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 National investigation of marine ecosystem : 제주도·이어도해역(이어도 125.1˚E∼우도 128.2˚E) / 국토해양부 [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과, 2012
청구기호
577.7 -12-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l, 919 p. : 삽화, 지도,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242138
주기사항
연구기관: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책임: 서영상
참고문헌 수록
부록: 경성 암반 무척추동물 및 해조류 조사 장면 및 조사해역 수중 전경 등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목차

제I권 기본조사 47

요약 49

연구개요 49

주요결과 49

제1장 서론 59

1-1. 연구배경 및 목적 61

1-2. 연구수행 내용 및 조사 범위 62

1-3. 조사해역의 개황 62

제2장 부유생태 65

2-1. 서론 67

2-2. 부유환경 68

2-2-1. 기존연구현황 68

2-2-2. 재료 및 방법 80

2-2-3. 결과 및 고찰 85

2-2-3-1. 수온과 염분의 시·공간적 변동과 요인 85

2-2-3-2. 연구해역 수괴(water mass) 구분 92

2-2-3-3.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량(DO),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의 시·공간적 변동과 요인 93

2-2-3-4. 총부유물질, 입자성유기탄소 및 질소 농도의 시·공간적 변동과 요인 103

2-2-3-5. 영양염 농도의 시·공간적 변동과 요인 109

2-2-3-6. 엽록소 농도(chlorophyll α)와 수질환경 변화 118

2-2-3-7. 각 계절별 수괴 변동과 수질 특성 121

2-2-4. 결론 124

2-3. 미생물 126

2-3-1. 기존연구현황 126

2-3-2. 재료 및 방법 127

2-3-2-1. 조사개요 127

2-3-2-2. 분석방법 128

2-3-3. 결과 및 고찰 131

2-3-3-1. 총세균수 131

2-3-3-2. 집락형성세균의 분포 및 분자계통학적 분석 132

2-3-3-3. Pyrosequencing을 이용한 세균 군집구조 분석 141

2-3-4. 결론 157

2-4. 식물플랑크톤 158

2-4-1. 기존연구현황 158

2-4-1-1. 엽록소 α 분포 158

2-4-1-2. 종조성 159

2-4-1-3. 개체수 160

2-4-1-4. 종다양성지수 161

2-4-2. 재료 및 방법 161

2-4-2-1. 조사해역 및 시기 161

2-4-2-2. 정성 분석 162

2-4-2-3. 정량 분석 164

2-4-2-4. 엽록소 α(Chlorophyll α) 분석 164

2-4-2-5. 자료처리 164

2-4-2-6. 생물지리 분포 165

2-4-3. 결과 및 고찰 165

2-4-3-1. 엽록소 α 분포 165

2-4-3-2. 종조성 171

2-4-3-3. 개체수 180

2-4-3-4. 우점종 192

2-4-3-5. 해조류 착생 저서 와편모류 196

2-4-3-6. 종다양성지수 198

2-4-3-7. 식물플랑크톤의 생물지리분포 204

2-4-4. 결론 205

2-5. 동물플랑크톤 208

2-5-1. 기존연구현황 208

2-5-2. 재료 및 방법 209

2-5-3. 결과 및 고찰 210

2-5-3-1.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의 계절 변동 210

2-5-3-2.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정점별 분포양상 210

2-5-3-3. 동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군집 구조의 계절 변동 211

2-5-3-4. 동물플랑크톤 생체량의 시공간적인 분포특성 216

2-5-3-5.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의 점유율 및 시공분포 218

2-5-3-6. 모악류의 계절 변동 226

2-5-3-7. 요각류의 계절 변동 230

2-5-3-8. 조사해역의 종다양성지수 239

2-5-3-9. 계절별 동물플랑크톤 집괴분석 240

2-5-4. 결론 241

2-6. 부유생태 종합결론 242

제3장 저서생태 245

3-1. 서론 247

3-2. 저서환경 250

3-2-1. 기존연구현황 250

3-2-2. 재료 및 방법 253

3-2-3. 결과 및 고찰 253

3-2-3-1. 퇴적물 입도 253

3-2-3-2. 퇴적물 총유기탄소, 총질소, 탄산염 함량 258

3-2-3-3.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함량 263

3-2-4. 결론 269

3-3. 중형저서동물 269

3-3-1. 기존연구현황 269

3-3-2. 재료 및 방법 271

3-3-2-1. 조사정점 271

3-3-2-2. 채집방법 및 실험방법 271

3-3-2-2-1. 시료채집 271

3-3-2-2-2. 시료분석 272

3-3-3. 결과 및 고찰 273

3-3-3-1. 환경 요인 273

3-3-3-2. 중형저서동물(간극동물)의 분포 275

3-3-3-2-1. 주요 분류군의 조성 및 우점 분류군 275

3-3-3-2-2. 선충류의 분포 300

3-3-3-2-3. 저서성 요각류의 분포 307

3-3-3-2-4. 유공충류의 분포 312

3-3-3-2-5. 중형저서생물(간극동물)의 다양성 및 생산력 319

3-3-3-2-6. 경성암반 해조부착 중형저서동물 322

3-3-4. 결론 327

3-4. 대형저서동물 329

3-4-1. 기존연구현황 329

3-4-2. 재료 및 방법 330

3-4-3. 결과 및 고찰 332

3-4-3-1. 대형저서동물의 시공간적 분포 332

3-4-3-2. 우점종 353

3-4-3-3. 군집생태지수 370

3-4-3-4. 저서생태계 건강도 375

3-4-3-5. 집괴분석을 통한 군집분류 382

3-4-3-6. 기 조사 해역과의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비교 385

3-4-3-7. 기 조사 해역 군집표본과의 군집 유사도 비교 391

3-4-3-8. 제주도·이어도 해역의 생체량 이상치(biomass anomaly) 394

3-4-4. 결론 397

3-5. 경성암반생물 400

3-5-1. 해조류 400

3-5-1-1. 기존연구현황 400

3-5-1-2. 재료 및 방법 409

3-5-1-3. 결과 및 고찰 410

3-5-1-3-1. 조간대 410

3-5-1-3-2. 조하대 439

3-5-1-3-3. 특이사항 471

3-5-1-4. 결론 474

3-5-2. 무척추동물 474

3-5-2-1. 기존연구현황 474

3-5-2-2. 재료 및 방법 475

3-5-2-3. 결과 및 고찰 475

3-5-2-3-1. 조간대 475

3-5-2-3-2. 조하대 501

3-5-2-4. 결론 530

3-5-3. 잘피 532

3-5-3-1. 기존연구현황 532

3-5-3-2. 재료 및 방법 532

3-5-3-3. 결과 및 고찰 534

3-5-3-4. 결론 546

3-6. 저서생태 종합결론 546

제4장 유영동물 551

4-1. 서론 553

4-2. 난자치어 553

4-2-1. 기존연구현황 553

4-2-2. 재료 및 방법 553

4-2-3. 결과 및 고찰 554

4-2-3-1. 어란과 자치어의 종조성 554

4-2-3-2. 어란과 자치어의 분포 558

4-2-3-2-1. 2011년 5월 558

4-2-3-2-2. 2011년 8월 560

4-2-3-2-3. 2011년 11월 563

4-2-3-2-4. 2012년 2월 564

4-2-3-3. 난자치어 DNA 분석 567

4-2-4. 결론 570

4-3. 유영동물 571

4-3-1. 기존연구현황 571

4-3-2. 재료 및 방법 571

4-3-2-1. 시료채집 571

4-3-2-2. 시료처리 및 종동정 572

4-3-3. 결과 및 고찰 572

4-3-3-1. 어류 572

4-3-3-1-1. 연안측 어류 572

4-3-3-1-2. 근해측 어류 600

4-3-3-1-3. 지역별 어구별 군집분석 618

4-3-3-1-4. 남해서부, 남해동부, 제주도 어류 종조성 군집분석 619

4-3-3-2. 갑각류 619

4-3-3-2-1. 연안측 갑각류 619

4-3-3-2-2. 근해측 갑각류 623

4-3-3-3. 두족류 624

4-3-3-3-1. 연안측 두족류 624

4-3-3-3-2. 근해측 두족류 626

4-4. 특이사항 627

4-4-1. 신종후보 627

4-5. 유영동물 종합결론 629

부록 630

부록 I. 제주주변해역 출현 어류의 표본 목록 630

부록 II. 2011 년 제주도-이어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자치어 종사진 652

