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골다공증의 국가적 예방 및 관리필요성과 외국의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건강증진재단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보건복지부, 2013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219 p. : 삽화, 표 ; 26 cm
총서사항
건강증진연구사업 정책 ; 13-29
제어번호
MONO1201419958
주기사항
제출문에 제출처가 보건복지부로 되어 있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7

1. 골다공증의 정의 및 이환율 17

2. 골다공증 골절 18

제2절 연구목적 21

1. 최종 목표 21

2. 구체적 목표 21

제3절 연구내용 및 범위 23

1. 골다공증의 국내 발생, 유병, 질병부담 현황, 미래 예측 23

2. 골다공증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국가대책의 필요성 및 우선순위 24

3. 외국 골다공증에 대한 국가 정책과 예방 및 관리 대책, 프로그램 현황 25

제2장 국내·외 연구 현황 26

제1절 국내 유병률 연구 26

1. 골다공증에 대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26

2. 건강보험 공단 자료 분석 결과 29

제2절 국외 연구 자료 35

1. 국제골다공증학회(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IOF)의 보고 자료 35

제3장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37

제1절 연구방법 37

1. 국내외 문헌 조사 37

2. 국내 2차 자료를 이용한 실태 조사 38

3. 전문가 자문회의 39

제2절 연구결과 40

1. 기존 연구결과 40

가. 골다공증 및 골절의 위험률 40

나. 골다공증 유병률 및 사회경제적 부담 43

다. 골다공증과 사회심리적 부담 54

라. 타 질환과 골다공증 58

2.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결과 62

가. 골다공증 유병률 63

나. 골다공증 유병 관련요인(다중회귀분석 결과) 83

다. 골다공증 의사진단 유병률의 추이 90

라.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와 삶의 질 93

3.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심사평가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100

가. 심사평가원 분석 결과 100

나. 건강보험청구 자료분석 결과 104

4. 골다공증 관련 국가정책의 필요성 141

가. 고령화추세로 지속적인 유병률 증가 141

나. 골다공증의 사회경제적 부담 증가 141

다. 노년기 활동제한 및 건강관련 삶의 질 저하 142

5. 해외 골다공증 정책방향 142

가. 캐나다 온타리오 전략 144

나. 캘리포니아 골다공증 관리정책 151

다. 미국국립골다공증협회(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또는 NOF)의 안전한 행동을 위한 지침 158

