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행 이동 동사의 낱말밭 연구 | 김혜령, 정유남, 황림화>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3. 평행 이동 동사의 기본 의미 4. 평행 이동 동사의 낱말밭 5. 결론 |참고문헌|
대상 이동 동사의 낱말밭 연구 | 정연주, 이영제, 이화자 >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1. 연구 대상 2.2. 단어 선정 3. 대상 이동 동사의 기본 의미 4. 목표점이 있는 대상 이동 동사의 낱말밭 4.1. 도달점에 초점이 있는 대상 이동 동사 4.2. 출발점에 초점이 있는 대상 이동 동사 4.3. 이동 과정에 초점이 있는 대상 이동 동사 4.4. 정리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통증(痛症) 표현 형용사의 낱말밭 연구 | 이선우, 송금숙, 이선영> 1. 서 론 1.1. 연구 목적 및 대상 1.2. 선행 연구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3. 통증 표현 형용사의 기본 의미 4. 통증 표현 형용사의 낱말밭 5. 결 론 |참고문헌|
평가형용사의 낱말밭 연구 | 권용문> - 미추(美醜) 표현 -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3. 미추 표현 평가형용사의 기본 의미 4. 미추 표현 평가형용사의 낱말밭 4.1. 미 표현 평가형용사의 낱말밭 나누기 4.2. 추 표현 평가형용사의 낱말밭 나누기 4.3. 미추 표현 평가형용사 낱말밭의 형상화 5. 결론 |참고문헌|
국어 음식 용기 명칭의 낱말밭 연구 | 김지애, 니콜라, 유민호 >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3. 음식 용기 명칭의 기본 의미 4. 음식 용기 명칭의 낱말밭 5. 결론 |참고문헌|
한국어와 이탈리아의 낱말밭 비교 연구 | 니콜라 프라스키니> - 음식 용기를 나타내는 어휘를 중심으로 -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1. 한국어 연구 대상 목록 2.2. 이탈리아어 연구 대상 목록 3. 연구 대상의 기본 의미 3.1. 한국어 대상 어휘의 기본 의미 3.2. 이탈리아어 대상 어휘의 기본 의미 4. 음식 용기를 나타내는 어휘의 낱말밭 4.1. 음식 용기를 나타내는 한국어 어휘의 낱말밭 4.2. 음식 용기를 나타내는 이탈리아어 어휘의 낱말밭 4.3. 음식 용기를 나타내는 한국어와 이탈리아어 어휘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현대 한국어 요리 명사의 낱말밭 연구 | 장미정, 정미경>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1. 대상 및 범위 한정 2.2 대상 어휘 선정 과정 3. 요리 명사의 기본 의미 4. 요리 명사의 낱말밭 4.1. 의미 자질의 설정 4.2 요리 명사의 낱말밭 5. 결론 |참고문헌|
상징부사의 낱말밭 연구 | 김성은, 신우봉, 이경> - 걷는 모양과 뛰는 모양을 중심으로 - 1. 서론 2. 연구의 대상 및 범위 2.1. 연구의 대상 2.2. 선행연구 2.3. 연구 대상 목록의 선정 2.3.1. 선정 기준 3. 걷는 모양과 뛰는 모양 상징 부사의 기본의미 4. 걷는 모양과 뛰는 모양 상징 부사의 낱말밭 4.1. 의미 분석 및 자질 설정 4.2. 낱말밭 모형 및 수형도 5. 결론 |참고문헌|
섭취동사의 낱말밭 | 장옥진> 1. 서론 2. 연구 대상의 선정 3. 섭취 동사의 의미 분석 4. 섭취동사의 낱말밭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용현황보기
의미 자질 기반 현대 한국어 낱말밭 연구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870659
411.4 -13-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870660
411.4 -13-1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머리말]
한 언어 안에서 어휘가 이루고 있는 구조를 밝히려는 시도는 방법론에 있어서 밭 이론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나의 밭을 이룰 수 있는 단어들은 어떤 의미적 공통성을 지니는 것으로서, 하나의 밭은 그 밭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단어들이 공통으로 갖는 의미적 개념을 표현하고 있으므로 단어는 이 개념이 구체적으로 구현된 것이다. 한 어휘 집단이 이루는 밭은 그 내부에 세부적 집단을 이루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세부적인 밭은 부분 밭이라고 불린다. 따라서 밭 이론은 계층적인 성격을 띠게 되고 수많은 단어가 최하위 계층의 부분 밭을 수없이 많이 이룰 것이므로 이 부분 밭들은 다시 이보다 더 포괄적인 부분 밭들에 의해 통합되고, 이러한 작업은 계층적으로 계속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최고위 계층의 하나의 밭에 통합될 것이다. 이것은 바로 한 언어의 어휘 전체의 조직적 관계를 한 눈에 보여 준다. 이러한 구조는 어휘의 하의 관계로 표시되는데, 이런 방법으로 밭과 부분 밭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세워질 수 있는 하의 관계의 개념을 써서 한 언어의 어휘를 총망라하여 결국 하나의 밭으로 통합시켰을 때 이것은 그 언어 어휘 전체의 구조를 밝히는 셈이 된다. 이런 측면에서 밭 이론은 어휘 체계 수립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국어의 경우는 1980년대 이후 소수의 학자들에 의해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학계 전반에 걸쳐서는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는 연구 대상이 방대한 어휘라는 점과 그 체계 수립의 기준이 추상적인 의미라는 점에서 말미암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게다가 단어들의 의미적 관계를 규명하는 기준이 주관적이라는 비판을 극복하지 못함으로써 이 방면의 연구는 더욱더 위축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학 전공에서는 2008년 제2학기에 ‘국어 내용론 연구’를 개설하였다. 이 강의에서 먼저 학생들은 낱말밭 이론과 의미의 성분분석에 관한 이론서를 섭렵하였으며, 각각의 주제에 해당하는 선행 연구를 정리하여 발표하였다. 다음으로는 어휘의 의미 체계 수립에서 전제가 되는 기준 의미를 평정하였으며, 그 의미의 성분인 의미 자질을 찾아내어 단어들의 관계를 규명하도록 하였다. 책 제목에 ‘의미 자질 기반’을 붙인 것은 바로 이러한 방법론을 부각하고자 한 것이며, 한 편의 논문에 공동 집필을 꾀한 것은 낱말밭 연구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주관적 판단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함이었다. (하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