점(2011년 7월 1일) 199

그림 3.1.50. 마륵 수위관측소 지점(2011년 7월 1일) 199

그림 3.1.51. 마륵 수위관측소 상류(2011년 7월 1일) 199

그림 3.1.52. 지석 천 합류점(2011년 8월 29일) 200

그림 3.1.53. 마륵 수위관측소 지점(2011년 8월 29일) 200

그림 3.1.54. 마륵 수위관측소 상류(2011년 8월 29일) 200

그림 3.1.55. 마륵 임시 수위관측소(2011년 8월 29일) 201

그림 3.1.56. 마륵 임시 수위관측소 상류(2011년 8월 29일) 201

그림 3.1.57. 황룡강 합류점(2011년 10월 4일) 201

그림 3.1.58. 황룡강 합류점 하류(2011년 10월 4일) 202

그림 3.1.59. 지석천 합류점(2011년 10월 4일) 202

그림 3.1.60. 마륵 수위관측소 상·하류(2011년 10월 4일) 202

그림 3.1.61. 이설 후 마륵 수위관측소(2011년 10월 4일) 202

그림 3.2.1. 영산강 6공구(승촌보) 단면 평면도 205

그림 3.2.2. 영산강 6공구 승촌보 구간 단면 횡단면도 205

그림 3.2.3. 영산강 영산지구 평면도 206

그림 3.2.4. 영산강 영산지구 구간 횡단면도 206

그림 3.2.5. 영산강 2공구(죽산보) 평면도 207

그림 3.2.6. 영산강 2공구 죽산보 구간 단면 횡단면도 207

그림 3.2.7. 2010년 승촌보 우기중 가물막이 적용 횡단면 그래프 208

그림 3.2.8. 2011년 승촌보 우기중 가물막이 적용 횡단면 그래프 209

그림 3.2.9. 승촌보 가물막이 평면도 209

그림 3.2.10. 2010년 죽산보 우기중 가물막이 적용 횡단면 그래프 210

그림 3.2.11. 2011년 죽산보 우기중 가물막이 적용 횡단면 그래프 211

그림 3.2.12. 죽산보 가물막이 평면도 211

그림 3.2.13.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금월) 213

그림 3.2.14.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삼지) 213

그림 3.2.15.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광주) 214

그림 3.2.16.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어등) 214

그림 3.2.17.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마륵) 215

그림 3.2.18.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본동) 215

그림 3.2.19.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승촌보) 216

그림 3.2.20.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나주) 216

그림 3.2.21.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영산포) 217

그림 3.2.22.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회진) 217

그림 3.2.23.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죽산보) 218

그림 3.2.24.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사포) 218

그림 3.2.25.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명산) 219

그림 3.2.26.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B-H 곡선 변화 추이(하구언) 219

그림 3.2.27.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금월) 220

그림 3.2.28.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삼지) 221

그림 3.2.29.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광주) 221

그림 3.2.30.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어등) 222

그림 3.2.31.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마륵) 222

그림 3.2.32.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본동) 223

그림 3.2.33.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승촌보) 223

그림 3.2.34.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나주) 224

그림 3.2.35.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영산포) 224

그림 3.2.36.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회진) 225

그림 3.2.37.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죽산보) 225

그림 3.2.38.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사포) 226

그림 3.2.39.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명산) 226

그림 3.2.40.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첨두수위 변화 추이(하구언) 227

그림 3.2.41.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금월) 228

그림 3.2.42.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삼지) 228

그림 3.2.43.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광주) 229

그림 3.2.44.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어등) 229

그림 3.2.45.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마륵) 230

그림 3.2.46.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본동) 230

그림 3.2.47.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승촌보) 231

그림 3.2.48.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나주) 231

그림 3.2.49.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영산포) 232

그림 3.2.50.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회진) 232

그림 3.2.51.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죽산보) 233

그림 3.2.52.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사포) 233

그림 3.2.53.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명산) 234

그림 3.2.54. 준설실적 및 측량성과 반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하구언) 234

