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용역결과보고서 : '12년 3차원 공간정보 구축사업 : 기술부문. 1-2 / 국토지리정보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수원 :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2
청구기호
910.285 -15-6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2책 : 삽화, 표 ; 30 cm
제어번호
MONO1201523539
주기사항
[연구기관명]: 중앙항업 주식회사, 새한항업 주식회사, 한국아이엔지주식회사, 주식회사범아엔지니어링, 사단법인 한국측량학회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목차

제1장 사업개요 23

1. 사업배경 및 목적 23

1) 사업배경 23

2) 사업목적 24

2. 사업내역 24

3. 작업규정 24

4. 사업의 범위 25

1) 시간적 범위 25

2) 내용적 범위 25

3) 공간적 범위 25

5. 주요 추진 일정(예정공정표) 26

제2장 항공사진 촬영 27

1. 개요 27

2. 촬영 대상지역 28

3. 디지털카메라(ADS, DMC)촬영 29

1) 디지털카메라의 특성 29

2) 작업공정 41

3) 작업세부절차 43

4. PICTOMETRY촬영 111

1) 카메라의 특성 111

2) 작업흐름도 117

3) 작업세부절차 117

제3장 기준점 측량 126

1. 지상기준점 측량 126

1) 개요 126

2) 작업흐름도 126

3) 평면기준점 측량[내용누락;p.111,115] 127

4) 표고기준점 측량 143

5) 기준점의 조서(Sample) 155

2. 사진기준점 측량 157

1) 개요 157

2) ADS 영상을 이용한 사진기준점 측량[내용누락;p.137] 158

3) PICTOMETRY, DMC 영상을 이용한 사진기준점측량[내용누락;p.173] 180

제4장 수치표고모델 구축 196

1. 개요 196

1) 수치표고자료 구축 지역[내용없음] 8

2) 항공레이저(LiDAR)측량 개요 198

3) 항공레이저측량 자료처리 224

4) 점밀도 확인 263

5) 기준점 측량 264

6) 원시데이터의 점검 및 조정 265

2. 수치표고모델 제작 267

1) 수치표면자료(Digital Surface Data) 구축 268

2) 수치지면자료(Digital Terrain Data) 구축 279

3)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구축 289

4) 데이터 검증 297

5) 성과품 제작 306

판권기 322

[표 2.1] 항공카메라별 제원 34

[표 2.2] 인천광역시 분석자료 49

[표 2.3] 울산광역시 분석자료 50

[표 2.4] 대전광역시 분석자료 50

[표 2.5] 광주광역시 분석자료 50

[표 2.6] 부산광역시 B지구 분석자료 50

[표 2.7] 독도 분석자료 51

[표 2.8] 촬영승인기간 및 승인번호 58

[표 2.9] ADS 항공사진촬영 내용 63

[표 2.10] DMC 항공사진촬영 내용 65

[표 2.11] 디지털 카메라 단계별 영상특징 67

[표 2.12] 디지털 카메라 전용 S/W구분 및 수행기능 69

[표 2.13] 디지털 영상 오류 유형 83

[표 2.14] 상시관측소 사용내역 및 성과 91

[표 2.15] GPS 상시관측소 사용 현황 92

[표 2.16] 위장처리 102

[표 2.17] XML 제작을 위한 메타데이터 문서 103

[표 2.18] Pictometry제원 112

[표 2.19] Pictometry촬영내역 119

[표 3.1] 부산A지역 및 대구 상기 기준국 좌표 128

[표 3.2] 광주광역시 지상기준점 성과 139

[표 3.3] 대전광역시 지상기준점 성과 139

[표 3.4] 부산광역시A지구 지상기준점 성과 140

[표 3.5] 부산광역시B지구 지상기준점 성과 140

[표 3.6] 울산광역시 지상기준점 성과 141

[표 3.7] 대구광역시 지상기준점 성과 141

[표 3.8] 인천광역시 지상기준점 성과 142

[표 3.9] 광주광역시 지상기준점 성과 151

