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연해주 농업 진출의 전략적 접근 = (A)strategic approach of agricultural expansion in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 강동원 지음 인기도
발행사항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5
청구기호
338.10957 -15-1
자료실
[서울관] 의원열람실(도서관),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형태사항
246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 1773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46057739(양장)
ISBN: 9788946049659(반양장)
제어번호
MONO1201512740
주기사항
참고문헌: p. 240-246

목차보기더보기


제1장|연해주와 한민족
1. 러시아 연해주와 한민족 최초 농업이민 | 2. 항일독립운동과 연해주 | 3. 우리에게 연해주는 왜 중요한가

제2장|연해주 농업 연구, 어디까지 왔나
1. 연해주 농업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2. 연해주의 농업환경 | 3. 연해주 농업개발 관련 정책과 제도

제3장|한국농업의 연해주 진출 실상
1. 연해주 진출의 물꼬를 튼 두 기업 | 2. 연해주 진출 기업의 실패 사례 | 3. 연해주 진출 기업의 실패원인 | 4. 연해주에 진출한 기업현황

제4장|연해주 해외농업개발의 경제성 분석
1. 아로-프리모리에의 수익분석 | 2. 아로-프리모리에의 성공원인 분석 | 3. 경상이익을 배가시키는 방안 | 4. 농업 관련 산업의 연해주 진출 가능성

제5장|연해주에서의 남ㆍ북ㆍ러 농업협력방안
1.한국정부의 연해주 농업협력 구상방안 분석 | 2.남ㆍ북ㆍ러 농업협력방안

제6장|결론

이용현황보기

조회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14351 338.10957 -15-1 [서울관] 의원열람실(도서관) 이용불가
0002034957 338.10957 -15-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34958 338.10957 -15-1 [부산관] 서고(열람신청 후 2층 주제자료실) 이용가능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P.12] 이들의 연해주 정착은 1903년부터 시작된 미국 하와이 농업이민보다 40년이나 앞선다. 1863년 지신허 개척에 이어 1865년에는 수이푼(秋風) 구역에 100여 호에 이르는 한인촌이 성립되었다. 수이푼 구역은 우수리스크 서쪽의 수이푼 강 유역을 말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최초의 해외농업이민사는 미국 하와이가 아니라 러시아 연해주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수정되어야 마땅하다.

    [P. 53] 연해주의 영농은 한국처럼 노동집약적인 영농이 아니라 대형 농기계를 이용해 광활한 농지를 경작해야 하는 조방영농이다. 따라서 적기파종과 적기수확을 위한 준비를 완벽히 해놓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밭갈이를 봄과 가을에 병행해야 하며, 종자, 비료, 제초제, 유류 등의 농자재도 농한기인 겨울철에 미리 확보해야 한다. 농기계의 확충과 정비, 곡물 보관시설의 정비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영농성수기와 농한기의 인력도 확실히 관리해야 하며, 1년간의 영농결과를 결산하여 세무서에 보고하는 것도 소홀해서는 안 된다.
    [P. 94~95] 이미 사업에 실패하고 철수한 기업들에 대한 몇몇 선행연구자의 분석을 보면 평가내용이 대동소이하다. 이들은 가장 큰 실패원인으로 사전준비 부족과 기초정보의 부재, 전문성 미흡을 들었다. 또한 현지 사정과 관련된 실패원인으로는 수확 후 현물처리의 어려움, 높은 관세로 인한 국내 반입의 어려움, 불명확한 진출동기, 초기 투자부담 과중, 법령·제도·관습에 대한 이해 부족, 농자재 수급 어려움, 인프라시설 노후화, 농업 전문가 부재, 현지 노동자의 생산성 미흡, 경작품목 제한성, 정부지원 미흡, 유통 및 판매전략 부재 등을 꼽았다. 이들이 제시한 실패원인은 타당하다. 하지만 나의 견해는 약간 다르다. 수확 후 현물처리의 어려움, 높은 관세로 인한 국내 반입의 어려움, 정부지원 미흡 등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