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산림분야 전문인력 수급방안 연구 [전자자료] / 산림청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산림청, 2012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 통계
출처
외부기관 원문
면수
254
제어번호
MONO1201325537
주기사항
연구책임자: 신윤호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0

2. 연구목표 13

3. 주요연구내용 13

가. 산림분야 장ㆍ단기 일자리 및 임학 전공자 취업 현황 분석 13

나. 산림분야 전문일자리 창출 여건 분석 13

다. 산림분야 전문일자리의 수요와 인력수급 전망 14

라. 임학 전공자의 산림직종 진출을 위한 취업연계 방안 마련 14

4. 연구방법 14

가. 연구추진전략 및 방법 14

II. 산림분야 일자리 현황 및 임학 전공자 취업 현황 분석 17

1. 산림분야 일자리 규모 및 종사자 현황 17

가. 산림분야 산업규모 17

나. 산림분야 종사자 현황 20

2. 임학 및 관련학과 취업 현황 분석 28

가. 최근 3년간 취업 및 진학 현황 28

나. 2008년 임학 및 관련학과 취업률 현황 29

다. 2009년 임학 및 관련학과 취업률 현황 30

라. 2010년 임학 및 관련학과 취업률 현황 30

3. 산림청 일자리 정책 분석 31

가. 제 5차 산림기본계획에서의 일자리 정책 31

나. 녹색 일자리 창출(녹색뉴딜) 사업 34

다. 사회서비스 일자리 사업 38

4. 산림분야 일자리 창출 문제점 분석 41

III. 산림분야 전문일자리 창출을 위한 여건 분석 43

1. 사회ㆍ경제적 메가트랜드 43

가. 사회ㆍ경제적 메가트렌드 43

나. 종합 및 시사점 52

2. 산림 분야 인력수급 및 취업자 전망 56

가. 산림관련 직종 분류 56

나. 산림분야 취업자 전망 61

다. 산림분야 직능수준 및 직업별 취업자 전망 70

라. 산림 및 임업 관련 분야의 직업 전망 72

마. 주요국의 임업분야 인력양성 사업 79

3. 녹색일자리 정책 및 일자리 전망 81

가. 녹색일자리의 현황 81

나. 녹색일자리 정책 분석 83

다. 녹색일자리 전망 92

IV. 산림분야 전문일자리의 수요와 인력수급 전망 103

1. 산림분야 전문 일자리 개념 도출 103

가. 산림분야 전문 일자리 개념 도출을 위한 관련 개념 분석 103

나. 산림분야 전문 일자리 개념 108

2. 산림분야 전문일자리 도출 110

가. 델파이 조사의 개요 110

나. 일자리 선정(안) 113

다.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14

라.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24

마. 최종 산림분야 전문일자리 도출 131

3. 산림분야 전문일자리 수요 예측 전망 132

가. 분석 방법 132

나. 전문 일자리별 수요 예측 전망 결과 134

4. 일자리 수요 전망 종합 182

V. 산림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취업지원 방안 185

1. 산림분야 관련 학과 학생들의 유입방안 185

가. 산림분야 관련 학생들의 인식 변화 필요를 위한 교육과정 등의 개발 요구 및 주기적인 인식조사 185

나. 관련 분야 기관과의 산학 연계 강화 190

다. 영림 관련 교육 자원 DB 구축 및 홍보 191

라. 영림 동아리 활동 지원 191

2. 산림분야 관련 학과 학생들의 취업능력 신장 방안 192

가. 교육과정의 개발 등을 포함한 맞춤형 교육시행을 통한 능력 신장 192

나. 영림정착교육과정의 개발 및 정착 194

다. 직업기초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과 운영 196

라. 한국산림과학고 학생들의 능력 신장 방안 198

