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생애주기별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추진 전략 개발 연구 / 가천대학교, 한국건강증진재단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세종] : 보건복지부, 2014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형태사항
369 p. : 표 ; 26 cm
총서사항
건강증진연구사업 정책 ; 13-39
제어번호
MONO1201520645
주기사항
제출처: 보건복지부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30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0

1. 연구 배경 30

2. 연구 목적 4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44

1. 연구 내용 및 범위 44

2. 연구방법 45

3. 연구수행체계 47

제2장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개념과 전략 48

제1절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성공사례 48

1. 해외 사례 - 핀란드 북카렐리아 사업 48

2. 국내 사례 63

제2절 통합건강증진사업 체제에서의 지역사회 추진 전략 77

1. 통합건강증진사업의 강화 77

2. 평가체계의 개선 78

3. 시·도 역할 활성화 79

제3장 국내외 생애과정별 건강증진사업의 추진 현황 81

제1절 임산부 및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증진사업 81

1. 국내 81

2. 국외 84

제2절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증진사업 90

1. 국내 90

2. 국외 99

제3절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증진사업 106

1. 국내 106

2. 국외 110

제4절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증진사업 113

1. 국내 113

2. 국외 117

제4장 생애과정별 건강증진 요구도 122

제1절 영유아/임산부 122

1. 기존 통계 및 연구 결과 122

2. 설문조사 결과 141

3.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 144

4. 임산부 및 영유아의 요구도(종합) 149

제2절 학생 150

1. 기존 통계 및 연구 결과 150

2. 설문조사 결과 159

3.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 161

4. 학생의 요구도(종합) 166

제3절 직장인 167

1. 기존 통계 및 연구 결과 167

2. 설문조사 결과 185

3.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 187

4. 직장인의 요구도(종합) 190

제4절 노인 191

1. 기존 통계 및 연구 결과 191

2. 설문조사 결과 211

3.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 214

4. 노인의 요구도(종합) 219

제5절 전체 221

1. 설문조사 결과 221

제5장 생애과정별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30

제1절 임산부 및 영유아 230

1. 프로그램 측면 230

2. 서비스 전달·공급체계 측면 231

3. 재원 조달 및 자원 배분 측면 232

4. 관리행정 및 거버넌스 측면 233

5. 법 제도 및 환경 측면 234

제2절 학생 235

1. 프로그램 측면 235

2. 서비스 전달·공급체계 측면 236

3. 재원 조달 및 자원 배분 측면 237

4. 관리행정 및 거버넌스 측면 238

5. 법 제도 및 환경 측면 239

제3절 직장인 241

1. 프로그램 측면 241

2. 서비스 전달·공급체계 측면 241

3. 재원 조달 및 자원 배분 측면 242

4. 관리행정 및 거버넌스 측면 243

5. 법 제도 및 환경 측면 244

제4절 노인 245

1. 프로그램 측면 245

2. 서비스 전달·공급체계 측면 245

3. 재원 조달 및 자원 배분 측면 246

4. 관리행정 및 거버넌스 측면 247

5. 법 제도 및 환경 측면 248

제6장 생애과정별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단계적 추진방안 및 우선순위 설정 249

