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기획연구 / 소방방재청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13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xi, 351 p. : 삽화, 표 ; 27 cm
제어번호
MONO1201332727
주기사항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사업단
결과보고서
주관연구기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연구책임자: 권성필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최종보고서 초록

요약문

ABSTRACT

목차

제1장 서론 21

1.1. 기획의 목표 및 범위 21

1.1.1. 기획의 목표 21

1.1.2. 기획의 범위 23

1.2. 추진체계 24

1.2.1. 기획의 추진체계 24

1.2.2. 세부 추진내용 25

1.3. 정부지원의 타당성 검토 27

제2장 소방안전기술분류체계 도출 31

2.1. 소방안전 기술 및 산업 31

2.1.1. 소방안전기술 31

2.1.2. 소방안전산업 35

2.2. 소방안전기술분류체계 44

2.2.1. 기술분류 개요 44

2.2.2. 소방안전기술분류의 계층적 논리 구조 46

2.2.3.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55

제3장 기술 및 연구 동향 57

3.1. 국외 소방안전기술 R&D 동향 57

3.1.1. 미국 57

3.1.2. 일본 77

3.1.3. 독일 89

3.2. 국내 소방안전기술 R&D 동향 97

3.2.1. 소방안전기술 R&D 추진 주체 97

3.2.2. 소방안전기술 R&D 사업 현황 105

3.3.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사업 성과분석 124

3.3.1. 성과분석 개요 124

3.3.2. 산출 성과(Output) 131

3.3.3. 결과 성과(Outcome) 140

3.3.4. 파급 효과(Impact) 147

3.3.5. 결론 153

3.4. 소방안전기술 특허분석 157

3.4.1. 개요 157

3.4.2. 소방안전기술 동향분석 159

3.4.3. 지수분석(전체 지수동향) 177

3.4.4. 중점분야 도출을 위한 정성분석 182

3.4.5. 결론 191

제4장 소방안전기술 R&D 수요분석 195

4.1. 미래소방안전 환경변화 195

4.1.1. 소방업무 환경변화 195

4.1.2. 미래 소방 환경변화 203

4.2. 이해관계자 인터뷰 210

4.3. 기술수요설문조사 220

4.4. 세부실행과제 도출 228

제5장 결과 종합 및 환경 분석 230

5.1. 조사결과 종합 230

5.2. SWOT 분석 244

제6장 추진계획 246

6.1. 사업 개요 246

6.2. 기본 방향 설계 247

6.2.1. 비전 및 목표 247

6.2.2. 4대 중점영역 248

6.2.3. 전략-전략목표-중점영역 연계성 253

제7장 중점영역별 세부실행과제 도출 254

7.1. 사업 우선순위 선정 254

7.1.1. 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방법론 254

7.1.2. 우선순위 평가 결과 265

7.2. 중점영역별 세부실행과제 287

7.3. 소요예산 302

7.4. 중점영역별 TRM 306

제8장 요약 및 결론 351

참고문헌 371

연구개발과 활용계획서 372

표 2.1. 소방안전산업의 6대 분류기준 35

표 2.2. 소방안전산업의 특징 36

표 2.3.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체계 상 소방안전기술 45

표 2.4. 소방안전기술분류체계 49

표 2.5. 소방장비와 소방시설의 법령상 구분 50

표 2.6. 소방장비의 분류 51

표 3.1. NTIS Laboratories 67

표 3.2. 독일 재난관리 체계 89

표 3.3. 그림의 약어 설명 95

표 3.4. 국내 소방안전기술 R&D 추진 주체 104

