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개요 4
제1장 서론 2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22
1. 연구의 배경 22
2. 연구의 목적 25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26
1. 연구의 범위 26
2. 연구의 방법 26
제2장 관련 연구 고찰 29
제1절 행복 연구 30
1. 행복연구의 이론적 근거 30
2. 행복의 결정요인 34
제2절 행복-여가 관계 연구 40
1. 행복과 여가의 관계 40
2. 행복에 영향을 주는 여가의 효과 연구 46
제3절 행복지수 연구 49
1. 행복지수 개발에 대한 논의 49
2. 행복지수 개발 52
3. 한국인의 행복 수준 60
제3장 여가행복지수 지표개발 63
제1절 지수개발 체계의 설정 64
1. 지수 개발의 기본방향 64
2. 지수 구성의 기본원칙 65
제2절 지수의 평가지표 구성 67
1. 평가지표 구성의 근거 67
2. 지수의 세부지표 제안 88
제3절 지표구성의 적정성 검토 90
1. 조사방법 90
2. 1차 조사 결과 분석 91
3. 2차 조사 결과 분석 105
제4장 활용 및 정책 제안 116
1. 지수 산출 과정 117
2. 자가진단을 위한 시스템 개발 129
3. 여가활동지수 측정 조사 131
4. 정기적 평가를 통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 132
참고문헌 134
ABSTRACT 140
[부록] 전문가 설문지 142
판권기 159
[그림 1] 행복의 구성요소 37
[그림 2] Po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적용한 여가경쟁력 구성요소 69
[그림 3] 여가와 개인적 시간 (Time devoted to leisure and personal care) 72
[그림 4] 2010년과 2012년의 우리나라 평일 및 휴일 여가시간 72
[그림 5] 2011년 국가별 연간 노동시간 73
[그림 6] 2011년 1인당 국민총소득 74
[그림 7] 우리나라 월평균 여가비용 추이 75
[그림 8] 우리나라의 연간 여행지출 규모 76
[그림 9] 2013 분야별 예산비중 및 여가부문의 비중 78
[그림 10] MADI(Measurement-Analysis-Direction-Implementation) 단계 117
[그림 11] 여가환경차원의 여가여건지수와 여가자원지수 구성 118
[그림 12] 여가활동차원과 여가만족차원의 지수 구성 120
[그림 13] 여가행복지수 산출과정 121
[그림 14] 여가행복지수 분석 단위 123
[그림 15] 벤치마킹 국가의 선정(예시) 124
[그림 16] 한국의 여가행복수준 향상 전략과 방향성 도출 단계 126
[그림 17] 통제의 용이성을 고려한 정책의 제안 127
[그림 18] 그룹별 여가행복수준 강화방안 단계별 시나리오 예시 128
[그림 19] MADI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과정 128
[그림 20] 국민 여가행복지수 목표 수립(예시) 129
[그림 21] OECD의 BLI 조사에 대한 사례 130
[그림 22] 여가행복지수 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한 국민의 여가행복제고 13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861259 | 306.4812 -13-7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861260 | 306.4812 -13-7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