라. 호주의 골다공증 관리 전략 160

마. 유럽의 골다공증 정책 168

바. 영국에서의 골다공증 및 낙상예방 174

사. 일본의 골다공증 정책 179

아. 소결론 184

6. 골다공증 조기검진 및 도구들 185

가. 미국 예방의료서비스대책위원회(USPSTF) 가이드라인 187

나. 골절에 대한 간편한 자가 진단법 188

7. 특수한 군에서의 골다공증 191

가. 노인의 골다공증 예방 191

나. 남성에서의 골다공증 193

제3절 예방관리대책 195

1. 1차 예방 198

가. 골다공증에 대한 국민인식 제고와 홍보 198

2. 2차 예방 205

가. 조기검진 및 치료 205

나. 골다공증 이환자에게 운동 교육 205

3. 3차 예방: 추가골절 예방 206

4.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208

제4장 연구목표 달성도, 연구의 제한점 및 대외기여도 210

제5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211

참고문헌 212

부록 215

부록 1. FRAX(KOREA) 215

부록 2. NOF의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운동 217

표 1. 골다공증의 사회적 비용 19

표 2. 미 캘리포니아 여성의 골절에 따른 육체적 기능적 활동제한 20

표 3. 골다공증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 23

표 4. 골다공증의 위험을 높이는 약물 23

표 5. 골다공증 유병률 26

표 6. 사회경제적 수준별 골다공증 유병률 28

표 7. 서구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률 28

표 8. 연령별 1인 1일 평균 칼숨섭취량 29

표 9. 50세이상 남녀 골절의 추정자 수 WHO보고서 35

표 10. 고관절 골절의 예방과 효과적 자원배분 36

표 11. 골다공증과 골절의 위험요인 42

표 12. 노인 골다공증의 골절의 위험감소 43

표 13. 노인 골절의 위험요인 43

표 14. 골다공증 유병률 관련 연구 결과 44

표 15. 국가별 엉덩이 골절 발생율 46

표 16. 스웨덴에서 남은 기간동안 골절 발생 확률 48

표 17. 사망원인에서 골다공증성 골절의 분율 52

표 18. 주요 골다공증성 골절에 의한 사회적 비용 53

표 19. 골다공증과 우울감의 공통요인의 방향 55

표 20. 인구학적 특징 및 우울증 정도 57

표 21. 활동장애 및 의존정도 58

표 22. 활동제한, 인지된 의존감, 우울감 간의 관련성 58

표 23. 일반적인 특성과 골다공증 유병률 63

표 24. 지역별, 시도별 골다공증 유병률 64

표 25. 남성에서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연령대별 골다공증 유병률(4기 조사) 65

표 26. 남성에서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연령대별 골다공증 유병률(5기 조사) 66

표 27. 여성에서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연령대별 골다공증 유병률(4기 조사) 67

표 28. 여성에서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연령대별 골다공증 유병률(5기 조사) 68