표 3.5.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참여 중앙행정기관 106

표 3.6. 부문별 R&D 예산 변화 110

표 3.7.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기술분야별-연구유형별 지원실적 117

표 3.8.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과제추진현황('07년~'12년) 118

표 3.9. 2012년 자체·상위평가시 활용된 성과지표 124

표 3.10. 2012년 자체·상위평가결과 126

표 3.11. 성과지표 개편(안) 128

표 3.12. 추가조사 회수율 130

표 3.13. 연도별 특허 출원/등록 성과 131

표 3.14. 연도별 실용신안 출원/등록 성과 131

표 3.15. 연도별 디자인/상표 출원/등록 성과 132

표 3.16. 산업재산권 성과지표 구성항목별 가중치 132

표 3.17. 연도별 산업 재산권 성과지표 값 133

표 3.18. 과제당 산업 재산권 성과 135

표 3.19. 출연금 1억원당 산업재산권 성과 136

표 3.20. 연도별 SCI/비SCI 논문 성과 136

표 3.21. 연도별 국내외 학회 발표 성과 137

표 3.22. 학술 활동 성과지표 구성항목별 가중치 138

표 3.23. 연도별 학술 활동 성과지표 값 138

표 3.24. 과제당 학술 활동 성과 139

표 3.25. 출연금 1억원당 학술 활동 성과 140

표 3.26. 연도별 시제품 제작 성과 141

표 3.27. 연도별 승인/인증/허가 성과 141

표 3.28. 실용화 성과지표 구성항목별 가중치 141

표 3.29. 연도별 실용화 성과지표 값 142

표 3.30. 과제당 실용화 성과 142

표 3.31. 출연금 1억원당 실용화 성과 143

표 3.32. 연도별 정책 제안 및 채택/활용 성과 144

표 3.33. 연도별 공공교육 성과 144

표 3.34. 정책 활용 성과지표 구성항목별 가중치 145

표 3.35. 연도별 정책 활동 성과지표 값 145

표 3.36. 과제당 정책 활용 성과 146

표 3.37. 출연금 1억원당 정책 활용 성과 146

표 3.38. 본사업을 통해 지원된 소방산업 기술분야의 최고기술 보유국 147

표 3.39. 본사업 전-현재 해당분야 기술수준 향상도 148

표 3.40. 본사업 전-현재 해당분야 기술격차 감소 149

표 3.41. 대분류 기술분야별 기술수준 향상도 149

표 3.42. 피해구분별 기대효과 발생비율 152

표 3.43. 현장 적용 후 피해 저감 감소효과 152

표 3.44. 개발기술의 현장적용 및 실용화 미비의 원인 154

표 3.45. 국가별 분석구간 및 특허건수 158

표 3.46. 분석대상 기술분류 및 검색식 158

표 3.47. 소방안전기술 분야의 국가·기술별 특허건수 159

표 3.48. 국가별 소방안전기술 분야의 위치 163

표 3.49. 소방안전기술 분야의 국가별 상위 주요출원인 166

표 3.50. A 화재 예방기술, B 화재 경계기술, C 화재 진압/대응 기술의 기술 분야별 주요출원인 169

표 3.51. D 인명 구조/구급 기술, E 대원 안전 확보기술, F 인프라 구축 및 제도화의 기술 분야별 주요출원인 169

표 3.52. 기술 분야별 역점(선도)기술 및 공백기술 분석 170

표 3.53. 출원인 국적별 기술 분야 특허활동도 분석(특허활동도〉1) 177

표 3.54. 출원인 국적별 기술력 수준 181

표 4.1.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체계 상 소방안전기술 214

표 4.2. 최고기술보유국에 대한 국가별 응답수 222

표 4.3. 소방안전기술 관련 정책적/산업적 R&D 수요 225

표 5.1. 소방안전산업의 특징 233

표 5.2. 소방안전기술분류체계 235

표 7.1. Line Up 모델의 평가항목 256

표 7.2. Risk-Return 모델의 평가항목 257

표 7.3. AHP 설문방법 예시 261

표 7.4. 세부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 도출 과정 262

