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Post-2012 대응 산림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및 탄소계정 체계 개발 / 산림청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산림청, 2013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477 p. : 삽화,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410388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국립산림과학원
주관연구책임자: 이경학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요약서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3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3

제2절 연구의 범위 35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7

제1절 국외 기술 개발 현황 39

제2절 국내 기술 개발 현황 40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43

〈제1세부과제 : 국제회의 논의 동향 및 주요국 대응 분석〉 45

제1절 Post-2012 관련 산림부문 통계 국제지침 동향 분석 45

제2절 주요국의 사례 분석 57

〈제2세부과제 : 국가 고유 흡수/배출계수 정립〉 65

제1절 바이오매스 관련 흡수/배출계수 65

제2절 산불에 따른 Non-CO₂ 배출계수 80

〈제3세부과제 : 산림 활동자료 정립〉 85

제1절 산림관련 토지이용 현황 및 변화 자료 85

제2절 임목 축적 현황 및 변화 자료 108

제3절 산불 피해 면적 및 축적 자료 111

제4절 산림경영율 추정 방안 도출 137

〈제4세부과제 : 산림 토양탄소모델 개발〉 167

제1절 선진국 범용 모델의 검토 168

제2절 한국형 산림토양탄소모델 개발 181

제3절 고유 파라미터 개발 201

제4절 모델의 적용 및 결과 218

〈제5세부과제 : Cross-cutting Issues〉 243

제1절 흡수/배출계수 및 배출량 불확도 평가 체계 구축 243

제2절 시계열 일관성 유지를 위한 재계산 체계 구축 251

제3절 신뢰도 제고를 위한 QA/QC 활동 체계 구축 260

〈제6세부과제 : 지자체 온실가스 인벤토리 체계 구축〉 271

제1절 지자체별 온실가스 기본 통계 현황 271

제2절 지자체별 온실가스 통계량 279

제3절 산림부문 온실가스 통계량 분포 지도 작성 307

제4절 지자체 산림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 매뉴얼 작성 및 보급 310

〈제7세부과제 :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 및 산림 탄소배출권 잠재력 분석〉 311

제1절 UNFCCC 대응 산림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 311

제2절 Post-2012 대응 산림부문 탄소배출권 잠재력 분석 335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345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349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353

제7장 참고문헌 359

부록 30

[부록 3.1-1] 비부속서 I 국가들의 국가보고서 제출 현황(2013. 2. 26. 기준) 367

[부록 3.1-2] 토지이용, 토지이용변화 및 임업(Decision 2/CMP.7) 371

[부록 3.1-3] 토지이용, 토지이용변화 및 임업(Decision 2/CMP.6) 381

[부록 3.1-4] IPCC LULUCF 우수실행지침 개정판 발간 작업 관련(2013.2.26. 기준) 387

[부록 3.5-1] 산림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총괄관리규정 제정 건의 393

[부록 3.5-2] QC 결과보고서 407

[부록 3.5-3] QA 결과보고서 417

[부록 3.6-1] 지자체 산림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 매뉴얼 427

[부록 3.7-1] 산림부문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방법 개정 건의 445

[부록 3.7-2] 제3차 국가보고서 발간(국문/영문, 2012.12. 발간) 449

[부록 3.7-3] Post-2020 탄소배출권 획득을 위한 산림경영기준선 선정 건의 469

연구개발보고서 초록 475

〈표 2-1〉 산림부문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련 연구 주요 성과 40

〈표 3.1-1〉 LULUCF 계정 지침의 주요 개정 내용 48

〈표 3.1-2〉 부속서 I 국가들의 산림경영기준선 설정에 적용된 다양한 방법 50

〈표 3.1-3〉 주요 부속서 I 국가의 LULUCF분야 2006 GL 적용 현황 57

〈표 3.1-4〉 주요 부속서 I 국가의 산림지범주 주요 흡수/배출계수 적용 현황 58

〈표 3.2-1〉 수종별 흡수/배출계수 68

〈표 3.2-2〉 도시녹지 수목의 탄소 배출계수 69

〈표 3.2-3〉 흉고직경을 이용한 수종별 전 부위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의 파라미터와 결정계수 71

