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장 종교적 근본주의 Ⅰ. 개관 Ⅱ. 기원과 전개 Ⅲ. 핵심주제: 기본으로 돌아가기 Ⅳ. 근본주의의 일가 Ⅴ. 21세기의 종교적 근본주의
제11장 다문화주의 Ⅰ. 개관 Ⅱ. 기원과 전개 Ⅲ. 핵심주제: 통합 속의 다양성 Ⅳ. 다문화주의와 정치 Ⅴ.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 Ⅵ. 21세기의 다문화주의
제12장 결론: 포스트 이데올로기 시대 Ⅰ. 개관 Ⅱ. 종언론 Ⅲ. 종언이 없는 이데올로기
참고문헌 색인 옮긴이 후기 옮긴이 소개
이용현황보기
사회사상과 정치 이데올로기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901173
320.5 -14-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901174
320.5 -14-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정치 이데올로기』(Political Ideologies)의 초판은 1989~91년 동유럽 혁명을 배경으로 하여 쓴 것이다. 회고해 보면 ‘공산주의의 붕괴’는 많은 점에서 상호 연결되어 있는 일련의 중요한 정치적 역사적 발전들의 발현이자 그 촉매였다. 이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세계자본주의 경제의 성장, 종족적 민족주의와 종교적 근본주의의 대두, 포스트모던 내지는 ‘정보’ 사회의 출현, 미국 지배의 단극적 세계질서의 등장, 세계적 테러의 개시 등을 들 수 있다. 역사는 현기증이 날 정도로 가속화되는 듯싶다. … 궁극적으로 탈이데올로기화된 또는 소비주의적인 정치는 사라질 운명에 처해 있다. 그 이유의 하나는 이러한 정치가 사람들에게 물질적 이해관계보다 더 큰 무엇인가에 대한 믿음을 보유할 수 있도록 근거를 제시해 주지 않기 때문이다. -제4판에 대한 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