표 29. 골다공증 위험요인(건강행태)에 따른 골다공증 유병 69

표 30. 남성에서 건강행태에 따른 연령대별 골다공증 유병률(4기 조사) 70

표 31. 남성에서 건강행태에 따른 연령대별 골다공증 유병률(5기 조사) 71

표 32. 여성에서 건강행태에 따른 연령대별 골다공증 유병률(4기 조사) 72

표 33. 여성에서 건강행태에 따른 연령대별 골다공증 유병률(5기 조사) 73

표 34. 골다공증 위험요인(영양)에 따른 골다공증 유병률 74

표 35. 남성에서 영양요인에 따른 연령대별 골다공증 유병률(4기 조사) 75

표 36. 남성에서 영양요인에 따른 연령대별 골다공증 유병률(5기 조사) 76

표 37. 여성에서 영양요인에 따른 연령대별 골다공증 유병률(4기 조사) 77

표 38. 여성에서 영양요인에 따른 연령대별 골다공증 유병률(5기 조사) 78

표 39. 가족력과 의사 진단 여부에 따른 유병률 79

표 40. 남성에서 가족력과 의사 진단 여부에 따른 유병률(4기 조사) 79

표 41. 남성에서 가족력과 의사 진단 여부에 따른 유병률(5기 조사) 80

표 42. 여성에서 가족력과 의사 진단 여부에 따른 유병률(4기 조사) 80

표 43. 여성에서 가족력과 의사 진단 여부에 따른 유병률(5기 조사) 81

표 44. 여성호르몬 관련요인에 따른 유병률(4기 조사) 82

표 45. 여성호르몬 관련요인에 따른 유병률(5기 조사) 83

표 46. 남성에서 골다공증 유병 관련요인(4기 조사) 84

표 47. 남성에서 골다공증 유병 관련요인(5기 조사) 86

표 48. 여성에서 골다공증 유병 관련요인(4기 조사) 87

표 49. 여성에서 골다공증 유병 관련요인(5기 조사) 89

표 50. 남성에서 코호트에 따른 조사연도별 골다공증 유병률 90

표 51. 남성에서 코호트의 평균 나이에 따른 코호트별 골다공증 유병률 91

표 52. 여성에서 코호트에 따른 조사연도별 골다공증 유병률 92

표 53. 여성에서 코호트의 평균 나이에 따른 코호트별 골다공증 유병률 92

표 54. 골다공증 환자의 치료여부 및 합병증(조율) 94

표 55. 성별 골다공증환자의 현재 치료율 및 골절 경험률(4기 조사) 95

표 56. 성별 골다공증환자의 현재 치료율 및 골절 경험률(5기 조사) 95

표 57. 골다공증 환자의 삶의 질 96

표 58. 남성에서 골다공증 환자의 삶의 질(4기 조사) 96

표 59. 남성에서 골다공증 환자의 삶의 질(5기 조사) 97

표 60. 여성에서 골다공증 환자의 삶의 질(4기 조사) 98

표 61. 여성에서 골다공증 환자의 삶의 질(5기 조사) 98

표 62. EQ-5D index 세부항목별 분포 99

표 63. 〈골다공증〉 진료인원 및 진료비 현황 100

표 64. 〈골다공증〉 진료인원 성별 점유율 및 증감률 101

표 65. 〈골다공증〉 연령별/성별 진료인원 102

표 66. 〈골다공증〉 연령별 점유율 102

표 67. 〈골다공증〉 연령 구간별 증가율 추이 103

표 68. WHO 연구그룹에서 권고한 골다공증, 골감소증 진단 기준 105

표 69. 2008년 미국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NOF) 골다공증 지침서 106

표 70. 골밀도 측정기기에 따른 특성차이 107

표 71. 골절위험을 평가하기 위한 위험요인 109

표 72. 우리나라 사용 승인된 골다공증 약물 종류 및 용량, 투여방법 111

표 73. 골다공증 적응증 약물 주성분코드 117

표 74. 조작적 정의의 골다공증 진단 코드 118

표 75. 골다공증과 다른 질병 적응증인 약물 주성분코드 119

표 76. 골다공증 관련 특정 부위 골절진단코드 120

표 77. Glucocorticoids 약물 주성분 코드 122

표 78. 의사진단 골다공증 환자 비율 123

표 79. 조작적 정의 기준별 의사진단 골다공증 환자 비율 125

표 80. 골다공증 신규의사진단율 127

표 81. 골다공증 골절 환자의 골밀도 검사율 128

표 82. 골다공증 환자의 주 의료기관 이용분포 130

표 83. 연도별 연간 골다공증 치료제의 처방지속성 변화양상 132

표 84. 골다공증 약물 성분군별 외래 처방비율 134

표 85. 연령별 골다공증 약물 외래 처방비율 135

표 86. 골다공증 골절 발생률 136

표 87. 연도별 성별 골다공증 골절 부위별 연령표준화 발생률 137

표 88. 각국의 골절환자의 치료 양상 143

표 89. 음식을 통한 칼슘 권장 섭취량(recommended dietary intake) 166

표 90. 핵심 음식의 칼슘 함유량(Calcium content of key foods) 167

표 91. 충분한 비타민 D 농도를 위한 햇볕 노출 권고안 167

표 92. 뼈 건강을 위한 선별된 운동의 효과(The impact of selected exercise on bone health) 168

표 93. 유럽 각국의 골다공증 평가 174

표 94. 활동증후군의 자기 평가 도구 184

표 95. 외국의 골다공증 예방관리정책 요약 및 실천 전략 185

표 96. 미국 NOF(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에서 제시한 골절의 위험인자 186