〈표 3.2-4〉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한 수종별 전 부위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의 파라미터와 결정계수 72

〈표 3.2-5〉 맹종죽림 임황 73

〈표 3.2-6〉 왕대림 임황 73

〈표 3.2-7〉 솜대림 임황 73

〈표 3.2-8〉 죽종별 바이오매스 추정식 파라미터 74

〈표 3.2-9〉 죽종별 ㏊당 지상부 바이오매스 추정 75

〈표 3.2-10〉 죽종별 ㏊당 지하부 바이오매스 추정 75

〈표 3.2-11〉 도시수목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 개발을 위한 대상 수목, 유형, 본수 78

〈표 3.2-12〉 수종별 추정 방법의 차이에 따른 탄소저장량 비교 79

〈표 3.2-13〉 GPG-LULUCF에 제시된 연소효율 기본값 80

〈표 3.2-14〉 GPG-LULUCF에 제시된 배출계수 기본값 81

〈표 3.2-15〉 부위별 탄소 배출량 82

〈표 3.3-1〉 신규조림/재조림 면적(기본통계) 85

〈표 3.3-2〉 산림전용 면적(임업통계연보) 85

〈표 3.3-3〉 토지피복지도의 토지이용변화 매트릭스 (2001-2009) 87

〈표 3.3-4〉 항공사진 판독에 의한 토지이용변화(1992-2003) 88

〈표 3.3-5〉 산림항공사진 DB 구축 현황 89

〈표 3.3-6〉 2011~2012년 구축 산림항공사진 DB 현황 90

〈표 3.3-7〉 환경부 토지피복지도 구축현황 92

〈표 3.3-8〉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별 개요 92

〈표 3.3-9〉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 94

〈표 3.3-10〉 토지이용현황도 분류체계 97

〈표 3.3-11〉 임종구분 99

〈표 3.3-12〉 임상정보(Sang) 99

〈표 3.3-13〉 경급정보(Kung) 100

〈표 3.3-14〉 영급정보(Yung) 100

〈표 3.3-15〉 소밀도정보(Mildo) 100

〈표 3.3-16〉 표본점의 지목별 분포 현황 101

〈표 3.3-17〉 IPCC 토지이용 항목에 따른 지목기반의 구분 및 항공사진과의 비교 102

〈표 3.3-18〉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한 양평군의 산림면적 추출 105