[표 3.10] 대전광역시 지상기준점 성과 151

[표 3.11] 부산광역시A지구 지상기준점 성과 152

[표 3.12] 부산광역시B지구 지상기준점 성과 152

[표 3.13] 울산광역시 지상기준점 성과 153

[표 3.14] 대구광역시 지상기준점 성과 153

[표 3.15] 인천광역시 지상기준점 성과 154

[표 3.16] APM 설정 163

[표 3.17] 블록 평균 RMSE 173

[표 3.18] 인천광역시 측량성과와 사진기준점측량성과 비교 174

[표 3.19] 대전광역시 측량성과와 사진기준점측량성과 비교 175

[표 3.20] 광주광역시 측량성과와 사진기준점측량성과 비교 176

[표 3.21] 울산광역시 측량성과와 사진기준점측량성과 비교 177

[표 3.22] 부산광역시B지구 측량성과와 사진기준점측량성과 비교 178

[표 3.23] 독도 측량성과와 사진기준점측량성과 비교 179

[표 3.24] 사진기준점측량 계산결과표. 188

[표 3.25] 부산광역시 A지구 계산결과표(DMC) 189

[표 3.26] 부산광역시 B지구 계산결과표(PICTOMETRY) 189

[표 3.27] 인천광역시 A지구 계산결과표(PICTOMETRY) 190

[표 3.28] 인천광역시 B지구 계산결과표(PICTOMETRY) 190

[표 3.29] 인천광역시 C지역 계산결과표(PICTOMETRY) 191

[표 3.30] 대구광역시 계산결과표(DMC) 191

[표 3.31] 울산광역시 계산결과표(PICTOMETRY) 192

[표 3.32] 대전광역시 계산결과표(PICTOMETRY) 193

[표 3.33] 독도 계산결과표(PICTOMETRY) 193

[표 3.34] 광주광역시 계산결과표(PICTOMETRY) 194

[표 4.1] ALS60제원 및 성능 205

[표 4.2] ALTM Gemini 167제원 및 성능 205

[표 4.3] 라이다 센서를 기준으로 한 센서별 이격거리(ALS60) 206

[표 4.4] 라이다 센서를 기준으로 한 센서별 이격거리(ALTM) 206

[표 4.5] 시스템 검정 인자 209

[표 4.6] 시스템 검정 결과 213

[표 4.7] 촬영고려사항 215

[표 4.8] 촬영승인기간 및 승인번호 221

[표 4.9] 일자별 촬영내역 222

[표 4.10] 항공레이저측량 작업규정 제 10조, 1항 : 격자간격 당 점밀도 263

[표 4.11] 사업권역별 취득된 점밀도 현황 263

[표 4.12] 정표고 변환을 위해 사용한 측량 성과(인천광역시) 269

[표 4.13] 정표고 변환을 위해 사용한 측량 성과(울산광역시) 270

[표 4.14] 정표고 변환을 위해 사용한 측량 성과(대전광역시) 271

[표 4.15] 정표고 변환을 위해 사용한 측량 성과(광주광역시) 272

[표 4.16] 정표고 변환을 위해 사용한 측량 성과(부산광역시) 273

[표 4.17] 정표고 변환을 위해 사용한 측량 성과(대구광역시) 273

[표 4.18] 정표고 변환을 위해 사용한 측량 성과(독도) 274

[표 4.19] 항공레이저측량 작업규정 제 44조, 2항 : 수직위치 정확도 297

[표 4.20] 수치표고모델(DEM) 성과 검토(인천광역시) 299

[표 4.21] 수치표고모델(DEM) 성과 검토(울산광역시) 300

[표 4.22] 수치표고모델(DEM) 성과 검토(대전광역시) 301

[표 4.23] 수치표고모델(DEM) 성과 검토(광주광역시) 302

[표 4.24] 수치표고모델(DEM) 성과 검토(부산광역시) 303

[표 4.25] 수치표고모델(DEM) 성과 검토(대구광역시) 304

[표 4.26] 수치표고모델(DEM) 성과 검토(독도) 305

[표 4.27] 수치표고모델 관리파일 309

[표 4.28] 수치표고모델 성과검토(인천광역시) 310

[표 4.29] 인천광역시 수치표고모델과 수치지도 비교분석 결 과 311

[표 4.30] 수치표고모델 성과검토(울산광역시) 312

[표 4.31] 울산광역시 수치표고모델과 수치지도 비교분석 결과 313

[표 4.32] 수치표고모델 성과검토(대전광역시) 314

[표 4.33] 대전광역시 수치표고모델과 수치지도 비교분석 결과 315

[표 4.34] 수치표고모델 성과검토(광주광역시) 316

[표 4.35] 광주광역시 수치표고모델과 수치지도 비교분석 결과 317

[표 4.36] 수치표고모델 성과검토(부산광역시) 318

