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콘텐츠정책 개관 25
제1절 국내외 콘텐츠산업 현황 26
1. 2008년 국내외 콘텐츠산업 현황 26
2. 2009년 국내외 콘텐츠산업 현황 29
3. 2010년 국내외 콘텐츠산업 현황 33
4. 2011년 국내외 콘텐츠산업 현황 37
5. 최근 5년간(2007~2011) 콘텐츠산업규모 변화 추이 39
제2절 콘텐츠정책 비전과 목표 55
1. 국민소득 3만 불 선도 55
2. 국가브랜드 제고 56
3. 국민의 삶의 질 향상 57
제2장 콘텐츠산업 경쟁력 강화 59
제1절 콘텐츠산업 진흥체계 정비 60
1. 콘텐츠진흥원체계 일원화 61
2. 콘텐츠산업 진흥 추진체계 정비 62
3. 법ㆍ제도 정비 64
제2절 창작역량 강화 73
1. 창작인력 강화 73
2. 창작저변의 확대 82
제3절 콘텐츠 제작 지원 91
1. 애니메이션 91
2. 방송영상 96
3. 영화 102
4. DC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작 지원 107
5.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산업 육성 지원 109
6. 모바일콘텐츠 제작 지원 109
7. OSMU 킬러콘텐츠 제작 지원사업 110
8. 콘텐츠산업 금융 투융자 지원 112
제4절 공생발전 생태계 조성 115
1. 콘텐츠 분야 청년 창업 지원사업 115
2. 지역문화 사업 지원 116
3. 대중문화예술인공연단 ‘복고(福Go)’클럽 운영 121
4. 기능성게임 지원 122
5. 콘텐츠 공정거래 환경 조성 123
제3장 미래 콘텐츠시장 창출 125
제1절 문화기술 연구개발 확대 126
1. 문화기술(CT)의 개념 및 중요성 126
2. 세부사업별 추진 현황 128
3. 사업 추진성과 분석 133
제2절 차세대 콘텐츠 육성 139
1. 차세대 콘텐츠 지원사업 개요 139
2. 세부사업별 추진 현황 140
3. 사업 추진성과 분석 156
제3절 스마트콘텐츠 기반조성 160
1. 스마트콘텐츠의 개념 및 중요성 160
2. 세부사업별 추진 현황 161
3. 사업 추진성과 182
제4장 해외 시장 진출 지원 181
제1절 전략적 해외진출 지원 182
1. 개요 182
2. 연도별 성과 183
제2절 글로벌콘텐츠 제작 지원 202
1. 개요 202
2. 연도별 성과 204
제3절 상호 교류ㆍ협력 확대 211
1. 개요 211
2. 연도별 성과 211
제5장 콘텐츠정책 전망과 과제 235
제1절 콘텐츠산업 전망 236
1. 콘텐츠산업의 패러다임 전환 236
2. 2012년 콘텐츠산업 종합전망 238
3. 2012년 콘텐츠산업 장르별 전망 238
제2절 콘텐츠정책 과제 및 전략 243
1. 콘텐츠산업 진흥 기본계획 243
2. 2013년 콘텐츠산업 진흥 시행계획 255
제6장 저작권정책 개관 257
제1절 저작권정책의 방향 258
1. 저작권정책의 기조 258
2. 정책 추진 기반 강화 259
제2절 저작권 진흥 정책의 주요 내용과 성과 262
1. 불법복제규모 축소 및 국제적 위상 제고 263
2. 강력한 저작권 보호체계 구축 263
3. 저작권정책 집행체계 및 선진적 법제 정비 265
4. 저작물 공정이용 기반 마련 266
5. 대국민 저작권 인식 확대 267
6. FTA 등 문화 분야 통상협상 성공적 지원 269
제7장 저작권법 법ㆍ제도 정비 271
제1절 저작권 법제 개선 272
1. 저작권법 제ㆍ개정사 272
2. 2009년 개정 저작권법 주요 내용 274
3. 한ㆍEU FTA 이행 저작권법 주요 내용 284
4. 한ㆍ미 FTA 이행 저작권법 주요 내용 286
제2절 저작권 관련 국제통상 292
1. 글로벌 저작권 법제 정비에 적극 참여 292
2. 국제기구 및 각국 정부와의 정보교류ㆍ협력체계 강화 294
3. 통상협상의 적극적 추진 및 능동적 참여 296
제3절 저작권제도 개선 연구 299
1. 개요 299
2. 2008년 저작권제도 개선 연구 299
3. 2009년 저작권제도 개선 연구 301
4. 2010년 저작권제도 개선 연구 303
5. 2011년 저작권제도 개선 연구 310
제8장 저작권 보호와 인식 제고 309
제1절 저작권 보호 310
1. 보호 정책 및 제도 310
2. 저작권 보호 추진체계 312
3. 침해 현황 313