부록 II-2. 제주도-이어도 주변해역 출현 자치어의 표본목록 660

제5장 종합결론 663

5-1. 해역특성 665

5-1-1. 해양환경 특성 및 건강도 665

5-2. 생물분포 특성 668

5-2-1. 생물종 출현양상 668

5-2-2. 특이종 출현 특성 669

5-3. 정책제언 672

제6장 참고문헌 673

부유환경 675

미생물 679

식물플랑크톤 680

동물플랑크톤 682

저서환경 683

중형저서동물 684

대형저서동물 686

경성암반생물 및 특별조사 688

유영동물 691

제II권 특별조사 693

요약 695

1. 서론 701

2. 재료 및 방법 701

2-1. 해안식생 701

2-2. 식물상 704

2-3. 조류(바다새) 704

2-4. 해조류 705

2-5. 무척추동물 706

2-6. 해초류(잘피) 706

2-7. 어류 707

2-8. 수산자원 707

2-9. 지질, 지형 및 경관 707

2-10. 인문·사회 및 문화 707

3. 결과 707

3-1. 해안식생 707

3-1-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토평동 (소정방폭포) 707

3-1-1-1. 식생현황 707

3-1-1-2. 식생구조 710

3-1-1-3. 녹지자연도 712

3-1-2.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촌읍 북촌리 다려도 712

3-1-2-1. 식생현황 712

3-1-2-2. 녹지자연도 714

3-1-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토끼섬 715

3-1-3-1. 식생현황 715

3-1-3-2. 녹지자연도 716

3-1-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718

3-1-4-1. 식생현황 718

3-1-4-2. 식생구조 721

3-1-4-3. 녹지자연도 723

3-2. 식물상 725

3-2-1. 소정방폭포 725

3-2-2. 다려도 731

3-2-3. 토끼섬 735

3-2-4. 고추자도 740

3-3. 조류(바다새) 753

3-3-1. 소정방폭포 일대 753

3-3-2. 다려도 756

3-3-3. 토끼섬 759

3-3-4. 추자도 759

3-4. 해조류 764

3-4-1. 조간대 해조류 출현종 764

3-4-2. 조간대 해조류 현존량 764

3-4-3. 조간대 해조류의 우점종 766

3-4-4. 조간대 해조류의 계절별 R/P와 (R+C)/P 값 767

3-4-5. 조하대 해조류 출현종 767

3-4-6. 조하대 해조류 현존량 772

3-4-7. 조하대 해조류의 우점종 773

3-4-8. 조하대 해조류의 계절별 R/P와 (R+C)/P 값 778

3-5. 무척추동물 778

3-5-1. 경성암반 조간대 778

3-5-2. 경성암반 조하대 779

3-6. 해초류(잘피) 786

3-6-1. 잘피 출현종 786

3-6-2. 형태적 특성 786

3-6-3. 서식밀도, 생체량과 생태적 특성 790

3-6-4. 분포현황 790

3-7. 어류 794

3-7-1. 수중 잠수 조사 794

3-7-2. 어획 조사 795

3-8. 수산자원 802

3-8-1. 추자도수협 802

3-8-2. 서귀포수협 802

3-8-3. 제주시수협 802

3-8-4. 성산포수협 802

3-9. 지질, 지형 및 경관 807

3-9-1. 육상 및 수중경관(도서생태계) 807

3-10. 인문·사회 및 문화 813

3-10-1. 추자도 813

3-10-2. 토평동 814

4. 결론 815

4-1. 해안식생 815

4-2. 식물상 816

4-3. 조류(바다새) 817

4-4. 해조류 818

4-5. 무척추동물 818

4-6. 해초류(잘피) 818

4-7. 어류 819

4-8. 수산자원 819

4-9. 지질, 지형 및 경관 819

4-10. 인문·사회 및 문화 819

4-11. 종합결론 및 정책방향 제안 820

제III권 해양 생태지수 개발 및 생태도 지침서 작성 821

요약 823

1. 서론 823

2. 재료 및 방법 824

2-1. 해양생태도 지침서 체계 구성 824

2-2. 해양생태도 지침 법률 824

2-3.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자료 825

3. 해양생태도 작성 지침 825

3-1. 평가지표 구성 825

3-1-1. 가)목 자료 구성 825

3-1-2. 나)목 자료 구성 826

3-1-3. 라)목 자료 구성 827

3-1-4. 마)목 자료 구성 827

3-2. 개별항목 평가 828

3-2-1. 가)목에 대한 평가 828

3-2-2. 나)목에 대한 평가 829

3-2-3. 라)목에 대한 평가 830

3-2-4. 마)목에 대한 평가 830

3-3. 종합등급 평가 831

3-3-1. 나) 항목의 평가 831

3-3-2. 라) 항목의 평가 832

3-3-3. 가), 나), 라), 마) 항목의 종합평가 832

4. 생태도 작성 지침 적용 결과 및 고찰 833

4-1. 세부등급의 분포 833

4-2. 종합등급의 분포 840

4-3. 정점별 세부 사항 844

4-4. 생태계 현황 857

4-5. 해양생태도 표현방법 857

4-6. 추후 개선방향 868

5. 참고문헌 868

제IV권 대·내외 활동 및 홍보 869

1. 대·내외 활동 871

1-1. 국제워크숍 개최 871

1-2. 제6차 미국유해조류심포지엄 참석 872

1-3. 유해 녹조류 발생에 관한 세미나 및 전문가 협의회 개최 875

2. 홍보 및 교육 877

2-1. 현장조사 화보집 877

2-2. 제주의 잘피 포스터 879

2-3. 소화도·거가도 특별조사 879

2-4. 3D 홍보동영상 제작 및 지상파 방송 880

2-5. 제주바다 화보집 880

제V권 부록 (경성암반 및 특별조사) 883

부록 1. 경성 암반 무척추동물 및 해조류 조사 장면 및 조사해역 수중 전경 885

부록 2. 국내 미기록종 관련 조사결과 발표자료 891

부록 3. 조사해역 경성기질 조간대에서 출현한 정점별 무척추동물 출현 개체수 892

부록 4. 조사해역 경성기질 조간대에서 출현한 정점별 무척추동물 생체량 898

부록 5. 조사해역 경성기질 조하대에서 출현한 정점별 무척추동물 출현 개체수 904

부록 6. 조사해역 경성기질 조하대에서 출현한 정점별 무척추동물 생체량 923

부록 7. 특별조사 경성기질 조간대에서 출현한 정점별 무척추동물 출현 개체수 942

부록 8. 특별조사 경성기질 조간대에서 출현한 정점별 무척추동물 생체량 944

부록 9. 특별조사 경성기질 조하대에서 출현한 정점별 무척추동물 출현 개체수 946

부록 10. 특별조사 경성기질 조간대에서 출현한 정점별 무척추동물 생체량 953

부록 11. 경성암반 표본 샘플 리스트 960

판권기 966

제I권 기본조사 17

표 2-2-1. 2011년 5월, 8월, 11월 그리고 2012년 2월에 수행된 제주도/이어도해역의 정점별 조사일과 시간 81

표 2-2-2. 정점별 지침서 및 실제 조사 위치 비교 82

표 2-2-3. 영양염 분석에 사용된 검량선식과 분석 자료의 검출한계 및 정밀도 84

표 2-2-4. 영양염 표준 해수시료의 표준 농도와 측정 농도 84

표 2-2-5. 각 계절별 수온과 염분 범위와 평균값 85

표 2-2-6. 계절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량, 용존산소포화도 범위와 평균값 96

표 2-2-7. 각 계절별 총부유물질농도, 입자성유기탄소 및 질소 농도 범위와 평균값 106

표 2-2-8. 계절별 영양염류(용존규산염, 용존무기인, 용존무기질소) 농도 범위와 평균값 114

표 2-2-9. 엽록소 농도와 환경요소들 사이의 상관관계 119

표 2-2-10.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엽록소 농도 변화에 미치는 환경요인 119

표 2-3-1. 조사 정점별 시료 채취 수심 129

표 2-3-2. 2011년 5월 시료에서 분리된 균주들의 동정 결과 134

표 2-3-3. 2011년 8월 시료에서 분리된 균주들의 동정 결과 135

표 2-3-4. 각 시료별 세균군집에서 각각의 phylum이 차지하는 비중 150

표 2-3-5. 각 시료별 세균군집에서 주요 해양미생물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 151

표 2-3-6. 주요 분류군들의 표층과 저층에서의 분포 152

표 2-4-1. 남해 연안과 제주도/이어도 해역에서 측정한 엽록소 α 농도 분포 158

표 2-4-2. 조사시기별 남해와 제주도/이어도 해역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 변화 159

표 2-4-3. 남해와 제주도/이어도 해역의 주요 식물플랑크톤 분류군 조성 변화 160

표 2-4-4. 조사시기에 따른 남해와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변화 160

표 2-4-5. 조사시기에 따른 남해와 제주도/이어도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 161

표 2-4-6. 2011년 제주도/이어도 해역의 정점별 조사 시기 163

표 2-4-7. 서해, 남해, 제주도/이어도 해역의 조사시기별 엽록소 α 농도 분포 166

표 2-4-8. 2011년 5, 8월 제주도/이어도 해역에서 관측한 정점별 엽록소 α 농도 분포 168

표 2-4-9. 2011년 11월, 2012년 2월 제주도/이어도 해역에서 관측한 정점별 엽록소 α 농도 분포 169

표 2-4-10. 2011년 5, 8, 11, 2012년 2월 제주도/이어도 해역과 이전 조사해역에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의 종조성 173

표 2-4-11. 2011년 5월 제주도/이어도 해역과 이전 조사해역에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의 종조성 174

표 2-4-12. 2011년 8월 제주도/이어도 해역과 이전 조사해역에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의 종조성 175

표 2-4-13. 2011년 11월 제주도/이어도 해역과 이전 조사해역에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의 종조성 177

표 2-4-14. 2012년 2월 제주도/이어도 해역과 이전 조사해역에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의 종조성 178

표 2-4-15. 서해, 남해, 제주도/이어도 해역의 조사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세포수 변화 183

표 2-4-16. 2011년 5, 8월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세포수 변화 184

표 2-4-17. 2011년 11, 2012년 2월 제주도/이어도 해역에서 관측한 식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세포수 분포 185

표 2-4-18. 2011년 5월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의 정점별 개체수 분포 188

표 2-4-19. 2011년 8월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의 정점별 개체수 분포 189

표 2-4-20. 2011년 11월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의 정점별 개체수 분포 190

표 2-4-21. 2012년 2월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의 정점별 개체수 분포 191

표 2-4-22. 봄철과 여름철 서해, 남해, 제주/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우점종과 평균 세포수 변화 194

표 2-4-23. 가을철과 겨울철 서해, 남해, 제주/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우점종과 평균 세포수 변화 195

표 2-4-24. 제주도/이어도 해역에서 저서 와편모류 분석을 위해 채집한 해조류의 계절별 출현 양상 196

표 2-4-25.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해조류 착생 와편모류의 계절별 분포 현황 197

표 2-4-26. 서해, 남해, 제주도/이어도 해역의 조사시기별 식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 변화 201

표 2-4-27. 2011년 5, 8월에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종다양성지수 202

표 2-4-28. 2011년 11월, 2012년 2월에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정점별 종다양성지수 203

표 2-5-1. 남해동부해역의 계절별 동물플랑크톤 출현종 분포 현황 213

표 2-5-2.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종다양성지수 239

표 3-2-1. 각 계절별 퇴적물의 평균입도, 자갈, 모래, 실트, 점토, 총유기탄소, 총질소 및 탄산염의 함량 범위와 평균값 256

표 3-2-2. 계절별 퇴적물의 중금속 함량 범위와 평균값 264

표 3-2-3. 계절별(봄, 여름) 퇴적물 내 중금속 농도와 입도(Mz) 사이의 상관관계 264

표 3-2-4. 퇴적물 중금속 능도의 해역별 비교 265

표 3-3-1. 채집 정점별 저질 온도 273

표 3-3-2. 채집 정점별 저질 온도 274

표 3-3-3. 2011년 5월 환경요인 및 분류군별 서식밀도간의 상관관계 분석 294

표 3-3-4. 2011년 5월 환경요인 및 분류군별 생물량간의 상관관계 분석 295

표 3-3-5. 2011년 8월 환경요인 및 분류군별 서식밀도간의 상관관계 분석 296

표 3-3-6. 2011년 8월 환경요인 및 분류군별 생물량간의 상관관계 분석 297

표 3-3-7. 2011년 11월 환경요인 및 분류군별 서식밀도간의 상관관계 분석 298

표 3-3-8. 2011년 11월 환경요인 및 분류군별 생물량간의 상관관계 분석 298

표 3-3-9. 2012년 2월 환경요인 및 분류군별 서식밀도간의 상관관계 분석 299

표 3-3-10. 2012년 2월 환경요인 및 분류군별 생물량간의 상관관계 분석 299

표 3-3-11. 2011년 8월 저서성 선충류의 종조성 및 개체수 300

표 3-3-12. 2011년 11월 저서성 선충류의 종조성 및 개체수 303

표 3-3-13. 2011년 8월 정점별 저서성 요각류의 종조성 및 개체수 307

표 3-3-14. 2011년 11월 정점별 저서성 요각류의 종조성 및 개체수 310

표 3-3-15. 유공충류 5월 종 조성 및 개체수 313

표 3-3-16. 유공충류 8월 종 조성 및 개체수 314

표 3-3-17. 유공충류 11월 종 조성 및 개체수 316

표 3-3-18. 유공충류 2월 종 조성 및 개체수 317

표 3-3-19. 월별 다양도지수 319

표 3-3-20. 월별 균등도지수 320

표 3-3-21. 월별 풍부도지수 321

표 3-3-22. 주요 분류군별 생산력 321

표 3-3-23. 경성암반 선충류 종조성 및 개체수 325

표 3-4-1. 출현 동물군의 국영문 명칭 및 축약코드명 331

표 3-4-2.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총 출현종수, 평균출현종수, 밀도, 생체량 333

표 3-4-3.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동물군별 출현종수 333

표 3-4-4.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동물군별 평균서식밀도 333

표 3-4-5.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동물군별 평균생체량 334

표 3-4-6. 2011년 5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24개 분류군의 밀도 분포 335

표 3-4-7. 2011년 5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24개 분류군의 생체량 분포 338

표 3-4-8. 2011년 8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24개 분류군의 밀도 분포 340

표 3-4-9. 2011년 8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24개 분류군의 생체량 분포 342

표 3-4-10. 2011년 11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22개 분류군의 밀도 분포 344

표 3-4-11. 2011년 11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22개 분류군의 생체량 분포 347

표 3-4-12. 2012년 2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23개 분류군의 밀도 분포 349

표 3-4-13. 2012년 2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23개 분류군의 생체량 분포 351

표 3-4-14. 2011년 5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 기준 우점종 355

표 3-4-15. 2011년 5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의 생체량 기준 우점종 356

표 3-4-16. 2011년 8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 기준 우점종 357

표 3-4-17. 2011년 8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생체량 기준 우점종 359

표 3-4-18. 2011년 11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 기준 우점종 360

표 3-4-19. 2011년 11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의 생체량 기준 우점종 361

표 3-4-20. 2012년 2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 기준 우점종 365

표 3-4-21. 2012년 2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생체량 기준 우점종 366

표 3-4-22.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밀도 기준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67

표 3-4-23.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생체량 기준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69

표 3-4-24.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생태지수(2011년 5월) 371

표 3-4-25.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생태지수(2011년 8월) 372

표 3-4-26.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생태지수(2011년 11월) 373