〈표 3.3-19〉 환경부 토지피복지도의 정확도 평가 106

〈표 3.3-20〉 항공사진을 이용한 임상도의 정확도 평가 107

〈표 3.3-21〉 2010년도 전국 및 지자체별 임상별 임목축적 108

〈표 3.3-22〉 2010년도 전국 수종별 임목축적 109

〈표 3.3-23〉 벌채, 교란(산불, 병해충 등), 연료재 등 손실량 110

〈표 3.3-24〉 실제 피해면적 보고 자료와 RS 분석자료의 비교 114

〈표 3.3-25〉 분류기법에 따른 포항산불 피해지역의 피해 강도변화 116

〈표 3.3-26〉 분류기법에 따른 산청산불 피해지역의 피해 강도변화 118

〈표 3.3-27〉 분류기법에 따른 울진산불 피해지역의 피해강도 변화 119

〈표 3.3-28〉 분류기법에 따른 고령산불 피해지역의 피해강도 변화 120

〈표 3.3-29〉 분류기법에 따른 영덕산불 피해지역의 피해강도 변화 121

〈표 3.3-30〉 분류기법에 따른 예천산불 피해지역의 피해강도 변화 123

〈표 3.3-31〉 피해강도 분석기법별 정확도 검증 결과 123

〈표 3.3-32〉 충남지역 소나무-참나무 임분의 영급-층위별 연소물량 125

〈표 3.3-33〉 강원지역 소나무-참나무 임분의 영급-층위별 연소물량 125

〈표 3.3-34〉 충북지역 소나무-참나무 임분의 영급-층위별 연소물량 128

〈표 3.3-35〉 경북지역 소나무-참나무 임분의 영급-층위별 연소물량 128

〈표 3.3-36〉 경남지역 소나무-참나무 임분의 영급-층위별 연소물량 131

〈표 3.3-37〉 전남지역 소나무-참나무 임분의 영급-층위별 연소물량 131

〈표 3.3-38〉 전북지역 소나무-참나무 임분의 영급-층위별 연소물량 134

〈표 3.3-39〉 경기지역 소나무-참나무 임분의 영급-층위별 연소물량 134

〈표 3.3-40〉 GPG-LULUCF상의 산림 경영 138

〈표 3.3-41〉 보호와 보전이 되고 있는 천연생림 면적 140

〈표 3.3-42〉 사유림의 조사대상지 수(2007~2010년) 141

〈표 3.3-43〉 사유림에서 시업인 확인된 조사구(총 조사구: 7,024, 2007년~2010년) 142

〈표 3.3-44〉 국유림에서 시업인 확인된 조사구(총 조사구: 9,807, 2007년~2010년) 143

〈표 3.3-45〉 일본의 육성림 산림경영율(2011년) 143

〈표 3.3-46〉 국유림경영정보시스템상의 경영정보 146

〈표 3.3-47〉 산림경영율 추정을 위한 시업종별 사업내역 자료 146

〈표 3.3-48〉 국유림경영정보시스템상의 경영정보 147

〈표 3.3-49〉 사유림경영정보DB구축사업 경영정보 148

〈표 3.3-50〉 임업통계연보 기준 국·사유림 경영정보 통합 149

〈표 3.3-51〉 시업림과 (시업)제한림의 산림경영면적 추정 150

〈표 3.3-52〉 정부 부처별 보호구역 지정현황 151

〈표 3.3-53〉 국유림경영정보시스템상의 경영계획구별 자료구축 시작년도 157

〈표 3.3-54〉 충청북도 국유림 최대시업면적 158

〈표 3.3-55〉 충청북도 사유림 최대시업면적 159

〈표 3.3-56〉 충청북도 제한림 면적 161

〈표 3.3-57〉 충청북도 사유림의 연도별 시업별 산입율 163

〈표 3.3-58〉 충청북도 사유림의 2010년도 누적 산입율 164

〈표 3.4-1〉 선진국 범용 모델의 일반적 특징 168

〈표 3.4-2〉 분해기작의 영향 요인 비교 174

〈표 3.4-3〉 검토 모델들의 입력 자료 비교 176

〈표 3.4-4〉 검토 모델들의 출력 결과 비교 177

〈표 3.4-5〉 국내 주요 수종 수간의 Gompertz 함수 파라미터 및 RMSE 185

〈표 3.4-6〉 각 수종별 평균 밀도 186

〈표 3.4-7〉 강원권역 참나무림 현지조사지들의 임황 및 지황 206

〈표 3.4-8〉 강원권역 소나무림 현지조사지들의 임황 및 지황 206

〈표 3.4-9〉 중부권역 참나무림 현지조사지들의 임황 및 지황 207

〈표 3.4-10〉 중부권역 소나무림 현지조사지들의 임황 및 지황 207

〈표 3.4-11〉 남부권역 참나무림 현지조사지들의 임황 및 지황 208

〈표 3.4-12〉 남부권역 소나무림 현지조사지들의 임황 및 지황 208

〈표 3.4-13〉 현장조사지 낙엽의 부위별 탄소농도 209

〈표 3.4-14〉 강원권역 낙엽의 부위별 및 총 유입량 210

〈표 3.4-15〉 중부권역 낙엽의 부위별 및 총 유입량 211

〈표 3.4-16〉 남부권역 낙엽의 부위별 및 총 유입량 211

〈표 3.4-17〉 현장조사지의 낙엽 분해상수 212

〈표 3.4-18〉 강원권역 영급·깊이별 토양탄소 저장량 213