제1절 델파이 조사를 통한 개선방안 도출 249

1. 조사 개요 249

2. 조사 항목 249

3. 항목별 조사 결과 250

제2절 통합적 정책제언 306

1. 추진방향 306

2. 프로그램 측면 310

3. 서비스 전달 및 공급체계 측면 312

4. 재원 조달 및 자원배분 측면 313

5. 관리행정 및 거버넌스 측면 315

6. 법 제도 및 환경개선 측면 316

참고문헌 320

부록 323

표 1. 시·도별 보건소 1개소당 및 보건의료 1인당 평균 관할인구, 면적, 행정동수 36

표 2. 도시보건지소사업 운영기관 37

표 3. 연도별 보건소의 정규직 공무원 수 변화 추이(2006-2011) 37

표 4. 도시보건지소 인력현황 38

표 5. 국민건강증진기금 운용 수지(2011년 및 2012년) 40

표 6. 2007년 OECD 주요국 사회복지지출 규모 비교 41

표 7. 북카렐리아 사업 전개과정 50

표 8. 1969-71년부터 2006년 북카렐리아 지역 남자의 조기사망률 변화 59

표 9. 영양플러스사업의 주요내용 81

표 10. 서울시 임산부·영유아 가정방문 건강관리사업의 추진계획 82

표 11. '세살마을'의 운영프로그램 83

표 12. 분당구 보건소의 다소미 프로그램 84

표 13. WIC 프로그램의 참여 자격 조건 85

표 14. 슈어스타트 프로그램 88

표 15. 슈어스타트 실시 기관 89

표 16. Wee 프로젝트 연도별 안전망 구축사업 93

표 17. 비만예방 건강교실 프로그램 97

표 18. 비만예방 건강교실 운영 자체평가표 99

표 19. 'My Pyramid for Kids'의 방과 후 비만예방 프로그램 스케줄 102

표 20. 메사추세츠 통합학교보건프로그램 구성요소 105

표 21. 근로자건강센터 개설현황 106

표 22. 근로자건강센터의 직업건강 서비스제공 내용 107

표 23. 서울시 도봉구의 건강한 직장 만들기 생활터 현황 109

표 24. 건강한 직장 만들기의 추진내용 110

표 25. 허약 노인을 대상으로 한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115

표 26. 노인건강운동관리 운영 내용 116

표 27. 지역별 신생아중환자실의 부족한 병상 수 추정 138

표 28. 2012년 전국 어린이집 정현원 현황 및 충원율 139

표 29. 전국 어린이집 미설치 지역 139

표 30. 시도별 장애전문보육시설 설치 현황 140

표 31. 모자보건사업 대상자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농어촌) 144

표 32. 모자보건 사업 담당자 인터뷰 결과(농어촌) 146

표 33. 모자보건 사업 담당자 인터뷰 결과(도시지역) 147

표 34. 학생건강증진 대상자 포커스 인터뷰 결과(농어촌) 161

표 35. 학생건강증진 대상자 포커스 인터뷰 결과(도시지역) 162

표 36. 학생보건사업 담당자 인터뷰 결과(농어촌) 163

표 37. 직장보건 대상자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농어촌) 187

표 38. 직장보건 대상자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도시지역) 188

표 39. 노인보건 사업대상자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농어촌) 214

표 40. 노인보건 사업담당자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농어촌) 216

표 41. 노인보건 사업담당자 초점집단 인터뷰 결과(도시지역) 217

표 42. 전문가 델파이 조사항목 250

표 43. 임산부 및 영유아의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필요 정도 델파이 조사 결과 251

표 44. 가정폭력 여성과 아이에 대한 접근 프로그램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52

표 45. 산후우울증과 같은 정신건강 프로그램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53

표 46. 양육 차원에서 통합적인 지원이 가능한 모형의 개발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53

표 47.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을 위한 접근 프로그램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54

표 48. 지역사회 밀착형 영유아건강관리 체계 구축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55

표 49. 지역 내 산부인과, 보건소 등을 연계하는 지역사회협력모형 구축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55

표 50. 보건소 모자보건 담당자에 대한 전국 차원의 교육체계의 정립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56

표 51. 시기적절한 예산 지급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57

표 52. 다양한 분야의 모자보건 재원을 종합한 예산 재분배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57

표 53. 투입재원의 확대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58

표 54. 보건의료계획과 복지의료계획의 통합 진행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59

표 55. 전수 현황 파악을 위한 등록체계 구축 혹은 자료이용 연계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59

표 56. 중간지표의 모니터링 체계 구축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60

표 57.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건강문제를 포괄하는 시스템 구축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60

표 58. 통계자료 연계를 위한 제도적인 틀 마련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61

표 59. 모자보건법 개정 추진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62

표 60. 영유아보육법 강화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62

표 61. 임산부 및 영유아를 위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추진방안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64

표 62. 학생의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필요 정도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66

표 63. 건강증진모델학교 도입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67

표 64. 학생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68

표 65. 일반 교사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69

표 66. 건강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교육컨텐츠의 개발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69