표 3-4-27.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생태지수(2012년 2월) 374

표 3-4-28.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건강도 등급(2011년 5월) 377

표 3-4-29.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건강도 등급(2011년 8월) 378

표 3-4-30.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건강도 등급(2011년 11월) 379

표 3-4-31.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건강도 등급(2012년 2월) 380

표 3-4-32.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건강도 등급(계절 통합) 381

표 3-4-33. 집괴분석에 따른 남해동부해역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분류와 생태적 특성(전 계절통합) 384

표 3-4-34. 각 해역별 밀도기준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89

표 3-4-35. 각 해역별 생체량 기준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90

표 3-4-36. 우리나라 해역에서 관찰된 대형저서동물 군집 그룹별 생체량과 건강도 396

표 3-5-1. 제주연안의 기존조사 자료 목록 402

표 3-5-2. 제주연안 12개 조사정점의 경위도 409

표 3-5-3. 제주연안 12개 지역의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10

표 3-5-4. 제주시 함덕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11

표 3-5-5. 제주시 함덕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 목록 411

표 3-5-6. 제주시 하도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12

표 3-5-7. 제주시 하도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 목록 412

표 3-5-8. 서귀포시 성산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13

표 3-5-9. 서귀포시 성산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 목록 413

표 3-5-10. 서귀포시 하천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14

표 3-5-11. 서귀포시 하천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 목록 414

표 3-5-12. 서귀포시 위미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15

표 3-5-13. 서귀포시 위미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16

표 3-5-14. 서귀포시 보목동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16

표 3-5-15. 서귀포시 보목동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목록 416

표 3-5-16. 서귀포시 새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17

표 3-5-17. 서귀포시 새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18

표 3-5-18. 서귀포시 사계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18

표 3-5-19. 서귀포시 사계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19

표 3-5-20. 제주시 고산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20

표 3-5-21. 제주시 고산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20

표 3-5-22. 제주시 옹포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21

표 3-5-23. 제주시 옹포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21

표 3-5-24. 제주시 애월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22

표 3-5-25. 제주시 애월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22

표 3-5-26. 제주시 하귀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23

표 3-5-27. 제주시 하귀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23

표 3-5-28. 제주시 함덕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24

표 3-5-29. 제주시 하도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25

표 3-5-30. 서귀포시 성산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25

표 3-5-31. 서귀포시 하천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25

표 3-5-32. 서귀포시 위미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26

표 3-5-33. 서귀포시 보목동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26

표 3-5-34. 서귀포시 새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26

표 3-5-35. 서귀포시 사계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27

표 3-5-36. 제주시 고산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27

표 3-5-37. 제주시 옹포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27

표 3-5-38. 제주시 애월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28

표 3-5-39. 제주시 하귀리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28

표 3-5-40. 제주시 함덕리 조간대의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28

표 3-5-41. 제주시 하도리 조간대의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29

표 3-5-42. 서귀포시 성산리 조간대의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29

표 3-5-43. 서귀포시 하천리 조간대의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30

표 3-5-44. 서귀포시 위미리 조간대의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30

표 3-5-45. 서귀포시 보목동 조간대의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30

표 3-5-46. 서귀포시 새섬 조간대의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31

표 3-5-47. 서귀포시 사계리 조간대의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31

표 3-5-48. 제주시 고산리 조간대의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32

표 3-5-49. 제주시 옹포리 조간대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32

표 3-5-50. 제주시 애월리 조간대의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32

표 3-5-51. 제주시 하귀리 조간대의 계절별 우점종(긁은 글꼴)과 준우점종 433

표 3-5-52. 제주시 함덕리 조간대의 계절별 R/P와 (R+C)/P 값 433

표 3-5-53. 제주시 하도리 조간대의 계절별 R/P와 (R+C)/P 값 434

표 3-5-54. 서귀포시 성산리 조간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34

표 3-5-55. 서귀포시 하천리 조간대의 계절별 R/P와 (R+C)/P 값 434

표 3-5-56. 서귀포시 위미리 조간대의 계절별 R/P와 (R+C)/P 값 435

표 3-5-57. 서귀포시 보목동 조간대의 계절별 R/P와 (R+C)/P 값 435

표 3-5-58. 서귀포시 새섬 조간대의 계절별 R/P와 (R+C)/P 값 435

표 3-5-59. 서귀포시 사계리 조간대의 계절별 R/P와 (R+C)/P 값 436

표 3-5-60. 제주시 고산리 조간대의 계절별 R/P와 (R+C)/P 값 436

표 3-5-61. 제주시 옹포리 조간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36

표 3-5-62. 제주시 애월리 조간대의 계절별 R/P와 (R+C)/P 값 437

표 3-5-63. 제주시 하귀리 조간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37

표 3-5-64. 제주도 조하대 12개 정점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39

표 3-5-65. 제주시 함덕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39

표 3-5-66. 제주시 함덕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종 목록 439

표 3-5-67. 제주시 하도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40

표 3-5-68. 제주시 하도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41

표 3-5-69. 서귀포시 성산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42

표 3-5-70. 서귀포시 성산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42

표 3-5-71. 서귀포시 하천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43

표 3-5-72. 서귀포시 하천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44

표 3-5-73. 서귀포시 위미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45

표 3-5-74. 서귀포시 위미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45

표 3-5-75. 서귀포시 보목동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46

표 3-5-76. 서귀포시 보목동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46

표 3-5-77. 서귀포시 새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48

표 3-5-78. 서귀포시 새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48

표 3-5-79. 서귀포시 사계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49

표 3-5-80. 서귀포시 사계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49

표 3-5-81. 제주시 고산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50

표 3-5-82. 제주시 고산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50

표 3-5-83. 제주시 옹포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52

표 3-5-84. 제주시 옹포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52

표 3-5-85. 제주시 애월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53

표 3-5-86. 제주시 애월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53

표 3-5-87. 제주시 하귀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55

표 3-5-88. 제주시 하귀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출현목록 455

표 3-5-89. 제주시 함덕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56

표 3-5-90. 제주시 하도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57

표 3-5-91. 서귀포시 성산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57

표 3-5-92. 서귀포시 하천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57

표 3-5-93. 서귀포시 위미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58

표 3-5-94. 서귀포시 보목동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58

표 3-5-95. 서귀포시 새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58

표 3-5-96. 서귀포시 사계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59

표 3-5-97. 제주시 고산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59

표 3-5-98. 제주시 옹포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59

표 3-5-99. 제주시 애월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60

표 3-5-100. 제주시 하귀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460

표 3-5-101. 제주시 함덕리 조하대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60

표 3-5-102. 제주시 하도리 조하대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61

표 3-5-103. 서귀포시 성산리 조하대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61

표 3-5-104. 서귀포시 하천리 조하대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62

표 3-5-105. 서귀포시 위미리 조하대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62

표 3-5-106. 서귀포시 보목동 조하대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63

표 3-5-107. 서귀포시 새섬 조하대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63

표 3-5-108. 서귀포시 사계리 조하대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64

표 3-5-109. 제주시 고산리 조하대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64

표 3-5-110. 제주시 옹포리 조하대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65

표 3-5-111. 제주시 애월리 조하대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65

표 3-5-112. 제주시 하귀리 조하대 계절별 우점종(굵은 글꼴)과 준우점종 466

표 3-5-113.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66

표 3-5-114.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67

표 3-5-115.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67

표 3-5-116.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67

표 3-5-117.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67

표 3-5-118. 서귀포시 보목동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68

표 3-5-119. 서귀포시 새섬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68

표 3-5-120.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68

표 3-5-121.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69

표 3-5-122. 제주시 한림읍 옹포리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69

표 3-5-123.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69

표 3-5-124.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조하대의 조사시기별 R/P와 (R+C)/P 값 470

표 3-5-125. 조사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출현 종수 476

표 3-5-126. 조사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종수 476

표 3-5-127. 조사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종수 477

표 3-5-128. 조사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해면류) 478

표 3-5-129. 조사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해면류) 478

표 3-5-130. 조사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478

표 3-5-131.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종수 479

표 3-5-132.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개체수(+: 해면류) 479

표 3-5-133.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종수 480

표 3-5-134.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개체수 480

표 3-5-135.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종수 480

표 3-5-136. 서귀포시 성산음 성산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개체수(+: 해면류) 481

표 3-5-137.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종수 481

표 3-5-138.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개체수(+: 해면류) 482

표 3-5-139.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종수 482

표 3-5-140.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개체수 482

표 3-5-141. 서귀포시 보목동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종수 483

표 3-5-142. 서귀포시 보목동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개체수 483

표 3-5-143. 서귀포시 서귀동 새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종수 484

표 3-5-144. 서귀포시 서귀동 새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개체수 484

표 3-5-145.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종수 485

표 3-5-146.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개체수 485

표 3-5-147.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종수 485

표 3-5-148.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개체수(+: 해면류) 486

표 3-5-149. 제주시 한림읍 옹포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종수 486

표 3-5-150. 제주시 한림읍 옹포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개체수 487

표 3-5-151.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종수 487

표 3-5-152.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개체수(+: 해면류) 487

표 3-5-153.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종수 488

표 3-5-154.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 및 조위별 출현 개체수 488

표 3-5-155. 조사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489

표 3-5-156.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489

표 3-5-157.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490

표 3-5-158.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490

표 3-5-159.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490

표 3-5-160.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491

표 3-5-161. 서귀포시 보목동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491

표 3-5-162. 서귀포시 서귀동 새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492

표 3-5-163.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492

표 3-5-164.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493

표 3-5-165. 제주시 한림읍 옹포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493

표 3-5-166.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493

표 3-5-167.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494

표 3-5-168. 조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풍부도 494

표 3-5-169. 조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다양도 495

표 3-5-170. 조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균등도 495

표 3-5-171.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496

표 3-5-172.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496

표 3-5-173.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496

표 3-5-174.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497

표 3-5-175.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497

표 3-5-176. 서귀포시 보목동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497

표 3-5-177. 서귀포시 새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498

표 3-5-178.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498

표 3-5-179.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498

표 3-5-180. 제주시 한림읍 옹포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499

표 3-5-181.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499

표 3-5-182.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499

표 3-5-183. 조사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정점별 생물지수 504

표 3-5-184. 조사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04

표 3-5-185. 조사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수심별 생물지수 505

표 3-5-186.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06

표 3-5-187.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수심에 따른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07

표 3-5-188.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07

표 3-5-189.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수심에 따른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07

표 3-5-190.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08

표 3-5-191.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수심에 따른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08

표 3-5-192.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09

표 3-5-193.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수심에 따른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09

표 3-5-194.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09

표 3-5-195.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수심에 따른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0

표 3-5-196. 서귀포시 보목동 조하대에서 줄현한 무척주동물의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0

표 3-5-197. 서귀포시 보목동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수심에 따른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0

표 3-5-198. 서귀포시 새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1

표 3-5-199. 서귀포시 새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수심에 따른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1

표 3-5-200.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2

표 3-5-201.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수심에 따른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2

표 3-5-202.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2

표 3-5-203.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수심에 따른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3

표 3-5-204. 제주시 한림읍 옹포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3

표 3-5-205. 제주시 한림읍 옹포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수심에 따른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3

표 3-5-206.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4

표 3-5-207.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수심에 따른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4

표 3-5-208.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5

표 3-5-209.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수심에 따른 조사시기별 생물지수 515

