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중국의 신흥시장 진출과 한국의 대응방안 :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 최필수, 박영호, 권기수, 정재완, 이효진 [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KIEP, 2013
청구기호
332.67352 -14-1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96 p. : 삽화, 표 ; 24 cm
총서사항
연구보고서 ; 13-19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32214665
ISBN: 9788932210728(세트)
제어번호
MONO1201447362
주기사항
대등표제: China's advance into emerging markets and Korea's response : a focus on ASEAN, Latin America and Africa
부록: 1. 중국과 한국의 지역별 해외건설 매출액 및 점유율 ; 2. 한국과 중국의 건설 공종 분류 ; 3. 중국의 투자 및 건설 프로젝트 사례 외
참고문헌 수록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5

제1장 서론 2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6

가. 신흥국의 중요성과 중국과의 경쟁 26

나. 연구의 목적 29

2. 선행연구 30

3. 연구 내용 및 방법 32

가. 지역 설정 32

나. 분야 설정 35

다. 연구 방법과 데이터 35

라. 연구의 구성 37

제2장 중국정부의 신흥시장 진출 진흥정책 38

1. 법령 및 제도 39

가. 대외투자관리방법 40

나. 대외도급공정관리조례 41

다. 대내외 인력 관련 규정들 43

2. 금융지원 44

가. 정책금융 및 우대차관 45

나. 대외경제기술협력특별자금 및 기타 48

제3장 무역 및 투자 50

1. 중국의 對신흥국 무역ㆍ투자 개황 51

가. 무역 51

나. 투자 54

2. 韓ㆍ中 RCA 및 신흥국 시장점유율 68

가. 대상 국가 및 품목 선정 68

나. RCA를 통해 본 韓ㆍ中 무역경쟁력 현황 71

다. RCA와 시장점유율 매트릭스 78

3. 동남아 83

가. 최근 중ㆍASEAN 무역ㆍ투자 급증 83

나. 서부대개발과의 연계: 중국 남부ㆍ동남아 경제권 연결 85

다. 인도양 및 남아시아 접근로 확보 87

라. 다자간 협력프로그램 활용 88

마. 미얀마 및 베트남과의 국경무역 활성화와 위안화 국제화 가속 96

바. 동남아 내 화교 및 화교기업과의 연계 강화 100

사. 중간재와 자본재 중심의 수출입 102

4. 중남미 107

가. 무역 및 투자의 가속화 107

나. 브라질 내수시장 확보를 위한 투자 진출 확대 112

다. 대형 물류기지 및 쇼핑센터 건설을 통한 진출 추진 119

라. 미국시장을 겨냥한 우회수출형 투자 진출 121

마. 멕시코 자동차시장 진출 실패 사례 122

5. 아프리카 125

가. 무역 및 투자 현황 125

나. 저가상품공세로 시장침투 가속화: 산업붕괴론 대두 130

다. 대규모 개발금융(원조ㆍ차관ㆍ개발펀드)을 통한 진출 지원 134

라. 투자분야의 광역화: 민간기업 투자 급증 137

제4장 해외건설 수주 142

1. 중국의 해외건설 추이 143

가. 지역별 추이 143

나. 공종별 추이 151

다. 주요 기업 현황 153

2. 동남아 156

가. 미얀마를 중심으로 수력발전소 건설 활발 156

나. 대외원조와 연계한 건설시장 진출: 캄보디아와 라오스 사례 162

다. 대외설계ㆍ컨설팅 분야와 노동자 파견 활발 165

3. 중남미 166

가. 차관을 활용한 인프라부문 진출 확대 166

