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유럽 텔레비전 문화사, 공영방송에서 리얼리티쇼까지 : 1950-2010 / 제롬 부르동 지음 ; 김설아 옮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청구기호
791.4509 -14-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형태사항
xxviii, 385 p. ; 23 cm
총서사항
방송문화진흥총서 ; 138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30400587
제어번호
MONO1201416003
주기사항
원표제: (Du)service public à la télé-réalité : une histoire culturelle des télévisions européennes
참고문헌: p. 367-382
이 책은 MBC 재단 방송문화진흥회의 지원을 받아 출간되었음

목차보기더보기


서론: 유럽, 문화, 텔레비전

01 유럽 텔레비전에 대한 일곱 가지 논의: 공영방송, 황금기, 광고, 경쟁, 상업 텔레비전, 뉴 테크놀로지, 공영 텔레비전
불안정한 역사
공영방송, 단단한 기반인가 불안한 합의인가?
황금기: 방송인 공동체, 지도자들, 독점 체제
광고: 매력적인 존재
두 번째 공영 채널의 출현과 그 보완성의 문제(1964∼1966)
위기 속의 공영방송(1970년대)
민영 텔레비전(1984∼1989)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새로운 텔레비전 모델에 대한 고민
실질적인 변화, 하지만 때 늦은 변화: 새로운 유럽 텔레비전

02 유럽 정신을 만들어 내는 불행한 기술자들: 범유럽적 텔레비전 만들기
시작: 경제공동체를 뛰어넘으려 하다
공동 뉴스 채널에서 시사 정보의 교환까지
유럽의 고급문화에서 ‘다시 자국화된’ 오락 프로그램까지
‘유럽 선거’에서 유럽에 대한 국가적 논쟁까지
1980년대: 유럽 정체성 수립 정책의 개편
인공위성: 정체성의 기기, 그리고 분배의 실용성
유럽 기관들의 유럽 채널 만들기
유로뉴스, 유로스포츠: 어떠한 장르로 누구와 함께 정체성을 세울 것인가?
아르테: 고급문화의 회귀
국가에 관한 이론, 텔레비전에 관한 이론, 이미지에 관한 이론: 끈질김의 원동력
공통 언어와 텔레비전
허구 속의 유럽 채널
다른 식으로 유럽을 만든다면?

03 텔레비전 픽션물: 셰익스피어, 달라스, 수사물 그리고 영화
공영방송, 문학 픽션물과 역사 픽션물의 신전
텔레비전극의 쇠퇴
대중성을 찾아서: 시리즈물 시간대의 형성
또 다른 식의 대중성 찾기
영화의 성장
《달라스》 신드롬과 탈규제화
탈규제화: 픽션물의 성장과 탈변
영화: 텔레비전 부진 속의 불안정한 재기
소결

04 보도 프로그램: 텔레비전에서 저널리즘까지
1950년대: 소외되고 불확실한 장르의 탄생
1960년대: 거대 미사의 등장
선거, 저널리즘 그리고 정치 시스템
정보 시사 매거진
1970년대: 크롱카이트화와 뉴스의 포맷화
1970년대: 조용한 경쟁과 프로그램 공급의 증가
기술: 이미지 개선을 위해서인가, 더 나은 포장을 위해서인가?
남부 유럽: 해방 아닌 해방
공격받는 뉴스: 지배인가 전복인가?
탈규제화와 민영 텔레비전: 저널리즘의 진보인가 스펙터클의 승리인가?
저녁 뉴스의 새로운 모습
지방 뉴스: 정치적 야욕인가 상업적 야심인가?
정체성의 위기?
소결: 텔레비전 저널리즘, 영국식에서 미국식으로?

