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경성방송 시대의 보도방송(1927~1945년) 1. 방송 개시와 방송사적 이슈 2. 프로그램 편성 현황 3. 보도 프로그램의 내용
제2장 KBS 단독방송 시대의 기자(1945~1961년) 1. 해방 시기 및 1950년대의 방송 환경 2. 미군정 시대의 기자(1945~1948년) 3. 국영방송 시대의 기자(1948~1961년)
제3장 민간 상업방송 시대의 기자(1961~1969년) 1. 민간방송의 등장과 보도 분야의 부상 2. KBS 국영방송의 기자 3. MBC 문화방송의 기자 4. TBC 동양방송의 기자 5. DBS 동아방송의 기자 6. CBS 기독교방송의 기자
제4장 방송보도의 초석을 놓은 선구적 기자 탐구 1. 1940, 50년대 데스크를 가장 오래 지킨 조한긍 2. KBS ? MBC 보도의 초석을 놓은 김인현 3. 최초의 종군 방송기자 한영섭 4. 방송저널리즘의 초석을 다진 고품격 기자 이정석 5. TV뉴스 앵커 1호 박근숙
용어 색인 인명 색인
이용현황보기
한국 방송기자 통사 : 방송의 시대! 그 역사 인물을 만나다 이용현황 표 -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05972
071.1 -15-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05973
071.1 -15-5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출판사 책소개
한국 최초의 방송기자 역사서이자 인물사전!
2000년대 들어서는 방송매체가 인쇄미디어를 앞지르는 가히 ‘방송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 새 물결 속에 어느새 방송기자는 방송의 주역으로서 선두 주자가 되었다. 또한 TV의 스타로 나서는가 싶더니 급기야는 이 나라 정관계에도 크게 진출하였다. 방송기자 출신 국회의원은 헤아릴 수도 없이 많아졌고, 더욱이 대통령 후보나 유수 정당의 대표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현상이 크게는 한국 역사에서, 작게는 한국 방송 역사에서 어떠한 평가로 기록될 지 흥미로운 대목이다. 이렇게 방송기자의 위상이 높아진 만큼 우리는 ‘방송시대’의 밑거름이 된 방송과 방송기자의 역사에 얼마나 관심을 가졌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자기 분야의 역사와 인물에 관한 관심과 공부는 분명 자양분이 되어 더 나은 방송의 미래를 만들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본과 상식을 아는 이야말로 참다운 기자다. 아무리 ‘방송(放送)’이 ‘놓아 보낸다’하지만 ‘기자(記者)’는 ‘기록하는 사람’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방송에서 기자가 출현한 1945년 해방 후부터 1969년 MBC-TV개국까지 한국의 방송기자를 정리한 역사서이자 인물사전이다. 이러한 시대의 방송 역사와 기자들을 통해 우리 방송이 나아가야할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방송도 이제 늙어가고 있다. 더 늙어가기 전에 더 일실되기 전에 사료를 정리하여 ‘방송시대’를 구가했던 역사와 인물을 후대에게 전승해야 할 것이다. 『한국 방송기자 통사』(김성호 지음, 21세기북스 펴냄)는 그 작업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다. 경성방송 시대부터 MBC 텔레비전 개국까지 방송과 기자 탐구
이 책은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도입부로 이 땅에서 방송이 시작된 경성방송 시대의 방송사적 이슈와 보도 관련 프로그램의 편성 현황과 내용을 고찰하였다. 제2장에서는 1945년 해방과 더불어 방송기자가 처음으로 출현하는데, 1948년 정부수립 시기를 거쳐 1961년 12월 MBC 문화방송이 개국하기 전까지의 KBS 국영방송 단독 시대의 기자들을 탐구하였다. 물론 이 시대에는 1954년 기독교방송, 1956년 HLKZ-TV, 1959년 부산MBC가 출현하는데, 이들 방송사는 기자 자체가 없거나 있어도 몇 사람에 불과하기에 생략했다. 제3장은 1961년 MBC 문화방송, 1963년 DBS 동아방송, 1964년 RSB 라디오서울, DTV 동양방송 등의 민간 상업방송 시대부터 1969년 MBC가 텔레비전을 개국하는 시기까지의 기자들을 탐색하여 정리하였다. 물론 KBS 국영방송의 기자들도 그 시기까지 한정하여 포함시켰다. 그 이후 1970년대의 작업은 관련 문헌과 생존 인물이 많기 때문에 후학들의 몫으로 남기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방송보도의 초석을 놓은 선구적 기자 탐구’로 몇 분을 선정하여 심도 있게 기술하려고 하는데, 대체로 방송보도 분야에서 선구자(최초)적 업적을 쌓은 인물들이 그 대상이다. 1940, 50년대 데스크를 가장 오래 지킨 조한긍 기자와 김인현 기자, 최초의 종군 방송기자 한영섭, 방송저널리즘의 초석을 다진 이정석 기자, 최초의 TV뉴스 앵커인 박근숙 기자 등 5명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았다.
책속에서
[P.23~24] 저자가 소장하고 있는 경성방송국 개국 당시의 한 사료를 보면, JODK는 라디오방송의 3대 사명으로 보도(報導), 교화(敎化), 위안(慰安) 등을 내걸었다. 보도 장르에는 내외·선내鮮內 뉴스, 천기예보(기상통보), 시장가격, 경제시황 등이, 교화에는 명사 강연, 각종 강좌, 초등학습 강좌, 어린이 시간 등이, 위안에는 서양 음악, 조선 음악, 연극, 기타 내선(內鮮)의 각종 오락 등이 포함되어 있다. 경성방송은 개국 초기, 일본과 마찬가지로 편성 방침이 확고하게 서 있지 않아 확립된 프로그램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다만 그 당시 조선 총독의 문화정치 표방으로 ‘조선에 있어서 문화의 향상 발전에 공헌’한다는 이상적(理想的) 방침은 갖고 있었으나, 실제로 프로그램을 구체화하는 데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
[P. 52] 한국인 위주의 뉴스 취재 및 방송뿐만 아니라 한국인 기자가 전무하던 불모지에 한국어 방송의 뉴스가 편성되었으니 뉴스를 생산할 보도시스템이 급조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통신을 아우르는 뉴스 편집자, 뉴스를 취재하는 기자가 탄생하였다. 이러한 체제를 주도적으로 구축한 이가 그 당시 서울중앙방송국장 이혜구(李惠求)였다. 그의 지시에 따라 문제안(文濟安)이라는 최초의 방송기자가 탄생하고 최초의 편집실무책임자인 이덕근(李德根)이 출현하였다. 후임으로는 전제옥(全濟玉), 강준원(姜駿遠), 조한긍(趙漢兢) 등이 보인다. 같은 시대 기자로는 문제안과 쌍벽을 이루었던 조동훈(趙東勳)이 있다.
[P. 60]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국영방송 관장 부처인 공보처 방송국(KBS)에서는 공채시험을 거쳐 방송기자를 여러 명 선발했다. 그 해 10월에 입사한 이들이 김인현(金仁鉉), 최재요(崔在曜), 권중희(權重熙), 허덕호(許德鎬), 김광국(金光國), 편용호(片鎔浩), 김우용(金禹鎔), 신기철(申基徹)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