나. 자원의 수송 원활화를 위한 항만건설 참여 확대 172

다. 전력부문에 대한 전략적 진출 확대 175

4. 아프리카 177

가. 인프라 위주의 진출 177

나. 자원담보 차관 제공 179

다. 저가 입찰ㆍ수주 183

제5장 자원개발 185

1. 주요 추이 186

2. 동남아 191

가. 에너지 자원에 대한 활발한 투자 191

나. 미얀마를 새로운 에너지 공급루트로 활용 194

다. CLMV에서의 희귀광물자원 확보 197

3. 중남미 199

가. 최근 중남미로부터의 석유수입 급증 199

나. 차관 제공을 통한 석유자원확보(Loan for Oil) 200

다. 대형 생산광구 인수를 통한 진출 확대 202

라. 서비스 계약을 통한 하류부문 진출 확대 206

마. 스페인 석유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한 진출 207

바. 중남미 자원개발 리스크에 대한 인식 증가 210

4. 아프리카 212

가. 추이와 지역적 구도 212

나. 지분 인수(M&A)를 통한 투자 대형화 215

다.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신흥 자원부국 집중공략 219

제6장 한국의 대응방안 227

1. 지역별 종합 평가 및 시사점 228

가. 동남아 228

나. 중남미 231

다. 아프리카 237

2. 수출확대 중점 품목 및 지역 발굴 244

가. 현시비교우위가 열위에 처한 품목 245

나. 현시비교우위가 우위에 있는 품목 245

다. 지역별 대응방안 247

3. 해외건설 수주 비교우위지역과 공종 254

가. 지역 분석 254

나. 공종 분석 258

다. 지역별ㆍ공종별 비교와 시사점 260

4. 중국기업과의 협력진출 263

가. 필요성 263

나. 협력진출 사례: 베네수엘라 정유공장 확장공사 수주 265

다. 공동 진출을 위한 공동 금융지원 267

5. 한ㆍ신흥지역 간 교류 확대를 위한 박람회(EXPO) 개최 270

가. 필요성 270

나. 박람회(EXPO) 개최 방안 272

[부록 1] 중국과 한국의 지역별 해외건설 매출액 및 점유율 275

[부록 2] 한국과 중국의 건설 공종 분류 276

[부록 3] 중국의 투자 및 건설 프로젝트 사례 277

[부록 4] 2012년 각 지역의 韓中 주요 건설 프로젝트 285

[부록 5] 2013년 中-ASEAN EXPO 개요 289

참고문헌 294

Executive Summary 303

판권기 317

표 1-1. 신흥국 수입시장에서의 한국과 중국의 점유율 28

표 3-1. 중국의 對신흥국 수출 비중 및 증가율 52

표 3-2. 2012년 중국의 주요국 대상 수출액 및 해당 국가에서의 비중 53

표 3-3. 중국의 對신흥국 투자 비중 55

표 3-4. 중국의 ODI 투자액(2003~12년) 및 해당국에서의 비중 59

표 3-5. 주요 신흥국의 중국기업 수 63

표 3-6. 분석대상 32개국 선정(수출액) 69

표 3-7. 한국과 중국의 주요 품목 RCA 현황 74

표 3-8. 韓ㆍ中 RCA 추이 비교 분석 77

표 3-9. RCA-MS 매트릭스의 개념 79

표 3-10. 한국과 중국의 각 신흥국 시장점유율 비교표 80

표 3-11. 중국의 대(對)아세안 국별 수출 증가율 추이 84

표 3-12. 중국의 대(對)아세안 국별 수입 추이 84

표 3-13. 아세안에 대한 중국과 주요 국/지역의 투자 추이(BOP 기준) 85

표 3-14. 중ㆍ아세안 FTA(CAFTA)의 관세 인하ㆍ철폐 일정표 89

표 3-15. GMS Program에 대한 대상국별 자금투입 현황 및 주체(1992~2010년) 93

표 3-16. ChinaㆍASEAN Expo 주요 성과 94

표 3-17. ChinaㆍASEAN Expo 개막식 행사의 국별 초청자 개요 95

표 3-18. 중국과 미얀마의 주요 국경통관소 현황 97

표 3-19. 중국과 베트남의 주요 국경통관소 현황 99