4. 국내 저작권 보호활동 314
5. 평가 및 전망 325
제2절 우리 저작권 해외 보호 강화 327
1. 우리 콘텐츠의 해외진출 확대와 저작권 보호 필요성 증대 327
2. 활동 및 성과 328
3. 평가 및 전망 337
제3절 저작권 교육 337
1. 개요 337
2. 저작권 교육과정 운영 338
3. 인프라 구축 350
4. 평가 및 전망 361
제4절 저작권 홍보 362
1. 개요 362
2. 홍보활동 363
3. 평가 및 전망 375
제5절 저작권 보호기술 376
1. 기술 현황 376
2. 기술 연구 및 활동 400
제9장 저작권산업과 이용 활성화 399
제1절 저작권산업 현황 및 저작권 통계 기반 구축 400
1. 저작권 통계정보 체계화 노력 401
2. 저작권산업 특수분류 제정 401
3. 저작권 통계집 발간 402
제2절 효율적 저작권 이용 환경 구축 403
1. 저작권 비즈니스 활성화 지원 403
2. 저작권 등록 412
3. 프로그램 임치 418
제3절 저작권 공정이용 환경 조성 421
1. 공유저작물 창조 자원화 421
2. 오픈소스SW 활용 기반 구축 427
3. 공공저작물 이용 활성화 432
4. 저작권 상생협의체 441
제10장 향후 저작권 정책목표 및 추진방향 445
제1절 저작권정책의 한계 446
제2절 향후 전망 및 추진방향 447
제3절 주요 정책과제 454
제11장 미디어산업 경쟁력 강화 453
제1절 법ㆍ제도 정비 454
1. 미디어 관련 법ㆍ제도 정비를 위한 정책목표 및 세부과제 454
2. 미디어 관련 법제 정비 457
3. 신문지원기구 통합 461
제2절 미디어산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463
1. 신문의 위기극복을 위한 대토론회 463
2. 지역신문 발전 3개년 계획(2011~2013) 467
3. 신문활용교육(NIE) 기본계획(2011~2013) 471
4. 잡지산업 진흥 5개년 계획(2012~2016) 477
5. 정부광고시스템 개선 480
제3절 공정경쟁 환경 조성 474
1. ABC 제도의 본격화 474
2. 신문유통체계 효율화 487
3. 인터넷신문 자율심의기구 구성 및 지원 492
제4절 산업역량 강화 495
1. 디지털뉴스 공용 인프라 구축 및 지원 강화 495
2. 디지털뉴스 표준(NewsML) 제정 및 확산 497
3. 디지털뉴스 유통시스템 구축 사업 498
4. 디지털뉴스저작권 보호 및 뉴스 유료화 추진 501
제5절 공공성 확대와 저널리즘 품질 개선 503
1. 독자권익 보호(고충인처리제도 등) 사업 지원 강화 503
2. 소외계층 정보접근성 강화를 위한 지원 확대 510
제12장 방송영상 진흥 정책 509
제1절 방송영상산업 진흥 정책의 배경 510
제2절 방송영상산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511
1. 방송영상산업 진흥 5개년 계획(2008.7.) 511
2. 방송콘텐츠 제작시스템 선진화를 위한 정책방안(2010.6.) 513
제3절 분야별 산업역량 강화 지원 정책 524
1. 방송영상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 524
2. 방송콘텐츠 제작인프라 구축 지원 530
3. 방송영상산업 수출 지원사업 535
4. 방송영상산업 인력 양성 541
제4절 방송영상산업 성과와 향후 정책과제 546
제13장 출판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549
제1절 출판산업 현황 550
1. 출판산업의 생산ㆍ유통 현황 550
2. 인쇄사 현황 555
3. 서점 현황 556
4. 출판산업 매출 현황 557
제2절 주요 이슈별 동향 559
1. 출판산업의 수출입 현황 559
2. 디지털 환경과 전자출판 현황 560
제3절 출판산업정책 추진성과 562
1. 출판문화산업 진흥ㆍ발전을 위한 법ㆍ제도 정비 562
2. 출판산업 진흥을 위한 인프라 구축 563
3. 디지털 환경에 따른 전자출판 육성 정책 추진 565
4. ‘출판한류’ 기반조성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575
5. 출판물류 및 공공도서관 RFID 시스템 구축 575
6. 도서 공용 DB 구축 사업 추진 576
7. 주문형(POD) 출판 활성화 시범 사업 지원 577
