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이용현황보기

한국어 경어법의 기능과 사용 원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770833 411.5 -12-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770834 411.5 -12-1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제공
이 책은 한국어 경어법의 기능과 사용 원리를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어법의 본질적 기능이 무엇인지, 그것은 어떤 원리를 바탕으로 운용되는 것인지, 사람들이 경어법을 통하여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행하려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또한 화자들의 다양한 언어 사용 자료를 통하여 한국어 경어법의 기능과 사용 원리를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경어법에 대한 이해도를 한 단계 더 높이고, 경어법과 관련된 오해와 부정적 인식을 바로잡고자 한다.
이 연구를 계기로 언어 형식 중심의 경어법 연구 성과를 넘어서 사람들과 사회 현실에 밀착된 기능 및 실제 사용 중심의 경어법 연구로 시야를 확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
모두 3부 9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서, 제1부의 세 장은 본격적인 논의 전개를 위한 서론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1장에서는 경어법의 개념을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정의한다. 2장에서 '높임 대상에 따른 경어법'과 '높임 형식에 따른 경어법'으로 나누어 경어법의 체계를 세우고, 3장에서 경어법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변화 과정을 거쳐 현재와 미래에 이어지고 있는지를 기술한다. 제2부의 세 장에서는 한국어 경어법의 기능과 특성, 사회문화적 가치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4장에서는 경어법의 기본적 기능을 '지위 관계에 맞게 대우하기', '공손한 태도 드러내기', '대인 관계 조정하기'로 나누어 기술한다. 5장에서는 경어법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주로 언어체계 및 경어법 사용의 관점에서 경어법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무엇인지를 정리한다. 6장에서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경어법이 차지하는 값어치를 기술한 후 앞으로 한국어 경어법이 어떤 방향에서 나뀌어 나갈지를 생각해 본다. 제3부의 세 장에서는 한국어 경어법의 사용과 해석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경어법 사용 원리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용법들을 다룬다. 7장에서는 '힘과 거리의 원리'에 따른 경어법 사용을 살펴본다. 8장에서는 '규범과 전략의 원리', 9장에서는 '일상과 특정의 원리'에 따른 경어법 사용을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