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 김근호, 김지혜, 김세령, 김승환, 노지승, 박현선, 손윤권, 송하춘, 우한용, 유인순 외 참고문헌 수록
연계정보
외부기관 원문
목차보기
차례-김유정과의 만남
책머리에
제1부 김유정 소설의 언어 인식 우한용김유정 소설의 언어의식 단상 형식의 에세이 1. 작가를 기리는 방법 2. 소설언어에 대한 방법론적 조율 3. ‘따라지’들의 세상 4. 들병이의 철학 5. 과제 점검과 제언 참고자료 「김유정의 생애와 시대적 의미연관」
김근호김유정 농촌 소설에서 화자의 수사적 역능 인물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1. 김유정 농촌 소설에서 화자의 문제성 2. 소설의 인물 형상화에서 화자의 태도 3. 김유정 농촌 소설에서 화자의 태도 변화 4. 윤리적 사유의 촉매제로서 화자의 태도 5. 김유정 소설의 윤리론적 의의와 과제
박현선김유정의 인식지평과 존재의 언어 1. 문제제기 2. 인식지평을 형성한 요인들 3. 도구의 언어와 존재의 언어 4. 의식지평의 소설적 발현 5. 잠정적 결론
조경덕김유정의 소설 쓰기와 자기 인식 「슬픈이야기」, 「따라지」 분석 1. ‘구인회’와 김유정의 도시소설 2. 허술한 방, 그 틈새로 바라보는 자기 3. 자기 응시의 시도-「슬픈이야기」 4. 들병이를 경유한 자기 응시-「따라지」 5. 새로운 방법으로서 사랑
제2부 김유정 소설과 현실 인식 김승환김유정의 「만무방」에 나타난 폭력성 1. 서론-「만무방」 읽기 2. 폭력의 서사 3. 폭력과 인물형 4. 결론-전망 부재 속의 전망
이 경자본주의보다 먼저 온 실패의 예후와 대안적 윤리 1. 들어가기 2. 자본주의의 종교성에 대한 거울반사 3. 실패의 경로 4. 실패의 잉여-교환의 실패에서 대안적 윤리로 5. 마무리
손윤권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농촌 노총각의 성과 결혼 1. 실레 연작과 농촌 노총각의 문제 2. 1930년대의 결혼적령기와 노총각의 범위 3. 농촌 경제의 피폐화로 인한 결혼의 좌절 4. 들병이의 방문과 성욕의 일시적 해결 5. 자존감 결여와 성별(gender)의 역전 현상 6. 사기와 배반의 결말 구조와 남는 문제
황태묵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돈’ 1. 서론 2. 자전소설과 돈의 문제 3. 희생양과 소유물로서의 여성 4. 증여되지 않는 사랑의 양상 5. 결론
노지승성sexuality과 농촌, 근대적 가부장제의 외부 김유정 소설에서의 매춘과 짝짓기 1. 소설 「소낙비」에 대한 어느 해석 -김유정 소설에서 매춘을 어떻게 볼 것인가 2. 내포독자 혹은 근대인의 시선과 매춘 모티프 3. 근대적 가부장제 이전의 가부장-소유와 짝짓기의 욕구 4. 김유정 소설의 문학사적 발화 효과
제3부 김유정 소설과 문학비평 및 문학교육 김세령1950년대 김유정론 연구 1. 들어가며 2. 희화화와 청산해야 할 전통적 생리 3. 능동의 니힐리즘과 민족의 언어 4. 생활의식과 문장 기교를 겸비한 인생파적 태도 5. 나가며
김지혜김유정 문학의 교과서 정전화正典化 연구 7차 교육과정과 2007년, 2009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김유정 소설의 교과서 정전화 배경 3. 교과서 내 김유정 문학의 변모 양상 4. 김유정 문학 교육의 확장 가능성
제4부 김유정과 문화콘텐츠 유인순김유정 「봄ㆍ봄」의 아바타 연구 1. 들어가는 말 2. 문화콘텐츠와 「봄ㆍ봄」 3. 「봄ㆍ봄」의 동시대 동일 소재의 작품들 4. 「봄ㆍ봄」의 아바타들 5. 「봄ㆍ봄」의 아바타들 사이의 변이양상 6. 나가는 글
송하춘마적을 꿈꾸다 김유정 평설
::필자소개
이용현황보기
김유정과의 만남 = (A)meeting with Kim, Youjoung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816587
811.3209 -13-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816588
811.3209 -13-8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담벼락을 타고 올해에도 어김없이 노란 동백꽃이 피는 봄이 찾아왔다. 봄은 「봄·봄」과 「동백꽃」의 작가 김유정의 계절이기도 하다. 2013년 봄, 그의 작품들이 2권의 단행본으로 다시 찾아왔다. 바로 <김유정과 동시대 문학 연구>(소명출판, 2013), <김유정과의 만남>(소명출판, 2013)이다.
김유정과의 만남 <김유정과의 만남>은 작년 <김유정의 귀환>(소명출판, 2012)에 이은 김유정학회의 새로운 단행본이다. 김유정 소설의 언어 의식과 현실 인식, 김유정 소설에 대한 문학비평 및 문학교육, 그리고 문화콘텐츠화까지 김유정의 작품을 예술장르로서 소설작품에만 한정하지 않고 김유정 작품을 토대로 한 문화콘텐츠 전역으로 확대한 복합적인 연구 성과라 할 수 있다.
