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녹색성장과 함께하는 신재생에너지
목차
제1편 세계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주요국의 정책동향 20
제1장 세계에너지 현황 및 전망 / 노상양 21
제1절 세계에너지 현황 및 전망 21
제2절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전망 26
제2장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동향 / 노상양 30
제1절 신재생에너지원별 산업 현황 30
제2절 주요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37
제2편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현황, 정책 및 제도 58
제1장 국내 에너지 수급동향 및 정책방향 / 노상양 59
제1절 에너지소비 현황 59
제2절 중기에너지수요전망(2011~2016) 61
제3절 에너지정책 방향 63
제2장 신재생에너지 현황 66
제1절 개요 / 차재호 66
제2절 신재생에너지 자원 잠재량 / 김광득 70
제3절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전략 / 김양지 115
제3장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제도/ 노상양 123
제1절 개요 123
제2절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 및 제도 125
제4장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 기성섭 135
제1절 필요성 135
제2절 추진근거 및 제도 136
제3절 추진실적 및 현황 143
제4절 향후 추진방향 154
제5장 신재생에너지보급 / 고재영 155
제1절 개요 155
제2절 그린홈100만호보급사업 157
제3절 일반보급사업 164
제4절 지방보급사업 168
제5절 신재생에너지금융자원 180
제6절 공공기관 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의무화 187
제7절 신재생에너지 설비 인증 및 표준화 190
제8절 신재생에너지 성능검사기관 고도화 196
제9절 신재생에너지 테스트베드 구축 199
제10절 신재생에너지 이용 건축물 인증제도 204
제11절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제도 208
제12절 신재생에너지 해외진출지원사업 210
제13절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제도 / 김동수 214
제14절 발전차액지원제도(RT) 217
제15절 해상풍력개발 기반구축사업 221
제6장 국제협력 / 신영수 227
제1절 개요 227
제2절 국제협력 추진현황 228
제3편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현황, 정책 및 제도 242
제1장 태양광 / 윤재호 243
제2장 풍력 / 황병선 265
제3장 수소·연료전지 / 임태훈 300
제4장 바이오 / 이진석 322
제5장 태양열 / 백남춘 347
제6장 폐기물 / 최연석 377
제7장 지열 / 손병후 400
제8장 수력 / 이경배 429
제9장 석탄액화가스화 / 김형택 440
제10장 해양 / 김정환 477
판권기 506
제1편 세계 신재생에너지 현황 및 주요국의 정책동향 12
[그림 1-1] 온실가스(CO₂) 배출량 삭감을 위한 핵심 기술(IEA, BLUE 맵 시나리오) 22
[그림 1-2] 주요국가의 에너지 관련 CO₂ 배출 전망 24
[그림 1-3] 신재생에너지원별 용량 연평균 증가율 28
[그림 1-4] 전세계 CSP 설치 누적 용량 31
[그림 1-5] 연도별 에탄올, 바이오디젤 생산 현황 34
[그림 1-6] 미국의 에너지원별 장기수요 전망 38
제2편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현황, 정책 및 제도 12
[그림 2-1] 주요 최종에너지원별 수요증가율 전망 62
[그림 2-2] 국내 1차 에너지 소비 추이 63
[그림 2-3] 전국 연평균 1일 수평면 전일사량 자원분포도 71
[그림 2-4] 전국 봄철 일평균 수평면 전일사량 자원분포도 72