표 3-20. 동남아 주요국별 화교 구조 및 중국과의 신교류(1980년대 이후) 101

표 3-21. 세계 1,000대 화교기업 중 동남아 화교기업 현황(2011년) 101

표 3-22. 중국의 대(對)아세안 생산공정별 교역 추이: 수출 103

표 3-23. 중국의 대(對)아세안 생산공정별 교역 추이: 수입 104

표 3-24. 중국의 대(對)동남아 주요국별 반제품 수출 비중 추이 104

표 3-25. 중국의 대(對)동남아 주요국별 부품 및 부분품 수출 비중 추이 105

표 3-26. 중국의 대(對)동남아 주요국별 자본재 수출 비중 추이 106

표 3-27. 중국의 대(對)동남아 주요국별 소비재 수출 비중 추이 107

표 3-28. 중남미 수출입 상대국으로서 중국의 순위 변화 108

표 3-29. 중국과 중남미 간 정상 방문 현황 109

표 3-30. 국별 중국의 대중남미 직접투자 현황 111

표 3-31. 중국의 대중남미 분야별 직접투자 현황 112

표 3-32. 중국 제조기업의 멕시코 투자 현황 122

표 3-33. 중국과 미국의 대아프리카 교역규모 비교 125

표 3-34. 중국의 지역별 에너지 및 광물 자원 수입 126

표 3-35. 중국의 아프리카 경제특구(SEZ) 현황 130

표 3-36. 중국과 미국의 앙골라ㆍ가나 개발금융지원규모 비교 135

표 3-37. 중국ㆍ미국ㆍ세계은행의 아프리카 차관조건 비교 136

표 3-38. 중국 국영 및 민간기업의 분야별 아프리카 투자 비중 139

표 4-1. 2012년 중국 해외건설 주요국 순위 145

표 4-2. 매출액 20억 달러 이상 국가의 최근 매출액 추이 145

표 4-3. 2012년 중국 해외건설의 아시아 주요국 수주 및 매출 147

표 4-4. 2012년 중국 해외건설의 아프리카 주요국 수주 및 매출 149

표 4-5. 2012년 중국 해외건설의 중남미 주요국 수주 및 매출 151

표 4-6. 중국의 해외건설 매출액 및 수주액 상위 50대 기업(2012년) 153

표 4-7. 중국 해외건설 매출 20대 기업(2012년) 155

표 4-8. 중국 관련 동남아 수력발전 댐 현황(2013년 6월) 157

표 4-9. 미얀마에 투자 진출한 중국의 주요 수력분야 기업 리스트 158

표 4-10. 중국의 미얀마 에야와디 강 상류 수력발전프로젝트 개요 160

표 4-11. 중국의 동남아에 대한 대외경제합작 수행 현황(2012년 기준) 166

표 4-12. 중국의 대중남미 인프라부문 차관 대출 현황(2005~12년 기준) 169

표 4-13. 대만과 수교한 국가 170

표 4-14. 중국의 자원담보 인프라 차관 제공 현황 182

표 5-1. 중국의 對신흥국 에너지ㆍ광물 자원 의존도 187

표 5-2. 중국의 ASEAN 에너지ㆍ자원 관련 프로젝트 사례 188

표 5-3. 중국의 중남미 에너지ㆍ자원 관련 프로젝트 사례 189

표 5-4. 중국의 아프리카 에너지ㆍ자원 관련 프로젝트 사례 189

표 5-5. 중국 석유기업의 동남아 진출 사례(2002~09년) 192

표 5-6. 중국 에너지 기업의 2010년 이후 동남아에 대한 에너지 분야 투자 193

표 5-7. 미얀마에 투자 진출한 중국의 주요 자원기업리스트 194

표 5-8. 중국의 Loan for Oil 전략을 통한 중남미에서 석유 구입 현황 201

표 5-9. 중국 국영석유기업의 대중남미 석유부문 투자 진출 현황 203

표 5-10. 중국의 중남미 국별 석유/가스 부문 진출 현황(1993~2007년) 206

표 5-11. 중국의 해외 지역별 에너지ㆍ자원 투자 비중(2003~10년) 213

표 5-12. 주요국의 아프리카 광물분야 M&A(2010~12년) 217

표 5-13. 중국의 아프리카 자원분야 M&A 사례(2009~12년) 218

표 5-14. Sinopec의 앙골라 석유자산 지분 222

표 5-15. 중국의 석유도입선 223

표 5-16. 중국의 수단 원유관련 인프라(하류부문) 진출사례 226

