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한국 현대미술의 지형도 = (A)topographic map of Korean contemporary art / 박영택 지음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휴머니스트 :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4
청구기호
709.51 -14-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535 p. : 삽화 ; 23 cm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58626923
제어번호
MONO1201417735
주기사항
참고문헌(p. 518-528)과 찾아보기(p. 529-535) 수록
이 도서는 2012년 경기대학교 연구년 수혜로 연구되었음

목차보기더보기


머리말
프롤로그: 한국 현대미술의 지형도를 그리다

1. 박생광: 색채와 도상이 지닌 주술과 영성

남관-손동진-하인두-김웅-홍정희
우리 문화의 원형 이미지와 색채

천경자-황창배-서정태-김은진-백남준-박현기-육태진
영기를 지닌 이미지들

2. 변관식·이상범: 한국인의 자연관

김동수-박노수-이왈종-신하순-서은애-박윤영-이세현
전통 산수의 재해석

장욱진-김상유-김영길
서양화로 번안된 인물산수

김천일-김현철-권기윤-강경구-정주영
한국 자연의 진경

오지호-임직순-최쌍중-이원희-오치균-유근택
한국 자연의 특질

박고석-김종학-권순철-손장섭-김명숙-이강일
혼을 지닌 자연

주명덕-민병헌-배병우-정동석
사진으로 구현된 한국 자연

유영국-이상국-민정기-김선두
한국 자연의 전신

3. 이인성: 현실을 반영하는 눈

박수근-이중섭-오윤-신학철-안창홍-이종구-김호석-박문종-배영환-조습
한국 사회의 현실과 삶의 풍경



4. 김환기: 한국 모더니즘 미술과 개념적 작업의 기원

윤형근-이우환-박서보-최상철-이강소-오수환-송현숙
자연주의와 서체적 추상

김창열-김구림-최병소-권영우-김용익-홍명섭-정광호-이인현-문범-김홍주-김동유-최진욱
한국적 모더니즘에 대한 고민

김범-박이소-안규철-윤동천
메타 비평적 작업

임충섭-이기봉-이상남-노상균-구본창-권오상-홍성철
촉각적 화면, 탈평면성

5. 이응노: 모필과 먹이 이룬 서체적 회화

서세옥-송수남-김호득
선묘와 운필에 의한 추상

6. 김종영: 한국 현대 조각의 근원

심문섭-문신-전국광
물질의 본성

최종태-이영학-김창세-오귀원
존재의 본질

함진-최정화-이불-박기원
조각의 확장

7. 권진규: 정신성으로 충만한 얼굴

홍순모-최병민-이일호
실존적 형상조각

권옥연-임직순-김명숙-김정욱
깊은 얼굴

육명심-이갑철-오형근
한국인의 얼굴 표상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913723 709.51 -14-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913724 709.51 -14-6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한국 현대미술은 누구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작가와 작품, 그리고 그 계보를 중심으로 1960년대 이후 한국 현대미술을 정리한다. 박생광, 변관식, 이상범, 이인성, 김환기, 이응노, 김종영, 권진규 등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여덟 작가의 작품과 미술관을 살펴보고, 한국 현대미술이 궁극적으로 이들로부터 기원하고 있음을 밝힌다. 전통 미술과 서구 근대미술을 접목시켜 한국적인 그 무엇을 만들어내고자 했던 선구자들, 그리고 이들의 영향을 받은 후배 작가들의 계보는 한국 현대미술의 구체적인 모습과 특징을 한눈에 보여준다.

    1. 작가와 작품의 계보로 한국 현대미술사를 직조하다
    - 이 책의 특징 1

    한국 현대미술은 무엇인가? 기존의 미술사 책들은 대부분 시대를 구분하여 한국 현대미술을 설명한다. 당대를 주도한 이론, 사조, 양식을 중심에 놓고 그에 맞춰 작가와 작품의 성격을 규정짓는 방식이다. 한국 현대미술이 시작되는 1950년대 후반, 추상회화가 유행하는 1960년대, 앵포르멜과 모노크롬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 현대미술의 독자성을 확보하는 1970년대 등으로 이어지는 한국 현대미술 전개 과정은 미술사 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연대기적 서술이다. 하지만 이런 설명은 지나치게 도식적이며, 작가의 개별성과 의도를 다른 맥락에 포함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 책은 개별 작가와 작품, 그리고 그 계보를 중심으로 한국 현대미술사를 재구성한다. 미술평론가 박영택은 1960년대 후반부터 제작된 한국 현대미술 작품을 면밀히 분석하여 가장 뛰어난 작가 117명과 대표작 151점을 선별했다. 그리고 각 작가의 미술관과 작품이 다른 작가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추적했고, 작가와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미술의 계보를 만들어냈다. 이 계보는 한국 현대미술이 누구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이후 그 흐름이 어떻게 연결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한국 현대미술의 지형도’다. 저자는 이를 통해 한국 현대미술 전체 모습을 한눈에 보여주는 동시에 개별 작가의 의도를 훼손하지 않고 미술사의 흐름 속에서 그들의 개성을 그대로 확인시켜준다.

