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우리는 한 배를 타고 있다 : 보편적 복지국가를 향한 노동과 시민의 친복지 연대 / 윤홍식 엮음 ; 참여사회연구소 기획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이매진, 2012
청구기호
361 -13-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형태사항
335 p. : 표 ; 23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3985887
제어번호
MONO1201301202
주기사항
글쓴이: 홍윤기, 김영순, 남찬섭, 정영철, 신정완, 박명준, 정경섭, 정태석, 이병훈, 윤영삼 외
참고문헌 수록

목차보기더보기


서문 왜 지금 우리에게 연대가 필요한가 ? 친복지 연대를 꿈꾸며│윤홍식

1부 복지국가 되기, 무엇이 필요할까
1장 연대와 사회 결속 ? 연대의 개념, 그 규범화의 형성과 전망│홍윤기
2장 보편적 복지국가를 위한 복지동맹 ? 한국 사회의 조건과 전망│김영순
3장 한국, 왜 복지국가 전환이 어려운가│남찬섭
4장 연대, 분단의 질곡을 넘어서│정영철

2부 그 사람들은 어떻게 연대했을까
5장 스웨덴 연대임금정책과 한국에서 노동자 연대 강화의 길│신정완
6장 일자리 나누기와 노동 연대 ? 독일의 노동시장 내적 유연화 정책│박명준
7장 민중의 집, 연대를 위한 소통의 공간 ? 이탈리아, 스웨덴, 스페인의 민중 연대│정경섭
8장 필리핀과 칠레에서 시민사회 연대와 민주주의의 전망│정태석

3부 노동과 시민, 복지국가를 위한 연대의 중심이 되라
9장 노동 양극화와 연대의 위기, 활로는 있는가│이병훈
10장 비정규직과 정규직은 어떻게 하나가 될 수 있을까│윤영삼
11장 복지국가를 위한 노동의 사회적 연대 ? 혼합형 복지동맹의 가능성│은수미
12장 시민운동과 복지국가를 위한 연대│김병권
13장 복지국가 정치동맹과 사회연대운동│박원석

4부 한국 사회, 연대를 이야기하라
14장 아래에서, 생활에서부터 시작한 연대 ? 친환경 무상급식운동│조흥식
15장 친밀감의 형성과 탈계급적 연대의 기초 ? 현대자동차의 노동 연대│홍석범
16장 복지를 중심으로 한 노동과 시민사회의 연대 경험│문혜진
17장 우리는 한배를 타고 있다 ? 기획을 마무리하며│윤홍식

필자 소개
원고 출처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778052 361 -1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778053 361 -1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782865 361 -13-2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0001782866 361 -13-2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복지국가에 살고 싶다면 연대하라!
    빈곤과 불평등의 확대, 출구 없는 무한 경쟁,
    불안한 중산층, 미래가 불투명한 청년 세대,
    점점 늘어나는 비정규직과 영세 자영업자…….
    어떻게 해야 모든 사람이 행복해질 수 있을까?
    서로 다른 계급과 계층의 사람들이 함께하고,
    노동과 시민의 친복지 연대로 만들어가는 보편적 복지국가의 길!

    연대 없는 복지국가는 없다 ― 보편적 복지국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소수 특권층을 제외한 모든 시민이 심각한 사회적 위험에 빠져 있는 오늘, 사람들은 점점 복지에 주목한다. ‘경제 성장과 복지 확대 중 무엇이 먼저인가’라는 질문에 2004년에는 29퍼센트만 복지라고 답했지만, 2010년에는 47.5퍼센트가 복지에 손을 들었다. 한국은 과연 복지국가가 될 수 있을까? 어떤 복지국가가 돼야 할까? 그리고 복지국가를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우리는 한배를 타고 있다 ─ 보편적 복지국가를 향한 노동과 시민의 친복지연대》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실행위원인 윤홍식 교수(인하대학교 사회과학부)와 한국사회복지학회장인 조흥식 교수(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부터 은수미, 박원석 국회의원, 정경섭 민중의 집 대표, 홍석범 전국금속노동조합 노동연구원 연구위원 등은 보편적 복지국가로 향하는 길에 가장 중요한 것은 시민과 노동의 친복지 연대라고 강조한다. 우리는 어떻게 연대해서 보편적 복지국가로 나아갈 수 있을까?