표 7.5. CI≤0.1. 기준을 충족한 유효 답안 수(이미지참조) 263

표 7.6. Line Up 평가항목의 가중치 설정 결과 264

표 7.7. Risk-Return 평가항목의 가중치 설정 결과 265

표 7.8. 현장중심 형 복지소방 연구분야의 Line Up 결과 266

표 7.9. 경쟁력강화형 실용연구 연구분야의 Line Up 결과 268

표 7.10. 지속가능형 협동연구 연구분야의 Line Up 결과 270

표 7.11. 미래대응형 기초연구 연구분야의 Line Up 결과 272

표 7.12. 현장중심형 복지소방 분야의 정책적 지원방향 276

표 7.13. 경쟁력강화형 실용연구 분야의 정책적 지원방향 279

표 7.14. 지속가능형 협동연구 분야의 정책적 지원방향 282

표 7.15. 미래대응형 기초연구 분야의 정책적 지원방향 285

표 7.16. 4대 중점영역별 세부실행과제 구성 287

그림 1.1. 본 기획연구의 필요성 21

그림 1.2. 본 기획연구의 목표 및 내용 22

그림 1.3. 본 기획연구의 범위 23

그림 1.4. 기획의 추진체계 24

그림 1.5. 연구내용 및 방법론 26

그림 1.6. 기술수준평가 결과 27

그림 1.7. 기술분야별 정부주도 필요성과 대 중국/대 최고국 기술격차 28

그림 1.8. 소방 수요 및 역할 확장 29

그림 2.1. 소방안전기술의 Value Chain 33

그림 2.2. 소방안전산업의 환경 43

그림 2.3. 소방방재청 조직도 46

그림 2.4. 소방안전기술의 6대 대분류 도출 46

그림 2.5. 소방안전기술분류체계 도출의 의의 54

그림 3.1. 미국의 중앙행정부처 57

그림 3.2. DHS의 조직도 58

그림 3.3. FEMA의 조직도 60

그림 3.4. FEMA의 2013년 예산 61

그림 3.5. FEMA의 연도별 세부예산 규모 62

그림 3.6. NIST 조직도 69

그림 3.7. NIST의 예산 70

그림 3.8. NIST-Engineering Laboratory의 Fire Research Division 71

그림 3.9. BFRL 조직도 72

그림 3.10. Precision Indoor/Outdoor Personnel Location Project 75

그림 3.11. 화재보호공학부의 연구실 및 시설 76

그림 3.12. 일본의 중앙행정부처 및 소방청 77

그림 3.13. 소방청 조직도 78

그림 3.14. 일본의 소방서비스 체계 78

그림 3.15. 다중 관할구역 설정 및 화재 초기대응 신속·강화 79

그림 3.16. 인력의 효율적 활용 79

그림 3.17. 인력의 효율적 배치 80

그림 3.18. 효율적 장비·인력 관리 80

그림 3.19. 소방연구센터 조직도 82

그림 3.20. 소방연구센터 전경 83

그림 3.21. 일본의 소방R&D 9대 중점분야 86

그림 3.22. 독일 소방행정 조직도 91

그림 3.23. 독일 소방행정 조직도 91

그림 3.24. 노드라인 베스트팔렌 자치구의 소방 연구 체계 94

그림 3.25. 효과적 소방재난 예방을 위한 건물구조물 및 진압체계 연구 96

그림 3.26. 현대화 건물 소방관 진입 전략 96

그림 3.27. 중앙소방학교(소방과학연구실) 조직 97

그림 3.28.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조직 98

그림 3.29. 한국방재시험연구원 조직 100

그림 3.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화재 안전 연구센터) 조직 101

그림 3.31. 한국건설생활환경 시험연구원(화재 안전평가팀) 조직 102

그림 3.32.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의 위상 105

그림 3.33.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 종합계획의 비전체계 107

그림 3.34.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의 위상(예산기준) 108

그림 3.35. 부문별 R&D 예산 중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의 비중 109