표 3-5-210. 조사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15

표 3-5-211.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16

표 3-5-212.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17

표 3-5-213.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17

표 3-5-214.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18

표 3-5-215.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18

표 3-5-216. 서귀포시 보목동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19

표 3-5-217. 서귀포시 서귀동 새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19

표 3-5-218. 서귀포사 안덕면 사계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20

표 3-5-219.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21

표 3-5-220. 제주시 한림읍 옹포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21

표 3-5-221.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22

표 3-5-222.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522

표 3-5-223. 조사 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풍부도 523

표 3-5-224. 조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다양도 523

표 3-5-225. 조사 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균등도 524

표 3-5-226.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524

표 3-5-227.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524

표 3-5-228. 서귀포시 성산읍 성산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525

표 3-5-229.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525

표 3-5-230. 서귀포시 남원읍 위미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525

표 3-5-231. 서귀포시 보목동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526

표 3-5-232. 서귀포시 새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526

표 3-5-233.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526

표 3-5-234.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527

표 3-5-235. 제주시 한림읍 옹포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527

표 3-5-236.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527

표 3-5-237.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 및 조사 시기별 생태학적 제 지수 528

표 3-5-238. 잘피 조사정점 및 조사좌표 532

표 3-5-239. 제주 해역 거머리말의 형태적 특성 534

표 3-5-240. 정점별 조사시기별 거머리말의 형태적 특성(평균값) 535

표 3-5-241. 정점별 조사시기별 거머리말의 밀도와 생체량(평균값) 539

표 3-5-242. 제주해역 거머리말의 서식면적 540

표 4-2-1. 제주주변 해역에서 행해진 자치어 연구 553

표 4-2-2. 2011년 월별·정점별 난자치어 출현량 555

표 4-2-3. 2011년 월별 난자치어 종조성 556

표 4-2-4. 2011년 정점별 난자치어 종조성 557

표 4-2-5. 2011년 5월 정점별 난자치어 출현량 559

표 4-2-6. 2011년 5월 정점별 자치어 종조성 560

표 4-2-7. 2011년 8월 정점별 난자치어 출현량 561

표 4-2-8. 2011년 8월 정점별 자치어 종조성 561

표 4-2-9. 2011년 11월 정점별 난자치어 출현량 564

표 4-2-10. 2011년 11월 정점별 자치어 종조성 565

표 4-2-11. 2012년 2월 정점별 난자치어 출현량 566

표 4-2-12. 2012년 2월 정점별 자치어 종조성 567

표 4-2-13. 자치어 분자동정 결과 570

표 4-3-1.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행해진 어류상 연구 571

표 4-3-2.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수행된 갑각류 및 두족류상 연구 571

표 4-3-3. 2011년 5월, 7월, 9월, 11월 제주 강정 정치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73

표 4-3-4. 2011년 5월 제주 강정 정치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74

표 4-3-5. 2011년 7월 제주 강정 정치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75

표 4-3-6. 2011년 9월 제주 강정 정치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76

표 4-3-7. 2011년 11월 제주 강정 정치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76

표 4-3-8. 2011년 5월, 7월, 9월, 11월, 2011년 2월 제주 강정 자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78

표 4-3-9. 2011년 5월 제주 강정 자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79

표 4-3-10. 2011년 7월 제주 강정 자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80

표 4-3-11. 2011년 9월 제주 강정 자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81

표 4-3-12. 2011년 11월 제주 강정 자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82

표 4-3-13. 2012년 2월 제주 강정 자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82

표 4-3-14. 2011년 5월, 7월, 9월, 11월, 2011년 2월 제주 강정 통발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84

표 4-3-15. 2011년 5월 제주 강정 통발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84

표 4-3-16. 2011년 7월 제주 강정 통발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85

표 4-3-17. 2011년 9월 제주 강정 통발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85

표 4-3-18. 2011년 11월 제주 강정 통발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86

표 4-3-19. 2012년 2월 제주 강정 통발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86

표 4-3-20. 2011년 5월, 7월, 9월, 11월 2011년 2월 제주 신창 자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88

표 4-3-21. 2011년 5월 제주 신창 자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89

표 4-3-22. 2011년 7월 제주 신창 자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0

표 4-3-23. 2011년 9월 제주 신창 자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0

표 4-3-24. 2011년 11월 제주 신창 자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1

표 4-3-25. 2012년 2월 제주 신창 자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1

표 4-3-26. 2011년 5월, 7월, 9월, 11월, 2011년 2월 제주 신창 통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3

표 4-3-27. 2011년 5월 제주 신창 통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3

표 4-3-28. 2011년 7월 제주 신창 통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4

표 4-3-29. 2011년 9월 제주 신창 통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4

표 4-3-30. 2011년 11월 제주 신창 통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4

표 4-3-31. 2012/(20121)년 2월 제주 신창 통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5

표 4-3-32. 2011년 5월, 7월, 9월, 11월 제주 한림 정치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6

표 4-3-33. 2011년 5월 제주 한림 정치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7

표 4-3-34. 2011년 7월 제주 한림 정치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8

표 4-3-35. 2011년 9월 제주 한림 정치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8

표 4-3-36. 2011년 11월 제주 한림 정치망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599

표 4-3-37. 2011년 5월, 7월, 9월, 11월, 2012년 2월 제주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01

표 4-3-38. 2011년 5월 제주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04

표 4-3-39. 2011년 7월 제주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05

표 4-3-40. 2011년 11월 제주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06

표 4-3-41. 2012년 2월 제주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07

표 4-3-42. 2011년 5월, 7월, 11월 제주 서귀포 위판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09

표 4-3-43. 2011년 5월 제주 서귀포 위판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10

표 4-3-44. 2011년 7월 제주 서귀포 위판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11

표 4-3-45. 2011년 11월 제주 서귀포 위판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11

표 4-3-46. 2011년 9월, 2012년 2월 제주 서귀포 어시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13

표 4-3-47. 2011년 9월 제주 서귀포 어시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13

표 4-3-48. 2012년 2월 제주 서귀포 어시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14

표 4-3-49. 2011년 9월, 11월, 2012년 2월 제주 동문 어시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15

표 4-3-50. 2011년 9월 제주 동문 어시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16

표 4-3-51. 2011년 11월 제주 동문 어시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17

표 4-3-52. 2012년 2월 제주 동문 어시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17

표 4-3-53. 2011년 5월 제주 모슬포 어시장에서 출현한 어류의 종조성 618

표 4-3-54. 2011년 5월, 7월과 2012년 2월 강정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19

표 4-3-55. 2011년 5월 강정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0

표 4-3-56. 2011년 7월 강정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0

표 4-3-57. 2012년 2월 강정에서 출현한 갑각류와 종조성 620

표 4-3-58. 2011년 5월, 7월, 11월과 2012년 2월 신창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1

표 4-3-59. 2011년 5월 신창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1

표 4-3-60. 2011년 7월 신창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1

표 4-3-61. 2011년 11월 신창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1

표 4-3-62. 2012년 2월 신창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2

표 4-3-63. 2011년 5월, 7월과 11월 귀덕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2

표 4-3-64. 2011년 5월 귀덕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2

표 4-3-65. 2011년 7월 귀덕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2

표 4-3-66. 2011년 11월 귀덕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2

표 4-3-67. 2011년 5월과 9월 서귀포 위판장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3

표 4-3-68. 2011년 5월 서귀포 위판장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3

표 4-3-69. 2011년 9월 서귀포 위판장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3

표 4-3-70. 2011년 5월, 9월, 11월과 2012년 2월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3

표 4-3-71. 2011년 5월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3

표 4-3-72. 2011년 9월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4

표 4-3-73. 2011년 11월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4

표 4-3-74. 2012년 2월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갑각류의 종조성 624

표 4-3-75. 2011년 5월 7월, 11월과 2012년 2월 강정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4

표 4-3-76. 2011년 5월 강정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4

표 4-3-77. 2011년 7월 강정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4

표 4-3-78. 2011년 11월 강정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5

표 4-3-79. 2012년 2월 강정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5

표 4-3-80. 2011년 5월, 7월과 2012년 2월 신창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5

표 4-3-81. 2011년 5월 신창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5

표 4-3-82. 2011년 7월 신창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5

표 4-3-83. 2012년 2월 신창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5

표 4-3-84. 2011년 5월, 7월, 9월과 11월 귀덕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6

표 4-3-85. 2011년 5월 귀덕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6

표 4-3-86. 2011년 7월 귀덕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6

표 4-3-87. 2011년 9월 귀덕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6

표 4-3-88. 2011년 11월 귀덕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6

표 4-3-89. 2011년 5월 서귀포 위판장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6

표 4-3-90. 2011년 5월 9월, 11월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7

표 4-3-91. 2011년 5월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7

표 4-3-92. 2011년 9월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7

표 4-3-93. 2011년 11월 한림 위판장에서 출현한 두족류의 종조성 627

제II권 특별조사 29

표 2-1-1. 우점도 및 군도의 판정기준 702

표 2-1-2. 녹지자연도 사정기준 703

표 2-2-1. 도시화지수 및 귀화율 산출 704

표 2-2-2.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의 등급 및 평가 체계 705

표 2-3-1. 군집지수 산출표 705

표 3-1-1. 소정방폭포 주변 지역의 식생유형과 분포면적 708

표 3-1-2. 곰솔군락의 식생구성표와 사진 710

표 3-1-3. 소정방폭포 주변 지역의 녹지자연도 등급별 분포면적과 구성비 712

표 3-1-4. 다려도의 식생유형과 분포면적 712

표 3-1-5. 다려도의 녹지자연도 등급별 분포면적과 구성비 714

표 3-1-6. 토끼섬의 식생유형과 분포면적 716

표 3-1-7. 토끼섬의 녹지자연도 등급별 분포면적과 구성비 716

표 3-1-8. 상추자도(해양조사정점. 2 주변 지역)의 식생유형과 분포 구성비 719

표 3-1-9. 하추자도(해양조사정점. 1 주변 지역)의 식생유형과 분포 구성비 719

표 3-1-10. 곰솔군락의 식생구성표와 사진 721

표 3-1-11. 사방오리군락의 식생구성표와 사진 722

표 3-1-12. 상추자도(해양조사정점. 2 주변 지역)의 녹지자연도 등급별 구성비 723

표 3-1-13. 하추자도(해양조사정점. 1 주변 지역)의 녹지자연도 등급별 구성비 724

표 3-2-1. 소정방폭포 주변 지역의 식물 분포 현황 725

표 3-2-2. 소정방폭포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 726

표 3-2-3. 소정방폭포 주변 지역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및 평가점수 727

표 3-2-4. 소정방폭포 주변 지역의 귀화식물 목록 728

표 3-2-5. 다려도의 식물 분포 현황 731

표 3-2-6. 다려도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 731

표 3-2-7. 다려도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및 평가점수 732

표 3-2-8. 다려도의 귀화식물 목록 733

표 3-2-9. 토끼섬의 식물 분포 현황 736

표 3-2-10. 토끼섬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 736

표 3-2-11. 토끼섬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및 평가점수 737

표 3-2-12. 토끼섬의 귀화식물 목록 737

표 3-2-13. 추자도의 식물 분포 현황 740

표 3-2-14. 추자도에 분포하는 식물의 생활형 741

표 3-2-15. 추자도 조사지역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및 평가점수 741

표 3-2-16. 추자도 조사지역의 귀화식물 목록 742

표 3-2-17. 조사된 식물 목록 746

표 3-3-1. 소정방폭포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의 주요 우점종 개체수 및 우점도 754

표 3-3-2. 소정방폭포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의 생활형 754

표 3-3-3. 소정방폭포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의 군집지수 754

표 3-3-4. 소정방폭포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 목록 755

표 3-3-5. 다려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의 주요 우점종 개체수 및 우점도 756

표 3-3-6. 다려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의 생활형 757

표 3-3-7. 다려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의 군집지수 757

표 3-3-8. 다려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 목록 757

표 3-3-9. 토끼섬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의 생활형 759

표 3-3-10. 토끼섬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의 군집지수 760

표 3-3-11. 토끼섬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 목록 760

표 3-3-12. 추자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의 주요 우점종 개체수 및 우점도 761

표 3-3-13. 추자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의 생활형 761

표 3-3-14. 추자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의 군집지수 761

표 3-3-15. 추자도 일대에서 관찰된 법적보호종 조류의 생태 및 관찰위치 762

표 3-3-16. 추자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 목록 763

표 3-4-1. 제주연안 4개 해역 조간대의 해조류 분류군별 출현종수 764

표 3-4-2. 제주연안 4개 해역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 종 목록 765