05 오락물: 억압의 분출
유럽 대륙의 장르, 프라임타임 빅 쇼: 퀴즈쇼 vs 빅 버라이어티
때 이른 미국화, 은밀한 미국화
미국 프로그램의 유럽식 개조
게임과 공영방송의 조화?
미국화를 벗어나서
풍자 프로그램의 귀환
오락 프로그램 속 직업들: 제작자, 진행자, 그리고 제작-진행자
개념의 변모

06 조용히 진행되는 미국화: 리얼리티쇼
정의하기
선구자인가, 허황된 재평가인가?
1986년: 이탈리아의 ‘진실 텔레비전’, 그리고 미국에서의 범죄와 은밀한 사회적 논의
1990년대: 리얼리티 텔레비전의 유럽화, 범죄와 고백
토크쇼: 사적이면서 공적인, 개인적이면서 사회적인 장르
1997년: 세 번째 물결, 리얼리티 게임 쇼
리얼리티 텔레비전에 대한 논쟁, 그리고 점진적 허용
공영방송과 리얼리티 텔레비전
문화적 특수성에 관한 또 한 번의 논의: 유럽, 민족국가, 미국

07 공중에서 시청자로의 변화인가, 우민의 재등장인가?
텔레비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은 소수이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은 극소수다”
시청률이 아닌 공중에 대한 연구
공중이란? 비평가, 호의적 관객, 방송인들
수량화된 ‘시청자’의 등장
탈규제화
공중과 여론의 변모
엘리트주의, 부정, 대중주의

결론: 유럽, 미국, 공영방송
미국화의 세 가지 방식: 신중함, 당당함, 은밀함
공영방송: 텔레비전 계몽주의의 허약함

참고문헌
옮긴이 후기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912923 791.4509 -14-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912924 791.4509 -14-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940419 791.4509 -14-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0001940420 791.4509 -14-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공영방송을 중심으로 유럽 텔레비전의 역사를 쓰는 것은 곧 위기의 역사를 쓰는 것이다. 1980년대 탈규제화와 민영 텔레비전의 등장이 서구 유럽 전체에 끼친 영향에 대해 관련 분야 관계자들이 주목하기 시작하면서 이에 대한 역사가 쓰이기 시작하였다. 경쟁 체제의 등장은 공영방송 정책이 위기를 맞았다는 것을 알려 주는 역할도 했지만 한편으론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언하는, 그러면서 결국 위기를 부채질하는 역할도 했다. 이제 공영방송도 양적으로 측정될 수 있는 시청자에 주목하면서 오락 프로그램의 양을 늘릴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 '서론: 유럽, 문화, 텔레비전' 중에서
    민영 프로덕션을 앞세우는 현재의 방송 이념과 다르게 1960년대까지 유럽의 대규모 방송국들은 내부 제작을 선호했다. 프랑스에서는 이러한 방송사의 제작 독점이, 이후에 다시 말하겠지만, 1964년까지는 당연한 것이었다. 그래서 이때까지는 이에 대한 법을 제정할 필요가 전혀 없었다. 공영방송사들이 모든 장르의 프로그램들을 만들 그 수많은 인력을 거느리고 있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던 것이다. 기술적인 면도 이러한 상황의 형성에 한몫 거들었다. 즉, 당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생중계로 방송되었기 때문에 방송 노동과 직업들은 프로그램을 찍자마자 내보내는 그 거대한 스튜디오와 하나로 통합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03 텔레비전 픽션물: 셰익스피어, 달라스, 수사물 그리고 영화' 중에서
    리얼리티쇼라는 감정의 스펙터클이 관음증적 엿보기를 부추기며 시청자를 화면 앞에 붙어 있게 만드는 단순한 재료라 한다면, 이는 공영방송의 에토스(Ethos)와 즉각 대립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공영 텔레비전들은 이 새로운 장르를 그냥 지나칠 수도 없었다. 그것이 반영하는 사회적 경향도 무시할 수 없었고, 무엇보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공영방송사의 재정 위기에 대한 돌파구가 될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리얼리티 텔레비전은 이전의 경쟁 시대에 공영방송사들이 대면해야 했던 전통적인 딜레마, 즉 시청자를 잃을 것인가 영혼을 잃은 것인가란 딜레마 속으로 공영방송을 몰아넣게 된다.
    - '06 조용히 진행되는 미국화: 리얼리티쇼' 중에서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