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공동자원론의 도전 공동자원의 희극 - 인류학이 공동자원론에 기여한 것_ 스가 유타카 임정학적 공동자원론의 원류_입회임야론의 100년과 그 시대배경 _미쓰이 쇼지 지역주의와 공동자원론의 위상 _ 야마모토 노부유키 공동자원론의 재론 - 공동자원의 원천과 그 유역으로의 여행 _ 미쓰마타 가쿠
제2부 공동자원의 변천과정과 현실 근대 일본의 청년조직에 의한 공동조림 - 사이타마현 치치부군 나구리촌 '코난치도쿠회'의 사례 _ 카토 모리히로 '모두의 것'으로서의 산림의 현재 - 시민과 지자체가 만드는 '모두'의 영역 _ 이시자키 료코 소유형태로부터 본 입회임야의 현상-나가노현 호쿠신 지역을 사례로_ 야마시타 우타코 마을산 보전 조례의 역할 _ 우라쿠보 유헤이 초자연적 존재와 '함께 살아가는' - 인도네시아 동부 세람섬 산지 사람들의 숲 관리의 민속 _ 사사오카 마사토시 지역 공동자원과 지역발전-솔로몬제도의 자원이용 방식의 변화로부터 _ 다나카 모토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