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지역방송 콘텐츠 기획 / 지은이: 이근용, 김영수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청구기호
384.54 -13-2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viii, 197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방송문화진흥총서 ; 125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66800483
제어번호
MONO1201303704
주기사항
참고문헌(p. 159-167)과 찾아보기(p. 195-197) 수록
부록: 지역방송 전통문화 콘텐츠 제작 기획서
이 책은 MBC재단 방송문화진흥회의 지원을 받아 출간되었음

목차보기더보기


머리말

01 지역방송과 콘텐츠

02 콘텐츠와 지역성
로컬리즘
개념
신지역주의와 하이퍼로컬
지역방송의 지역성 구현에 관한 논의
장소성과 장소 마케팅
개념
장소 마케팅 사례
역사성
창조성
창조도시와 창조계급
사례

03 콘텐츠와 지역문화 브랜딩
지역방송 콘텐츠 연구
전략
사례
지역문화 브랜딩
지역문화 브랜딩과 방송 콘텐츠
콘텐츠 제작 관습의 변화와 유통망 확충 전략
지역문화 브랜딩 콘텐츠 편성에 대한 인식

04 전통문화를 활용한 지역방송 콘텐츠 제작
전통문화
개념과 가치
전통문화와 지역성
전통문화를 활용한 지역방송 콘텐츠 사례
부산MBC 큐스페셜 <꼴>
KNN 특집 <낙동강의 탈놀음>
대구MBC 특집 <천년의 향, 우리 누룩>
KNN 특집 다큐멘터리 <아시아 마스크 루트>
전통문화 콘텐츠에 나타난 지역성

05 지역방송 콘텐츠 제작 방향
문화 콘텐츠 제작 기획
지역 전통문화 콘텐츠 제작 기획
지역 전통문화 콘텐츠 제작 방향
지역 전통문화 콘텐츠의 지향점

06 지역방송 콘텐츠 발전 방안

참고문헌

부록 지역방송 전통문화 콘텐츠 제작 기획서
부산MBC 창사 52주년 특집 프로그램 <꼴>
대구MBC HD특별기획 3부작 <천년의 향, 우리 누룩>
KNN 지역문화 유산 프로젝트 3부작
<아시아의 탈 문명史: 마스크 루트>

찾아보기

끝.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783831 384.54 -1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783832 384.54 -13-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장소성이 강조되는 것은 장소를 통한 가치의 창출, 즉 장소 마케팅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방송 콘텐츠는 장소 마케팅의 실현체여야 한다. 장소 마케팅은 장소의 인문지리적 가치를 통해 경제적 효용성을 창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 말해 장소를 상품화하여 판매함으로써 지역을 경쟁우위를 가진 매력 있는 곳으로 만드는 창조적 활동이다.
    _ 02 콘텐츠와 지역성 중에서
    지역방송에서 지역문화 브랜딩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다른 미디어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함을 시청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편과 보도전문채널이 등장한 상황에서 지역방송이 차별적인 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한다면 지역방송이 설 수 있는 공간을 전부 잃어버릴 수도 있다. …그렇다면 지역문화 브랜딩 콘텐츠 제작 활성화를 위해서 어떤 콘텐츠 유형을 개발해야 할까? 지역문화 브랜딩 자원을 활용하여 초방 유통 규모에 맞는 제작비를 투자하고, 멀티유즈(Multi Uses)를 통해서 수익을 확보하는 콘텐츠 전략에서 찾는 것이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적합한 콘텐츠 유형은 정보와 즐거움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다.
    _03 콘텐츠와 지역문화 브랜딩 중에서
    지역방송이 전통문화 콘텐츠를 비롯한 자체 콘텐츠를 통해 구현할 지역성은 그 안에 지역공동체, 지역문화의 유전인자를 품고서 계속 복제, 확산, 변형되는 생성적 가치다. 구체적으로는 각 지역의 말투, 몸짓, 민요, 전통주, 춤과 아리랑이 다르며, 각기 다른 생성, 변화의 역사를 갖는다. 지역방송이 어느 한 측면의 지역성을 제대로 살려낼 때, 이것은 아래로부터의 문화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다시 진화한 또 다른 지역성을 낳게 한다. 결국, 지역방송이 급변하는 방송환경 속에서 존립을 위한 선순환의 고리를 만드는 실마리는 ‘지역성 구현’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_04 전통문화를 활용한 지역방송 콘텐츠 제작 중에서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