그림 3.3.1. FLDWAV 모형에 반영된 수위-유량관계곡선(승촌보) 236

그림 3.3.2. FLDWAV 모형에 반영된 수위-유량관계곡선(죽산보) 237

그림 3.3.3.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금월) 237

그림 3.3.4.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삼지) 238

그림 3.3.5.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광주) 238

그림 3.3.6.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어등) 239

그림 3.3.7.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마륵) 239

그림 3.3.8.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본동) 240

그림 3.3.9.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승촌보) 240

그림 3.3.10.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나주) 241

그림 3.3.11.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영산포) 241

그림 3.3.12.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회진) 242

그림 3.3.13.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죽산보) 242

그림 3.3.14.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사포) 243

그림 3.3.15.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명산) 243

그림 3.3.16. 수위-유량관계곡선 적용에 따른 수위 비교(하구언) 244

그림 3.4.1. 금월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47

그림 3.4.2. 삼지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47

그림 3.4.3. 광주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48

그림 3.4.4. 어등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48

그림 3.4.5. 마륵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49

그림 3.4.6. 본동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49

그림 3.4.7. 승촌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50

그림 3.4.8. 나주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50

그림 3.4.9. 영산포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51

그림 3.4.10. 회진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51

그림 3.4.11. 죽산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52

그림 3.4.12. 사포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52

그림 3.4.13. 명산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53

그림 3.4.14. 하구언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7월 10일~7월 17일) 253

그림 3.4.15. 금월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54

그림 3.4.16. 삼지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55

그림 3.4.17. 광주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55

그림 3.4.18. 어등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56

그림 3.4.19. 마륵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56

그림 3.4.20. 본동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57

그림 3.4.21. 승촌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57

그림 3.4.22. 나주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58

그림 3.4.23. 영산포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58

그림 3.4.24. 회진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59

그림 3.4.25. 죽산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59

그림 3.4.26. 사포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60

그림 3.4.27. 명산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60

그림 3.4.28. 하구언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9일~8월 13일) 261

그림 3.4.29. 금월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2

그림 3.4.30. 삼지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2

그림 3.4.31. 광주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3

그림 3.4.32. 어등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3

그림 3.4.33. 마륵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4

그림 3.4.34. 본동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4

그림 3.4.35. 승촌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5

그림 3.4.36. 나주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5

그림 3.4.37. 영산포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6

그림 3.4.38. 회진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6

그림 3.4.39. 죽산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7

그림 3.4.40. 사포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7

그림 3.4.41. 명산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8

그림 3.4.42. 하구언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0년 8월 15일~8월 18일) 268

그림 3.4.43. 금월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69

그림 3.4.44. 삼지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70

그림 3.4.45. 광주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70

그림 3.4.46. 어등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71

그림 3.4.47. 마륵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71

그림 3.4.48. 본동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72

그림 3.4.49. 승촌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72

그림 3.4.50. 나주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73

그림 3.4.51. 영산포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73

그림 3.4.52. 회진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74

그림 3.4.53. 죽산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74

그림 3.4.54. 사포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75

그림 3.4.55. 명산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75

그림 3.4.56. 하구언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5월 10일~5월 13일) 276

그림 3.4.57. 금월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77

그림 3.4.58. 삼지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77

그림 3.4.59. 광주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78

그림 3.4.60. 어등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78

그림 3.4.61. 마륵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79

그림 3.4.62. 본동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79

그림 3.4.63. 승촌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80

그림 3.4.64. 나주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80

그림 3.4.65. 영산포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81

그림 3.4.66. 회진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81

그림 3.4.67. 죽산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82

그림 3.4.68. 사포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82

그림 3.4.69. 명산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83

그림 3.4.70. 하구언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1일~6월 25일) 283

그림 3.4.71. 금월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 일) 284

그림 3.4.72. 삼지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 일) 285

그림 3.4.73. 광주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 일) 285

그림 3.4.74. 어등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 일) 286

그림 3.4.75. 마륵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일) 286

그림 3.4.76. 본동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 일) 287

그림 3.4.77. 승촌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일) 287

그림 3.4.78. 나주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일) 288

그림 3.4.79. 영산포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일) 288

그림 3.4.80. 회진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일) 289

그림 3.4.81. 죽산보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일) 289

그림 3.4.82. 사포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일) 290

그림 3.4.83. 명산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일) 290

그림 3.4.84. 하구언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7월 9일~7월 11일) 291