〈표 3.4-19〉 중부권역 영급·깊이별 토양탄소 저장량 214

〈표 3.4-20〉 남부권역 영급·깊이별 토양탄소 저장량 215

〈표 3.4-21〉 현장조사지의 지상부유기물 탄소 저장량(표준편차) 217

〈표 3.4-22〉 현장조사지의 고사목 탄소 저장량 217

〈표 3.4-23〉 광릉 시험림 대상 조사구들의 특성 219

〈표 3.4-24〉 타당성 검토에 이용된 파라미터 219

〈표 3.4-25〉 개별수확 시나리오 하에서의 2010년 영급별 토양유기탄소 밀도 225

〈표 3.4-26〉 추정된 한국 소나무림의 지역·영급별 면적 226

〈표 3.4-27〉 주요 파라미터 추정 값 228

〈표 3.4-28〉 주요 입력변수(임령, 지위지수, 생장보정항) 229

〈표 3.4-29〉 추정방법에 따른 임상별 토양탄소 총량 및 밀도 238

〈표 3.5-1〉 불확도 조합 분석 접근방법의 수준체계 244

〈표 3.5-2〉 탄소배출계수 불확도 평가 248

〈표 3.5-3〉 산림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불확도 평가 250

〈표 3.5-4〉 재계산 방법의 적용 여건 및 적용 시 주의점 252

〈표 3.5-5〉 새로운 조사통계방법(NFI5)에 따른 기존 조사방법(NFI4) 활동자료(임목축적) 보정계수 256

〈표 3.5-6〉 임상별 임목축적(활동자료)의 재계산 추정치 257

〈표 3.5-7〉 임상별 흡수/배출계수의 국가고유값 및 IPCC 기본값 258

〈표 3.5-8〉 산림부문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총괄 관리에 관한 규정의 구성 262

〈표 3.5-9〉 산림부문 온실가스 인벤토리 총괄 관리체계의 세부분야별 기능 및 역할 266

〈표 3.6-1〉 지자체별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적용 가능한 활동자료 목록 271

〈표 3.6-2〉 지자체별 온실가스 인벤토리에 적용 가능한 흡수·배출 계수 목록 274

〈표 3.6-3〉 K-MRV 지침에 제시된 GPG-LULUCF 기본계수 275

〈표 3.6-4〉 현재 개발되어 검증 중인 흡수·배출 계수 276

〈표 3.6-5〉 산불 강도에 따른 연소효율 278

〈표 3.6-6〉 산불에 의한 Non-CO₂ 가스별 배출계수 278

〈표 3.6-7〉 지자체·연도별 산림 바이오매스 축적 증가에 의한 CO₂ 배출량 290

〈표 3.6-8〉 지자체·연도별 상업적 수확에 따른 바이오매스 손실에 의한 CO₂ 배출량 292

〈표 3.6-9〉 지자체·연도별 연료재 수집에 따른 바이오매스 손실에 의한 CO₂ 배출량 294

〈표 3.6-10〉 지자체·연도별 산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에 의한 CO₂ 배출량 296

〈표 3.6-11〉 지자체·연도별 산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에 의한 CH₄ 배출량 299

〈표 3.6-12〉 지자체·연도별 산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에 의한 N₂O 배출량 300

〈표 3.6-13〉 지자체·연도별 산림 병해충 및 자연재해에 따른 바이오매스 손실에 의한 CO₂ 배출량 302

〈표 3.6-14〉 지자체·연도별 불법 벌채에 따른 바이오매스 손실에 의한 CO₂ 배출량 304

〈표 3.7-1〉 1990~2010년도 LULUCF분야 온실가스별 배출량 및 흡수량 311

〈표 3.7-2〉 우리나라 주요 수종의 배출/흡수계수 318

〈표 3.7-3〉 산불 피해강도에 따른 우리나라 산림의 연소효율 321

〈표 3.7-4〉 산림부문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위한 연도별·흡수/배출원별 활동자료(1990~2010) 327

〈표 3.7-5〉 2010년도 우리나라 LULUCF분야 온실가스 인벤토리 CRF 329

〈표 3.7-6〉 2010년도 우리나라 산림지 범주 온실가스 인벤토리 CRF 330

〈표 3.7-7〉 2010년도 우리나라 산림지 및 기타 N 시비에 의한 직접 N₂O 배출 인벤토리 CRF 331

〈표 3.7-8〉 2010년도 우리나라 토양 및 습지의 배수에 의한 간접 CO₂ 배출 인벤토리 CRF 331

〈표 3.7-9〉 2010년도 우리나라 바이오매스 소각에 의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CRF 332