표 3-4-3. 제주연안 4개 해역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765

표 3-4-4. 제주시 조천읍 다려도 조간대 해조류의 피도, 빈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및 중요도 값 766

표 3-4-5. 제주시 구좌읍 토끼섬 조간대 해조류의 피도, 빈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및 중요도 값 766

표 3-4-6. 서귀포시 토평동 조간대 해조류의 피도 빈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및 중요도 값 766

표 3-4-7.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조간대 해조류의 피도, 빈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및 중요도 값 767

표 3-4-8. 제주연안 4개 해역 조간대의 R/P와 (R+C)/P 값 767

표 3-4-9. 제주연안 4개 해역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767

표 3-4-10. 제주시 조천읍 다려도 조하대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768

표 3-4-11. 제주시 조천읍 다려도 조하대에 줄현한 해조류 종 목록 768

표 3-4-12. 제주시 구좌읍 토끼섬 조하대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769

표 3-4-13. 제주시 구좌읍 토끼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 종 목록 769

표 3-4-14. 서귀포시 토평동 조하대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770

표 3-4-15. 서귀포시 토평등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 종 목록 770

표 3-4-16.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조하대 해조류의 분류군별 출현종수 771

표 3-4-17.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종 목록 771

표 3-4-18. 제주연안 4개 해역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772

표 3-4-19. 제주시 조천읍 다려도 조하대 해조류의 현존량 772

표 3-4-20. 제주시 구좌읍 토끼섬 조하대 해조류의 현존량 773

표 3-4-21. 서귀포시 토평동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773

표 3-4-22.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현존량 773

표 3-4-23. 제주시 조천읍 다려도 조하대 피도, 빈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및 중요도 774

표 3-4-24. 제주시 구좌읍 토끼섬 조하대의 피도, 빈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및 중요도 775

표 3-4-25. 서귀포시 토평동 조하대의 피도, 빈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및 중요도 776

표 3-4-26.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조하대의 피도, 빈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및 중요도 777

표 3-4-27. 제주연안 4개 해역 조하대의 R/P와 (R+C)/P 값 778

표 3-5-1. 제주연안 4개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위에 따른 출현 종수 및 개체수 778

표 3-5-2. 제주연안 4개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위 우점종 목록 779

표 3-5-3. 제주연안 4개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별 생태학적 제 지수 779

표 3-5-4. 제주연안 4개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위별 생태학적 제 지수 779

표 3-5-5. 제주연안 4개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 해역별 생물지수(평균) 780

표 3-5-6. 제주시 조천읍 다려도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 정점 및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종수 781

표 3-5-7. 제주시 조천읍 다려도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 정점 및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781

표 3-5-8. 제주시 조천읍 다려도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 정점 및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생체량 781

표 3-5-9. 제주시 구좌읍 토끼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 정점 및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종수 782

표 3-5-10. 제주시 구좌읍 토끼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 정점 및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782

표 3-5-11. 제주시 구좌읍 토끼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 정점 및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생체량 782

표 3-5-12. 서귀포시 토평동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 정점 및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종수 783

표 3-5-13. 서귀포시 토평동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 정점 및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783

표 3-5-14. 서귀포시 토평동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 정점 및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생체량 783

표 3-5-15.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 정점 및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종수 784

표 3-5-16.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 정점 및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개체수 784

표 3-5-17. 제주시 추자면 예초리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 정점 및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생체량 785

표 3-5-18. 조사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10위 우점종 목록 785

표 3-5-19. 제주연안 4개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해역별 생태학적 제 지수 786

표 3-5-20. 제주연안 4개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 군집의 조위별 생태학적 제 지수 786

표 3-6-1. 제주연안 4개 해역에 출현한 잘피 출현종수 786

표 3-7-1. 수중 잠수 조사에서 출현한 어종의 목록 및 출현 양상 796

표 3-7-2. 어획 조사에서 출현한 어류의 출현종 목록(N: 개체수, W: 생체량) 797

표 3-8-1. 추자도 수협에서의 연도별 수협계통판매 현황(2009-2011년) 803

표 3-8-2. 서귀포 수협에서의 연도별 수협계통판매 현황(2009-2011년) 804

표 3-8-3. 제주시 수협에서의 연도별 수협계통판매 현황(2009-2011년) 805

표 3-8-4. 성산포 수협에서의 연도별 수협계통판매 현황(2009-2011년) 806

표 3-10-1. 연도별 추자면 인구수(제주시 통계연보) 813

표 3-10-2. 연도별 토평동 인구수(서귀포시 통계연보) 815

제III권 해양 생태지수 개발 및 생태도 지침서 작성 32

표 III-1.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2조 규정 824

표 III-2. 해양생태계 기본조사 분야 825

표 III-3. 가)목에 해당되는 보호대상 해양생물 목록 825

표 III-4. 나)목에 선정된 지표 826

표 III-5. 라)목에 선정된 지표 827

표 III-6. 가)목에 해당하는 정점 828

표 III-7. 나), 라)목의 설정된 기준치 829

표 III-8. 나)목 세부항목 기준치 830

표 III-9. 퇴적물(중금속) 해양환경기준 830

표 III-10. 라)목 세부항목 기준치 830

표 III-11. 마)목에 해당하는 정점 831

표 III-12. 생태도 기본 평가자료 구성의 예시 832

표 III-13. 생태도 종합 자료 구성의 예시 832

표 III-14. 해역별 등급 개수 840

표 III-15. 각 목별 세부항목 순서 844

표 III-16.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06), 서해-북부해역 등급 845

표 III-17.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07), 서해-중부해역 등급 847

표 III-18.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08), 서해-남부해역 등급 850

표 III-19.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09), 남해-서부해역 등급 853

표 III-20.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10), 남해-동부해역 등급 855

표 III-21.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06) 등급, 생태계현황 859

표 III-22.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07) 등급, 생태계현황 860

표 III-23.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08) 등급, 생태계현황 862

표 III-24.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10) 등급, 생태계현황 864

표 III-25.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11) 등급, 생태계현황 866

제I권 기본조사 34

그림 1-1-1. 제주도·이어도해역의 20개 조사정점을 나타낸 지도 63

그림 2-2-1. 제주도 주변 연안역 해류와 해역 특성 69

그림 2-2-2. (a) 황해와 동중국해 해역의 겨울철 표층 수온 변화, (b) 제주도 연안 해역의 표층 수온 변화 70

그림 2-2-3. 황해 및 제주-이어도 대륙붕의 해저 지형 71

그림 2-2-4. 제주도 및 동중국해 주변해역에서의 주요 해류 72

그림 2-2-5. 겨울철 황해냉수(YSCC)의 분포와 유입 73

그림 2-2-5. 계속 (여름철) 74

그림 2-2-6. 장강 담수 유입에 따른 제주도 연안 염분 분포 75

그림 2-2-7. 2006년 제주도 및 동중국해 북부 해역에서의 수온 및 염분의 여름철 변화 75

그림 2-2-8. 산샤댐 건설 위치(A) 및 전경(B) 77

그림 2-2-9. 양자강 월별 평균 방류량 (1923-1986년) 및 Datong 유역에서의 평균 방류량 (2003-2011년) 77

그림 2-2-10. 장강 담수와 부유물질 확산 변화 78

그림 2-2-11. 1950년대 이후 동중국해 연안 유입된 부유퇴적물량의 변동 78

그림 2-2-12. 조사해역과 시료 채취 정점도. 제주 연안역(정점 1-13)과 제주-이어도 해역(정점 14-20) 80

그림 2-2-13. 제주시에서 관측된 2010년과 2011년 월별 강수량(precipitation) 82

그림 2-2-14. 연구해역의 계절 및 수층별 수온(℃) 분포 86

그림 2-2-15. 연구해역의 계절 및 수층별 염분(psu) 분포 88

그림 2-2-16. 연구해역 수온(℃)의 계절 및 수층별 공간분포 89

그림 2-2-16. 계속 (염분) 89

그림 2-2-17. 연구해역에서의 수온-염분(thermohaline) 전선대 91

그림 2-2-18. 수온-염분 도표(T-S diagram)를 이용한 계절별 수괴 구분 93

그림 2-2-19. 연구해역 봄과 여름철 수괴 분포 94

그림 2-2-19. (계속) 가을과 겨울철 수괴 분포 95

그림 2-2-20. 연구해역의 계절 및 수층별 수소이온농도 분포 97

그림 2-2-21. 수소이온농도(pH)와 염분(Salinity), 수온(Temperature) 및 엽록소(Chl.-a)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 98

그림 2-2-22. 연구해역의 계절 및 수층별 용존산소량(mg-L) 분포 100

그림 2-2-23. 연구해역의 계절 및 수층별 용존산소 포화도(%) 분포 101

그림 2-2-24. 용존산소 포화도(DC %)와 수온(Temperatuer), 수소이온농도(pH) 및 엽록소(Chl.-a)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 102

그림 2-2-25. 연구해역 표층과 저층수에서 각 정점별 화학적산소요구량 104

그림 2-2-26. 연구해역의 계절 및 수층별 부유물질농도(㎎ℓ-1) 분포(이미지참조) 105

그림 2-2-27. 연구해역의 계절 및 수층별 입자성유기탄소농도(㎛) 분포 107

그림 2-2-28. (a) 입자성유기탄소(POC)와 질소(PN) 농도, (b) 부유물질농도(SPM)와 입자성유기탄소 농도 그리고 (c) 입자성유기탄소 농도와 엽록소(Chl.-a)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 108

그림 2-2-29. 연구해역의 계절 및 수층별 용존규산염 농도(㎛) 분포 110

그림 2-2-30. 연구해역의 계절 및 수층별 용존질산염 농도(㎛) 분포 111

그림 2-2-31. 연구해역의 계절 및 수층별 용존인산염 농도(㎛) 분포 112

그림 2-2-32. 영양염(Silicate, DIN)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 및 수온(temperature)과의 상관성 113

그림 2-2-33. 용존무기질소(DIN) 농도와 엽록소(Chl.-a)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 113

그림 2-2-34. 지난 45년간 영양염 농도(a) 및 Si/N와 N/P 비(b) 변화 114

그림 2-2-35. 계절별 질산염과 아질산염 농도 사이의 관계 115

그림 2-2-36. 연구해역의 계절 및 수층별 N/P 비 분포 116

그림 2-2-36. 계속 (Si/N 비) 117

그림 2-2-37.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계절별 엽록소 농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및 엽록소 농도 변화 예측 120

그림 2-2-38. 봄철 표층과 저층수에서의 수괴 및 수질 특성 121

그림 2-2-39. 여름철 표층과 저층수에서의 수괴 및 수질 특성 122

그림 2-2-40. 가을철 표층과 저층수에서의 수괴 및 수질 특성 123

그림 2-2-41. 겨울철 표층과 저층수에서의 수괴 및 수질 특성 124

그림 2-3-1. 제주도/이어도해역 조사권역 조사 정점도 128

그림 2-3-2. Pyrosequencing을 이용한 세균군집구조 분석 과정 흐름도 131

그림 2-3-3. 제주도 연안 해역의 총세균수 (a) 제주도 연안해역 표층 (b) 제주도 연안해역 저층 132

그림 2-3-4. 이어도 정선라인 해역의 총세균수 (a) 이어도 정선라인 표층 (b) 이어도 정선라인 저층 132

그림 2-3-5. 5월 시료에서 관찰된 집락형성세균의 수 133

그림 2-3-6. 8월 시료에서 관찰된 집락형성세균의 수 133

그림 2-3-7. 평판배지에서 자란 세균의 문/강 수준에서의 분포 134

그림 2-3-8. 2011년 분리된 Flavobacteriaceae 균주들의 16S rRNA 유전자 계통도 136

그림 2-3-9. 2011년 분리된 Gammaproteobacteria 균주들의 16S rRNA 유전자 계통도 137

그림 2-3-10. 2011년 분리된 alphaproteobacteria 균주들의 16S rRNA 유전자 계통도 138

그림 2-3-11. 2011년 제주도/이어도 시료에서 분리된 Pelagicola 균주의 신종 후보군 138

그림 2-3-12. 2011년 제주도/이어도 시료에서 분리된 Owenweeksia 균주의 신종 후보군 139

그림 2-3-13. 2011년 제주도/이어도 시료에서 분리된 Salegentilbacter 균주의 신종 후보군 139

그림 2-3-14. 2011년 제주도/이어도 시료에서 분리된 Pseudoalteromonas 균주의 신종 후보군 140

그림 2-3-15. 2011년 제주도/이어도 시료에서 분리된 Croceicoccus 균주의 신종 후보군 140

그림 2-3-16. 2011년 제주도/이어도 시료에서 분리된 Stenothemobacter 균주의 신종 후보군 141

그림 2-3-17. Pyrosequencing에서 얻어진 염기서열들의 rarefaction 분석 142

그림 2-3-18.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2번 정점 표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2