표 67. 학교 단위의 포괄적 서비스 제공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70

표 68. 보건소를 포함한 지역사회와 건강증진서비스의 역할분담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71

표 69. 조기 개입 및 관리를 위한 연계 체계 구축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71

표 70. 보건소를 통한 지원의 확대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72

표 71. 교육재원 중 건강과 관련된 재원 및 인력의 비중 확대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73

표 72. 정부 부처 간 정기적 협의기구 운영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73

표 73. 지역 교육청 내부에 설치된 학교건강증진협의체의 활성화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74

표 74. 보건소 내부에 학생 건강증진위원회의 설치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74

표 75. 학교/보건소/지역사회 간의 새로운 협력체계 구축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75

표 76. 지역보건법, 건강증진법, 건강보험법 개정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76

표 77. 건강의 중요성을 제고하기 위한 사회적 활동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76

표 78. 법률 개정 및 조례 제정 등을 통한 학교 주변 유해환경 규제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77

표 79. 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추진방안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78

표 80. 직장인의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필요 정도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81

표 81. 사업장 단위의 건강증진프로그램 제공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82

표 82. 보건소 등 건강증진프로그램의 탄력적 운용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83

표 83. 사업장 규모와 노동자 특성 고려한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적용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83

표 84. 소규모 사업장 지원을 위한 지자체의 일차적인 재원공급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84

표 85. 현 '근로자건강센터'와 연계한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85

표 86. 보건소를 통한 지원 확대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85

표 87. 직장인 건강과 교육문제에 대한 인력 및 자원의 재분배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86

표 88. 지역거주민 우선의 사업 배타성을 최소화하여 관리하는 방안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87

표 89. 보건복지부로 관리행정 및 거버넌스의 통일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87

표 90. 직장/보건소/지역사회 간의 새로운 협력체계 구축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88

표 91. 직장인 건강증진에 관한 구체적인 법적·제도적 근거 마련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89

표 92. 고용노동부와 보건복지부 간의 긴밀한 논의구조 마련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89

표 93. 법률 개정 및 조례 제정 등을 통한 사업장 내 유해환경 규제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90

표 94. 직장인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추진방안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91

표 95. 노인의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필요 정도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94

표 96. 통합프로그램의 제공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95

표 97. 취약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증진프로그램 강화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96

표 98. 의원과 약국을 활용한 노인건강증진사업의 수행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97

표 99. 장기요양서비스와 서비스 연계 등 통합서비스 공급체계 구축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97

표 100. 방문보건인력의 역량 강화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98

표 101. 다양한 자원에 대한 진단을 통하여 자원배분계획의 수립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299

표 102. 복지부 내 비전 및 방향 설정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300

표 103. 지역사회 파트너쉽 구축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300

표 104. 사회보장과 관련된 법 제도의 개선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301

표 105. 노인 자살과 관련한 사회문화적 접근의 병행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302

표 106. 노인의 경제적 위치 유지 등 사회적 지지 환경 마련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302

표 107. 허약노인의 생활 및 건강을 위협하는 환경적 요인 개선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303

표 108.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추진방안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304

