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참여진
요약문
목차
I. 서론 15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5
1.2. 연구의 방향 16
1.3. 연구의 범위 16
II. 국가지도집 제작 현황 분석 18
2.1. 국내 국가지도집, 지리부도 등의 제작 현황 분석 18
2.1.1. 국내 국가지도집 18
2.1.2. 국내 지리부도 28
2.2. 해외 주요 선진국의 국가지도집 제작 현황 분석 36
2.2.1. 국가지도집의 역사 및 등장 배경 36
2.2.2. 각국의 국가지도집 갱신의 목적과 진행 과정 39
2.2.3. 국가별 제작 기관의 특성 및 추진 체계 42
2.2.4. 국가별 국가지도집의 주요 내용 및 구성 51
2.3. 선진화된 국가지도집 제작의 시사점 도출 67
2.3.1. 우리나라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지도집 제작 69
2.3.2. 주제별 분권 체계 구성 70
2.3.3. 국가지도집 발간 사업 추진 체계의 시사점 88
III. 인문지리 항목의 구성 방안과 지도학적 제작방향 93
3.1. 국가지도집의 구성 방안 도출 93
3.2. 국가지도집의 지도학적 제작 방향 135
IV. 자연지리 항목의 구성 방안과 지도학적 제작방향 151
4.1. 국가지도집의 제작 현황 분석 151
4.1.1. 국내 국가지도집 자연지리 분과 항목 분석 151
4.1.2. 해외 주요 선진국의 국가지도집 제작 현황 및 시사점 분석 158
4.2. 국가지도집 관련 기관별 조사 162
4.2.1. 국토지리정보원 162
4.2.2. 농업과학원 163
4.2.3. 산림과학원 164
4.2.4. 기상청 165
4.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67
4.2.6. 국립해양조사원 168
4.2.7. 국립환경과학원 169
4.2.8. 한국수자원공사/국토해양부 171
4.3. 국가지도집 자연지리분과 구성 방안 도출 173
4.3.1. 삭제항목 173
4.3.2. 조정항목 174
4.3.3. 신규항목 177
4.3.4. 국가지도집 구성항목 179
4.3.5. 추가 방안 187
4.4. 지도표현기법의 개선 189
V. 국가지도집 서비스 및 활용 고도화 방안 194
5.1. 국가지도집의 서비스 고도화에 대한 의견조사 194
5.1.1. 조사 목적 및 대상 194
5.1.2. 조사 항목 195
5.1.3. 조사 결과 196
5.1.3. 종합 및 시사점 205
5.2 온라인 및 오프라인 방식의 국가지도집 제작 방안 208
5.2.1. 온라인, 오프라인 국가지도집 제작현황분석 208
5.2.2. 국가지도집 제작 방안 수립시 고려 사항 250
5.2.3. 국가지도집 제작 방안의 방향과 프레임워크 252
5.3. 국가지도집 활용 고도화 방안 256
5.3.1. 국가지도집 활용고도화를 위한 현황분석 256
5.3.2. 국가지도집 활용고도화전략 277
5.4. 국가지도집의 연계방안 282
5.5. 국가지도집의 국내외 배포 및 홍보방안 285
VI. 국가지도집의 장단기 추진계획 290
6.1. 중장기 추진 계획의 배경 및 목적 290
6.1.1. 국가적 차원의 영토 권한과 책임의 공식화 290
6.1.2. 국토지리정보원의 핵심 사업화 290
6.1.3. 국가지도집 발간의 조직화 291
6.2. 중장기 추진 계획을 위한 전략 292
6.2.1. 국가지도집의 발간 주기 설정 292
6.2.2. 선진국형 국가지도집 모형 개선 293
6.2.3. 융합형 한국지리사업과의 연계 및 발전 방향의 추진 294
6.3. 중장기 사업추진 안 294
6.3.1. 2007년 1판 발행-1권 1집 '지도첩 모형' 294
6.3.2. 2013년 2판 발행-3권 1집 '지도첩 모형' 295
6.3.3. 2108년 3판 발행-10권 1집 '지도첩 모형' 296
6.4. 국가지도집 제작의 목표 및 방향설정 298
6.5. 갱신되는 국가지도집 제작관련 추진과제 도출 299
6.5.1. 국가지도집의 안정적이고 주기적인 발간을 위한 제도마련 299
6.5.2. 출판용 국가지도집 관련 개선사항 300
6.5.3. 온라인 국가지도집 제작 304
6.5.4. 초·중·고등학교 수준에서 사용가능한 지도집과 활동자료 제작 및 제공 305
6.5.5. 지도기반으로 다양한 자류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품 서비스로 발전 310
6.5.6. 국가기관 사이트들과의 유기적 연계를 통한 홍보 강화 312
6.6. 국가지도집 제작의 단계별 추진계획 314
6.6.1. 국가지도집 제작의 단기적 추진계획 314
6.6.2. 국가지도집 제작의 장기적 추진계획 315
VII. 결론 316
부록 322
부록 1. 외국 아틀라스의 자연지리관련 항목의 비교평가 322
부록 2. 각 기관별 국가지도집 세부 평가 및 요구사항 326
부록 3. 국가지도집 서비스의 개선과 활용 제고를 위한 설문 조사 344
부록 4. 국토통계지도 목록 385