표 97. 조기검진 기준안 일부 187

표 98. 골다공증 사업 목표 195

표 99. 비타민 D가 풍부한 음식 198

표 100. 칼슘이 풍부한 음식 199

표 101. 연령대별 적합한 운동 200

표 102. 국제골다공증재단에서 개발한 여성 자가평가도구의 한국어 번역 204

표 103. 생활터를 중심으로 하는 전략과 영역 208

표 104. 취약계층에 대한 생애주기별 전략 209

그림 1. 성별, 연령별 골다공증 유병률 18

그림 2. 부위별 골절 발생률 20

그림 3. 연령에 따른 골다공증 골절의 이환시기 21

그림 4. 골다공증의 정책 예시(1,2,3차 예방) 24

그림 5. 골다공증의 감시체계 및 정책 개발 예시 25

그림 6. 성별, 연령별 연간 본인인지 유병률 27

그림 7. 월 가구소득에 따른 연간 본인인지 유병률 27

그림 8. 연도별 골다공증으로 인한 진료건수 29

그림 9. 연도별 골다공증으로 인한 총진료비 29

그림 10. 성별 연령별 골다공증 진료건수 30

그림 11. 성별 연령별 골다공증 총진료비 30

그림 12. 소득수준에 따른 총진료건수 30

그림 13. 소득수준에 따른 골다공증 총진료비 30

그림 14. 대퇴경부골절로 인한 진료건수 31

그림 15. 대퇴경부골절로 인한 총 진료비 31

그림 16. 성별 연령별 대퇴경부골절 진료건수 31

그림 17. 성별 연령별 대퇴경부골절 총진료비 31

그림 18. 소득수준에 따른 대퇴경부 진료건수 32

그림 19. 소득수준에 따른 대퇴경부 총진료비 32

그림 20. 연도별 손목골절로 인한 진료건수 32

그림 21. 연도별 손목골절로 인한 총진료비 32

그림 22. 성별 연령별 대퇴경부골절 진료건수 33

그림 23. 성별 연령별 대퇴경부골절 총진료비 33

그림 24. 소득수준에 따른 손목골절 진료건수 33

그림 25. 소득수준에 따른 손목골절 총진료비 33

그림 26. 연도별 척추골절로 인한 진료건수 34

그림 27. 연도별 척추골절로 인한 총진료비 34

그림 28. 성별 연령별 척추골절 진료건수 34

그림 29. 성별 연령별 척추골절 총진료비 34

그림 30. 소득수준에 따른 척추골절 진료건수 35

그림 31. 소득수준에 따른 척추골절 총진료비 35

그림 32. 부위별 연령에 따른 발생 분포 36

그림 33. 연구 방법 틀 37

그림 34. 여성들의 부위별 연령에 따른 골밀도 40

그림 35. 연령에 따른 부위별 골밀도 41

그림 36. 연령대별 골다공증 골감소증의 유병률 45

그림 37. 유럽국가에서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부위 46

그림 38. 유럽에서의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부위 패턴 47

그림 39. 국가간 골다공증성 골절 발생확률 47

그림 40. GDP/capita 대비 고관절 골절 발생확률 48

그림 41. 유럽에서의 골다공증의 질병부담 49

그림 42. 암대비 골다공증의 DALY 49

그림 43. 만성질환 대비 골다공증의 DALYs 분율 50

그림 44. 치료순응도와 고관절골절의 상대위험비 51

그림 45. 고관절 골절 이후 사망률의 상대위험도(교차비, 위험비) 52

그림 46. 1998~2005년도 주요 골다공증 약제의 매출액 변화 추이 54

그림 47. 제 2형 당뇨병과 고관절 골절 59

그림 48. 제 2형 당뇨병과 고관절 골절 60

그림 49. 골다공증 의사진단 유병률 추이 90

그림 50. 남성에서 코호트의 평균 나이에 따른 코호트별 골다공증 유병률 91

그림 51. 여성에서 코호트의 평균 나이에 따른 코호트별 골다공증 유병률 93

그림 52. 〈골다공증〉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 추이 100

그림 53. 〈골다공증〉 성별 진료인원 추이 101

그림 54. 〈골다공증〉 10세구간별 진료인원 비교 103

그림 55. 〈골다공증〉 연령구간별 증가율 비교 103

그림 56. 골밀도 검사 없는 경우와 골밀도 검사를 하는 경우에서의 골절위험도 및 치료 평가 109

그림 57. 건강보험청구 자료 연계 시스템 구성도 116

그림 58. 골다공증 환자 조작적 정의 프로토콜 117

그림 59. 연령별 의사진단 골다공증 환자비율 124

그림 60. 골다공증 골절환자의 골밀도 측정기기 종류별 검사비율 129

그림 61. 골다공증 치료제의 처방지속성 변화양상 133

그림 62. 골다공증 환자 중 골다공증 골절 발생 비율 138