[그림 2-5] 전국 여름철 일평균 수평면 전일사량 자원분포도 72
[그림 2-6] 전국 가을철 일평균 수평면 전일사량 자원분포도 73
[그림 2-7] 전국 가을철 일평균 수평면 전일사량 자원분포도 73
[그림 2-8] 전국 연평균 1일 법선면 직달일사량 자원분포도 73
[그림 2-9] 전국 봄철 일평균 법선면 직달일사량 분포도 75
[그림 2-10] 전국 여름철 일평균 법선면 직달일사량자원 분포도 75
[그림 2-11] 전국 가을철 일평균 법선면 직달일사량자원 분포도 75
[그림 2-12] 전국 가을철 일평균 법선면 직달일사량자원 분포도 75
[그림 2-13] 읍면동별 부존잠재량 분포 77
[그림 2-14] 읍면동별 가용잠재량 분포 77
[그림 2-15] 육상 및 해상 풍력단지 개발가능 영역(짙은 회색) 81
[그림 2-16] 남한 고해상도 국가바람지도 84
[그림 2-17] 풍력설비 보급현황(2008년말) 85
[그림 2-18] 한강수계 91
[그림 2-19] 낙동강 수계 92
[그림 2-20] 금강 수계 93
[그림 2-21] 섬진강 수계 93
[그림 2-22] 영산강 수계 94
[그림 2-23] 제주도 94
[그림 2-24] 수자원 분포도(설비용량) 96
[그림 2-25] 국내 소규모 수력발전소 현황 96
[그림 2-26] 지열류량 분포도 99
[그림 2-27] 열 부존량 분포도 99
[그림 2-28] 가용자원 분포도 99
[그림 2-29] 고도 100m 이하 및 지열유량 80MW/㎡ 지역 분포도 100
[그림 2-30] 세계 주요 조력·조류에너지 개발 후보지 102
[그림 2-31] 우리나라 조력, 조류 및 파력발전 개발 후보지 104
[그림 2-32] 파랑 예측 해역 분포 105
[그림 2-33] 파력발전 잠재량 계산을 위한 해역과 제한구역 107
[그림 2-34] 폐기물 발생량 변화추이 111
[그림 2-35] 지역별 연간 폐기물 에너지 부존 잠재량 114
[그림 2-36] 상생보증펀드 대출 지원절차 122
[그림 2-37]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변천 123
[그림 2-38] 국산 신재생에너지의 경제성 확보시기 130
[그림 2-39] 이용형태별 이용·보급 전망(종합) 131
[그림 2-40] 수요부문별 이용보급 로드맵(종합) 133
[그림 2-41] TRL(Technology Readiness Level) 단계별 정의 138
[그림 2-42] 기술개발 성과물 사진 146
[그림 2-43] 유니슨 2mw 시스템 147
[그림 2-44] 두산 3mw 시스템 147
[그림 2-45] 모니터링 사업에 투입된 연료전지승용차 및 연료전지버스 148
[그림 2-46] 그린홈 개념도 157
[그림 2-47] 그린홈100만호사업 추진절차 159
[그림 2-48] 보급보조사업 추진절차 164
[그림 2-49] '96~'05년 에너지절약 및 신재생에너지설비 분야 비교 172
[그림 2-50] 제주 행원 풍력발전단지 173
[그림 2-51] 삼척 동굴박람회장 태양광발전시설 175
[그림 2-52] 진해시 에너지환경과학공원 태양열 시스템 176
[그림 2-53]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추진절차 181
[그림 2-54]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지원금액 183
[그림 2-55] 세액공제 신청방법 185
[그림 2-56] 설치의무화 추진절차 188
[그림 2-57] 평판형 태양열 집열기 성능검사 시험 191
[그림 2-58] 신재생에너지설비 인증절차 192
[그림 2-59] 형식인증절차 197
[그림 2-60] 형식인증을 위한 시험 197
[그림 2-61] 신재생에너지 성능검사기관 고도화 추진전략 198
[그림 2-62] 6개 신재생에너지 테스트베드 지정 현황 200
[그림 2-63] 6개 신재생에너지 테스트베드 사업 추진체계 201
[그림 2-64] 신재생에너지이용 건축물 인증절차 206
[그림 2-65] 인증 1호 건물((주)포스코에너지 미래관) 및 인증마크 207
[그림 2-66]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 신고 절차 208
[그림 2-67] 신재생에너지 해외진출지원사업 구성 210
[그림 2-68] 사업 추진절차 211
[그림 2-69] 서남해 2.5GW 해상풍력단지 개발 로드맵 222
[그림 2-70] 해상풍력 지원항만의 역할 225