〈표 3.7-10〉 2010년도 우리나라 LULUCF분야 온실가스 인벤토리 요약 CRF 333

〈표 3.7-11〉 2010년도 우리나라 LULUCF분야 온실가스 인벤토리 요약 CRF 333

〈표 3.7-12〉 2010년도 우리나라 LULUCF분야 온실가스 인벤토리 방법론 요약 CRF 334

〈표 3.7-13〉 부속서 I 국가의 교토의정서 3.3조 및 3.4조 활동 선택 여부 및 보고 주기 336

〈표 3.7-14〉 국가별 산림경영기준선 설정 시 활용한 방법론 338

〈표 3.7-15〉 추정방법별 탄소배출권 잠재력 341

〈그림 3.1-1〉 비부속서 I 국가들의 온실가스 통계 보고 및 주기 46

〈그림 3.1-2〉 부속서 I 국가의 과거 자료에 따른 산림경영기준선과 제출한 산림경영기준선의 차 49

〈그림 3.1-3〉 부속서 I 국가의 산림경영기준선 기술평가 보고서(그리스 및 캐나다) 50

〈그림 3.1-4〉 불가항력적인 자연재해로 인한 배출량 제거 과정 51

〈그림 3.1-5〉 수확된 목제품의 탄소계정 산정 범위 52

〈그림 3.1-6〉 CBM CFS 모델 소개 자료 61

〈그림 3.1-7〉 CBM-CFS 모델의 탄소 저장고 개요 61

〈그림 3.1-8〉 일본의 산림경영을 통한 흡수량 추세 및 영급구조 63

〈그림 3.2-1〉 임목 생장량(축적)의 바이오매스 및 이산화탄소량 전환 과정 65

〈그림 3.2-2〉 표준 매뉴얼 및 흡수/배출계수 분석 처리 절차 67

〈그림 3.2-3〉 도시녹지 수목 재적 측정 방법 76

〈그림 3.2-4〉 소나무 지표층 샘플링 82

〈그림 3.2-5〉 10㎝x10㎝x5㎝(가로x세로x높이) 샘플링 82

〈그림 3.2-6〉 콘칼로리미터 82

〈그림 3.2-7〉 NDIR-Photon & PGD-100 82

〈그림 3.2-8〉 배출계수 분석 결과 83

〈그림 3.3-1〉 토지이용현황도(수치지도) 제작과정 96

〈그림 3.3-2〉 임상도 제작 연혁 98

〈그림 3.3-3〉 상관적 산림이용 구분체계도 103

〈그림 3.3-4〉 토지피복지도(2009)를 이용한 양평군의 산림지역 분포 105

〈그림 3.3-5〉 실제 산림인데 토지피복지도에서 비산림으로 구분한 지역. 해당 표본점이 위치한 지역을 '밭'으로 구분하였다. 106

〈그림 3.3-6〉 토지피복지도의 산림(침엽수림)으로 구분한 지역의 항공사진. 산림지역을 다소 넓게 구분하였다. 106

〈그림 3.3-7〉 산불발생위치정보시스템 구축(1991년 이후 산불 이력정보 기록) 111

〈그림 3.3-8〉 우리나라의 연대별 산불발생 현황 112

〈그림 3.3-9〉 대형산불 피해지 면적 및 강도 구분을 위한 위성영상자료 113

〈그림 3.3-10〉 dNDVI 분석에 의한 울진산불 피해지 강도변화 114

〈그림 3.3-11〉 감독분류와 무감독분류에 의한 울진산불 피해지 강도변화 (좌상에서 시계방향: MLC, MIN, ISODATA, K-means 기법) 115

〈그림 3.3-12〉 dNDVI 분석에 의한 포항산불 피해지 강도변화 115

〈그림 3.3-13〉 감독분류와 무감독분류에 의한 포항산불 피해지 강도변화 (좌측부터: MLC, MIN, ISODATA, K-means 기법) 116

〈그림 3.3-14〉 NDVI 및 NDVIpostfire 분석에 의한 산청산불 피해지 강도조사 및 변화 117

〈그림 3.3-15〉 감독분류와 무감독분류에 의한 산청산불 피해지 강도변화 (좌측부터: MLC, MIN, ISODATA, K-means 기법) 118

〈그림 3.3-16〉 NDVI 등의 분석에 의한 울진산불 피해지 강도변화 (좌측부터: NDVI, MLC, MIN, ISODATA, K-means 기법) 119

