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농가소득정책의 선진방향 3

1. 연구의 목적 3

2. 연구 추진체계 4

3. 연구자료 및 방법 4

II. 농가소득 분포 5

1. 농가 간 소득격차 실태 5

1.1. 분석 대상 농가의 특성 5

2. 농가 특성별 소득 분포 8

3. 저소득농가의 농가경제 실태 9

3.1. 저소득농가의 정의 9

3.2. 저소득농가의 특성 10

4. 저소득농가의 소득 실태 11

4.1. 농가소득원 11

4.2. 이전수입 및 공적보조 12

5. 저소득농가의 농가부채 실태 13

5.1. 농가부채 현황 13

5.2. 농가부채 상환능력 13

III. 농가소득보전 및 농가소득 안정망 대책 평가 15

1. 추진체계 평가 15

1.1. 재정투입 실적 15

1.2. 추진체계 평가 15

2. 주요 소득보전정책 평가 16

2.1. 직접지불제 16

2.2. 농작물 재해보험 18

2.3. 농가부채대책 20

2.4. 노령농가 소득보장정책 21

3. 쌀 농가 소득·경영안정 대책 필요성 23

3.1. 쌀협상 23

3.2. 쌀가격과 소득의 문제 25

3.3. 현행 쌀농가 소득지원 정책의 한계 26

3.4. 소득·경영안정 대책 필요성 29

IV. 외국의 소득안정 대책과 시사점 30

1. 미국 30

1.1. 직접지불제 30

1.2. 융자제도 34

2. 유럽연합(EU) 35

2.1. 목표가격으로 소득 지지 35

2.2. 단일지불 36

2.3. 보상 지불 36

2.4. 수매제도 37

3. 일본 38

4. 시사점 40

V. 한국 농가소득 안정정책 방향 41

1. 농가소득 안정정책 41

1.1. 농가소득 안정정책의 원칙과 성질 41

1.2. 농가소득 안정정책의 유형 41

VI. 선진국의 소득정책 논의 동향과 시사점 49

1. 문제제기 49

2. 선진국의 농가소득정책 49

2.1. 미국의 농가소득정책 49

2.2. EU의 농가소득정책 51

2.3. 일본의 농가소득정책 52

3. 한국 농정에의 시사점 54

3.1. 직접지불제의 정책 목적과 이행기간 54

3.2. 직접지불제의 생산중립적 설계 54

3.3. 직접지불제의 법제화, 행정비용 및 자본화 문제 55

VII. 직불제의 효과와 한계 56

1. 직불제의 개념과 유형 56

2. 직불제의 타당성 논리 57

2.1. 소득의지지, 안정화 57

2.2. 구조조정의 촉진 57

2.3. 다기능성(외부성) 제고 57

3. 현 직불제 체계의 한계와 문제점 57

3.1. 소득의 보전, 안정화 57

3.2. 구조조정의 촉진 59

3.3. 다기능성(외부성) 제고 59

3.4. 농업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직불제의 한계 60

3.5. 소득분배 효과와 소득이전효율성 60

4. 개선의 과제 61

4.1. 소득의 보전, 안정화 61

4.2. 구조조정 수단으로서 직불제 재검토 62

4.3. 다기능성(외부성) 제고 63

이용현황보기

농가소득정책에 관한 보고서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863765 328.331 -13-76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