3. 임업분야 전문인력 교육훈련 방안 200

가. 산업현장의 요구사항을 전달할 수 있는 산림분야 KSS(Korean Skill Standard) 개발 200

나. 종사자에 대한 재직교육 강화 201

다. 현장 기반의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보급 201

라. 연수관련 전문인력 교육방안 201

4. 외부인력의 산림분야로의 유입방안 202

가. 지속적인 산림분야 새로운 일자리 연구 202

나. 생애단계별 산림 서비스 지원 정책 등에 따른 타 산림관련 분야 인력 유입 203

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산림인정교과서 보급을 통한 접근 203

라. 산림분야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203

VI. 결론 및 제언 205

참고문헌 207

[부록 1] 1차 전문가 설문지 210

[부록 2] 2차 전문가 설문지 223

[부록 3] 기존일자리 시계열분석 결과 245

〈표 Ⅱ-1〉 주요산림사업의 최근 5개년 실적 18

〈표 Ⅱ-2〉 최근 5개년 국내총생산과 임업 18

〈표 Ⅱ-3〉 최근 5개년 주요 임산물 생산실적 19

〈표 Ⅱ-4〉 최근 5개년 산림서비스 관련사업 실적 19

〈표 Ⅱ-5〉 산림 관계 공무원 정원 21

〈표 Ⅱ-6〉 산림조합중앙회 정원 대 현원 21

〈표 Ⅱ-7〉 산림회원조합 정원 대 현원 21

〈표 Ⅱ-8〉 한국임업진흥원 정원 현황 22

〈표 Ⅱ-9〉 녹색사업단 정원 및 현원 22

〈표 Ⅱ-10〉 산림사업법인 등록현황 : 2012년 6월 7일 기준 23

〈표 Ⅱ-11〉 산림분야 대학교수 현황 : 2011년 10월 현재 23

〈표 Ⅱ-12〉 기능인영림단 조직현황 : 최근 5년간 25

〈표 Ⅱ-13〉산림기술자 자격별 취득인원 25

〈표 Ⅱ-14〉 목재산업 종사자 현황(2009~2009) 26

〈표 Ⅱ-15〉 임가 현황 26

〈표 Ⅱ-16〉'12년 녹색일자리' 사업추진계획 27

〈표 Ⅱ-17〉 산림분야 장단기 일자리별 종사자 현황 28

〈표 Ⅱ-18〉 임학 및 관련학과 개설 대학의 취업현황 : 2008년 29

〈표 Ⅱ-19〉 임학 및 관련학과 개설 대학의 취업현황 : 2009년 30

〈표 Ⅱ-20〉 임학 및 관련학과 개설 대학의 취업현황 : 2010년 31

〈표 Ⅱ-21〉 산림청 관련「녹색뉴딜사업」세부내용 36

〈표 Ⅱ-22〉 공공산림 가꾸기 사업 세부 내용 39

〈표 Ⅱ-23〉 공공산림가꾸기 및 산림재해모니터링 사업 세부 내용 40

〈표 Ⅲ-1〉 과학기술부(2005)의 Future 2030의 메가트렌드 44

〈표 Ⅲ-2〉 한국정보화진흥원(2006)의 유비쿼터스사회 변화 전망과 과제 메가트렌드 45

〈표 Ⅲ-3〉 산업연구원(2005)의 메가트렌드 47

〈표 Ⅲ-4〉 한국자동차 산업연구소(2009)의 메가트렌드 47

〈표 Ⅲ-5〉 한국전자통신연구원(2010)의 2030년 메가트렌드 48

〈표 Ⅲ-6〉 삼성경제연구소(2009)의 SERI 보고서로 읽는 미래 산업에서의 메가트렌드 48

〈표 Ⅲ-7〉 LG경제연구원(2010)의 ‘10년 후 세상을 말한다.’ 에서의 메가트렌드 49

〈표 Ⅲ-8〉 패트리셔 애버딘(2006)의 메가트렌드 2010 50

〈표 Ⅲ-9〉 마이아스 호르크스(2009)의 메가트렌드 50

〈표 Ⅲ-10〉 미국 NIC(2009)의 Global Trend 2025의 메가트렌드 51

〈표 Ⅲ-11〉 박영숙, 제롬 글랜 외(2009)의 유엔 미래보고서 2의 메가트렌드 51

〈표 Ⅲ-12〉 메가트렌드 관련 선행연구 종합 : 국내 연구 52

〈표 Ⅲ-13〉 메가트렌드 관련 선행연구 종합 : 국외 연구 53

〈표 Ⅲ-14〉 메가트렌드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산림분야 관련성 높은 메가트렌드 종합 55

〈표 Ⅲ-15〉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의 산림 및 임업 관련 직업분류 57