    계급과 계층의 벽을 넘어, 연대하라
    1부 ‘복지국가 되기, 무엇이 필요할까’에서는 연대의 개념과 복지국가가 되기 위한 조건들에 관해 살펴본다. 홍윤기 교수는〈연대와 사회 결속 ─ 연대의 개념, 그 규범화의 형성과 전망>에서 인간의 좋은 삶이 무엇인가에 관한 철학적 질문에서 출발해 연대의 개념화를 시도한다. 김영순 교수는 <보편적 복지국가를 위한 복지동맹 ─ 한국 사회의 조건과 전망>에서 영국과 스웨덴의 복지국가 확대 과정을 살펴보며 한국 사회가 복지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조건을 주체의 문제로 다가선다. 남찬섭 교수는 <한국, 왜 복지국가 전환이 어려운가>에서 한국이 복지국가가 되기 어려운 이유를 취약한 조세 수취 능력과 작은 정부, 지나친 복지시장에서 찾는다. 정영철 교수는 <연대, 분단의 질곡을 넘어서>에서 한국 사회가 분단의 질곡을 넘지 않는다면 그 어떤 연대도 힘들다고 얘기한다.
    2부 ‘그 사람들은 어떻게 연대했을까’는 스웨덴,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필리핀, 칠레의 연대 사례를 담고 있다. 신정완 교수는 <스웨덴 연대임금정책과 한국에서 노동자 연대 강화의 길>에서 복지국가를 건설하는 데 조직화된 노동은 여전히 중요한 주체라고 강조한다. 박명준 연구위원은 <일자리 나누기와 노동 연대 ─ 독일의 노동시장 내적 유연화 정책>에서 경제 위기가 닥칠 때 자본과 노동이 어떻게 타협해서 위기를 극복했는지 살펴보고, 정경섭 민중의 집 대표는 <민중의 집, 연대를 위한 소통의 공간 ─ 이탈리아, 스웨덴, 스페인의 민중 연대>에서 다른 계층과 계급의 사람들이 연대하는 데 공통된 ‘공간’이 얼마나 중요한지 얘기한다. 정태석 교수는 <필리핀과 칠레에서 시민사회 연대와 민주주의의 전망>에서 진보 진영의 분화가 우파 정권의 재등장을 초래하고 실질적 민주주의를 약화시킨 필리핀과 칠레의 경험이 한국 사회의 고민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한다.
    3부 ‘노동과 시민, 복지국가를 위한 연대의 중심이 되라’는 노동과 시민이 연대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하며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본다. 이병훈 교수는 <노동 양극화와 연대의 위기, 활로는 있는가>에서 노동과 시민사회의 연대를 고민하며, 윤영삼 교수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은 어떻게 하나가 될 수 있을까>에서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연대의 조건을 살펴본다. 은수미 국회의원은 <복지국가를 위한 노동의 사회적 연대 ? 혼합형 복지동맹의 가능성>에서 한국 사회에서 조직 노동을 중심으로 한 보편적 복지국가 실현은 매우 어려운 과제지만, 복지 의제를 함께하는 상징 연대와 더불어 행동을 함께하는 행위 연대의 힘에서 희망을 찾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김병권 부원장은 <시민운동과 복지국가를 위한 연대>에서 한국 시민운동이 풀어야 할 세 가지 과제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4부 ‘한국 사회, 연대를 이야기하라’는 현장의 구체적인 연대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조흥식 교수는 <아래에서, 생활에서부터 시작한 연대 ─ 친환경 무상급식운동>에서 국내외 자본과 정부에 맞서 풀뿌리 지역운동인 친환경 무상급식운동이 연대에 성공한 이유를 살펴보고, 홍석범 연구위원은 <친밀감의 형성과 탈계급적 연대의 기초 ? 현대자동차의 노동 연대>에서 현대자동차 사례를 통해 비정규직과 정규직 연대의 문제와 가능성을 제기한다. 문혜진 연구원은 <복지를 중심으로 한 노동과 시민사회의 연대 경험>에서 1990년대 중반부터 최근까지 복지 정책을 둘러싼 노동, 농민, 시민사회 간의 연대 사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윤홍식 교수는 ‘우리는 한배를 타고 있다’고 강조하며, 시민들 대부분이 사회적 위험에 노출된 상황은 역설적으로 보편적 복지국가를 위한 가장 좋은 연대의 조건이니 희망을 놓지 말자고 강조한다.

