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통합관리조직의 조직설계 연구용역 / 서울특별시의회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특별시의회 사무처, 2013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115 p. :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513491
주기사항
2013 서울특별시의회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연구기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책임연구원: 김매이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I. 서론 7

1. 연구 배경 7

2. 연구 목적 8

3. 연구 내용 9

4. 연구 방법 10

II. 도시정부 체육시설 행정·경영의 거시 동향 분석 11

1. 스포츠 투자의 제2의 물결 11

2. 공공체육시설 행정·경영을 위한 세 개의 키워드 : 참여(participating), 경쟁(competing), 호스팅(hosting) 13

3. 공공집회시설(public assembly facility)의 거버넌스 16

4. 공공집회시설(public assembly facility)의 조직 및 경영 21

5. 소결 24

III. 조직설계의 최근 동향 및 관련 주요 이론 26

1. 효율적 성과조직에서 학습조직으로의 변환 26

2. 중앙 행정조직 설계의 원칙: 분화와 통합의 원리 27

3. 정부기능연계모형(BRM : Business Reference Model) 29

4. 부서화 방법: 조직구조의 유형 31

가. 기능구조 31

나. 제품구조 32

다. 시장구조 33

라. 지역구조 33

마. 프로세스구조 34

바. 적절한 부서화의 선택 35

5. 네트워크 조직의 분석과 설계 38

가. 외부관계의 유형 39

나. 협력구조 39

6. 공공체육시설 통합관리를 위한 부서화 및 조직구조의 국내외 사례분석 42

가. 춘천체육진흥재단 42

나. London Legacy Development Corporation(영국, 런던) 47

7. 소결 52

IV. 서울시 체육시설 관리·운영체계 혁신화 방안 연구 분석 및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통합관리 조직설계에 대한 시사점 54

1. 서울시 체육시설관리 현황에 대한 문제제기 54

2. 서울시 체육시설의 현황 및 실태 54

가. 서울시 체육시설의 개요 54

나. 체육시설의 관리 및 운영방식 55

다. 체육시설 관련 법·제도적 기반 56

3. 서울시 체육시설의 구분 및 유형 56

가.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체육시설의 유형 재분류 기준 56

나.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체육시설의 유형 분류체계 58

4.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체육시설의 관리와 운영에 관한 문제제기 59

가. 체육시설 관리 관련 문제제기 59

나. 체육시설 운영 관련 문제제기 61

5.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체육시설 관리·운영 개편 방안 62

가. 관리체계의 효율화의 방향-시설(유형별)맞춤형 관리체계 62

나. 서울시 체육시설 통합관리운영 주체 방안 64

6.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체육시설 관리·운영체계 혁신화 방안과 공공체육시설 통합조직의 조직설계에 대한 시사점 65

V.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통합관리조직의 설계 66

1. 전략분석 및 조직설계 기준의 방향성과 지향점 제시 66

가. 서울시 체육정책 비전체계 분석 66

나. 서울시 체육정책 비전체계 분석의 시사점 67

다. 서울시 체육진흥 기본정책 2020 분석에 따른 독립 체육시설 통합관리 조직설계의 전략적 방향성 및 지향점 69

2. 조직 구조분석 및 대안 구조 설계안 70

가. 서울시 현행 조직구조 분석 및 공공체육시설 통합관리 조직 설계 이슈도출 70

나.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통합 관리 조직 설계의 방향 설정 및 조직설계안 85