〈표 Ⅲ-16〉 한국고용직업분류에서의 산림 및 임업 관련 분야 분류 59

〈표 Ⅲ-17〉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의 산림 및 임업 관련 분야 분류 61

〈표 Ⅲ-18〉 산업 대분류 취업자 전망(표준산업분류) 62

〈표 Ⅲ-19〉 산업 중분류 취업자 전망(표준산업분류) 63

〈표 Ⅲ-20〉 직능수준(skilled-level)별 취업자(표준직업분류 대분류) 71

〈표 Ⅲ-21〉 직업별 취업자 전망(한국고용직업분류(KECO) 세분류) : 농림어업 관련 71

〈표 Ⅲ-22〉 임업관련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현황 72

〈표 Ⅲ-23〉 미국의 산림관련 직업 규모 및 전망 75

〈표 Ⅲ-24〉 캐나다의 산림관련 직업 규모 및 전망 76

〈표 Ⅲ-25〉 호주의 산림관련 직업 규모 및 전망 78

〈표 Ⅲ-26〉 녹색일자리의 유형 82

〈표 Ⅲ-27〉 녹색산업 및 분야별 대표직종 83

〈표 Ⅲ-28〉 중앙정부 녹색일자리 주요정책 내용 84

〈표 Ⅲ-29〉 녹색일자리 육성을 위한 범부처적 추진과제의 현황 85

〈표 Ⅲ-30〉 정부의 부처별 녹색일자리 관련 추진사업 86

〈표 Ⅲ-26〉 지자체 녹색일자리 주요정책 내용 87

〈표 Ⅲ-32〉 산업별 녹색일자리 전망 92

〈표 Ⅲ-33〉 분야별 녹색일자리 전망 93

〈표 Ⅲ-34〉 한국직업정보시스템에서 제시한 녹색직업 및 일자리 전망 93

〈표 Ⅲ-35〉 숲해설가의 활동분야, 요구되는 능력, 입직 가능 교육 또는 훈련, 관련 자격 97

〈표 Ⅲ-36〉 산림보호기술자의 활동분야, 요구되는 능력, 입직 가능 교육 또는 훈련, 관련 자격 98

〈표 Ⅲ-37〉 야생동식물연구원의 활동분야, 요구되는 능력, 입직 가능 교육 또는 훈련, 관련 자격 99

〈표 Ⅲ-38〉 산림보호원의 활동분야, 요구되는 능력, 입직 가능 교육 또는 훈련, 관련 자격 100

〈표 Ⅲ-39〉 생태복원기술자의 활동분야, 요구되는 능력, 입직 가능 교육 또는 훈련, 관련 자격 100

〈표 Ⅲ-40〉 친환경병충해방제연구원의 활동분야, 요구되는 능력, 입직 가능 교육 또는 훈련, 관련 자격 101

〈표 Ⅲ-41〉 조경기술자의 활동분야, 요구되는 능력, 입직 가능 교육 또는 훈련, 관련 자격 102

〈표 Ⅳ-1〉 선행연구에서의 괜찮은 일자리 지표 105

〈표 Ⅳ-2〉 기존의 유망직업 기준 106

〈표 Ⅳ-3〉 산림분야 전문인력 개념 1차 델파이 결과 108

〈표 Ⅳ-4〉 산림분야 전문인력 개념 1차 델파이 결과 110

〈표 Ⅳ-5〉 패널 집단별 선정 기준 및 인원수 111

〈표 Ⅳ-6〉 산림분야 전문일자리 -7개영역 16개 직업 114

〈표 Ⅳ-7〉 산림분야 전문일자리 타당성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115

〈표 Ⅳ-8〉 산림분야 전문일자리 타당성에 대한 2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125

〈표 Ⅳ-9〉 최종 선정된 산림분야 전문일자리 132

〈표 Ⅳ-10〉 삼림분야 전문인력 수요예측에 대한 주요 환경요소 134

〈표 Ⅳ-11〉 산림테라피스트, 산림테라피스트 가이드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35