그림 4.1.1. 영산강 살리기 사업구간 홍수정보제공 시스템 292

제3편 공사완료 후 홍수예보모형 구축 24

그림 1.2.1. 홍수예보 선행시간 구성 302

그림 2.1.1. 유출 성분 310

그림 2.1.2. 유출률과 포화우량 관계 317

그림 2.1.3. 유입계수와 강우 손실량의 시간적 변화 318

그림 2.1.4. SCS의 유출 곡선지수(CN)을 이용한 초기유출률과 포화우량 결정 319

그림 2.1.5. SCS 유효우량 모형 320

그림 2.1.6. 최대잠재보유수량과 초기손실의 관계 321

그림 2.1.7. 연속 형태의 CN 323

그림 2.1.8. 정밀토양도(1,325 토양통) 324

그림 2.1.9. 토지이용도(22개 등급) 325

그림 2.1.10. 침투 과정의 영역 구분 338

그림 2.1.11. Green-Ampt 모형 339

그림 2.1.12. (모관)흡인수두와 투수계수의 관계 342

그림 2.1.13. 삼각형 토성 분류 342

그림 2.1.14. 삼각형 토성 분류(한국) 343

그림 2.1.15. 지수 변화에 따른 침투율 곡선 346

그림 2.1.16. 토양수 모형의 모식도 347

그림 2.1.17. 감수계수 349

그림 2.1.18. 상층 감수계수 회귀분석 351

그림 2.1.19.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매립형 우량계 352

그림 2.1.20. 우량계 주변의 바람 352

그림 2.1.21. 풍속에 따른 우량 보정계수 353

그림 2.1.22. 우량계의 종류 353

그림 2.1.23. 유역의 저류상수, 초기유출률 및 포화우량 결정 359

그림 2.1.24. Nash 모형의 선형 저수지 개념 363

그림 2.1.25. 유역면적과 첨두시간 관계 367

그림 2.1.26. 유역면적과 첨두유량 관계 367

그림 2.1.27. 하도 저류함수 계산 결과 372

그림 2.1.28. 하도 저류상수 및 지체시간 회귀 분석 결과 376

그림 2.1.29. 자연하도의 태형 저류와 쐐기 저류 378

그림 2.1.30. auto-ROM운영 방식 380

그림 2.1.31. rigid-ROM계산 방법 381

그림 2.1.32. 강우-유출모형 계산 모식도 382

그림 2.2.1. 가중 4점 음해법 격자망 399

그림 2.2.2. 하천구간의 개요도 401

그림 2.2.3. FLDWAV 단면구축을 위한 하천단면 분석 404

그림 2.2.4. 하구둑 저류구간 초기수위 산정 407

그림 2.2.5. 하구둑 저류구간 유입량 반영 수위재산정 408

그림 2.2.6. 하구둑 저류구간 최종수위 산정 408

그림 2.2.7. 저수지 유입량에 따른 하구둑 방류량 효율 설정 411

그림 2.2.8. 4대강 다기능보 수문 형태 414

그림 2.2.9. 기존 FLWAV 가동보 방류량 산정개념 415

그림 2.2.10. 완전 오리피스 조건 416

그림 2.2.11. 불완전 오리피스 조건 416

그림 2.2.12. 수중 위어 조건 417

그림 2.2.13. 한계류 조건 418

그림 2.2.14. 위어 흐름 조건 418

그림 3.3.1. 영산강 지류 연계 수리학적 예측모형 모식도 441

그림 3.3.2. 금월 수위관측소지점 B-H 454

그림 3.3.3. 삼지 수위관측소지점 B-H 454

그림 3.3.4. 광주 수위관측소지점 B-H 454

그림 3.3.5. 어등 수위관측소지점 B-H 454

그림 3.3.6. 마륵 수위관측소지점 B-H 454

그림 3.3.7. 본동 수위관측소지점 B-H 454

그림 3.3.8. 승촌보 수위관측소지점 B-H 454

그림 3.3.9. 나주 수위관측소지점 B-H 454

그림 3.3.10. 영산포 수위관측소지점 B-H 455

그림 3.3.11. 회진 수위관측소지점 B-H 455

그림 3.3.12. 죽산보 수위관측소지점 B-H 455

그림 3.3.13. 사포 수위관측소지점 B-H 455

그림 3.3.14. 명산 수위관측소지점 B-H 455

그림 3.3.15. 하구언 수위관측소지점 B-H 455

그림 3.3.16. 임곡 수위관측소지점 B-H 458

그림 3.3.17. 선암 수위관측소지점 B-H 458

그림 3.3.18. 능주 수위관측소지점 B-H 462

그림 3.3.19. 남평 수위관측소지점 B-H 462

그림 3.3.20. 영산강 하구둑에서 사쏘지점까지 수위저류용량 관계 463

그림 3.3.21. 영산강 하구둑 내수위 예측결과 463

그림 3.3.22. 죽산보 평면도 및 단면도 465

그림 3.3.23. 승촌보 평면도 및 단면도 467

그림 3.3.24. 저류지 내용적 곡선 470

그림 3.3.25. 저류지 구조물 위치도 471

그림 3.3.26. 월류부 단면도(가동보-기존) 472

그림 3.3.27. 월류부 단면도(자연형-변경) 472

그림 3.3.28. 저류지 월류부 현장 답사 473

그림 3.3.29. 저류지 방류부 현장 답사 473

그림 3.3.30. 배수구조물 단면도 474

그림 3.3.31. 나주 수위관측소 지점 저류지 적용 결과(수위) 476

그림 3.3.32. 나주 수위관측소 지점 저류지 적용 결과(유량) 476

그림 3.3.33. 영산포 수위관측소 지점 저류지 적용 결과(수위) 477

그림 3.3.34. 영산포 수위관측소 지점 저류지 적용 결과(유량) 477

그림 3.3.35. 금월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78

그림 3.3.36. 삼지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79

그림 3.3.37. 광주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79

그림 3.3.38. 어등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0

그림 3.3.39. 마륵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0

그림 3.3.40. 본동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1

그림 3.3.41. 승촌보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1

그림 3.3.42. 나주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2

그림 3.3.43. 영산포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2

그림 3.3.44. 회진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3