그림 3.36. 부문별 R&D 예산의 연평균성장률 110

그림 3.37.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사업 추진 실적 111

그림 3.38.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기술분야별 지원실적 112

그림 3.39.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기술분야별 지원실적 113

그림 3.40.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기술분야별 지원실적 114

그림 3.41.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 발 연구유형별 지원실적 115

그림 3.42.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연구 유형별 지원실적 116

그림 3.43.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연구 유형별 지원실적 117

그림 3.44.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사업의 성과창출 논리 모형 127

그림 3.45. 분석자료 구축 방향 129

그림 3.46. 소방안전기술 분야의 연도별 출원동향 162

그림 3.47. 포트폴리오로 본 소방안전기술 분야의 위치 164

그림 3.48. 소방안전기술 분야의 대분류 기술 분야별 특허분포 167

그림 3.49. 소방안전기술 분야의 대분류 기술 분야별 특허분포 168

그림 3.50. 주요기업의 역점 분야(한국특허) 171

그림 3.51. 주요기업의 역점 분야(미국특허) 171

그림 3.52. 주요기업의 역점분야(일본특허) 172

그림 3.53. 주요기업의 역점분야(유럽특허) 172

그림 3.54. 기술선도 그룹의 특허점유율 및 증가#에 따른 포트폴리오 분석 176

그림 3.55. A 화재 예방기술, B 화재 경계기술, C 화재 진압/대응 기술 분야의 국가별 특허활동 역점분야 178

그림 3.56. D 인명 구조/구급 기술 및 E 대원 안전 확보기술 분야의 국가별 특허활동 역점 분야 178

그림 3.57. F 인프라 구축 및 제도화 분야의 국가별 특허활동 역점분야 179

그림 3.58. 출원인 국적별 기술&시장확보력 수준 180

그림 4.1. 연도별 화재 발생 및 피해 현황 196

그림 4.2. 연도별 구조활동 현황 198

그림 4.3. 연도별 구급활동 현황 201

그림 4.4. 소방대원 순직, 공·사상자 현황 202

그림 4.5. 미래 소방 환경 변화 203

그림 4.6. 그룹별 응답자 현황 221

그림 4.7. 응답자 그룹별 평균 경력 221

그림 4.8. 소방안전기술수준 223

그림 4.9. R&D 투자가 가장 시급한 기술분야 224

그림 4.10. 소방안전기술 관련 R&D 정책적 수요 226

그림 4.11. 소방안전기술 관련 R&D 산업적 수요 227

그림 4.12. 세부실행과제 도출 프로세스 228

그림 5.1. 소방 수요 및 역할 확장 231

그림 5.2. 소방안전기술의 Value Chain 232

그림 5.3. 소방안전기술의 6대 대분류 도출 234

그림 5.4. 출원인 국적별 기술&시장확보력 수준 240

그림 5.5. 소방안전기술수준 241

그림 5.6. R&D 투자가 가장 시급한 기술분야 242

그림 5.7. SWOT 분석을 통한 전략 도출 244

그림 6.1. 4대 중점영역 도출 248

그림 6.2. 추진전략 및 중점 영역 연계성 253

그림 7.1. 우선순위 평가 개요 255

그림 7.2. Risk-Return 모델 예시 259

그림 7.3. Risk-Return 사사분면별 지원방향 274

그림 7.4. 현장중심형 복지소방 연구분야의 R-R 결과 275

그림 7.5. 경쟁력강화형 실용연구 연구분야의 R-R 결과 278

그림 7.6. 지속가능형 협동연구 연구분야의 R-R 결과 281

그림 7.7. 미래대응형 기초연구 연구분야의 R-R 결과 284

그림 7.8.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향후 5개년 간 소요예산 302

그림 7.9. 소방안전기술분류체계별 소요예산 303

그림 7.10. 4대 중점영역별 소요예산 304

그림 7.11. 연구유형별 소요예산 305

초록보기 더보기

I. 연구제목 :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기획연구」

II. 연구목적

○ 녹색성장 기반구축 및 국가 신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차세대핵심소방안전 기술개발 사업의 고도화

- (정책적 측면) 재난안전 R&D 정책과 부합하며, 소방안전R&D사업 성과 창출 극대화를 위한 차세대핵심 R&D과제 도출

- (기술적 측면) 미래 소방안전 환경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한 소방안전 R&D사업의 글로벌 패러다임 제시

- (산업적 측면) 저탄소 녹색성장 국정방향에 부합하는 소방안전산업의 국가 신성장동력화

III. 연구내용

○ 정부지원의 타당성 검토

-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에 대한 정부지원의 타당성 검토

○ 소방안전기술분류체계 도출

- 소방안전기술 및 산업의 정의

- 소방안전기술의 Value Chain 도출

- 소방안전기술분류체계 도출 및 활용방안 제시

○ 기술 및 연구동향 분석

- 국내외 소방안전기술 R&D 동향 분석

- 차세대 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사업 성과분석

- 소방안전기술 특허분석

○ 소방안전기술 R&D 수요분석

- 미래소방안전 환경변화

- 이해관계자 인터뷰 및 기술수요설문조사

- 107개 세부실행과제 도출

○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사업 추진계획 수립

- 비전 및 목표 설정

- 4대 중점영역 설정

○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사업 상세 실행계획 수립

- 107개 세부실행과제 추진 우선순위 선정

- 4대 중점영역별 세부실행과제별 RFP 작성 및 TRM 도식화

IV. 주요 연구 성과

○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에 대한 정부지원 근거와 소방안전기술의 Value Chain 제시

○ 소방안전관리 업무/활동의 전 영역을 포괄하는 소방안전기술분류체계 도출

○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사업 성과창출 논리모형 개발 및 성과지표 개편을 통한 종합적 성과분석 실시

○ 소방안전기술 관련 산·학·연·관 이해관계자 인터뷰 및 기술수요조사를 통한 세부실행과제 총 107개 도출

○ 향후 5년간('14년~'18년) 차세대핵심소방안전기술개발 사업의 비전 및 목표, 추진전략, 4대 중점영역, 4대 중점영역별 107개 세부실행과제 및 TRM/RFP 작성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8601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