〈그림 3.3-17〉 NDVI 등의 분석에 의한 고령산불 피해지 강도변화 (좌측부터: NDVI, MLC, MIN, ISODATA, K-means 기법) 120

〈그림 3.3-18〉 NDVI 등의 분석에 의한 영덕산불 피해지 강도변화 (좌측부터: NDVI, MLC, MIN, ISODATA, K-means 기법) 121

〈그림 3.3-19〉 NDVI 등의 분석에 의한 예천산불 피해지 강도변화 (좌측부터: NDVI, MLC, MIN, ISODATA, K-means 기법) 122

〈그림 3.3-20〉 충남지역 산림내 연소물량 분포 및 연료지도 126

〈그림 3.3-21〉 충남지역 Total 바이오매스 126

〈그림 3.3-22〉 강원지역 Total 바이오매스 126

〈그림 3.3-23〉 충북지역 36조사구 영급별 임황 127

〈그림 3.3-24〉 경북지역 36조사구 영급별 임황 127

〈그림 3.3-25〉 충북지역 층위별 연료량 분포(좌측부터: 상층_줄기, 상층_가지, 상층_생엽, 중층) 129

〈그림 3.3-26〉 충북지역 층위별 연료량 분포(좌측부터: 관목, 낙엽, 낙지, 초본층) 129

〈그림 3.3-27〉 경북지역 층위별 연료량 분포(좌측부터: 상층_줄기, 상층_가지, 상층_생엽, 중층) 129

〈그림 3.3-28〉 경북지역 층위별 연료량 분포(좌측부터: 관목, 낙엽, 낙지, 초본층) 129

〈그림 3.3-29〉 충북지역 전체 연료량 분포 130

〈그림 3.3-30〉 경북지역 전체 연료량 분포 130

〈그림 3.3-31〉 경남지역 60조사구 영급별 임황 130

〈그림 3.3-32〉 전남지역 60조사구 영급별 임황 130

〈그림 3.3-33〉 경남지역 층위별 연료량 분포(좌측부터: 상층_줄기, 상층_가지, 상층_생엽, 중층) 132

〈그림 3.3-34〉 경남지역 층위별 연료량 분포(좌측부터: 관목, 낙엽, 낙지, 초본층) 132

〈그림 3.3-35〉 전남지역 층위별 연료량 분포(좌측부터: 상층_줄기, 상층_가지, 상층_생엽, 중층) 132

〈그림 3.3-36〉 전남지역 층위별 연료량 분포(좌측부터: 관목, 낙엽, 낙지, 초본층) 132

〈그림 3.3-37〉 경남지역 전체 연료량 분포 133

〈그림 3.3-38〉 전남지역 전체 연료량 분포 133

〈그림 3.3-39〉 전북지역 36조사구 영급별 임황 133

〈그림 3.3-40〉 경기지역 36조사구 영급별 임황 133

〈그림 3.3-41〉 전북지역 층위별 연료량 분포(좌측부터. 상층_줄기, 상층_가지, 상층_생엽, 중층) 135

〈그림 3.3-42〉 전북지역 층위별 연료량 분포(좌측부터: 관목, 낙엽, 낙지, 초본층) 135

〈그림 3.3-43〉 경기지역 층위별 연료량 분포(좌측부터: 상층_줄기, 상층_가지, 상층_생엽, 중층) 135

〈그림 3.3-44〉 경기지역 층위별 연료량 분포(좌측부터: 관목, 낙엽, 낙지, 초본층) 135

〈그림 3.3-45〉 전북지역 전체 연료량 분포 136

〈그림 3.3-46〉 경기지역 전체 연료량 분포 136

〈그림 3.3-47〉 사유림 경영정보DB 구축사업 연도별 계획 138

〈그림 3.3-48〉 기후현 연도별 시업별 산업율의 추이 145

〈그림 3.3-49〉 임의선택법 152

〈그림 3.3-50〉 계통추출법 153

