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연구 개요 1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3
1. 연구 배경 13
2. 연구 목적 14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15
1. 연구 범위 15
2. 연구 방법 16
3. 연구 수행 체계 18
제2장 문화관광해설사 제도 법제화 이후 운영현황 19
제1절 문화관광해설사 제도 법제화 현황 21
1. 개요 21
2. 관련 법규 검토 22
3. 법제화 주요 내용 24
제2절 문화관광해설사 양성 현황 30
1. 신규양성 교육과정 30
2. 정기보수 교육과정 36
제3절 문화관광해설사 배치 및 활용 현황 42
1. 문화관광해설사 배치 현황 42
2. 문화관광해설사 활용 현황 45
제4절 문화관광해설사 제도 지원 현황 50
1. 사업예산 및 인센티브 50
2. 예약 및 홍보 52
제5절 종합분석 및 시사점 54
1. 종합분석 54
2. 주요 시사점 57
제3장 국내외 사례 분석 59
제1절 국내 사례 분석 61
1. 분석 개요 61
2. 정부주도형 사례 62
3. 민간주도형 사례 79
제2절 국외 사례 분석 85
1. 분석 개요 85
2. 일본 관광볼런티어 가이드 86
3. 미국 국가해설가협회 103
제3절 종합분석 및 시사점 109
1. 종합분석 109
2. 주요 시사점 114
제4장 이해관계자 의견조사 분석 117
제1절 해설 공급 이해관계자 119
1. 분석 개요 119
2. 조사결과 분석 120
제2절 해설 수요자(관광객) 136
1. 분석 개요 136
2. 조사결과 분석 136
제3절 종합분석 및 시사점 149
1. 종합분석 149
2. 주요 시사점 153
제5장 문화관광해설사 제도 개선방안 157
제1절 기본방향 159
1. 전제조건 159
2. 기본방향 160
제2절 기존 제도의 개선방안 163
1. 문화관광해설사 양성 교육과정 인증기준 개선 163
2. 문화관광해설사 배치 및 활용의 내실화 도모 168
3. 문화관광해설사 운영관리의 체계화 172
4. 문화관광해설사의 해설서비스 홍보 강화 176
제3절 새로운 제도 운영방안 178
1. 정기보수 교육과정 관련 지자체 인증제 도입 178
2. 지역별 유료해설 투어 프로그램 개발·운영 179
3. 지역주도형 문화관광해설사 양성 및 활용 통합체계 구축 지원 182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87
제1절 요약 및 결론 189
제2절 정책제언 191
참고문헌 193
부록 195
1. 문화관광해설사 관련 법령 197
2. 자연환경해설사 관련 법령 201
3. 숲해설가 관련 법령 203
4. 농어촌마을해설가 관련 법령 210
참여 연구진 213
판권기 214
[그림 I-1] 연구 수행 과정 18
[그림 II-1] 문화관광해설사 제도 법제화 추진 경과 22
[그림 II-2] 교육과정 인증받은 기관/단체 30
[그림 II-3] 문화관광해설사 사업예산 현황 50
[그림 II-4] 문화관광해설사 홍보 사례 53
[그림 III-1] 자연환경해설사 제도 법제화 추진 경과 63
[그림 III-2]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기관 지정 현판 65
[그림 III-3] 숲해설가 제도 법제화 추진 경과 69
[그림 III-4] 산림교육전문가 자격증 73
[그림 III-5] 농어촌마을해설가 제도 법제화 추진 경과 75
[그림 III-6] 신라문화원 유료해설 투어 프로그램 사례(신라달빛기행) 84
[그림 III-7] 일본 관광볼런티어 가이드 조직 및 인원 현황 86
[그림 III-8] 일본 관광볼런티어 가이드비 88
[그림 III-9] 일본 관광볼런티어 가이드 안내해설 실적 88
[그림 III-10] 일본 관광볼런티어 가이드 외국인 관광객 대상 안내해설 현황 89
[그림 III-11] 일본 관광볼런티어 가이드 수입/지출 내역 89
[그림 III-12] 관광볼런티어 가이드 육성 연수내용 90
[그림 III-13] 관광볼런티어 가이드 조직이 안고 있는 과제 90
[그림 III-14] 도쿄도 스미다구 도보투어 관광안내판 사례 92
[그림 III-15] 도쿄도 스미다구 관광가이드 승급 심사표 양식 94
[그림 III-16] 도쿄도 스미다구 관광가이드 활동 96
[그림 III-17] 도쿄도 스미다구 유료해설 도보투어 프로그램 사례 97
[그림 III-18] 도쿄도 가츠시카구 관광볼런티어 가이드 해설활동 99
[그림 III-19] 일본 관광볼런티어 가이드 관련 간행물 100
[그림 IV-1] 문화관광해설사 제도의 운영관리 측면에서 법제화 영향 120
[그림 IV-2] 문화관광해설사 양성교육에 대한 교육과정 인증 및 법제화 영향 121
[그림 IV-3] 문화관광해설사 배치 및 활용에 대한 법제화 영향 121
[그림 IV-4] 향후 문화관광해설사 신규앙성 수요 예상 122
[그림 IV-5] 문화관광해설사가 지역관광 활성화에 기여하는 정도(광역지자체 담당자) 124
[그림 IV-6] 문화관광해설사 제도가 나아가야 할 형태(광역지자체 담당자) 125
[그림 IV-7] 신규양성 교육과정 인증기준(교육과목 및 시간) 적정 여부(교육기관 담당자) 126
[그림 IV-8] 신규양성 교육과정 인증기준(교육강사) 적정 여부 128
[그림 IV-9] 신규양성 교육과정 인증기준(교육시설) 적정 여부 128
[그림 IV-10] 신규양성 교육과정 인증 유효기간 만료 후 재인증 신청 의향 129
[그림 IV-11] 신규양성 교육과정 인증 및 법제화가 체계적인 교육과정 제공에 기여한 정도 131
[그림 IV-12] 신규양성 교육과정 인증기준(교육과목 및 시간) 적정 여부(문화관광해설사) 131
[그림 IV-13] 배치심사위원회 구성·운영 인지 여부 133
[그림 IV-14] 문화관광해설사가 지역관광 활성화에 기여하는 정도(문화관광해설사) 135
[그림 IV-15] 문화관광해설사 제도가 나아가야 할 형태(문화관광해설사) 135
[그림 V-1] 문화관광해설사 제도 개선방향 및 추진과제 162
[그림 V-2] 문화관광해설사 역할에 따른 교육내용 구성 165
[그림 V-3] 문화관광해설사 BI 및 신분증(안) 177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014500 | 338.4791 -15-19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
0002014501 | 338.4791 -15-19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