표 6-1. 중국의 아프리카 건설프로젝트 인력 구성 239

표 6-2. 중국이 아프리카에서 겪고 있는 사업리스크 240

표 6-3. RCA-MS 매트릭스의 전략적 포지션 244

표 6-4. ASEAN의 韓 中 RCA-MS 매트릭스 250

표 6-5. 중남미의 韓ㆍ中 RCA-MS 매트릭스 252

표 6-6. 아프리카의 韓ㆍ中 RCA-MS 매트릭스 253

표 6-7. 한국/중국 지역별 매출액 비교 추이 257

표 6-8. 지역별 해외건설 총매출액 257

표 6-9. 韓ㆍ中 공종별 수주액 비교 259

표 6-10. 신흥국 건설시장 韓ㆍ中 공종별 수주실적 비교 261

그림 1-1. 주요 신흥국의 세계 GDP 비중 추이 및 전망 26

그림 1-2. 한국의 對신흥국 교역 비중 추이 27

그림 3-1. 'One Axis&Two Wings'와 'Two Corridors & One Circle' 전략 87

그림 3-2. GMS Program의 주요 경제회랑 92

그림 3-3. 연도별 중국의 대중남미 직접투자 추이 110

그림 3-4. 미국과 중국의 대아프리카(SSA) 수입 비교 127

그림 3-5. 중국ㆍ아프리카 주요 교역파트너 127

그림 3-6. 중국의 아프리카 직접투자 128

그림 3-7. 아프리카 국가별 중국인 거주인구 131

그림 3-8. 중국 민간기업의 아프리카 투자 추이 138

그림 3-9. 중국의 에티오피아 투자 형태 및 성격 140

그림 3-10. 중국 지방정부 소재 민간기업의 아프리카 투자 141

그림 4-1. 대륙별 수주액 비중 추이 144

그림 4-2. 2001~12년 아시아에서의 중국 해외건설 추이 147

그림 4-3. 2001~12년 아프리카지역에서의 중국 해외건설 추이 148

그림 4-4. 2001~12년 미주지역에서의 중국 해외건설 추이 150

그림 4-5. 2012년 공종별 수주액(左)과 매출액(右) 비중 152

그림 4-6. 중국의 공종별 매출액 추이 152

그림 4-7. 에야와디 강 상류에 건설 중인 중국의 수력발전프로젝트 조감도 161

그림 4-8. 중국의 캄보디아에 대한 대외원조 지원 추이 163

그림 4-9. 중국의 캄보디아에 대한 대외원조의 분야별 구성(2004~12년) 163

그림 4-10. 국별 중남미 건설공사 수주 비중(2012년) 167

그림 4-11. 중국의 대중남미 분야별 차관 대출 현황(2005~12년 누계) 168

그림 4-12. 중국의 대중남미 국별 차관 대출 현황(2005~12년 누계) 168

그림 4-13. 중국의 분야별 아프리카 인프라 진출 현황 179

그림 5-1. 중국ㆍ미얀마 가스 및 원유 파이프라인 루트(2012년 12월) 196

그림 5-2. 중국의 지역별 석유수입의존도 200

그림 5-3. 중국 국영석유회사의 해외 석유개발 추이 205

그림 5-4. 렙솔 보유의 브라질 탐사광구 현황 208

그림 5-5. 중국의 아프리카 M&A 현황(2003~12년) 216

그림 5-6. 중국 석유기업의 수단 석유광구 지분 현황 225

그림 6-1. 韓ㆍ中 수출입은행 RRPA 개념도 268

그림 6-2. 한국정책금융공사 Global Cooperation Fund 개념도 270

글상자목차

글상자 2-1. 중국수출입은행의 해외프로젝트 지원 사례 46

글상자 2-2. 중국국가개발은행의 해외프로젝트 지원 사례 48

글상자 3-1. 두바이의 드래곤마트 운영 사례 120

글상자 6-1. Puerto La Cruz(PLC) 정유공장 확장공사 추진일정 및 주요 내용 26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1972068 332.67352 -14-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1972069 332.67352 -14-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