그림 2-3-19.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2번 정점 저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3

그림 2-3-20.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9번 정점 표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3

그림 2-3-21.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9번 정점 저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4

그림 2-3-22.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6번 정점 저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4

그림 2-3-23.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9번 정점 저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5

그림 2-3-24.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12번 정점 표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5

그림 2-3-25.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12번 정점 중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6

그림 2-3-26.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12번 정점 저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6

그림 2-3-27.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15번 정점 표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7

그림 2-3-28.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15번 정점 중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7

그림 2-3-29.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18번 정점 표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8

그림 2-3-30.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15번 정점 저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8

그림 2-3-31.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18번 정점 중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9

그림 2-3-32.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한 18번 정점 저층 세균군집의 계통학적-위계도와 다양성 149

그림 2-3-33. 각 정점 및 깊이에 따른 군집구조 153

그림 2-3-34. Phylum/Class 수준에서 살펴 본 시료별 세균 군집구조 153

그림 2-3-35. 목(order) 수준에서 살펴 본 각 시료별 세균 군집구조 154

그림 2-3-36. Family 수준에서 살펴 본 각 시료별 세균 군집구조 154

그림 2-3-37. 주성분 분석 방법에 의한 세균군집구조의 비교 155

그림 2-3-38. 정점 및 깊이별 세균군집구조에 대한 주성분 분석 결과의 UPGMa clustering 양상 155

그림 2-3-39. Fast Unifrac 방법에 의한 세균군집구조의 비교 155

그림 2-3-40. 정점 및 깊이별 세균군집구조에 대한 Fast UniFrac 분석 결과의 UPGMa clustering 양상 155

그림 2-3-41. 제주도/이어도 시료들과 다른 해역과의 주성분 분석 비교 156

그림 2-3-42. Fast UniFrac 분석에 의한 제주도/이어도 시료들과 남해동부 해역과의 주성분 분석 비교 156

그림 2-3-43. 제주도/이어도 시료들과 다른 해역과의 주성분 분석 결과의 Fast UniFrac clustering 양상 156

그림 2-3-44. 제주도/이어도 시료들과 다른 해역과의 주성분 분석 결과의 UPGMa clustering 양상 156

그림 2-4-1. 2011년 제주도/이어도 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조사정점 162

그림 2-4-2. 2011년 제주도/이어도 해역의 각 계절별 엽록소 α 농도 변화 165

그림 2-4-3. 2011년 제주도/이어도 해역의 엽록소 α 농도 분포 수직 단면 170

그림 2-4-4. 2011년 제주도/이어도 해역의 수심에 따른 엽록소 α 농도 분포 171

그림 2-4-5. 2011년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주요 식물플랑크톤 분류군의 상대 조성비 179

그림 2-4-6. 2011년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변화 181

그림 2-4-7. 2011년 제주도/이어도 해역 식물플랑크톤 세포수 분포의 수직 단면 186

그림 2-4-8. 2011년 제주도/이어도 해역의 수심에 따른 세포수 분포 187

그림 2-4-9.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해조류 착생 저서 와편모류 197

그림 2-4-10. 2011년 5, 8, 11월과 2012년 2월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종다광성지수 변화 200

그림 2-4-11. 2011년 제주도/이어도 해역 표층과 중층의 식물플랑크톤 생물지리분포 204

그림 2-5-1. 제주도-이어도 해역 조사 정점도 209

그림 2-5-2. 동물플랑크톤 시료 채집 및 처리 모식도 210

그림 2-5-3. 제주도-이어도 해역의 동물플랑크톤의 현존량(biomass) 211

그림 2-5-4. 각 해역별 동물플랑크톤의 계절별 평균 습중량 211

그림 2-5-5. 동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시공분포 212

그림 2-5-6. 주요 분류군의 계절별 출현종수 216

그림 2-5-7. 각 해역별 주요 분류군의 출현종수 216

그림 2-5-8. 동물플랑크톤 밀도(개체 m-3)의 시공분포(이미지참조) 217

그림 2-5-9.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의 계절별 점유율 217

그림 2-5-10. 주요 분류군의 시공분포(A: Cnidaria, B: Polychaeta) 220

그림 2-5-11. 주요 분류군의 시공분포(A: Chaetognatha, B: Copepoda) 221

그림 2-5-12. 주요 분류군의 시공분포(A: Ostracoda, B: amphipoda) 222

그림 2-5-13. 주요 분류군의 시공분포(A: Euphausiacea, B: Appendicular) 223

그림 2-5-14. 주요 분류군의 시공분포(A: Thaliacea, B: Decapoda larvae) 224

그림 2-5-15. 주요 분류군의 시공분포(A: Fish egg, B: Fish larvae) 225

그림 2-5-16. 모악류의 시공분포(A: Sagitta crassa, B: Sagitta enflata) 226

그림 2-5-17. 모악류의 시공분포(A: Sagitta nagae, B: Sagitta minima) 227

그림 2-5-18. 모악류의 시공분포(A: Sagitta pacifica, B: Sagitta regularis) 228

그림 2-5-19. 모악류의 시공분포(A: Sagitta pulchra, B: Pterosagitta draco) 229

그림 2-5-20. 요각류 우점종의 계절별 점유율 230

그림 2-5-21. 요각류의 시공분포(A: Calanus sinicus, B: Undinular vuglaris) 232

그림 2-5-22. 요각류의 시공분포(A: Clausocalanus arcuicorins, B: Ctnocalanus vanus) 233

그림 2-5-23. 요각류의 시공분포(A: Euchaeta plana, B: Paraeuchaeta russelli) 234

그림 2-5-24. 요각류의 시공분포 (A: Scolethrix danae, B: Scolethrecella longispnosa) 235

그림 2-5-25. 요각류의 시공분포(A: Paracalanus parvus s.l, B: P. aculeatus) 236

그림 2-5-26. 요각류의 시공분포(A: Oithona similis, B: O. plumefera) 237

그림 2-5-27. 요각류의 시공분포(A: Oncaea venusta, B: Corycaeus affinis) 238

그림 2-5-28. 조사해역의 정점별 동물플랑크톤 종다양성 지수 분포 240

그림 2-5-29. 제주도-이어도 주변해역의 동물플랑크톤 집괴분석 결과 240

그림 3-2-1. 연구해역의 지형(위) 및 수심도(아래) 251

그림 3-2-2. 제주도 인근 해역의 표층퇴적상 분포 252

그림 3-2-3. 연구해역 표층 퇴적물 분류 254

그림 3-2-4. 정점별 표층 퇴적물의 자갈, 모래, 실트, 점토의 상대적 함량비교 255

그림 3-2-5. 연구해역 표층 퇴적물의 계절 및 정점별 평균입도(mean grain size) 변화 255

그림 3-2-6. 평균입도(mean grain size), 자갈(gravel), 모래(sand), 실트(silt), 점토(clay), 총유기탄소(TOC), 탄산염(CaCO₃) 함량의 계절별 범위, 평균값(점선), 중앙값(실선) 257

그림 3-2-7. 퇴적물의 정점별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 총질소(total nitrogen, TN),탄산염(calcium carbonate) 함량 259

그림 3-2-8. 퇴적물 평균입도(mean grain size) 및 점토(clay) 함량과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및 총질소(Total nitrogen) 함량 사이의 상관관계 260

그림 3-2-9. 제주도 연안 정점 퇴적물(정점 1~13)과 제주-이어도 해역 퇴적물(정점 14~20)에서 점토 함량과 총유기탄소 함량 상이의 상관관계 261

그림 3-2-10. 퇴적물 평균입도(Mean grain size) 및 자갈(gravel)+ 모래(sand) 함량과 탄산염 함량 사이의 상관관계 262

그림 3-2-11. 봄과 여름철 퇴적물의 정점별 중금속 함량 266

그림 3-2-12. 퇴적물의 평균입도(mean grain size)와 중금속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 268

그림 3-3-1. 제주도 및 이어도 지역 정점도 271

그림 3-3-2. 2차 채취 272

그림 3-3-3. 채집된 시료 272

그림 3-3-4. 2011년 5월 중형저서동물 출현 서식밀도 276

그림 3-3-5. 2011년 5월 중형저서동물 출현 비율 276

그림 3-3-6. 2011년 5월 분류군별 출현 비율 276

그림 3-3-7. 2011년 5월 중형저서동물 분포밀도 277

그림 3-3-8. 2011년 5월 선충류의 분포밀도 277

그림 3-3-9. 2011년 5월 요각류의 분포밀도 277

그림 3-3-10. 2011년 5월 유공충류의 분포밀도 277

그림 3-3-11. 2011년 5월 중형저서동물 생물량 277

그림 3-3-12. 2011년 5월 중형저서동물 생물량 비율 277

그림 3-3-13. 2011년 5월 분류군별 생물량 비율 278

그림 3-3-14. 2011년 5월 중형저서동물 생물량 분포 278

그림 3-3-15. 2011년 5월 선충류의 생물량 분포 278

그림 3-3-16. 2011년 5월 요각류의 생물량 분포 278

그림 3-3-17. 2011년 5월 유공충류의 생물량 분포 278

그림 3-3-18. 2011년 5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Cluster) - 서식밀도 278

그림 3-3-19. 2011년 5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NMDS) - 서식밀도 279

그림 3-3-20. 2011년 5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서식밀도 279

그림 3-3-21. 2011년 5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Cluster) - 생물량 279

그림 3-3-22. 2011년 5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NMDS) - 생물량 279

그림 3-3-23. 2011년 5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 - 생물량 279

그림 3-3-24. 2011년 8월 중형저서동물 출현 서식밀도 281

그림 3-3-25. 2011년 8월 중형저서동물 출현 비율 281

그림 3-3-26. 2011년 8월 분류군별 출현 비율 281

그림 3-3-27. 2011년 8월 중형저서동물 분포밀도 282

그림 3-3-28. 2011년 8월 선충류의 분포밀도 282

그림 3-3-29. 2011년 8월 요각류의 분포밀도 282

그림 3-3-30. 2011년 8월 유공충류의 분포밀도 282

그림 3-3-31. 2011년 8월 중형저서동물 생물량 282

그림 3-3-32. 2011년 8월 중형저서동물 생물량 비율 282

그림 3-3-33. 2011년 8월 분류군별 생물량 비율 283

그림 3-3-34. 2011년 8월 중형저서동물의 생물량 분포 283

그림 3-3-35. 2011년 8월 선충류의 생물량 분포 283

그림 3-3-36. 2011년 8월 요각류의 생물량 분포 283

그림 3-3-37. 2011년 8월 유공충류의 생물량 분포 283

그림 3-3-38. 2011년 8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Cluster) - 서식밀도 283

그림 3-3-39. 2011년 8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NMDS) - 서식밀도 284

그림 3-3-40. 2011년 8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 - 서식밀도 284

그림 3-3-41. 2011년 8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Cluster) - 생물량 284

그림 3-3-42. 2011년 8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NMDS) - 생물량 284

그림 3-3-43. 2011년 8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 - 생물량 284