표 109. 생애과정별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정책제안(요약) 318

그림 1.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사업개요 31

그림 2.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 2020)의 기본 틀 32

그림 3.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추진방향 33

그림 4. 보건소 생애과정별 보건의료서비스 제공내용 34

그림 5.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운영모형 34

그림 6. 보건복지 예산 현황 41

그림 7. 생애과정별 보건의료사업의 개념도 42

그림 8. 연구수행체계 47

그림 9. 지역사회보건프로그램의 위계적 목표들 51

그림 10. 북카렐리아 사업에서 사용된 지역사회 개입의 통합 모형 53

그림 11. 30-59세 남자 혈청 콜레스테롤 58

그림 12. 30-59세 여자 혈청 콜레스테롤 58

그림 13. 북카렐리아 지역의 관상동맥질환의 연령표준화 조기사망률 59

그림 14.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주요 구성요소 61

그림 15. 전국 및 동해시 65세 이상 환자 등록률 비교(13년 상반기) 65

그림 16. 전국 및 동해시 환자 교육실적(13년 상반기) 65

그림 17. 사업 전후 암검진율 비교 68

그림 18. 고혈압 관리사업 사전 사후 인지율, 치료율, 조절율 비교 68

그림 19. 체조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 비교결과 69

그림 20. 영월군 건강마을 소직지 72

그림 21. 홍천군 건강마을 소식지 마을 전수 조사 결과 내용 73

그림 22. 홍천군 6개리의 암검진 수검률 73

그림 23. Wee 프로젝트 체계도 91

그림 24. Wee 서비스 네트워크 92

그림 25. 서울시 학생 및 아동치과주치의 기본 틀 94

그림 26. 서비스 제공 절차 95

그림 27. 저소득층 아동 치과주치의 업무체계도 96

그림 28. 독일 아동문제에 대한 학교 상담과정 100

그림 29. 뉴욕 마이피라미드의 신체활동 시스템 103

그림 30. Coordinated School Health Program(CSHP) 모형 104

그림 31. 건강한 직장 만들기 108

그림 32. Fitness@Work 112

그림 33.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개념적 틀 114

그림 34. 건강포인트제도를 활용한 민관협력의 등록관리모형 117

그림 35. 일본 개호보험서비스 및 개호예방서비스의 이용절차 118

그림 36. 일본 개호예방사업에서의 구강케어 흐름도 119

그림 37. PACE 서비스 종류 120

그림 38. PACE 서비스 제공자(협력팀) 121

그림 39. 영아사망추이 122

그림 40. 한국 및 OECD국가의 영아사망률 추이 (2001-2011) 123

그림 41. 모성사망비 123

그림 42. 연령별 모성사망자수 구성비와 연령별 모성사망비 124

그림 43. 지역별 모성사망비 124

그림 44. 주요 모성사망원인 구성비 추이(2009-2011) 125

그림 45. 동부와 읍/면부의 초진시기 126

그림 46. 가구소득별 초진시기 126

그림 47. 동부와 읍/면부의 산전수진횟수 127

그림 48. 가구소득별 산전수진횟수 127

그림 49. 동부와 읍/면부의 출생아 분만장소 128

그림 50. 가구소득별 출생아 분만장소 129

그림 51. 출산시 분만형태 129

그림 52. 출생아 조산여부 130

그림 53. 출생아 체중 131

그림 54. 연도별 산후수진율 131

그림 55. 산후조리원 이용경험율 132

그림 56. 동부와 읍/면부의 출생아 선천성대사이상검사 수검률 132

그림 57. 교육수준에 따른 출생아 선천성대사이상검사 수검률 133

그림 58. 모유수유 교육경험율 134

그림 59. 동부와 읍/면부의 산전 모유수유교육 134

그림 60. 가구소득별 산전 모유수유교육 135

그림 61. 모유수유교육의 도움정도 136

그림 62. 0~19세 인구 10만명 당 소아청소년과의원(2013) 136

그림 63. 15-49세 여성 인구 10만명당 분만실보유 산부인과(2013) 137

그림 64. 임산부 및 영유아 대상 건강증진사업의 필요도(전체) 141

그림 65. 임산부 및 영유아 대상 건강증진사업의 필요도(지역구분) 143

그림 66. 10~19세 사망원인(전체, 인구 십만명당) 150

그림 67. 3대 사망원인(성별, 인구 십만명당) 151

그림 68. 현재흡연율 151

그림 69. 흡연 영역 주요 결과 152

그림 70. 현재음주율 153

그림 71. 음주 영역 주요 결과 153

그림 72. 비만율 154

그림 73. 비만 및 체중조절 영역 주요결과 154

그림 74. 주 3일 이상 격렬한 신체활동 실천율 155

그림 75. 주 5일 이상 아침식사 결식률 155

그림 76. 식습관 영역 주요결과 156

그림 77. 스트레스 인지율 157

그림 78. 우울감 경험률 157

그림 79. 정신보건 영역 주요결과 158

그림 80. 만 6~19세 청소년 대상 건강증진사업의 필요도(전체) 159

그림 81. 만 6~19세 청소년 대상 건강증진사업의 필요도(지역구분) 160