부록 5. 학교아틀라스와 국가지도집의 지도구성 비교표 394
부록 6. 국가지도집 갱신 발간을 위한 법적 근거의 마련 399
부록 7. 갱신 국가지도집의 발간 체제 방안 406
판권기 409
그림 2.1. 대한민국국가지도집 22
그림 2.2. 대한민국 국가지도집과 국가지도집 영문축소보급판 책자 발간 규격 비교 23
그림 2.3. 국가지도집 E-Atlas의 서비스 목록 26
그림 2.4. 국가 지도집 E-Atlas 홈페이지 27
그림 2.5. 1권 1집 단행본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52
그림 2.6. 다권 형식의 지도첩 모형 (5권1집 중국 국가지도집) 53
그림 2.7. 다권 지도집 모형 국가지도집 (좌: 프랑스 / 우: 독일) 54
그림 2.8. 다권 지도집 모형 (스웨덴(좌), 독일(우) 지도집) 54
그림 2.9. 일본 아틀라스의 예 (지도 표현) 56
그림 2.10. 일본 아틀라스의 예(지도 구성 및 그래프) 58
그림 2.11. 독일 국가지도집 표지 (총 12권) 71
그림 2.12. 독일 아틀라스의 예(그래프 및 색상) 72
그림 2.13. 독일 아틀라스의 예(심볼 및 고지도, 항공사진) 72
그림 2.14. 독일 아틀라스의 예(항공사진 활용) 73
그림 2.15. 스웨덴 국가지도집 표지(현재 19권 발행) 79
그림 2.16. 스웨덴 국가지도집의 예(저자 및 표현법) 79
그림 2.17. 스웨덴 국가지도집의 예(사진 및 그림) 80
그림 2.18. 스웨덴 국가지도집의 예(3차원 표현 및 투영법 활용) 81
그림 3.1. 기존 국가지도집의 중분류 별 첫 두 페이지의 레이아웃 112
그림 3.2. 기존 국가지도집의 중분류 별 나머지 페이지의 레이아웃 113
그림 3.3. 주제별 두 페이지 레이아웃 구성 131
그림 3.4. 카토그램 지도집의 예 137
그림 3.5. ScapeToad로 작성한 경남, 부산시, 울산시 인구 분포 카토그램 141
그림 3.6. 대시메트릭 매핑의 사례 142
그림 3.7. 이변량 단계구분도의 예 145
그림 3.8. 다변량 점 기호의 예 147
그림 3.9. Spinelli and Zhou(2004)의 변수별 Chernoff face 심볼 디자인 148
그림 3.10. 3차원 다변량 주제도 149
그림 3.11. 프리즘 지도 150
그림 4.1. 국토지리정보원 온라인 지도서비스 '국토포털' 162
그림 4.2. 농업과학원 온라인 지도서비스 '흙토람' 163
그림 4.3. 산림과학원 온라인 지도서비스 '산림공간정보서비스' 165
그림 4.4. 한국기후도 on-line 서비스자료 166
그림 4.5. 태풍연구센터 온라인 서비스 167
그림 4.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정보시스템 168
그림 4.7. 국립해양조사원 해도/주제도 서비스 169
그림 4.8. 환경부 공간정보서비스 EGIS 170
그림 4.9. 한국수자원공사 on-line 지도서비스... 171
그림 4.10.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 on-line 지도서비스... 172
그림 5.1. 연구 흐름도 194
그림 5.2. 국가지도집 서비스 고도화 조사 항목 196
그림 5.3. 국가지도집과 다른 지도 서비스 인지도 198
그림 5.4. 국가지도집과 다른 지도 서비스의 유용성 198
그림 5.5. 국가지도집 서비스 유용성 설문 199
그림 5.6. 국가지도집 오프라인 서비스 개선도 200
그림 5.7. 국가지도집 온라인 서비스 개선도 200
그림 5.8. 바람직한 국가지도집 서비스 방식 201
그림 5.9. 바람직한 국가지도집의 내용 구성 201
그림 5.10. 국가지도집의 활용 분야 202
그림 5.11. 국가지도집 서비스 개선 방안 203
그림 5.12. 국가지도집 오프라인 서비스 포트폴리오 204
그림 5.13. 국가지도집 온라인 서비스 포트폴리오 205
그림 5.14. 개선/요구사항 분석 결과 208
그림 5.15. 미국 국가지도집의 온라인 사이트 209
그림 5.16. Map Maker의 초기 기본 지도 210
그림 5.17. 도시를 경계선으로 지정하고 농업- 밀 생산량을 나타내는 지도 211
그림 5.18. 미국 밀 생산지역의 분포도 211
그림 5.19. 미국 소의 분포도 212
그림 5.20. 밀 분포 레이어와 소 분포 레이어의 중첩 212
그림 5.21. 출력용 미국 전역의 기후도 213
그림 5.22. 캘리포니아의 지역 지도 213
그림 5.23. 미국의 산림분포 벽걸이 지도 214
그림 5.24. Tapestry of Time and Terrain와 관련된 지도퍼즐 215
그림 5.25. 알래스카의 화산 지형을 보여주는 동적 지도 215
그림 5.26. 얼룩말 홍합의 확산에 관한 동적 지도(1988년~2010년) 216
그림 5.27. 캐나다 온라인 국가지도집 사이트 217
그림 5.28. Environment- Climate 의 강설량 지도(좌), 강수량 지도 (우) 218