그림 3-3-44. 2011년 11월 중형저서동물 출현 서식밀도 286

그림 3-3-45. 2011년 11월 중형저서동물 출현 비율 286

그림 3-3-46. 2011년 11월 분류군별 출현 비율 286

그림 3-3-47. 2011년 11월 중형저서동물 분포밀도 286

그림 3-3-48. 2011년 11월 선충류의 분포밀도 286

그림 3-3-49. 2011년 11월 요각류의 분포밀도 286

그림 3-3-50. 2011년 11월 유공충류의 분포밀도 287

그림 3-3-51. 2011년 11월 중형저서동물 생물량 287

그림 3-3-52. 2011년 11월 중형저서동물 생물량 비율 287

그림 3-3-53. 2011년 11월 분류군별 생물량 비율 287

그림 3-3-54. 2011년 11월 중형저서동물의 생물량 분포 287

그림 3-3-55. 2011년 11월 선충류의 생물량 분포 287

그림 3-3-56. 2011년 11월 요각류의 생물량 분포 288

그림 3-3-57. 2011년 11월 유공충류의 생물량 분포 288

그림 3-3-58. 2011년 11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Cluster) - 서식밀도 288

그림 3-3-59. 2011년 11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NMDS) - 서식밀도 288

그림 3-3-60. 2011년 11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서식밀도 288

그림 3-3-61. 2011년 11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Cluster) - 생물량 288

그림 3-3-62. 2011년 11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NMDS) - 생물량 289

그림 3-3-63. 2011년 11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 - 생물량 289

그림 3-3-64. 2012년 2월 중형저서동물 출현 서식밀도 290

그림 3-3-65. 2012년 2월 중형저서동물 줄현 비율 290

그림 3-3-66. 2012년 2월 분류군별 출현 비율 290

그림 3-3-67. 2012년 2월 중형저서동물 분포밀도 291

그림 3-3-68. 2012년 2월 선충류의 분포밀도 291

그림 3-3-69. 2012년 2월 요각류의 분포밀도 291

그림 3-3-70. 2012년 2월 유공충류의 분포밀도 291

그림 3-3-71. 2012년 2월 중형저서동물 생물량 291

그림 3-3-72. 2012년 2월 중형저서동물 생물량 비율 291

그림 3-3-73. 2012년 2월 분류군별 생물량 비율 292

그림 3-3-74. 2012년 2월 중형저서동물의 생물량 분포 292

그림 3-3-75. 2012년 2월 선충류의 생물량 분포 292

그림 3-3-76. 2012년 2월 요각류의 생물량 분포 292

그림 3-3-77. 2012년 2월 유공충류의 생물량 분포 292

그림 3-3-78. 2012년 2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Cluster) - 서식밀도 292

그림 3-3-79. 2012년 2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NMDS) - 서식밀도 293

그림 3-3-80. 2012년 2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 - 서식밀도 293

그림 3-3-81. 2012년 2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Cluster) - 생물량 293

그림 3-3-82. 2012년 2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NMDS) - 생물량 293

그림 3-3-83. 2012년 2월 정점간 유사도 분석 - 생물량 293

그림 3-3-84. 2011년 8월 선충류 주요 출현종 303

그림 3-3-85. 2011년 11월 선충류 주요 출현종 307

그림 3-3-86. 남해서부, 남해동부, 제주도 추정 생산력 320

그림 3-3-87. 2011년 7월 경성암반 해조부착 중형저서동물 출현 개체수 비율 322

그림 3-3-88. 2011년 11월 경성암반 해조부착 중형저서동물 출현 개체수 비율 323

그림 3-3-89. 2012년 1월 경성암반 해조부착 중형저서동물 출현 개체수 비율 324

그림 3-3-90. 기존 연구해역과의 서식밀도 비교 328

그림 3-3-91. 기존 연구해역과의 생물량 비교 328

그림 3-4-1. 조사 정점도 330

그림 3-4-2.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군별 조성비 334

그림 3-4-3.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분포(계절 통합) 353

그림 3-4-4.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서식밀도 분포(계절 통합) 353

그림 3-4-5.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생체량 분포(계절 통합) 353

그림 3-4-6.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출현한 주요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363

그림 3-4-7.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성구동물류 Sipunculoidea sp.의 서식밀도 분포 364

그림 3-4-8.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꽃갯지렁이류 Jasmineira sp.의 서식밀도 분포 364

그림 3-4-9.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사슴갯지렁이류 Ampharetidae spp.의 서식밀도 분포 364

그림 3-4-10.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염주발갯지렁이류 Syllidae spp.의 서식밀도 분포 364

그림 3-4-11.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가는버들갯지렁이(Notomastus latericeus)의 서식밀도 분포 364

그림 3-4-12.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해면류 Porifera sp.의 생체량 분포 368

그림 3-4-13.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태평양꽃해변 말미잘(Antholpeura pacifica)의 생체량 분포 368

그림 3-4-14.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측해변말미잘(Paracondylactis hertwigi)의 생체량 분포 368

그림 3-4-15.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염통성게(Schizaster lacunosus)의 생체량 분포 369

그림 3-4-16.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에서 턱뱀거미불가사리(Amphiura koreae)의 생체량 분포 369

그림 3-4-17.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다양도 분포(계절 통합) 375

그림 3-4-18. 2011년 5월 ISEP의 평균과 중위수의 95% 신뢰 구간 376

그림 3-4-19. 2011년 5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저서생태계 건강도 등급 376

그림 3-4-20. 2011년 8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저서생태계 건강도 등급 376

그림 3-4-21. 2011년 11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저서생태계 건강도 등급 377

그림 3-4-22. 2012년 2월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저서생태계 건강도 등급 377

그림 3-4-23.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의 저서생태계 건강도 등급(계절 통합) 378

그림 3-4-24.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2011년 5월) 382

그림 3-4-25.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2011년 8월) 382

그림 3-4-26.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2011년 11월) 383

그림 3-4-27.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2012년 2월) 383

그림 3-4-28. 제주도·이어도 주변 해역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집괴분석 결과(계절 통합) 383

그림 3-4-29. 각 해역별 대형저서동물의 총 종수 비교 385

그림 3-4-30. 채집면적 효과를 보정한 각 해역별 대형저서동물의 총 출현종지수(d) 385

그림 3-4-31. 각 해역별 대형저서동물의 정점 당 평균 출현종수 비교 386

그림 3-4-32. 해양생태계 기본조사에서 도출된 해역별 대형저서동물의 총 종수와 다른 나라 해역의 총출현종수 비교 386

그림 3-4-33. 각 해역별 대형저서동물의 평균 서식밀도 비교 386

그림 3-4-34. 각 해역의 조사시기별 대형저서동물 평균 서식밀도 386

그림 3-4-35. 각 해역별 대형저서동물의 평균 생체량 비교 387

그림 3-4-36. 각 해역의 조사시기별 대형저서동물 평균 생체량 387

그림 3-4-37. 각 해역별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평균 다양도지수 비교 387

그림 3-4-38. 각 해역의 조사시기별 대형저서동물 평균 다양도지수 387

그림 3-4-39. 각 해역별 ISEP 값과 저서생태계 건강도 등급 388

그림 3-4-40. 서, 남, 제주 해역의 713개 대형저서동물 군집 표본을 대상으로 수행된 다차원척도 분석 결과 391

그림 3-4-41. MDS에 의해 정점 표본의 배열과 군집 매개변수(출현종수, 밀도 그리고 생체량) 간 관계 392

그림 3-4-42. MDS에 의해 정점 표본의 배열과 환경 요인(평균 입도, 퇴적물 유기 탄소, 염분도 그리고 수심 등) 간 관계 393

그림 3-4-43. MDS의 3차원 공간에 산포된 표본들의 각 해역별 무게 중심 393

그림 3-4-44. 인공지능 신경망 모형에 의한 대형저서동물 군집 생체량 예측 394

그림 3-4-45. 우리나라 연안역에서 관찰된 생체량 이상치의 분포 395

그림 3-4-46. 제주도 주변에서 행해지고 있는 불법 조업 검거 기록 398

그림 3-5-1. 제주연안 경성기질 해조류 조사해역도 409

그림 3-5-2. 제주연안 12개 정점의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평균 현존량 424

그림 3-5-3. 2011년 6월 조간대에 조사정점 및 조위별(상·하부)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437

그림 3-5-4. 2011년 8월 조간대에 조사정점 및 조위별(상·하부)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438

그림 3-5-5. 2011년 11월 조간대에 조사정점 및 조위별(상·하부)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438

그림 3-5-6. 2012년 2월 조간대에 조사정점 및 조위별(상·하부)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438

그림 3-5-7. 제주연안 12개 정점의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평균 현존량 456

그림 3-5-8. 2011년 6월 조하대에 조사정점 및 수심별(5·10m)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470

그림 3-5-9. 2011년 6월 조하대에 조사정점 및 수심별(5·10m)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470

그림 3-5-10. 2011년 11월 조하대에 조사정점 및 수심별(5·10m)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471

그림 3-5-11. 2012년 2월 조하대에 조사정점 및 수심별(5·10m)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471

그림 3-5-12. 제주 연안 수심 5m의 해조류 기능형(F-form)군에 의한 현존량 구성비율 472

그림 3-5-13. 제주 연안 수심 10m의 해조류 기능형(F-form)군에 의한 현존량 구성비율 472

그림 3-5-14. 제주 연안 수심 5m의 감태(E. cava)와 기타 해조류의 구성비율 비교 473

그림 3-5-15. 제주 연안 수심 10m의 감태(E. cava)와 기타 해조류의 구성비율 비교 473

그림 3-5-16. 조사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정점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종수의 변화양상 476

그림 3-5-17. 조사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종수의 변화양상 477

그림 3-5-18. 조사해역 조간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위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종수의 변화양상 477

그림 3-5-19. 2011년 6월 제주도 각 조간대 조사정점별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500

그림 3-5-20. 2011년 8월 제주도 각 조간대 조사정점별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501

그림 3-5-21. 2011년 11월 제주도 각 조간대 조사정점별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502

그림 3-5-22. 2012년 2월 제주도 각 조간대 조사정점별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503

그림 3-5-23. 조사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정점에 따른 분류군별 종수의 변화양상 504

그림 3-5-24. 조사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정점에 따른 분류군별 개체수의 변화양상 505

그림 3-5-25. 조사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별 출현 종수의 변화양상 505

그림 3-5-26. 조사해역 조하대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의 조사시기에 따른 분류군별 개체수의 변화양상 506

그림 3-5-27. 2011년 6월 제주도 각 조하대 조사정점별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528

그림 3-5-28. 2011년 8월 제주도 각 조하대 조사정점별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529

그림 3-5-29. 2011년 11월 제주도 각 조하대 조사정점별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Cluster analysis) 530