    “연대기나 역사적 사건 위주로 기술된 기존의 미술사가 아니라 한 미술평론가의 편애라는 관점으로 재구성된 미술사, 중요 작가와 작품으로 직조된 미술사를 쓰고자 했다. 이른바 한국 현대미술을 한눈에 그려 보이는 지도 같은 책이자 작가들의 계보와 작품들의 전후 영향 관계에 의해 구축된 지형도를 그리고자 했다.”
    _〈머리말〉 중에서(6쪽)

    2. 선구자 8명으로부터 기인하는 한국 현대미술사를 조망하다
    - 이 책의 특징 2

    한국 현대미술에 계보가 있다면 맨 윗자리에 이름을 올릴 작가는 누구일까? 저자는 오늘날 한국 현대미술을 가능하게 한 근원으로 박생광, 변관식과 이상범, 이인성, 김환기, 이응노, 김종영, 권진규를 꼽는다. 이들은 각각 이미지의 주술성, 전통적 자연관, 현실을 바라보는 시선, 한국적 모더니즘, 서체적 추상, 조각과 물질을 보는 관점, 사실주의적 구상조각 등을 화두로 온 생애를 바쳐 위대한 작품들을 만들어냈다. 한국 현대미술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는 작가 8명의 미술관과 작품은 후배 작가들에게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으며, 한국 현대미술의 뿌리를 이룬다.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이 작가들이 얼마나 큰 의미를 가지는지는 개별 작가와 작품에 주목하고 의미를 헤아리면서, 그것들이 어떻게 전후로 연결되어 나가는지를 살펴보면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근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서양화가 이인성은 당대 현실을 바라보고, 이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한 첫 번째 인물로 꼽힌다. 그리고 이인성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현실주의적 시각은 박수근, 이중섭, 오윤, 신학철, 안창홍 등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한국적 삶의 풍경과 맞닿아 있다. 화풍이 전혀 다른 박수근의 〈나무와 두 여인〉, 이중섭의 〈흰 소〉, 오윤의 〈칼노래〉 등에서 느낄 수 있는 공통의 시선은 바로 한국인의 삶을 바라보고 그것을 작품으로 표현하는 작가들의 미술관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이인성)가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우리는 그의 매혹적인 그림 안에서 당시의 고단하고 피폐한 식민지 일상을 접하고, 그 안에서 삶을 영위하는 사람들의 몸을 응시하게 된다. (중략) 식민지의 현실을 무의식적으로 드러낸 이인성의 그림은 이후 박수근, 이중섭에게 전이된다. 그들의 경우는 1950~1960년대 한국 사회의 암울한 현실과 빈곤을 정면으로 응시하는 작업을 했고, 이후 오윤과 신학철, 안창홍은 1980년대 한국 사회의 첨예한 모순을 고발하는 경우로 나아간다”
    _〈이인성: 현실을 반영하는 눈〉 중에서(228~229쪽)

    3. 새로운 관점과 시각으로 한국 현대미술사를 재정립하다
    - 이 책의 특징 3

    한국 현대미술은 서구 미술의 영향 없이 형성될 수 있었을까? 근대 시기에 밀려들어온 서구 미술의 영향은 분명 지대했다. 어쩌면 한국 현대미술사는 서구 미술 사조를 번역해온 역사라고까지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서구 미술을 비판 없이 수용하고, 서구인들이 그린 그림을 그대로 따라 그린 작품을 ‘한국 현대미술’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그렇다면 우리 미술의 ‘현대성’이란 과연 무엇일까?
    이 책에 등장하는 117명의 작가는 모두 자신들이 살던 시대에 서구 미술과 한국 전통 미술을 접목하고, 주어진 현실 속에서 미술이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고민했던 이들이다. 한국 현대미술만의 고유한 무엇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서구 근현대미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한국 전통 미술을 현대적으로 계승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개별 작가와 작품의 특징일 것이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을 통해 수용된 서구와 일본 미술의 영향에서 벗어나 한국적인 미술, 한국적인 현대미술의 정체성을 확립해온 기록이 바로 한국 현대미술사다. 저자는 이렇게 한국 현대미술을 보는 눈, 우리 미술의 가치를 인식하는 총체적인 시각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현대미술사를 새롭게 그린다. 독자들은 각자의 개성과 방법으로 우리 미술의 ‘현대성’을 성취하는 데 성공한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 현대미술이 어떻게 현실과 맞물려 유기적으로 형성되어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