3. 서울스포츠허브 구성 구조에 따른 네트워크 조직 프로세스 구성안 100

4. 7단계 실행 다이나믹 로드맵의 제시 102

VI. 결론 105

참고문헌 107

별첨 : 체육시설관리소의 부서구성 및 부서별 현행업무 109

판권기 122

초록보기 더보기

 인구 1000만이 넘는 서울시는 그 규모면에서 세계 최대의 도시이자, 1986 아시안게임, 1988년 올림픽게임, 2002년 한일월드컵 개최 등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의 스포츠메가이벤트 등을 개최한 도시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를 연고로 하는 다수의 프로스포츠구단뿐 아니라 서울시청 소속 다양한 실업스포츠팀이 있다. 또한 서울시민들 또한 건강, 체력증진, 행복한 삶의 영유 등의 이유로 점차 체육활동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공공체육시설의 이용도 늘고 있다. 이러한 환경으로 서울시에는 세계대회를 유치할 수 있는 최고시설의 스포츠경기장뿐 아니라, 서울시민들이 매일 이용하는 생활체육시설 등 다양한 체육시설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 수가 300백여 개나 된다. 하지만 현재는 시설의 위치, 건설배경 등 다양한 이유로 공공체육시설을 운영·관리하는 부서가 분산되어있다. 이에 서울시 공공체육시설의 건립·보수·운영·관리 등에 있어 그 효율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서울시민들이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하는 데도 많은 불편함이 있다. 서울시의 관심 체육정책이 생활체육의 확대, 스포츠산업의 증진 등으로 진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산 운영·관리되는 공공체육시설은 서울시가 체육정책을 수립하고 진행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2020 서울시 체육진흥기본정책'과 서울시 체육시설 통합관리 등의 발전방안 달성을 목표로 서울시 본청의 문화관광디자인본부 내 체육진흥과의 일관적이고 통합적인 공공체육시설 정책 및 관리를 제공하는 부서로서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서울시 독립형 전문체육시설을 효율적으로 통합 운영·관리할 수 있는 조직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범위는 조직설계의 기반이 되는 서울시 독립형 전문 체육 시설 통합 조직의 ①전략과 ②구조, ③프로세스에 대한 내용으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서울시 독립형 전문 체육시설 통합조직의 수행 전략, 해당 전략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조직적 역량, 이에 부합하는 조직 구조와 조직적 역할, 전략을 위한 과업성취를 위한 대안 등을 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조사 및 2차적 내부 보고서 등의 자료 분석과 관련 부서 실무자 및 자문위원 등의 심층 인터뷰, 사례조사, BRM(Business Reference Model)분석, 조직구조의 유형분석, 구조기능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독립형 전문 공공체육시설의 통합 조직 설계의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배경지식의 축척을 위해서 2장 '도시정부 체육시설 행정·경영의 거시 동향 분석'에서는 스포츠도시 및 공공체육시설 조직, 운영 관리에 관한 거시적 학문 동향을 살펴보고, 3장 '조직설계의 최근 동향 및 관련 주요 이론'에서는 조직설계, 경영전략, 경영일반을 포함한 다양한 경영이론을 검토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조직·행정·경영 등의 사례분석 및 도시차원에서 통합적으로 공공체육시설을 관리하는 국내·외 도시의 사례분석 등을 포함하였으며, 4장 '서울시 체육시설 관리·운영체계 혁신화 방안 연구 분석 및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통합관리 조직설계에 대한 시사점'에서는 서울시 체육시설 현황 분석 및 문제점 파악 등을 살펴보고, 서울연구원의 체육시설 관리·운영 개편 방안 등을 검토하여 선행 연구들에서 제안하는 서울시 체육시설 통합 관리·운영의 실제적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5장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통합관리조직의 설계'에서는 서울시 체육진흥과의 위치 및 역할 재정립, 서울 스포츠허브의 건립, 서울시 30개의 주요 체육시설의 통합 관리, 그 외 서울시 체육시설의 네트워크화 등을 포함하는 서울시 체육시설의 통합 운영·관리를 위한 구체적 방법 제안과 제안된 서울시 체육시설 관리를 위한 7단계 다이나믹 로드맵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서울시 체육진흥과의 위치 상향조정과 역할 재정립 및 서울 스포츠허브의 신설 등을 바탕으로 한 서울시 체육시설 통합 운영·관리는 서울시민의 원활한 체육시설 이용을 통해 체육복지 실현에 한걸음 더 다가설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서울시 300여개의 체육시설을 안정적, 효율적으로 경영하여 낙후된 체육시설의 보수 등의 문제를 포함하는 서울시 체육관련 재정 관리 및 새로운 시설의 확충 정책 마련에도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서울시 체육시설 통합 운영·관리 방안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관련 내용에 관한 구체적인 후속 연구가 필수적이며, 이와 함께 서울시의 정책적 관심과 서울시 타부서 및 기관과의 원활한 협조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40070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