8. 양서 출판 지원 및 독서 진흥 578
9. 인쇄산업 진흥 정책 추진 584
제4절 출판산업 전망과 향후 정책과제 587
1. 출판산업 발전 전망 587
2. 출판문화산업 진흥 5개년 계획 수립 588
판권기 598
[그림 2-1] 글로벌콘텐츠펀드의 구조 114
[그림 3-1] CT 사업의 성과 추이 128
[그림 3-2] CT 사업의 논문 종합성과 133
[그림 3-3] CT 사업의 특허성과 추이 134
[그림 3-4] CT 사업의 매출성과 추이 135
[그림 4-1] 2009년 마케팅 및 법률컨설팅 이용국가 및 현황 190
[그림 4-2] 2009년도 국내 콘텐츠의 현지화 제작 지원 현황 192
[그림 4-3] 뉴욕 홍보펜스 및 ‘원더걸스’ 전광판 광고 사진 193
[그림 8-1] 저작권 보호 추진체계 312
[그림 8-2] 한국저작권위원회 Copy112 신고사이트 317
[그림 8-3] 현장 방문을 통해 제공되는 SW 관리체계 컨설팅 320
[그림 8-4] SW 관리 점검도구(http://www.itsam.or.kr) 320
[그림 8-5] 2009년 정품SW 할인행사 321
[그림 8-6] 2012년 정품SW 할인행사 321
[그림 8-7] 감정의 진행 절차 323
[그림 8-8] 소프트웨어 유사도 비교 감정도구(exEyes)의 실행화면 325
[그림 8-9] 한국저작권위원회 해외저작권센터(2012.10.) 329
[그림 8-10] 해외저작권센터 법률상담 현황 330
[그림 8-11] 해외 침해 구제조치 지원 현황 331
[그림 8-12] 권리인증업무 처리 현황 333
[그림 8-13] 제1회 서울 저작권 포럼(2008.9.) 334
[그림 8-14] 한ㆍ태국 저작권 포럼(2009.11.) 334
[그림 8-15] 한ㆍ말레이시아 저작권 교류협력 워크숍(2010.8.) 334
[그림 8-16] 제6차 한ㆍ중 저작권 포럼(2010.6.) 334
[그림 8-17] 상해판권서비스중심과의 MOU 체결(2011.8.) 335
[그림 8-18] 제1회 국제 저작권기술 콘퍼런스(2011.11.) 336
[그림 8-19] 저작권 체험교실 활동 현장 338
[그림 8-20] 찾아가는 저작권 교육 현장 340
[그림 8-21] 저작권 문화학교 교육 현장 347
[그림 8-22] 교과내용 반영 사례 351
[그림 8-23] 유아 대상 콘텐츠 352
[그림 8-24] 저작권 뮤지컬 공연 353
[그림 8-25] 청소년 표준교재(2종) 354
[그림 8-26] 일반인 대상 저작권 표준교재 355
[그림 8-27] 교원 대상 콘텐츠 356
[그림 8-28] 모바일러닝 콘텐츠 357
[그림 8-29] 저작권 교육 포털사이트 358
[그림 8-30] 저작권 원격교육연수원사이트 359
[그림 8-31] 모바일러닝 교육사이트 360
[그림 8-32] 청소년 저작권 드라마(3종) 363
[그림 8-33] 청소년 저작권 애니메이션(4종) 364
[그림 8-34] 저작권 홍보 사례 365
[그림 8-35] 저작권 퀴즈 프로그램 366
[그림 8-36] 지하철 내 홍보방송 366
[그림 8-37] 저작권 글짓기 대회 심사와 시상 367
[그림 8-38] 제6회 대학(원)생 저작권 우수 논문 공모 시상식 368
[그림 8-39] 미국저작권청(USCO) 방문 368
[그림 8-40] 저작권 포스터ㆍ표어ㆍ카툰 공모전 수상작 활용 370
[그림 8-41] 제10회 세계지식재산권의 날 기념행사 372
[그림 8-42] 저작권 대학생 챌린저 발대식 372
[그림 8-43] 저작권 대학생 챌린저활동 372
[그림 8-44] 우리스타 방위대 발대식 373
[그림 8-45] 우리스타 방위대 캠페인활동 373
[그림 8-46] 드림콘서트 연계 저작권 보호 캠페인 373
[그림 8-47] 저작권 하계 캠프 373
[그림 8-48] 청소년 교육용 다큐멘터리 뮤직비디오 DVD 374
[그림 8-49] 창작이 나눔이 캐릭터 374
[그림 8-50] 월간 《저작권 문화》 책자 375
[그림 8-51] 월간 《저작권 문화》 뉴스레터 375
[그림 8-52] R&D 요구 기술과 주요 서비스 간의 관계 380
[그림 8-53] 저작권기술 체계도(안) 381
[그림 8-54] 모바일 앱 저작권 보호기술 개념도 383
[그림 8-55] ePub 기반의 e-Book DRM 표준인터페이스 384
