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수환경에서의 미생물 생태조사 및 수생태계 영향 연구. 1 / 국립환경과학원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국립환경과학원, 2013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viii, 94 p. : 삽화,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513792
주기사항
연구기관: 제주대학교
연구책임자: 운노타쯔야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Abstract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목표 10

제2절 이론적 배경 11

1. 금강 유역 기본 정보 11

2. 금강 유역의 오염원 현황 15

3. 담수 수질 모니터링 18

4. Next Generation Sequencing과 담수 수질 모니터링 18

5. 최상의 NGS-based 미생물 군집 분석 방법 탐구 19

6. 미생물군집 분석을 통한 수질 감시 21

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22

제1절 연구내용 22

1. 담수 미생물 군집 분석을 위한 적절한 protocol의 개발 22

2. 금강미생물 Sequencing DB 구축 22

3. 수생태계조사자료-미생물생태 조사 23

4. 분변오염원 추적기술을 이용한 분변오염도 조사 23

제2절 연구방법 26

1. 금강 유역 시료 채취 26

2. 분석방법 29

제3장 연구 결과 및 고찰 33

제1절 금강 수질 변동성분석 33

1. BOD 33

2. TP 34

3. TN 34

제2절 Sequence DB 구축 36

제3절 미생물 생태 분석 41

제4절 수질조사 자료-미생물 생태 47

1. 기초자료분석 47

2. 정준상관분석(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을 통한 연관성 분석 51

3. 분석 결과 52

4. 한계점 및 보완방향 58

제5절 수생태계조사 자료 - 미생물생태 59

제4장 결론 66

제5장 활용방안 67

제1절 담수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기반한 미생물 군집 67

제2절 지속형 장기모니터링 시스템의 활용 68

제3절 Fecal Source Tracking Tool의 활용 69

제6장 참고문헌 70

제7장 부록 73

Table 1-1. 금강 수계 주요 하천 현황 12

Table 1-2. 금강수계 내 주요댐 및 저수지 13

Table 1-3. 생활계 오염원 현황(인구수) 15

Table 1-4. 행정구역별 축산 현황 16

Table 1-5. 행정구역별 산업체 페수발생 현황 16

Table 1-6. 행정구역별 양식장 현황 16

Table 1-7. 행정구역별 토지이용 현황 17

Table 1-8. 매립시설 현황 17

Table 1-9. 두 종류의 NGS 시스템 형식 비교 21

Table 2-1. 지역별 시료채취 지점 26

Table 3-1. 4개 샘플링지역의 BOD, COD, TN, TP의 상관관계 분석 35

Table 3-2. 본 연구에서 얻은 시퀀스 수 (red indicates "less than 1000"') 36

Table 3-3. 5월 금강의 수질측정 47

Table 3-4. 5월 금강의 수질지표 유의성 49

Table 3-5. Phylum 수준에서의 존재하는 평균 미생물 수 50

Table 3-6. OTU의 Phylum 수준에서 평균 및 표준편차 50

Table 3-7. 정준변수 쌍의 상관관계 53

Table 3-8. 수질지표와 정준변수(수질자료) 간 상관계수 53

Table 3-9. Phylum 수준과 정준변수(OTU자료) 간 상관계수 55

Table 3-10. 정준변수분석을 통한 샘플링 사이트 간 상관관계 58

Table 3-11. 분변미생물 유전자 Amova test 60

Table 3-12. 동물별 특정 분변미생물 종 62

Table 3-13. 특정 동물 분변미생물 검출 가능성 확인을 위한 테스트 결과 62

Table 3-14. 주요 19개 지점의 7월 미생물 데이터 64

Table 3-15. MST 분석 결과와 NIER의 생태학적 평가비교 65

Table 7-1. Raw data의 Sequence 수와 Processing후 sequecne 수(Trimmed), qPCR(Copy수) 결과 73

Table 7-2. 오염원인 추적 분석 97

Table 7-3. Shared-OTU를 이용한 분변오염원인 분석 103

Fig. 1-1. 오염원의 분류 15

Fig. 2-1. 금강 인근의 비점오염원에 의한 분변오염 분포 24

Fig. 2-2. 금강 수계 시료채취 지점 27

Fig. 2-3. 시료의 전 처리 및 배송방법 28

Fig. 2-4. Miseq 시퀀싱을 위한 전체적인 실험과정 30

Fig. 3-1. 4개 조사 지점별 BOD 비교 분석 33

Fig. 3-2. 4개 조사 지점별 TP 비교 분석 34

Fig. 3-3. 4개 조사 지점별 TN 비교 분석 35

Fig. 3-4. 표본 성향 분석 41

Fig. 3-5. 금강수계 주요 19지점 42

Fig. 3-6. 5월 19개 주요지점의 Phylum 분포 43

Fig. 3-7. 5월 19개 주요지점의 Family 분포 43

Fig. 3-8. 7월 19개 주요지점의 Family 분포 44

Fig. 3-9. 9월 19개 주요지점의 Family 분포 45

Fig. 3-10. 11월 19개 주요지점의 Family 분포 45

Fig. 3-11. 수질지표 상관관계 48

Fig. 3-12. Phylum 수준에서 미생물들의 상관계수 51

Fig. 3-13. 정준변수 쌍의 상관관계 53

Fig. 3-14. 수질지표와 Phylum 수준에서의 미생물과의 상관관계 56

Fig. 3-15. 정준변수분석을 통한 샘플링 사이트 간 상관관계 57

Fig. 3-16. 분변미생물생태 분석 60

Fig. 3-17. 동물 특정미생물을 응용한 분변오염원 추적 61

Fig. 3-18. 분변과 강물 간 미생물생태 차이 61

Fig. 3-19. 2013년 1-9월에 금강 주요지점의 총 대장균수와 연구 대상지역 63

Fig. 5-1. NGS 결과를 기반으로 한 수질모니터링 모식도 67

Fig. 5-2. Sequencing 기술의 발달사 68

Fig. 5-3. NGS 기반의 분변미생물 오염원 추적 69

Fig. 7-1. 19개 주요지점의 Phylum 분포 93

Fig. 7-2. 19개 주요지점의 Family 분포 9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40121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v.1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