[그림 2-71] 해상풍력 지원항만 조감도 226
[그림 2-72] 독일 후줌 전시회 비즈니스 상담회 237
[그림 2-73] 한-유럽 Wind Power Plaza 포럼 237
[그림 2-74] 한-스페인 산업협력 포럼 238
[그림 2-75] 한-알제리 산업협력 포럼 239
[그림 2-76] 한-알제리 기업상담회 239
제3편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현황, 정책 및 제도 14
[그림 3-1]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구성요소 244
[그림 3-2] 태양전지의 기본 구조 및 작동 원리 245
[그림 3-3] 태양전지 시장 현황과 전망 246
[그림 3-4] 태양광 수요 공급 현황 및 전망 247
[그림 3-5] 태양광 설치량과 모듈 가격 전망 247
[그림 3-6] 태양전지 기술별 생산량 및 점유율 248
[그림 3-7] 박막 태양전지 기술별 생산량 및 점유율 249
[그림 3-8] 태양전지 종류별 효율 추이 253
[그림 3-9] 전 세계 태양광 설치 시장 추이 261
[그림 3-10] 국가별 태양광 수요 점유율 261
[그림 3-11] 연도별 국내 보급량 263
[그림 3-12] 풍력발전기의 구조 및 구성품 267
[그림 3-13] 드라이브트레인 구성방식 270
[그림 3-14] 드라이브트레인 구성방식 272
[그림 3-15] 전 세계 연도별 신규설치용량과 누적설치용량 273
[그림 3-16] 2011년 터빈 공급(약 40GW) 상위 10개 풍력터빈제조사 275
[그림 3-17] 해상풍력 설치현황 및 계획 276
[그림 3-18] 국내 풍력발전기 보급현황 281
[그림 3-19] 국내 지역별 풍력발전기 보급현황 283
[그림 3-20] 국내 연도별 풍력발전기 보급현황 283
[그림 3-21] 서남해 2.5GW 해상풍력단지 조성계획 284
[그림 3-22] 상업용 중대형 풍력터빈 크기의 변화 285
[그림 3-23] 국내 풍력산업의 매출 추이 292
[그림 3-24] 풍력발전 시스템 단기·장기 기술개발로드맵 299
[그림 3-25] 세계 연료전지 시장 규모 전망 300
[그림 3-26] 연료전지의 기본 구성 301
[그림 3-27] 포스코에너지 연료전지 생산공장(MCFC) 306
[그림 3-28]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 규모(Million US$), ADL 307
[그림 3-29] 자동차 패러다임의 변화 308
[그림 3-30] 현대자동차 투싼ix 연료전지자동차 309
[그림 3-31] 자동차 회사 들의 연료전지차 양산 계획 310
[그림 3-32] 수소충전소 설치 현황(2011년) 311
[그림 3-33] 수소충전소 설치 로드맵 311
[그림 3-34] 연료전지 종류에 따른 가정용 시스템 성능 비교(일본제품) 313
[그림 3-35] 해외 연료전지 자동차 315
[그림 3-36]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발전소 보급 현황(2011. 12) 316
[그림 3-37] 바이오에너지 기술의 개요 322
[그림 3-38] 주요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종류 및 용도 323
[그림 3-39] 고형 바이오연료 종류 및 활용 324
[그림 3-40]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전환 공정도 325
[그림 3-41] 수송용 바이오연료의 기술 계통도 325
[그림 3-42] 원료별 바이오에탄올 생산 기술 326
[그림 3-43] 바이오디젤 생산 반응 개략도 327
[그림 3-44] 열화학적 전환(F/T 반응)에 의한 수송용 연료 생산 반응 공정도 328
[그림 3-45] 해양 바이오연료 기술 체계도 329
[그림 3-46] 전 세계 에너지원별 보급 현황 및 전망 330
[그림 3-47] 부문별 바이오에너지 수요 현황 및 향후 전망 330
[그림 3-48] 수송용 바이오연료 시장 현황 331
[그림 3-49] 에탄올 생산용 곡물 원료 소비 현황 332
[그림 3-50] 미국의 RFS II 시행에 따른 바이오연료 시장 전망 332
[그림 3-51] 수송용 연료의 향후 전망 333
[그림 3-52] 미국의차세대 바이오연료 보급 현황 및 전망 337
[그림 3-53] 독일 Choren이 구축중인 F/T 디젤 생산 공정 338