[그림 8-56] 콘텐츠 점검용 SW 개념도 385
[그림 8-57] 차세대 저작권 보호시스템 개요도 386
[그림 8-58] 특징(DNA) 기반 기술적인 조치 기술평가 절차 388
[그림 8-59] 기술사업자 필드시험 평가 방법 389
[그림 8-60] 방송콘텐츠 특징점 추출 및 배포서비스 업무 390
[그림 8-61] 한국저작권위원회와 MBC 간 업무 협약식 391
[그림 8-62] 디지털저작권 포렌식 표준절차 394
[그림 8-63] 대검찰청, 한국포렌식학회, 한국형사소송법학회와의 MOU 체결 395
[그림 8-64] 디지털저작권 포렌식 표준매뉴얼 수행 단계 396
[그림 8-65] 1차년도 디지털저작권 증거ㆍ수집 분석 자동화 도구 구성도 397
[그림 9-1] 디지털저작권거래소 개념도 403
[그림 9-2] 어문 분야 ICN 발급절차 405
[그림 9-3] 디지털저작권거래소 확대 발전을 위한 협약식 406
[그림 9-4] 음악저작물 이용계약사이트 메인 화면 408
[그림 9-5] 저작권 찾기사이트 메인 화면 409
[그림 9-6] 2010년 저작권 찾기 캠페인 내용 410
[그림 9-7] 등록업무 절차도 414
[그림 9-8] 통합저작권등록시스템사이트 414
[그림 9-9] 등록저작물 영구보존 환경 구축 사업도 415
[그림 9-10] 임치제도 활성화계획 419
[그림 9-11] 공유저작물 창조자원화 출범식 422
[그림 9-12] 자유이용사이트 이용 현황 423
[그림 9-13] 자유이용사이트의 포털 연계 화면 424
[그림 9-14] 공유저작물 가상은행(가칭) 목표시스템 구성도 425
[그림 9-15] 검사시스템(CodeEye) 실행 화면 429
[그림 9-16] 오픈소스SW 라이선스 종합정보시스템(OLIS) 화면 430
[그림 9-17] 공공누리사이트 초기화면 435
[그림 9-18] 공공누리 프로세스 436
[그림 9-19] 공공저작권 신탁관리시스템 초기화면 437
[그림 9-20] 연도별 국유지식재산규모 439
[그림 9-21] 저작권 상생협의체 출범식 441
[그림 11-1] 지역신문발전위원회 단계별 지역신문 지원전략 469
[그림 11-2] 지역신문 발전 3개년 계획 주요 내용 470
[그림 11-3] NIE 활성화를 통한 읽기문화 확산 사업의 목적 472
[그림 11-4] NIE 발전계획의 주요 목표와 과제 473
[그림 11-5] NIE 거점학교 체계도 475
[그림 11-6] 정부광고 시행 체계도 480
[그림 11-7] 정부광고 매체분석시스템 구조 483
[그림 11-8] 오프라인뉴스 유통시스템 내실화 488
[그림 11-9] 신문유통협의체 추진배경 및 절차 491
[그림 11-10] 디지털뉴스 공용 시스템 개요도 496
[그림 11-11] 디지털 유통시스템 흐름도 499
[그림 11-12] 디지털뉴스 유통시스템 사업의 효과 500
[그림 11-13] 디지털뉴스저작권 사업 개요 501
[그림 12-1] 방송영상산업 진흥 5개년 계획의 비전 및 정책목표 512
[그림 12-2] 2010년 지상파방송(KBS, MBC, SBS) 제작과 유통 현황 515
[그림 12-3] 방송사업자(지상파+ PP) 외주제작비 추세 515
[그림 12-4] 지상파방송의 주요국별 수출입 현황(2010년) 523
[그림 12-5] 디지털방송콘텐츠 지원센터 조감도 530
[그림 12-6] HD 드라마타운 조감도 532
[그림 12-7] 독립제작사 제작인프라 지원 사진 534
[그림 12-8] 방송산업 수출액 추이 535
[그림 12-9] 방송산업 매출액 추이 536
[그림 12-10] 장르별 방송콘텐츠 수출 비중 536
[그림 13-1] 출판문화산업 진흥 5개년 계획(2012~2016) 정책과제 및 추진체계 564
[그림 13-2] 파주출판단지 배치도 565
[그림 13-3] 전자출판산업 육성 추진전략과 과제 566
[그림 13-4] 출판물류 및 공공도서관 RFID 시스템 단계별 추진방안 576
[그림 13-5] 전자출판콘텐츠 관리센터 개요도 592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828325 | 353.7 -13-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828326 | 353.7 -13-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