    노동과 시민의 연대, 복지국가의 길을 찾다
    대선이 끝났다. 투표 결과를 놓고 계급 투표니 세대 간 투표율이니 지역 갈등이니 많은 논쟁이 되풀이되고 있다. 또한 선거 기간 동안 대선 후보들이 내건 공약에 관해서도 여러 논쟁이 오고간다. 당장 보수 언론은 공약을 지키는 것도 필요하고 복지도 중요하지만 성장이 먼저라고 강조한다. 모든 사람이 공평한 ‘혜택’을 받는 ‘보편적 복지국가’의 길은 쉽게 매도당하고 널리 환영받지 못한다. 계급과 계층을 넘어서는 새로운 연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제조업 노동자와 사무직 노동자, 비정규직 노동자, 농민, 영세 자영업자, 전업주부, 중산층, 지식인이 함께할 때 보편적 복지국가의 길은 가까워질 것이다. 지금 바로, 시민의 힘이 필요한 때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P.20] 우리가 친복지 연대를 통해 만들어가려고 하는 복지국가는 보편적 복지국가다. 우리가 지향하는 보편적 복지국가는 모든 시민을 포괄하지만 모든 시민의 욕구가 같고, 똑같은 급여와 서비스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우리가 바라는 복지국가는 모든 시민에게 인간적이고 문화적인 기본 생활을 할 권리를 보장하지만, 시민 개개인의 다양한 욕구를 인정하고 소득 비례 급여처럼 노동시장에서 성취한 결과를 존중하는 보편적 복지국가다. 그리고 이를 성취하기 위해 진보 진영은 친북과 반북, 친미와 반미로 구분되는 진보와 보수의 정치가 아니라 시민의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친복지 연대를 꿈꾸는 진보에게는 진보에 대한 교조적 이해가 아니라 진보의 이상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실제적 진전과 대안이 요구된다.

    [P. 62] 보편적 복지국가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정의는 핵심적 국가 복지 프로그램이 모든 시민을 포괄하는 복지국가라는 것이다. 이런 복지국가의 첫째 조건은 주요 급여와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모든 시민에게 권리로 주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이 급여와 서비스가 시민들이 민간 복지에 의존하는 것을 부차적인 것으로 만들기에 충분한 수준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중간계급 이상은 국가 복지를 민간 복지로 보완하는 반면, 하층계급은 국가 복지에만 의존하는 이중화가 발생해 결국 보편성은 훼손된다.

    [P. 164] 스페인 노총을 중심으로 한 민중의 집 복원 사업은 과거 민중의 집이 노동자들의 경제적 여건을 개선하고 올바른 정치적·윤리적 가치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더 나은 사회적 재분배와 복지를 실현하는 데 유력한 공간이었다는 점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 위기 상황, 높은 실업률,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 간의 갈등 등 스페인과 한국의 상황은 엇비슷해 보이는 지점들이 분명이 존재한다. 스페인 진보 세력들이 과거 민중의 집의 기억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여기에 있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