[그림 3-54] EU의 바이오에너지 기술 개발 로드맵 338
[그림 3-55] 일본의 바이오연료 생산 및 활용 시범 사업 현황 340
[그림 3-56] 국내 바이오매스 자원 확보 방안 341
[그림 3-57] 국내 바이오디젤의 제조 및 유통 구조 344
[그림 3-58] 제3차 신재생에너지 보급 기본 계획 345
[그림 3-59] 설비형 태양열 시스템(온수급탕 용의 한 예) 348
[그림 3-60] 일사광선의 파장 분포 348
[그림 3-61] 지표면 도달 일사광선의 형태 349
[그림 3-62] 자연형 태양열시스템의 예 350
[그림 3-63] 설비형 태양열 시스템(온수급탕 용의 한 예) 351
[그림 3-64] Dish형 태양열 발전시스템의 예 351
[그림 3-65] 태양열 집열기의 종류 352
[그림 3-66] 집열기의 집열성능곡선 353
[그림 3-67] 소용량의 가정용 태양열 축열조 354
[그림 3-68] 태양열 온수기(자연순환식) 355
[그림 3-69] 전형적인 태양열 난방 시스템 356
[그림 3-70] 계간 축열조가 있는 중앙공급식 태양열 시스템 356
[그림 3-71] 태양열 발전시스템 종류 357
[그림 3-72] 타워형 태양열 발전시스템 개요도 358
[그림 3-73] 2010년 말 현재 작동 중에 있는 주요 재생에너지원별 용량 및 연간 생산량 361
[그림 3-74] 2010년도 말 현재 작동 중에 있는 액체식 태양열 집열기의 용도별 분포 362
[그림 3-75] 2010년도에 주요국가에서 신규로 설치된 태양열 집열기 365
[그림 3-76] 연도별 태양열 설치면적 및 시장 증가율 365
[그림 3-77] 대용량의 계간 축열조 367
[그림 3-78] 독일의 태양열 시범단지 조성 368
[그림 3-79] EU의 태양열 보급 로드맵 2030 370
[그림 3-80] 태양열 지역난방시스템 372
[그림 3-81] 제로에너지솔라하우스 373
[그림 3-82] 10kW급 Dish형 태양열발전 시스템 373
[그림 3-83] OECD국가 폐기물에너지 사용량 합계 377
[그림 3-84] 바이오연료와 재생가능 생활폐기물에너지 비율 378
[그림 3-85] 국내에서 생산한 고형연료(RDF) 379
[그림 3-86] 폐플라스틱 유화 오일 380
[그림 3-87] 국내 폐기물 발생량 변화 추이 383
[그림 3-88] 원주시 생활폐기물RDF 생산 플랜트 385
[그림 3-89] 폐기물처리 최적화 권역 설정, 환경부 386
[그림 3-90] 세계 각국의 MBT시설보급량 394
[그림 3-91] 지중 온도에 따른 지열에너지 활용 기술 401
[그림 3-92] 최종 생산물에 따른 지열에너지 분류 402
[그림 3-93] 지열 히트펌프 시스템 개략도 403
[그림 3-94] 지열 열펌프 시스템과 상용 냉난방 설비의 효율 비교 404
[그림 3-95] 상업용 또는 중대형 건물에 적용된 토양열원 열펌프 시스템 405
[그림 3-96] 단독주택에 적용된 소형 토양열원 열펌프 시스템 405
[그림 3-97] 에너지파일 시공 406
[그림 3-98] 에너지슬래브 시공 406
[그림 3-99] 지열발전을 위한 지열자원의 온도 범위와 발전량 407
[그림 3-100] 건증기 지열발전 408
[그림 3-101] 1단 습증기 지열발전 408
[그림 3-102] 2단 습증기 지열발전 408
[그림 3-103] 바이너리 지열발전 408
[그림 3-104] EGS 발전 개념도 409
[그림 3-105] 스위스 바젤시의 EGS 프로젝트 409
[그림 3-106] 국산 지열 열펌프 유닛의 냉난방 성능 411
[그림 3-107] 지열에너지 이용기술 개발 비용과 에너지 생산 비용 414
[그림 3-108] 미국의 50 MWE급 지열발전 플랜트 건설비용 414
[그림 3-109] 국외 주요 기업별 지열발전 플랜트 터빈 공급 현황 415
[그림 3-110] 지열발전 플랜트 개발의 전 과정에 대한 주요 기업들의 위치 416
[그림 3-111] 국내 지열 열펌프 시스템 보급 용량과 에너지 생산량 변화 추이 420
[그림 3-112] 최근 5년간 건물 용도별 보급 용량 421
[그림 3-113] 2010년도 지역별 보급 용량 421
[그림 3-114] 국내 중·대형 지열 열펌프 시스템 보급 사례 422
[그림 3-115] 전 세계 지열 직접이용 방식별 보급용량 비교 423
[그림 3-116] 전 세계 지열 에너지 직접이용 보급량 추정 424
[그림 3-117] 전 세계 지열발전 플랜트 용량 변화 추이(1960년~2012년) 425