그림 3-5-30. 2011년 11월 제주도 각 조하대 조사정점별 군집에 대한 집괴분석결과 531

그림 3-5-31. 제주해역 잘피 군락지 조사 정점 533

그림 3-5-32. 잘피 군락 출현 지역 534

그림 3-5-33. 제주해역에 서식하는 거머리말의 평균 잎 수, 엽초 폭과 엽초길이 536

그림 3-5-34. 제주해역에 서식하는 거머리말의 평균 잎 폭, 잎 길이와 지하경 폭 537

그림 3-5-35. 제주해역에 서식하는 거머리말 개체의 평균 지상부, 지하부와 무게 538

그림 3-5-36. 제주해역에 분포하는 거머리말의 서식 밀도와 개화주 밀도 540

그림 3-5-37. 오조-시흥-종달리의 거머리말 서식지 위치와 서식 면적 541

그림 3-5-38. 하도리의 거머리말 서식지 위치와 서식 면적 541

그림 3-5-39. 세화리의 거머리말 서식지 위치와 서식 면적 542

그림 3-5-40. 조천리의 거머리말 서식지 위치와 서식 면적 542

그림 3-5-41. 제주해역에 서식하는 거머리말 군락지들의 모습 543

그림 3-5-42. 추자도 영흥리의 잘피분포 544

그림 3-5-43. 추자도 대서리의 잘피분포 544

그림 3-5-44. 영흥리와 대서리의 거머리말 군락지 모습 545

그림 3-5-45. 시흥리 거머리말 군락지의 전경과 섭식 후 군락지의 모습 545

그림 4-2-1. 2011년 제주·이어도해역 난자치어 조사정점도 554

그림 4-2-2. 2011년 5월 제주도-이어도 해역 난자치어 출현 분포도 558

그림 4-2-3. 2011년 5월 type별 기타 어란 출현 비율 559

그림 4-2-4. 2011년 8월 제주도-이어도 해역 난자치어 출현 분포도 562

그림 4-2-5. 2011년 8월 type별 기타 어란 출현 비율 562

그림 4-2-6. 2011년 11월 제주도-이어도 해역 난자치어 출현 분포도 563

그림 4-2-7. 2011년 11월 type별 기타 어란 출현 비율 563

그림 4-2-8. 2012년 2월 제주도-이어도 해역 난자치어 출현 분포도 565

그림 4-2-9. 2012년 2월 type별 기타 어란 출현 비율 566

그림 4-2-10. 제주도-이어도 주변해역에서 출현한 갈치 난 567

그림 4-2-11. 갈치 난 및 갈치과 어류의 NJ(Neighbor joining) tree 568

그림 4-2-12. 갈치 난 및 갈치과 어류의 유전거리 568

그림 4-2-13. 2012년 2월 제주주변해역에서 출현한 농어 난 568

그림 4-2-14. 농어 난 및 농어속 어류의 NJ tree 569

그림 4-2-15. 농어 난 및 농어속 어류와의 유전거리 569

그림 4-2-16. 2011년 제주도-이머도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엽상자어의 NJ tree 569

그림 4-2-17. 2011년 제주도-이어도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엽상자어 570

그림 4-3-1. 유영동물 조사정점 572

그림 4-3-2. 2011년 5월-2011년 11월에 제주 강정 정치망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종수(A), 개체수(B), 종다양도지수(C), 균등도지수(D) 577

그림 4-3-3. 2011년 5월-2011년 11월에 제두 강정 정치망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 종조성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 577

그림 4-3-4. 2011년 5월-2011년 11월에 제주 강정 자망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종수(A), 개체수(B), 종다양도지수(C), 균등도지수(D) 583

그림 4-3-5. 2011년 5월-2012년 2월에 제주 강정 자망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 종조성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 583

그림 4-3-6. 2011년 5월-2011년 11월에 제주 강정 통발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종수(A), 개체수(B), 종다양도지수(C), 균등도지수(D) 586

그림 4-3-7. 2011년 5월-2012년 2월에 제주 강정 통망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 종조성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 587

그림 4-3-8. 2011년 5월-2012년 2월에 제주 신창 자망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종수(A), 개체수(B), 종다양도지수(C), 균등도지수(D) 592

그림 4-3-9. 2011년 5월-2012년 2월에 제주 신창 자망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 종조성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 592

그림 4-3-10. 2011년 5월-2012년 2월에 제주 신창 통발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종수(A), 개체수(B), 종다양도지수(C), 균등도지수(D) 595

그림 4-3-11. 2011년 5월-2012년 2월에 제주 신창 통발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 종조성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 595

그림 4-3-12. 2011년 5월-2011년 11월에 제주 한림 정치망 채집된 계절별 어류종수(A), 개체수(B), 종다양도지수(C), 균등도지수(D) 600

그림 4-3-13. 2011년 5월-2011년 11월에 제주 한림 정치망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 종조성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 600

그림 4-3-14. 2011년 5월-2012년 2월에 제주 한림 위판장 채집된 계절별 어류종수(A), 개체수(B), 종다양도지수(C), 균등도지수(D) 608

그림 4-3-15. 2011년 5월-2012년 2월에 제주 한림 위판장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 종조성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 608

그림 4-3-16. 2011년 5월-2011년 11월에 제주 서귀포 위판장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종수(A), 개체수(B), 종다양도지수(C), 균등도지수(D) 612

그림 4-3-17. 2011년 5월-2011년 11월에 제주 서귀포 위판장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 종조성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 612

그림 4-3-18. 2011년 9월-2012년 2월에 제주 서귀포 어시장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종수(A), 개체수(B), 종다양도지수(C), 균등도지수(D) 614

그림 4-3-19. 2011년 9월-2012년 2월에 제주 동문 어시장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종수(A), 개체수(B), 종다양도지수(C), 균등도지수(D) 618

그림 4-3-20. 2011년 9월-2012년 2월에 제주 동문 어시장에서 채집된 계절별 어류 종조성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 618

그림 4-3-21. 2011년 5월-2012년 2월에 제주 강정, 신창 및 한림에서 채집된 지역별 어구별 어류 종조성에 의한 군집분석 결과 619

그림 4-3-22. 2009년 남해서부, 2010년 남해 동부, 2011년 제주도에서 채집된 어류 종조성의 의한 군집분석 결과 619

그림 4-4-1. 제주도에서 채집된 숭어과 유어 1개체 628

그림 4-4-2. 제주도에서 채집된 숭어과 1개체 및 숭어과 어류 3종의 16S rRNA 영역 계통도 628

그림 4-4-3. 제주도에서 채집된 숭어과 1개체 및 숭어과 어류 3종의 cytochrome b 영역 계통도 628

그림 5-1-1. 표층수에서의 각 계절별 수괴분포 특성 666

그림 5-1-2. 저층수에서의 각 계절별 수괴분포 특성 666

그림 5-1-3. 중위수 값으로 본 건강도 등급(왼쪽)과 ISEP 평균값으로 본 건강도 등급(오른쪽) 667

그림 5-2-1. 제주도에서 채집된 숭어과 1개체 및 숭어과 어류 3종의 16S rRNA 영역 계통도 670

그림 5-2-2. 제주도/이어도 해역에 출현한 해조류 착생 저서 와편모류 670

그림 5-2-3. 제주해역의 잘피 분포지 특성 671

제II권 특별조사 44

그림 1-1. 특별조사 대상지 701

그림 2-1-1. 우점도와 군도 판정기준 모식도 702

그림 3-1-1. 소정방폭포 주변 지역의 식생현황 708

그림 3-1-2. 소정방폭포 주변 지역의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 711

그림 3-1-3. 다려도의 식생현황 713

그림 3-1-4. 다려도의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 715

그림 3-1-5. 토끼섬의 식생현황 717

그림 3-1-6. 토끼섬의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 718

그림 3-1-7. 추자도의 식생현황 720

그림 3-1-8. 상추자도(해양조사정점. 2 주변 지역)의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 723

그림 3-1-9. 하추자도(해양조사정점. 1 주변 지역)의 현존식생도 및 녹지자연도 724

그림 3-2-1. 소정방폭포 주변 지역에서 관찰된 식물 729

그림 3-2-2. 다려도에서 관찰된 식물 733

그림 3-2-3. 토끼섬에서 관찰된 식물 738

그림 3-2-4. 추자도에서 관찰된 식물 743

그림 3-3-1. 소정방폭포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사진 756

그림 3-3-2. 다려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사진 758

그림 3-3-3. 토끼섬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사진 759

그림 3-3-4. 추자도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사진 764

그림 3-4-1. 제주연안 4개 해역의 조간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평균 현존량 765

그림 3-4-2. 제주연안 4개 해역의 조하대에 출현한 해조류의 평균 현존량 772

그림 3-6-1. 제주연안 4개 해역에 출현하는 잘피의 잎 수, 엽초 폭과 엽초 길이 787

그림 3-6-2. 제주연안 4개 해역에 출현하는 잘피의 잎 폭, 잎 길이와 지하경 폭 788

그림 3-6-3. 제주연안 4개 해역에 출현하는 잘피 개체의 지상부, 지하부와 개체무게 789

그림 3-6-4. 제주연안 4개 해역의 잘피 서식밀도 790

그림 3-6-5. 제주연안 4개 해역에 출현한 잘피 개체의 면적당 지상부, 지하부와 무게 791

그림 3-6-6. 다려도의 거머리말 서식지의 위치와 서식 범위 792

그림 3-6-7. 토끼섬의 거머리말 서식지 위치와 서식범위 792

그림 3-6-8. 예초리의 수거머리말 서식지의 위치와 서식범위 793

그림 3-6-9. 제주도 특별조사 지역에 분포하는 거머리말류의 모습 793

그림 3-7-1. 추자도에서 출현한 어류의 모습 798

그림 3-7-2. 토평동에서 출현한 어류의 모습 799

그림 3-7-3. 다려도에서 출현한 어류의 모습 800

그림 3-7-4. 토끼섬에서 출현한 어류의 모습 801

그림 3-8-1. 대상 해역 인근 수협위판장에서의 연도별 계통판매량 비교(2009-2011년) 802

그림 3-9-1. 배에서 바라본 추자도(좌)와 추자군도 전경(우) 807

그림 3-9-2. 추자도의 수중전경 및 포기거머리말의 모습 808

그림 3-9-3. 다려도 전경 809

그림 3-9-4. 다려도 수중전경 810

그림 3-9-5. 토끼섬(좌)과 문주란자생지(우) 전경 810

그림 3-9-6. 토끼섬의 수중전경(잘피군락지, 어류와 해조류) 811

그림 3-9-7. 소정방폭포 주변 절벽(좌)과 감귤 재배지(우) 전경 812

그림 3-9-8. 토평동의 수중생물모습 812

그림 3-10-1. 연도별 추자면 인구변화 양상 813

그림 3-10-2. 전국대비 추자도 참조기 어획량 814

제III권 해양 생태지수 개발 및 생태도 지침서 작성 46

그림 III-1. 일반정점과 해양보호구역 비교 828

그림 III-2. 가)목에 해당되는 지역분포 829

그림 III-3. 마)목에 해당되는 지역분포 831

그림 III-4. 저층용존산소 등급 분포도 833

그림 III-5. 수질-퇴적물(중금속) 등급 분포도 834

그림 III-6. 생물량(대형저서동물) 등급 분포도 834

그림 III-7. ISEP(대형저서동물) 등급 분포도 835

그림 III-8. 적조원인생물 우점률(동물플랑크톤) 등급 분포도 835

그림 III-9. 풍도(식물플랑크톤) 등급 분포도 836

그림 III-10. 다양성 지수(식물플랑크톤) 등급 분포도 837

그림 III-11. 다양성 지수(동물플랑크톤) 등급 분포도 837

그림 III-12. 다양성 지수(대형저서동물) 등급 분포도 838

그림 III-13. 종 풍부도(식물플랑크톤) 등급 분포도 838

그림 III-14. 종 풍부도(동물플랑크톤) 등급 분포도 839

그림 III-15. 종 풍부도(대형저서동물) 등급 분포도 839

그림 III-16. 해양생태도 지침서에 따른 종합등급 분포도 840

그림 III-17. 종합등급이 1등급인 정점의 나), 라)목의 세부등급 빈도수 841

그림 III-18. 종합등급이 2등급인 정점의 나), 라)목의 세부등급 빈도수 841

그림 III-19. 정점 WM-06의 나), 라)목의 세부등급 분포 842

그림 III-20. 정점 WS-09의 나), 라)목의 세부등급 분포 842

그림 III-21. 정점 WS-26의 나), 라)목의 세부등급 분포 843

그림 III-22. 정점 SE-14의 나), 라)목의 세부등급 분포 843

그림 III-23.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06), 서해-북부해역 정점 분포 844

그림 III-24.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07), 서해-중부해역 정점 분포 846

그림 III-25.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08), 서해-남부해역 정점 분포 849

그림 III-26.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09), 남해-서부해역 정점 분포 852

그림 III-27. 해양생태계 기본조사(2010), 남해-동부해역 정점 분포 852

그림 III-28. 해양생태도 표현방법의 예시 1 857

그림 III-29. 해양생태도 표현방법의 예시 2 85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750238 577.7 -1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750239 577.7 -12-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