〈표 Ⅳ-12〉 일본의 산림테라피스트, 산림테라피 가이드 인력의 역할 136

〈표 Ⅳ-13〉 산림바이오매스연구원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41

〈표 Ⅳ-14〉 산림생물자원 연구원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44

〈표 Ⅳ-15〉 산림병충해 방제 연구원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48

〈표 Ⅳ-16〉 산림자원 육종 연구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51

〈표 Ⅳ-17〉 산림 생태복원기술자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54

〈표 Ⅳ-18〉 산림보호 기술자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57

〈표 Ⅳ-19〉 산림방재전문가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60

〈표 Ⅳ-20〉 해외수종검사원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64

〈표 Ⅳ-21〉 산림치료사(나무의사)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64

〈표 Ⅳ-22〉 산림생태 어메니티 연구원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66

〈표 Ⅳ-23〉 산림 웰니스 코치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70

〈표 Ⅳ-24〉 탄소배출권 거래중개인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72

〈표 Ⅳ-25〉 기후변화 대응 경영컨설턴트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74

〈표 Ⅳ-26〉 기후변화대응 연구원/산림환경 연구원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75

〈표 Ⅳ-27〉 기능성식품 연구원(임산물)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75

〈표 Ⅳ-28〉 친환경목재가공연구원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77

〈표 Ⅳ-29〉 임산공학연구원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78

〈표 Ⅳ-30〉 야생동식물연구원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79

〈표 Ⅳ-31〉 산림 교육전문가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81

〈표 Ⅳ-32〉 산림 문화자산 발굴 및 관리자 인력수요에 대한 미래전망 182

〈표 Ⅳ-33〉 기존일자리 증감 추정 183

〈표 Ⅳ-34〉 산림분야 인력수요 종합 184

〈표 Ⅴ-1〉 Ginzberg, Super, Tiedeman & O'Hara 이론에 나타난 대학생 특징 187

〈표 Ⅴ-2〉 대학의 임학교육이 갖고 있는 문제점 192

〈표 Ⅴ-3〉 산림분야 관련 학과의 이원화된 교육체제 운영(안) 193

〈표 Ⅴ-4〉 실수요자가 생각하는 대학 임학교육의 개선방안 193

〈표 Ⅴ-5〉 농대영농정착교육과정 운영 대학별 트랙 현황(11개교) 194

[그림 Ⅰ-1] 산림분야 유망직종 선정방법 16

[그림 Ⅱ-1] 산림청(본청) 및 소속기관 조직도 20

[그림 Ⅱ-2] 임학 및 관련학과 취업률 및 진학률 현황 : 최근 3년간 28

[그림 Ⅱ-3] 임학 및 관련학과 졸업자의 주요 취업분야별 취업률 추이 29

[그림 Ⅱ-4] 제5차 산림기본계획은 5대 전략과 25대 핵심과제 32

[그림 Ⅱ-5] 산림분야 일자리 창출 모식도 33

[그림 Ⅱ-6] 산림분야 사회적 기업의 육성시스템 전략 34

[그림 Ⅱ-7] 산림청 관련「녹색뉴딜사업」(1개의 핵심사업, 5개 연계사업) 35

[그림 Ⅱ-8] 2009년 녹색일자리 추진성과 총괄 37

[그림 Ⅱ-9] 2010년 녹색일자리 추진성과 총괄 38

[그림 Ⅲ-1] 고령화 사회 진입 속도 55

[그림 Ⅲ-2] 산림 및 임업관련 유망 직종 분류체계 67

[그림 Ⅲ-3] 산림사업과 연계된 산림서비스업의 분류 70

[그림 Ⅲ-4] 일자리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산업과 가장 빠르게 감소하는 산업 74

[그림 Ⅳ-1] 대체수요와 성장에 의한 일자리 수 : 2008-2018 107

[그림 Ⅳ-2] 산림분야 전문일자리 도출 과정 113

[그림 Ⅳ-3] 2030년까지의 바이오에너지 기술개발 로드맵 141

[그림 Ⅳ-4] 산림청의 치산복원 업무 161

[그림 Ⅴ-1] Krumboltz의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일반적 모형 188

[그림 Ⅴ-2]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진로선택모형 189

[그림 Ⅴ-3] 직업기초능력 개발 모형(안) 198

[그림 Ⅴ-4] 직무능력표준(KSS) 개발체계 200

[그림 Ⅴ-5] 맞춤형 산림복지 체계 구축 203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