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연구 요약 5
제1장 서론 12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3
1.2.1. 연구의 범위 14
1.2.2. 연구의 방법 14
1.3. 연구의 주요 내용과 기대효과 15
1.3.1. 연구의 주요 내용 15
1.3.2. 연구의 기대효과 17
제2장 고문헌의 개념과 성격 18
2.1. 고문헌의 개념 18
2.1.1. 고문헌의 정의 18
2.1.2. 본 연구에서의 고문헌의 개념 23
2.1.3. 고문헌의 장정 24
2.2. 고문헌의 성격 28
2.2.1. 고문헌의 특질과 유통과정 28
2.2.2. 귀중 고문헌의 범주와 기준 29
제3장 한국의 고문헌 문화와 목록서 40
3.1. 한국의 고문헌 문화 40
3.2. 한국의 고문헌 목록서 46
3.2.1. 고려시대 46
3.2.2. 조선시대 48
3.2.3. 근대ㆍ현대 57
3.3. 「한국의 책판목록」 분석 59
3.3.1. 함경도 59
3.3.2. 평안도 60
3.3.3. 황해도 60
3.3.4. 강원도 60
3.3.5. 경기도 60
3.3.6. 서울 61
3.3.7. 충청도 61
3.3.8. 경상도 61
3.3.9. 전라도 61
3.3.10. 제주도 62
제4장 한국의 고문헌 조사와 조사 사례 64
4.1. 한국의 고문헌 조사 64
4.1.1. 윤병태 교수의 조사 64
4.1.2. 전국 사찰 경판 조사 65
4.1.3. 충청북도의 고문헌 조사 65
4.1.4. 불교문화재중앙연구소의 불교문화재 일제조사 66
4.1.5. 문화재청의 일반 동산문화재 다량 소장처 조사 68
4.1.6. 충청북도의 책판 조사 70
4.1.7. 〈한국고전적보존협의회〉 회원기관 조사 70
4.1.8. 북한 소장 고문헌 72
4.2. 충청북도의 고문헌 조사사례 73
4.2.1. 1920년대의 조사 73
4.2.2. 1974년의 조사 74
4.2.3. 1979ㆍ80년의 조사 75
4.2.4. 1985년의 조사 75
4.2.5. 근년의 조사 76
제5장 한국 고문헌의 종류와 수량의 추정 78
5.1. 한국 고문헌의 종류 78
5.1.1. 필사본 78
5.1.2. 간본 79
5.1.3. 고문서 83
5.1.4. 목판 84
5.2. 한국 고문헌의 생산량과 유통량 추정 85
5.3. 한국 고문헌의 산재량 추정 87
제6장 도서관의 고문헌 수집 업무 90
6.1. 고문헌 수집의 일반적 과정 90
6.1.1. 고문헌의 조사 업무 90
6.1.2. 고문헌의 수집 방법 92
6.1.3. 등록 94
6.2. 고문헌 수집의 주요 참고 요소 96
6.2.1. 고문헌 관련 예산 96
6.1.2. 고문헌 수집량 97
6.2.3. 고문헌 정리와 이용률 98
제7장 국내 주요기관의 고문헌 수집 현황 100
7.1. 국립중앙도서관의 고문헌 수집 100
7.1.1. 고문헌의 구입 100
7.1.2. 고문헌 대체자료의 제작ㆍ수집 101
7.1.3. 국외 소재 한국 고문헌의 조사와 디지털화 103
7.1.4.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 수집 업무의 실적과 활용 105
7.2. 한국국학진흥원의 고문헌 수집 107
7.3.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존경각의 고문헌 수집 108
제8장 국립중앙도서관의 고문헌 수집 방안 109
8.1. 국립중앙도서관의 고문헌 수집 방안 109
8.1.1. 구입 111
8.1.2. 수탁 111
8.1.3. 대체자료의 개발 및 제작 112
8.2. 국립중앙도서관의 중장기 한국 고문헌 수집 방안 112
8.2.1. 장기적 한국 고문헌 수집 방안 113
8.2.2. 중기적 한국 고문헌 수집 방안 114
8.2.3. 단기적 한국 고문헌 수집 방안 114
8.2.4. 현실적 한국 고문헌 수집 방안 115
제9장 결론 및 제언 119
9.1. 결론 119
9.1.1. 국내 한국 고문헌 소장량 119
9.1.2. 수집대상 한국 고문헌 수량 120
9.1.3. 국립중앙도서관의 한국 고문헌 수집정책 방안 121
9.2. 제언 122
9.2.1. 국내 소장 목판본의 종합적 조사 122
9.2.2. 고문헌 조사인력 양성과 민간 소장 고문헌의 조사 122
9.2.3.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의 확대 124
9.2.4. 모기지론 방식을 통한 고문헌 수집 124
참고문헌 125
[부록 1] 일반 동산문화재의 구체적인 범위 139
[부록 2] 「한국의 책판목록」의 지역별ㆍ개판처별ㆍ종수별 분석 142
[부록 3] 국내 도서관 고문헌 소장량 조사(1981) 143
[부록 4] 전국 사찰 소장 목판 조사(「전국사찰소장목판집」 발췌) 146
[부록 5] 충청북도 고문헌 소장처 조사 일람(「충청북도의 고서」 발췌) 149
[부록 6] 국내 주요 사찰 고문헌 소장처 일람(「한국의 사찰 문화재」 발췌) 159
[부록 7] 국내 고문헌 소장처 일람(「일반 동산문화재 다량소장처 조사보고서」 발췌) 185
[부록 8] 한국고전적보존협의회 회원도서관의 고문헌 소장량(2008) 206
[부록 9] 김일성종합대학 도서관 소장 고문헌 집계(1958) 209
[부록 10] 한국 고서의 생산ㆍ유통ㆍ산재량 추정(2013) 212
[부록 11] 한국 고문서의 생산ㆍ유통ㆍ산재량 추정(2013) 213
[부록 12] 한국 목판의 생산ㆍ유통ㆍ산재량 추정(2013) 214
[부록 13] 국내 고문헌 소장처별 집계(「일반 동산문화재 다량소장처 조사보고서」 발췌) 215
[부록 14] 한국국학진흥원 목판연구소의 목판 수집현황(2013) 216
판권기 244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