그림 5.29. 지역별 검색으로 본 토론토의 강설량 지도 218
그림 5.30. 일본의 국가지도집 서비스 219
그림 5.31. 역사 유적지를 그림 지도 위에 기호로 링크 220
그림 5.32. 메뉴 주제 또는 숫자에 링크된 데이터 정보 220
그림 5.33. 8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해당 정보 제공 221
그림 5.34. 도호쿠 지역의 주제별 지도 221
그림 5.35. 스웨덴 국가지도집의 웹 서비스 222
그림 5.36. 스페인 국가지도집의 웹 서비스 223
그림 5.37. 독일의 국가지도집의 웹 서비스 224
그림 5.38. 멕시코의 온라인 국가지도집 소개 225
그림 5.39. '독일의 중심은 어디인가'에 대한 기사와 지도 225
그림 5.40. 독일의 지질도 226
그림 5.41. 미국의 바람지도를 보여주는 독일의 국가지도집 226
그림 5.42. 지도 투영법에 대한 풍자를 담은 만화 227
그림 5.43. 종합적인 국토정보를 제공하는 국토포털 사이트 237
그림 5.44.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인터넷 서비스 238
그림 5.45.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고용률 지도 238
그림 5.46. 국토통계 노령화지수 지도 239
그림 5.47. 마커 사용하는 미국 동적 지도 240
그림 5.48. 얼룩말 홍합 확산 동적 지도 241
그림 5.49. 화산지형 동적지도 241
그림 5.50. 화산지형 동적지도 242
그림 5.51. 화산지형 동적지도 242
그림 5.52. 음영기복 동적 지도 243
그림 5.53. 테피스트리 243
그림 5.54. 식물성장 동적 지도 244
그림 5.55. 플래시 형태의 동적 지도 244
그림 5.56. 미국의 바람지도를 보여주는 독일의 국가지도집 245
그림 5.57. 독일보육상태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 독일의 국가지도집 246
그림 5.58. 미국의 지도와 최신 기사에 대한 빠른 갱신 주기 247
그림 5.59. 지진분포지도(좌) 와 카르스트지형지도(우) 248
그림 5.60. 밀 재배 분포지도(좌)와 소 분포지도(우)를 중첩시킨 지도 248
그림 5.61. 지도에 활용된 자료에 대한 접근 249
그림 5.62. 국가지도집 제작 방안 수립시 고려사항 250
그림 5.63. 오프라인 방식의 국가지도집 지도 제작 과정의 예 253
그림 5.64. 오프라인 방식과 온라인 방식의 지도의 일관성, 호완성 유지 255
그림 5.65. 부처별 수요에 따라 통계자료를 제공하는 몇몇 중앙정부 사이트 258
그림 5.66.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개념도 259
그림 5.67.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시스템 구조 259
그림 5.68. 국가지도집에 포함되지 않은 국토정보의 서비스(예) 277
그림 5.69. 공간 정책 지원을 위한 국가지도집 활용(예시) 278
그림 5.70. 교육 분야에 대한 국가지도집의 활용(예시) 279
그림 5.71. 교육 분야에 활용가능한 국가지도집 서비스 프로세스(예시) 280
그림 5.72. 연구 분야에 활용가능한 국가지도집 서비스 프로세스(예시) 281
그림 5.73. 국가지도집의 다양한 부문과의 연계성 강화 방안 282
그림 5.74. 국가지도집의 타 지도 서비스와의 연계성 강화 방안 284
그림 5.75. 국가지도집의 배포 계획 및 주요 대상 286
그림 5.76. 국가지도집의 국내외 배포 계획 288
그림 6.1. 5권 1집 형식의 중국국가지도집 295
그림 6.2. 국가지도집 모형 (좌: 프랑스, 우: 독일) 296
그림 6.3. 국가지도집 모형(스웨덴) 297
그림 6.4.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시 영향을 받는 지역에 대한 분석결과를 동영상으로... 307
그림 6.5. 구글어스를 교육과 연계하여 활용한 사례... 308
그림 6.6. 구글어스 중첩 사례: 기후변화 학습에서 지구온난화에 의한 빙하 후퇴 309
그림 6.7. www. earthatlas. info 309
그림 6.8. 공공정보개방과 활용을 지원하는 정부정책과 관련기관 311
그림 6.9. 국내의 데이터공유를 지원하는 대표사이트 311
그림 6.10. 구글의 Fusion table 서비스 기능 312
그림 6.11. 구글의 Public Data Explorer서비스 기능 31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853390 | 526 -1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1853391 | 526 -13-1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