〈그림 3.3-51〉 최대시업법의 개념도 153

〈그림 3.3-52〉 중복시업법 154

〈그림 3.3-53〉 최근 시업가중법 155

〈그림 3.3-54〉 시업비용가중법 155

〈그림 3.3-55〉 충청북도 국유림(적색), 민유림(녹색) 156

〈그림 3.3-56〉 충청북도 국유림 시업별 빈도 157

〈그림 3.3-57〉 충청북도 사유림 시업별 빈도 157

〈그림 3.3-58〉 충청북도 국유림 소반별 사업빈도 158

〈그림 3.3-59〉 충청북도 사유림 소반별 사업빈도 158

〈그림 3.3-60〉 충청북도 국유림 연도별 최대시업면적 159

〈그림 3.3-61〉 충청북도 사유림 연도별 최대시업면적 160

〈그림 3.3-62〉 충북지역 제한림 현황 161

〈그림 3.3-63〉 산림경영면적 산출 과정(최대시업면적법 적용시) 165

〈그림 3.4-1〉 연구의 모식도 167

〈그림 3.4-2〉 ROMUL 모델 구조 169

〈그림 3.4-3〉 RothC 모델 구조 170

〈그림 3.4-4〉 YASSO 모델 구조 170

〈그림 3.4-5〉 CENTURY 모델 구조 171

〈그림 3.4-6〉 CBM-CFS3 모델 구조 171

〈그림 3.4-7〉 Forest-DNDC 모델 구조 172

〈그림 3.4-8〉 Sim-CYCLE 모델 구조 172

〈그림 3.4-9〉 기존 모델의 국내 적용 및 신규 모델 개발과정 180

〈그림 3.4-10〉 한국형 산림토양탄소모델의 탄소 저장고 및 주요기작 181

〈그림 3.4-11〉 초기 한국형 산림토양탄소모델의 구조 182

〈그림 3.4-12〉 단순화된 초기 한국형 산림토양탄소모델 구조 183

〈그림 3.4-13〉 한국형 산림토양탄소모델(KFSC)의 구조 183

〈그림 3.4-14〉 생장보정항, 지위지수, 대표임령 추정방법 187

〈그림 3.4-15〉 수간의 생체량 추정을 위한 모델구조 설계 188

〈그림 3.4-16〉 중부지방소나무의 BCF 189

〈그림 3.4-17〉 강원지방소나무의 BCF 189

〈그림 3.4-18〉 상수리나무의 BCF 190

〈그림 3.4-19〉 굴참나무의 BCF 190

〈그림 3.4-20〉 신갈나무의 BCF 191

〈그림 3.4-21〉 고사유기물 분해율 모듈 설계 193

〈그림 3.4-22〉 지상부고사목 저장고의 모델 설계 구조 194

〈그림 3.4-23〉 지상부리터 저장고의 모델 설계 구조 195

〈그림 3.4-24〉 지하부고사목 저장고의 모델 설계 구조 195

〈그림 3.4-25〉 지하부리터 저장고의 모델 설계 구조 196

〈그림 3.4-26〉 부식질 및 토양탄소 모델 설계 구조 198

〈그림 3.4-27〉 KFSC의 전체 구조 200

〈그림 3.4-28〉 현지조사지 분포 201

〈그림 3.4-29〉 토양층 시료채취 과정 202

〈그림 3.4-30〉 유기물층 시료채취 과정 202

〈그림 3.4-31〉 경기도 및 광릉 시험림의 위치 218

〈그림 3.4-32〉 광릉 시험림 소나무임분에서의 AWD, ALT, SOC 실측치와 추정치 간 관계 221

〈그림 3.4-33〉 (a)연간 지상부 고사유기물 유입, (b)지하부 고사유기물 유입, (c)1차 고사유기물의 분해율, (d)2차 고사유기물의 분해율의 변화에 대한 토양 유기탄소의 민감도 222