[그림 3-118] 최근 5년간 미국 내 지열발전 플랜트 가동 현황 426
[그림 3-119] 유럽 주요 국가별 지열발전 플랜트 용량과 향후 건설 계획 426
[그림 3-120] 향후 전 세계 지열발전 플랜트 용량 추정 427
[그림 3-121] 향후 전 세계 지열발전 플랜트의 연간 발전량 추정 427
[그림 3-122] 수력발전시스템 구성도 430
[그림 3-123] 발전기술별 발전효율과 C0₂ 저감 효과 442
[그림 3-124] 한국형 IGCC 플랜트 효율 447
[그림 3-125] 한국 IGCC 중장기 추진 전략 447
[그림 3-126] 미국 Good Spring IGCC 플랜트 조감도 451
[그림 3-127] 일본 250mw급 Air-brown IGCC 플랜트 전경 452
[그림 3-128] 중국 GreenGen IGCC 플랜트 조감도 453
[그림 3-129] 중국 GreenGen IGCC 플랜트 전경 453
[그림 3-130] ZeroGen 발전소 예상도 456
[그림 3-131] 중국 GreenGen IGCC 시범프로젝트 457
[그림 3-132] 중국 Yankuang Group IGCC&MeOH Polygeneration System 457
[그림 3-133] 중국 Yankuang Group IGCC&MeOH Polygeneration 플랜트 전경 458
[그림 3-134] 세계 가스화 플랜트 건설 추이 458
[그림 3-135] 연료별 전 세계 가스화 플랜트 현황과 추이 459
[그림 3-136] 생산물질별 전 세계 가스화 플랜트 현황과 추이 459
[그림 3-137] 지역별 전 세계 가스화 플랜트 현황과 추이 460
[그림 3-138] Shenhua Group 직접액화 플랜트 461
[그림 3-139] Yankuang Group 간접액화 플랜트 461
[그림 3-140] 미국의 CTL 플랜트 현황 462
[그림 3-141] 국내 석탄 간접 액화 공정 465
[그림 3-142] TEC 630 MW IGCC 플랜트 468
[그림 3-143] 에드워즈포트 IGCC 플랜트 조감도 469
[그림 3-144] 미국 신규 발전소의 건설비용 증가추세 469
[그림 3-145] 미국 EPRI에서 추진 예정인 IGCC+CCS Initiative의 계획 요약 470
[그림 3-146] 일본 IGCC 실증발전소 공정흐름도 471
[그림 3-147] 호주의 CCS 프로젝트 위치 현황 472
[그림 3-148] 국외 석탄 직접액화 공정 기술 473
[그림 3-149] IGCC 플랜트 건설 단계별 추진 목표 476
[그림 3-150] 석탄 액화공정 개발 기술 로드맵 476
[그림 3-151] 설치용량 기준 세계 해양에너지 성장 전망 : 2010-2030(mw) 484
[그림 3-152] 해양에너지 기술개발 단계의 특성 486
[그림 3-153] 해양에너지 변환시스템의 기술 성숙도 487
[그림 3-154] 국가별 해양에너지시스템 연구개발 및 실용화 건수 490
[그림 3-155] 진동수주형 파력발전시스템 491
[그림 3-156] 착저식 발전시스템 492
[그림 3-157] 부유식 및 등부표용 파력발전시스템 494
[그림 3-158] 진동수주형 및 방파제 파력발전시스템 494
[그림 3-159] 프랑스 Rance 조력발전소 495
[그림 3-160] 캐나다의 Annapolis 조력발전소 495
[그림 3-161] 시화호 조력발전소 497
[그림 3-162] MCT사 조류발전시스템 498
[그림 3-163] OpenHydro사 조류발전시스템 498
[그림 3-164] 한국해양연구원 1mw 조류발전시스템 499
[그림 3-165] 현대중공업 500kW 조류발전 실증시험 499
[그림 3-166] 미국 Mini-OTEC 500
[그림 3-167] Lockheed Martin사 해수온도차발전 500
[그림 3-168] 20kW급 해수온도차발전 실증 연구 502
[그림 3-169] 해수온도차냉난방시스템(한국해양대학교 국제교류협력관) 50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795389 | R 333.7932 ㅅ194ㅅ | 2012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정기간행물실(524호)) | 이용가능 |
0001795390 | R 333.7932 ㅅ194ㅅ | 2012 |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