그림 3.3.45. 죽산보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3

그림 3.3.46. 사포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4

그림 3.3.47. 명산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4

그림 3.3.48. 임곡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5

그림 3.3.49. 선암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5

그림 3.3.50. 능주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6

그림 3.3.51. 남평 수위관측소 조도계수(공사완료 후 적용) 486

그림 3.3.52.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금월) 488

그림 3.3.53.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삼지) 488

그림 3.3.54.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광주) 489

그림 3.3.55.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어등) 489

그림 3.3.56.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마륵) 490

그림 3.3.57.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본동) 490

그림 3.3.58.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승촌보) 491

그림 3.3.59.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나주) 491

그림 3.3.60.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영산포) 492

그림 3.3.61.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회진) 492

그림 3.3.62.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죽산보) 493

그림 3.3.63.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사포) 493

그림 3.3.64. 기존모형과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명산) 494

그림 3.3.65.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금월) 496

그림 3.3.66.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삼지) 496

그림 3.3.67.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광주) 497

그림 3.3.68.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어등) 497

그림 3.3.69.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마륵) 498

그림 3.3.70.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본동) 498

그림 3.3.71.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승촌보) 499

그림 3.3.72.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나주) 499

그림 3.3.73.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영산포) 500

그림 3.3.74.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회진) 500

그림 3.3.75.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죽산보) 501

그림 3.3.76.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사포) 501

그림 3.3.77. 가동보 수문 운영에 따른 예측수위 비교(명산) 502

그림 4.3.1. 섬진강 지류 연계 수리학적 예측모형 모식도 523

그림 4.3.2. 강진 수위관측소지점 B-H 535

그림 4.3.3. 덕치 수위관측소지점 B-H 535

그림 4.3.4. 제2섬진 수위관측소지점 B-H 535

그림 4.3.5. 적성 수위관측소지점 B-H 535

그림 4.3.6. 대강 수위관측소지점 B-H 535

그림 4.3.7. 곡성 수위관측소지점 B-H 535

그림 4.3.8. 오곡 수위관측소지점 B-H 535

그림 4.3.9. 압록 수위관측소지점 B-H 535

그림 4.3.10. 구례2 수위관측소지점 B-H 536

그림 4.3.11. 송정 수위관측소지점 B-H 536

그림 4.3.12. 화개 수위관측소지점 B-H 536

그림 4.3.13. 하동 수위관측소지점 B-H 536

그림 4.3.14. 남원 수위관측소지점 B-H 541

그림 4.3.15. 송동 수위관측소지점 B-H 541

그림 4.3.16. 목사동 수위관측소지점 B-H 546

그림 4.3.17. 죽곡 수위관측소지점 B-H 546

그림 4.3.18. 조위관측소까지 단면 연장 시 수위 결과 비교(하동 수위관측소) 547

그림 4.3.19. 단면 연장에 따른 수위 변화(하동 수위관측소) 547

그림 4.3.20. 추가 단면 하폭 설정에 따른 수위변화(하동 수위관측소) 548

그림 4.3.21. 추가 단면 영점 조정(하동 수위 관측소) 549

그림 4.3.22. 대강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2일~6월 23일) 550

그림 4.3.23. 곡성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2일~6월 23일) 550

그림 4.3.24. 오곡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2일~6월 23일) 551

그림 4.3.25. 구례2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2일~6월 23일) 551