그림 82. 사업장의 업종별 분포 167

그림 83. 사업장의 종사자 규모별 분포 168

그림 84.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168

그림 85. 업종과 규모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169

그림 86. 근로자의 흡연율 170

그림 87. 업종과 규모에 따른 흡연율 171

그림 88. 근로자의 음주율 172

그림 89. 업종과 규모에 따른 음주율 173

그림 90. 근로자의 주관적 체중 인식 174

그림 91. 업종과 규모에 따른 주관적 체중 인식 175

그림 92. 근로자의 규칙적 식사 176

그림 93. 업종과 규모에 따른 규칙적 식사 177

그림 94. 근로자의 지난 1달 동안 운동 횟수 178

그림 95. 업종과 규모에 따른 지난 1달 동안 운동 횟수 179

그림 96. 근로자의 평균 수면시간 179

그림 97. 업종과 규모에 따른 평균 수면시간 180

그림 98. 근로자의 평소 피로정도 181

그림 99. 업종과 규모에 따른 평소의 피로정도 182

그림 100. 근로자의 평소 스트레스 정도 183

그림 101. 업종과 규모에 따른 평소 스트레스 정도 184

그림 102. 만 20~64세 성인 대상 건강증진사업의 필요도(전체) 185

그림 103. 만 20-64세 성인 대상 건강증진사업의 필요도(지역구분) 186

그림 104. 인구의 고령화 191

그림 105. 노년부양비와 노령화 지수 추이 192

그림 106. 지역별 고령인구비율 193

그림 107. 65세 이상 인구의 사망원인 193

그림 108. 성별에 따른 65세 이상 인구 사망원인 194

그림 109. 2012년 고령자의 암 종류별 사망률 194

그림 110. 65세 이상 한국 노인의 치매 유병률 및 치매 환자수 추이 195

그림 111. 노인의 만성질환의 수 196

그림 112. 지역,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만성질환의 수 197

그림 113. 만성질환의 본인인지 유병률 198

그림 114. 성별에 따른 만성질환의 본인인지 유병률 199

그림 115. 일반특성별 우울증상 유병률 199

그림 116. 일반특성별 우울정도 200

그림 117. 노인의 일반특성별 현재흡연율 201

그림 118. 노인의 일반특성별 음주정도 202

그림 119. 노인의 일반특성별 운동실천율 203

그림 120. 노인의 일반특성별 건강검진 수진율 203

그림 121. 노인의 일반특성별 건강검진 미수진 이유 204

그림 122. 노인의 평소 건강상태 204

그림 123. 지역, 학력수준, 연가구소득에 따른 평소 건강상태 206

그림 124. 의사처방 복용 약의 복용실태 207

그림 125. 지역,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의사처방 복용 약의 복용실태 208

그림 126. 지난 2주간 의료기관 방문횟수 209

그림 127. 지역,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른 지난 2주간 의료기관 방문횟수 210

그림 128. 만 65세 이상 노인 대상 건강증진사업의 필요도(전체) 212

그림 129. 만 65세 이상 노인 대상 건강증진사업의 필요도(지역구분) 213

그림 130.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인지도(성, 연령별) 221

그림 131.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인지도(지역구분) 222

그림 132.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이용경험(성, 연령별) 223

그림 133.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이용경험(지역구분) 223

그림 134.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도움정도(성, 연령별) 224

그림 135.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도움정도(지역구분) 225

그림 136.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미이용 이유(전체) 225

그림 137. 보건소의 지역사회 건강증진 노력에 대한 평가(성, 연령별) 226

그림 138. 보건소의 지역사회 건강증진 노력에 대한 평가(지역구분) 227

그림 139. 선호하는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제공 방식(성, 연령별) 227

그림 140. 선호하는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제공 방식(지역구분) 228

그림 141.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참여의향(성, 연령별) 229

그림 142.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참여의향(지역구분) 22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40532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