그림 63.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밀도 감소 기전 139

그림 64. 스테로이드 복용용량에 따른 환자에서 척추골절 비율 140

그림 65. 스테로이드 치료 후 척추 및 비척추 골절위험 140

그림 66. 캐나다의 골다공증 전략 144

그림 67. 캘리포니아 골다공증 전략 요약 151

그림 68. 호주의 골다공증 전략 161

그림 69. Fracture Liaison Service(FLS) 175

그림 70. 골절의 흐름도 175

그림 71. 낙상 판별법 176

그림 72. 낙상환자들의 재평가 흐름 177

그림 73. 골절과의 위험요인 178

그림 74. 골절에 대한 접근법 178

그림 75. 골절에 대한 임상적 판단흐름도 179

그림 76. 일본의 골다공증 추정 유병률 180

그림 77. 활동제한과 요양의 필요성과의 상관관계 184

그림 78. 골다공증 골절 조기검진 도구 189

그림 79. 간편한 골다공증 자가진단법(OST-Asia) 190

그림 80. 국가 골다공증 전략 개괄 196

그림 81. 생애주기에 따른 골다공증 위험요인 197

그림 82. 설 때 자세 217

그림 83. 의자에 앉을 때 218

그림 84. 걸을 때 자세 218

그림 85. 허리를 구부릴 때와 물건 옮길 때 219

그림 86. 밀거나 당기기 220

그림 87. 누울 때 순서 220

그림 88. 기침이나 재채기 하기 221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골다공증의 국가적 예방 및 관리 필요성과 외국의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II. 연구의 목적

○ 골다공증 질환에 대한 국가적 대응의 필요성 제시

○ 외국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프로그램 실시 현황을 파악

III.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골다공증의 국내 발생, 유병, 질병부담 현황, 미래 예측

○ 골다공증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국가대책의 필요성 및 우선순위

○ 외국 골다공증에 대한 국가 정책과 예방 및 관리 대책, 프로그램 현황

IV. 연구결과

○ 노인인구의 숫자는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대 여명의 증가는 골절건수가 인구 고령화에 따라 계속 증가할 것임을 시사

○ 골다공증의 치료 역치를 설정할 때(치료를 시작하는 10년간의 골절 확률), 임상적인 요소와 보건경제학적인 요소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치료 역치에 대한 고려와 함께 골절의 가능성에 기반한 진료지침의 개발에 대한 접근 방식은 FRAX(골절 가능성 계산 도구)를 고려하여 현재의 임상 진료를 해석(translate)하는 것이 필요

○ 50세 이상 성인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4기('08-'09) 조사에서 23.27%, 5기('10-'11) 조사에서는 21.59%

○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1 - +1): 남자(5기국건영)=0.87, 여자(5기국건영):0.83

○ 위험요인: 남자는 나이, 체질량 지수, 걷기 운동, 비타민A 섭취량, 여자는 나이, 체질량 지수, 폐경시기, 여성 호르몬 복용 여부

○ 골다공증 골절환자는 연평균 0.9%로 증가하고 있음

V.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 향후 지역사회 골다공증 프로그램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분석은 이후 Baby Boom세대의 급격한 만성질환 증가를 추정할 수 있으며 골다공증 및 골절 유병율 연구결과는 전 국민의 골다공증 유병인구 파악을 가능케 하여 골다공증 및 골절 예방을 위한 보건 예산의 분배 및 증액에 기여

○ 국외 골다공증 관련 정책의 소개는 우리나라에서도 근골격계 질환 정책 개발의 필요성에 도움을 줌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9338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