그림 4.3.26. 송정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2일~6월 23일) 552

그림 4.3.27. 하동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6월 22일~6월 23일) 552

그림 4.3.28. 대강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8월 9일~8월 11일) 553

그림 4.3.29. 곡성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8월 9일~8월 11일) 554

그림 4.3.30. 오곡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8월 9일~8월 11일) 554

그림 4.3.31. 구례2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8월 9일~8월 11일) 555

그림 4.3.32. 송정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8월 9일~8월 11일) 555

그림 4.3.33. 하동 지점 수위 검·보정 결과(2011년 8월 9일~8월 11일) 556

그림 4.3.34. 섬진강댐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557

그림 4.3.35. 대강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557

그림 4.3.36. 곡성 수위 관측소 조도계수 558

그림 4.3.37. 오곡 수위 관측소 조도계수 558

그림 4.3.38. 구례2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559

그림 4.3.39. 송정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559

그림 4.3.40. 남원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560

그림 4.3.41. 송동 수위 관측소 조도계수 560

그림 4.3.42. 목사동 수위관측소 조도계수 561

그림 4.3.43. 죽곡 수위 관측소 조도계수 561

그림 4.3.44.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대강) 562

그림 4.3.45.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곡성) 563

그림 4.3.46.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오곡) 563

그림 4.3.47.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구례2) 564

그림 4.3.48.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송정) 564

그림 4.3.49.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하동) 565

그림 4.3.50.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남원) 566

그림 4.3.51.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송동) 566

그림 4.3.52.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남원) 567

그림 4.3.53.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송동) 567

그림 4.3.54.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목사동) 568

그림 4.3.55.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죽곡) 568

그림 4.3.56.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목사동) 569

그림 4.3.57.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죽곡) 569

그림 4.3.58.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대강) 570

그림 4.3.59.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곡성) 571

그림 4.3.60.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오곡) 571

그림 4.3.61.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구례2) 572

그림 4.3.62.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즉수위 비교(송정) 572

그림 4.3.63. 신규모형 2011년 7월 수문사상 예즉수위 비교(하동) 573

그림 4.3.64.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대강) 573

그림 4.3.65.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곡성) 574

그림 4.3.66.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오곡) 574

그림 4.3.67.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구례2) 575

그림 4.3.68.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송정) 575

그림 4.3.69. 신규모형 2011년 8월 수문사상 예측수위 비교(하동) 576

그림 7.1.1. 홍수 도달시간 추정방법 597

그림 7.1.2. 영산강 살리기 사업구간 주요지점 현황 598

그림 7.1.3. 영산강 살리기 사업구간 유량규모별 주요지점 도달시간 598

그림 7.1.4. 섬진강 수계 방류조건별 주요지점 도달시간 599

그림 7.3.1. 영산강 살리기 사업 구간 수위 검토 604

그림 7.3.2. 섬진강 구간 수위검토 60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750205 627.4 -12-13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