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표제: Educational administration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9th ed.) 참고문헌(p. 557-612)과 색인(p. 613-619)수록 부록: 교육 리더십을 위한 사례 모음집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제1장 사회체제로서의 학교 제2장 핵심기술: 학습과 교수 제3장 학교의 구조 제4장 학교 구성원 제5장 학교의 조직문화 제6장 학교의 조직풍토 제7장 학교의 권력과 정치 제8장 학교의 외부 환경과 책무성 제9장 학교의 효과성 제10장 학교에서의 의사결정 제11장 참여적 의사결정: 교사에게 권한 부여하기 제12장 학교에서의 의사소통 제13장 학교 리더십 제14장 종합 검토: 사회체제로서의 학교에 대한 재검토
부록. 교육리더십을 위한 사례 모음집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교육행정 : 이론, 연구, 실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798906
371.2 -13-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798907
371.2 -13-1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교육 리더십 분야에서 가장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책들 중의 하나인 「교육행정」은 조직 행동에 관련된 이론과 연구들을 종합하기 위해 체제 접근을 사용하고 있으며, 실제의 문제 해결을 위해 이론에 대한 이해 및 적용에 초점을 두고 있다. 매번 새 책이 나올 때마다, 최신의 연구와 이론들을 통해 교수, 학습 및 리더십을 분석하였다. 「교육행정」은 미래의 행정가들이 학교의 내용과 맥락을 이해하고, 핵심적인 아이디어와 원리들을 기억하며, 실제 업무를 수행하면서 이러한 원리들을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새로운 내용 -각 장의 끝에 제시된 실행 지침은 이론과 연구를 학교 행정가들을 위한 실제적인 지침으로 제시한다. -학교 효과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은 모든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촉진하는 학교의 특성에 초점을 둔다. 학업 성취를 설명하기 위해 연구에 기반을 둔 세 가지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조직 풍토에 대한 장은 조직 풍토 지수(OCI)를 토대로 개방 및 건강한 학교 풍토를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새로운 리더십 사례는 실제 문제들을 익히고 이론의 적용을 필요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