하나, 김유정 소설의 언어의식과 현실인식 장의 시작은 소설언어가 담론의 형식이라는 전제하에 김유정 소설의 언어 특징을 담론 차원에서 살피고, 김유정 연구의 지속을 위한 절차와 방법을 탐색한다.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인물형상화를 화자의 태도 차원에서 고찰하여, 소설 화자의 정서적 태도를 ‘공감적 이해’, ‘동정적 연민’, ‘비판적 능청’으로 분류, 김유정은 ‘청자 지형적인 화자의 서사 연행을 통해 서사의 소통 맥락 전체를 읽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김유정 문학이 지닌 ‘현실 인식에 대한 연구자들의 상반적 견해’와, ‘김유정 소설의 비윤리적 인물이나 상황이 현실과의 관련’ 유무에 주목하여 ‘김유정 소설의 서술자가 궁핍한 현실과 인물의 비윤리적 행동에 대해서만 유독 함묵하는 이유와 의미를 탐색’하였다. 현실 인식은 사회 문제로 이어진다. 예로, 폭력성의 의미를 고찰하여 표면구조에는 개인의 폭력이 이면구조에는 구조적 폭력이 있음을 지적하거나 아직 자본주의가 본격화되기 이전임에도 작품 속 나타나는 실패한 자본주의의 모습을 주목하였다. 특히 실패한 자본주의의 모습에 대한 해명을 위해 특히 자본주의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을 도모하는 페데리치의 이론과 자본주의의 비합리성에 주목한 벤야민의 논의에 기대어 김유정 소설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돈의 욕망과 결핍이 불러온 것, 그것이 물신화되는 과정에 나타난 폐해와 금전적 가치와 윤리적 가치의 갈등에 이르기까지 돈을 매개로 한 상상력에 주목하여 돈이 김유정 소설에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 이유를 김유정의 전기적 생애와 자전적 소설에서, 뒤이어 돈의 문제가 농촌소설과 도시소설에서 어떤 양상으로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둘, 김유정 소설에 대한 문학비평·교육 김유정 소설의 문학비평과 교육에 관해서는 정창범, 정태용, 윤병로의 김유정론을 정밀분석하여 김유정이 한국문학사에 뿌리내린 것은 1950년대 김유정론에서 비롯되었음을 갈파하였다. 1950년 김유정론이 초기 연구라는 제약에도 김유정 문학이 한국문학사에서 자리매김 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들 50년대 김유정론에 빚지고 있음을 지적하였고, 김유정의 작품이 중등 교과서의 정전이 된 배경과 과정, 7차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른 김유정작품의 선정 및 학습활동의 변모를 추적하며 앞으로의 김유정 문학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셋, 김유정과 문화콘텐츠 유인순은 「봄·봄」을 토대로 생산된 아바타(희곡, 영화, TV 문학관, 오페라, 판소리, 패러디 소설) 들을 추적하고 이들 사이의 변이 양상과 의미들을 탐색하였다. 간략한 문화콘텐츠 이론 소개, 「봄·봄」이 OSMU(One Source Multi Use)의 대상이 된 이유, 「봄·봄」의 동시대 및 이후 시대에 나타난 「봄·봄」의 아바타들을 찾아보고 인물, 주제, 사건의 변이 및 의미를 추적하였다. 송하춘은 문화콘텐츠의 일면으로, 김유정의 생애와 작품을 소재로 하여 작가 김유정이 젊은 시절의 그 자신과 작중 인물 점순을 만난다는 자신의 창작소설을 실었다.
두 저서는 김유정의 기일인 지난 3월 29일, ‘김유정 선생 76주기 추모제’(김유정기념사업회 주최)에서 봉정되어 추모제를 한층 의미 있게 만들었다. 싱그러운 봄내음과 함께 김유정이 찾아오는 계절, <김유정과 동시대 문학 연구>, <김유정의 만남>을 통해 향후의 문학 작품 연구와 소설 교육의 희망찬 미래, 그리고 문학 작품에 기반을 둔 문화콘텐츠의 발전을 기대한다.
[저자소개] 김근호(金勤浩, Kim, Keun-ho) 순천대학교 교수 김지혜(金智惠, Kim, Ji-hye) 가천대학교 교수 김세령(金世鈴, Kim, Se-ryoun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김승환(金昇煥, Kim, Seung-hwan) 충북대학교 교수 노지승(盧志昇, Roh, Ji-seung) 인천대학교 교수 박현선(朴賢善, Park, Hyun-sun) 가천대학교 강사 손윤권(孫閏權, Son, Yun-gwon) 강원대학교, 중앙대학교 강사 송하춘(宋河春, Song, Ha-choon)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우한용(禹漢鎔, Woo, Han-yong) 서울대학교 교수 유인순(柳仁順, Yoo, In-soon) 강원대학교 명예교수 이 경(李 璟, Lee, Kyung) 한국국제대학교 교수 조경덕(趙庚德, Cho, Kyoung-duk) 고려대학교, 상명대학교, 순천향대학교 강사 황태묵(黃泰?, Hwang, Tae-muk) 순천향대학교 강사
김유정학회는 김유정 문학과 김유정과 동시대 문학, 한국 근·현대문학으로 그 시선을 넓힌 문학 연구에천착하며, 동시에 스토리텔링적 작품의 생산 및 소개와 연구를 추진해 나가는 연구단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