〈그림 3.4-34〉 2010년 경기도 소나무림의 영급구조 223

〈그림 3.4-35〉 다양한 벌채 시나리오에 따른 지위지수별 토양탄소 밀도의 변화 224

〈그림 3.4-36〉 160년 후 시나리오별 경기도 소나무림의 총토양유기탄소 저장량의 변화 225

〈그림 3.4-37〉 두 기온 시나리오에서의 기온 경향 227

〈그림 3.4-38〉 영급별 소나무림에서의 순일차생산량 231

〈그림 3.4-39〉 한국 소나무림에서의 연간 순일차생산 추정량 232

〈그림 3.4-40〉 한국 소나무림에서의 연간 토양 호흡 추정량 233

〈그림 3.4-41〉 시나리오 시기별 한국 소나무림에서의 연간 토양탄소 추정량 234

〈그림 3.4-42〉 초기 임령에 따른 한국 소나무림에서의 토양탄소 추정량 235

〈그림 3.4-43〉 지역별 2010년 대비 2100년의 토양탄소 증감율 235

〈그림 3.4-44〉 추정된 지역별 영급분포 236

〈그림 3.4-45〉 국가 고유 파라미터 적용(a), 권역별 파라미터 적용(b)에 따른 활엽수림 및 침엽수림의 토양탄소 저장량 추정 결과 238

〈그림 3.4-46〉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 토양탄소 밀도 조사 결과 238

〈그림 3.4-47〉 기후변화에 의한 식생 천이를 고려한 산림토양탄소 저장량 모의 과정 240

〈그림 3.4-48〉 수종 및 영급별 토양탄소 저장량 모의결과 241

〈그림 3.4-49〉 침엽수림 및 활엽수림의 토양탄소량 및 면적 모의결과 241

〈그림 3.4-50〉 국내 산림생태계 내 탄소저장량 242

〈그림 3.5-1〉 불확도 분석의 전체적 개념 243

〈그림 3.5-2〉 제3자에 의한 산림조사 검증 결과 246

〈그림 3.5-3〉 불확도 평가 프로그램 249

〈그림 3.5-4〉 BASE와 YRBOOK의 중첩 254

〈그림 3.5-5〉 BASE와 NFI5-GS의 중첩 255

〈그림 3.5-6〉 BASE와 NFI5-MAGS의 중첩 255

〈그림 3.5-7〉 활동자료 및 탄소 흡수/배출계수의 재계산 추정치에 따른 온실가스 인벤토리 259

〈그림 3.5-8〉 산림부문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총괄 관리체계 모식도 261

〈그림 3.6-1〉 시·군·구별 산림 바이오매스 지도 280

〈그림 3.6-2〉 지자체·연도별 산림 바이오매스 축적 증가에 의한 CO₂ 배출량 추이 289

〈그림 3.6-3〉 지자체·연도별 상업적 수확에 따른 바이오매스 손실에 의한 CO₂배출량 추이 291

〈그림 3.6-4〉 지자체·연도별 연료재 수집에 따른 바이오매스 손실에 의한 CO₂ 배출량 추이 293

〈그림 3.6-5〉 지자체·연도별 산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에 의한 CO₂ 배출량 추이 295

〈그림 3.6-6〉 지자체·연도별 산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에 의한 CH₄ 배출량 추이 297

〈그림 3.6-7〉 지자체·연도별 산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에 의한 N₂O 배출량 추이 298

〈그림 3.6-8〉 지자체·연도별 산림 병해충 및 자연재해에 따른 바이오매스 손실에 의한 CO₂ 배출량 추이 301

〈그림 3.6-9〉 지자체·연도별 불법 벌채에 따른 바이오매스 손실에 의한 CO₂ 배출량 추이 303

〈그림 3.6-10〉 탄소저장/흡수량 지도 구축 체제 308

〈그림 3.6-11〉 탄소저장/흡수량 지도 구성 체계 308

〈그림 3.6-12〉 기본계획구별, 주제별 탄소저장/흡수량 309

〈그림 3.6-13〉 5-10년 단위의 탄소저장량 변화량 309

〈그림 3.7-1〉 산림기본통계 작성 흐름도 315

〈그림 3.7-2〉 지상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와 임령의 관계 317

〈그림 3.7-3〉 뿌리-지상부 비율과 임령의 관계 318

〈그림 3.7-4〉 산림경영활동 인정 배출권 상한량 335

〈그림 3.7-5〉 제2차 공약기간에 적용될 부속서 I 국가들의 산림경영기준선 337

〈그림 3.7-6〉 우리나라의 산림경영기준선 분석 결과 339

〈그림 3.7-7〉 LULUCF분야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체계(안) 343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8793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