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한국정치와 시민사회 : 김대중·노무현의 10년 / 시미즈 도시유키 지음 ; 백계문 옮김 인기도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 한울, 2013
청구기호
320.951 -14-5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형태사항
445 p. ; 24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 1647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46056473
제어번호
MONO1201401514
주기사항
원표제: 韓国政治と市民社会 : 金大中·盧武鉉の10年
부록: 1. 12개의 연대형 운동조직에 참여한 단체 ; 2.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간부 경력 보유자와 정부조직의 직책 경력 ; 3. 참여연대의 간부 경력 보유자와 정부조직의 직책 경력 외

목차보기더보기


제1장 개념적 틀거리

제1절 시민사회와 사회운동을 둘러싼 논의들
제2절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적 접근법
제3절 이 책의 개요

제2장 시민사회의 조직적 분포와 ‘시민운동’의 탄생
제1절 시민사회의 조직적 분포
제2절 ‘시민운동’의 탄생과 그 후

제3장 시민사회와 ‘제도화’
제1절 시민사회의 정치적 아이덴티티
제2절 시민단체와 포섭
제3절 낙선운동의 당파성

제4장 김대중 정부의 대(對)시민사회 전략
제1절 김대중 정부와 제2의 건국운동
제2절 김대중 정부와 낙선운동
제3절 김대중 정부의 사회보장정책과 시민단체

제5장 정당과 시민사회
제1절 국회의원 후보자의 충원과 시민사회
제2절 노무현 대통령의 정당 개혁
제3절 선거와 재편성

결론

부록 112개의 연대형 운동조직에 참여한 단체
부록 2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간부 경력 보유자와 정부조직의 직책 경력
부록 3참여연대의 간부 경력 보유자와 정부조직의 직책 경력
부록 4총선시민연대 간부들의 경력
부록 5국회의원선거 입후보자들의 사회운동 경력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883223 320.951 -14-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883224 320.951 -14-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900269 320.951 -14-5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0001900270 320.951 -14-5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P.91] 서경석이 ‘정파운동’을 제창하게 된 이유는, 당파적 활동과 선을 긋기는 했으나 정부나 정당에 개혁을 요구하는 정치적 지향성이 강하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정치판의 권력투쟁에도 관여할 마음을 먹었기 때문이다. 비당파성과 당파성 사이에 경계선을 설치하긴 했으나 그의 강한 정치 지향성이 그로 하여금 경계선을 뛰어넘어 권력투쟁의 행위자(actor)가 되게 만든 것이다. 이것은 특수한 사고나 행동이 아니라 한국의 ‘시민운동’에서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서경석이 일으킨 ‘시민운동’의 변화의 물결은 재야 운동권에도 영향을 미쳐 방향 전환을 하는 단체들이 나타났다. 그 방향 전환이란 새로 등장한 ‘시민운동’을 의식하여 그때까지의 급진적인 이념과 활동에 궤도 수정을 하는 것이었다.

    [P. 164] 2000총선연대는 많은 시민단체의 지지와 협력을 얻음으로써 자원 동원이 가능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다음과 같은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총선연대는 대중적인 조직 기반을 가진 민주노총과 전농(전국농민회총연맹)에 대해 민노당 지지를 이유로 가입을 거부했고, 또 그 참여단체의 다수가 단지 명의대여 수준의 협력을 하는 데 그쳤기 때문에 실제 활동에서 늘 자원 부족에 시달려야 했다. 총선연대의 실무자에 의하면 “결국 몇몇 주축 참여단체의 핵심 활동가 20∼30명을 동원해 기자회견 등 언론의 조명을 받는 사업을 계속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라고 한다. 총선연대는 낙천자 명단을 발표함으로써 국민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늘 ‘인원 동원의 저조’에 시달려야 했고 ‘국민운동을 전개할 수 있는 국민적 기반을 조직하는 과제’를 계속 강조하고 다녀야 했다.

    [P. 215] 김대중 정부는 제2의 건국운동을 일으키기 위해 시민단체들을 끌어들이려 했다. 김대중 대통령에게는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지지 기반을 확대해야 할 절박한 사정이 있었을 것이나,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한상진이 말하듯이 “시민운동을 다루는 세련된 감수성과 자세가 요구된다”. 제2의 건국운동을 기획·추진한 사람들에게는 ‘세련된 감수성’이 결여되어 있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제2의 건국운동의 완전 실패는 김대중 대통령과 그의 측근들에게 좋은 학습기회가 되었다. 이 경험은 2000년의 낙선운동에 대한 대응에서 되살아났다. 이와 관련해 간과해선 안 될 것은 제2의 건국운동을 일으킬 즈음 김대중 정부가 수립한 시민단체들에 대한 지원책이다. 그 지원책이란 ‘정치적·사회적 참여 채널’의 확대와 보조금 지급의 법제화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