[표 4.37] 부산광역시 수치표고모델과 수치지도 비교분석 결과 319

[표 4.38] 수치 표고모델 성과검토(대구광역시) 320

[표 4.39] 대구광역시 수치표고모델과 수치지도 비교분석 결과 321

[그림 1.1] 사업위치도 25

[그림 2.1] 디지털 항공사진 개요 27

[그림 2.2] 작업 대상지역 28

[그림 2.3] 라인 센서 방식의 카메라 29

[그림 2.4] 선형배열 CCD센서와 지상표본거리(GSD)와의 관계 30

[그림 2.5] ADS80 항공 시스템 30

[그림 2.6] ADS80 작업 흐름도 31

[그림 2.7] ADS 카메라의 TDI 31

[그림 2.8] DMC Multi-head 카메라의 배열 32

[그림 2.9] 4개의 Sub-Image와 제작된 Panchromatic Image 33

[그림 2.10] Multi Sensor에 의해 제작된 Color Image 33

[그림 2.11] DMC 카메라의 FMC 34

[그림 2.12] GPS/INS와 ADS디지털카메라의 이격거리 산출 36

[그림 2.13] GPS/INS와 DMC디지털카메라의 이격거리 산출 36

[그림 2.14] Boresight Calibration 지역(ADS) 37

[그림 2.15] Boresight Calibration 지역(DMC) 37

[그림 2.16] 사진기준점측량 정확도 38

[그림 2.17] 사진기준점측량 성과를 PatB파일로 변환 39

[그림 2.18] Calibration을 위한 설정 창 39

[그림 2.19] ADS Boresight Calibration 결과 값 40

[그림 2.20] DMC Boresight Calibration 결과 값 40

[그림 2.21] 디지털 항공촬영 흐름도 41

[그림 2.22] 촬영 계획 흐름도 43

[그림 2.23] 지형도 Base Map(좌: 대전광역시, 우: 인천광역시) 44

[그림 2.24] 지형도 Base Map(좌: 울산광역시, 우: 광주광역시) 44

[그림 2.28] 지형도 Base Map(좌: 부산광역시 B지구, 우: 독도) 45

[그림 2.26] 비행고려사항 설정 45

[그림 2.27] 촬영계획 분석 46

[그림 2.28] 광주광역시 촬영계획도 46

[그림 2.29] 대전광역시 촬영계획도 47

[그림 2.30] 인천광역시 촬영계획도 47

[그림 2.31] 울산광역시 촬영계획도 48

[그림 2.32] 부산광역시 B지구 촬영계획도 48

[그림 2.33] 독도 촬영계획도 49

[그림 2.34] 부산광역시 A지구 DEM데이터 51

[그림 2.35] 부산광역시 A지구 지형도 Base Map 51

[그림 2.36] 대구광역시 DEM데이터 52

[그림 2.37] 대구광역시 지형도 Base Map 52

[그림 2.39] DEM데이터를 이용한 촬영계획 분석(상: 부산광역시 A지구, 하: 대구광역시) 53

[그림 2.40] 항공기제원 입력 54

[그림 2.41] 카메라정보 입력 54

[그림 2.42] 디지털항공사진 촬영 계획 입력 54

[그림 2.43] 부산광역시 A지구 촬영계획 3차원 분석 55

[그림 2.44] 대구광역시 촬영계획 3차원 분석 56

[그림 2.45] 각 지역별 촬영 설계도(좌: 부산광역시 A 지구, 우: 대구광역시) 57

[그림 2.46] 사업지역 최종 촬영코스 설계(상: 부산광역시 A 지구, 하: 대구광역시) 57

[그림 2.47] 디지털 항공사진 촬영 흐름도 58

[그림 2.48] FCMS에 의한 비행 제어 61

[그림 2.49] 항공사진표정도(좌: 울산광역시, 우: 광주광역시) 62

[그림 2.50] 항공사진표정도(좌: 인천광역시, 우: 대전광역시) 62

[그림 2.51] 항공사진표정도(좌: 부산광역시 B지구, 우: 독도) 63

[그림 2.52] Z/I Mission 과 Z/I Inflight의 상관관계 64

[그림 2.53] Z/I Inflight 메인 화면 64

[그림 2.54] 부산광역시 A지구 촬영코스도(5월 18일) 65

[그림 2.55] 대구광역시 촬영코스도(5월 27일 오전, 오후) 65

[그림 2.58] 디지털 데이터 처리 과정 66

[그림 2.57] Level_0 영상과 Level_1 영상의 비교 67

[그림 2.58] 영상 조합 68

[그림 2.59] Mass Memory 68

[그림 2.60] 대용량 저장장치 68

[그림 2.61] L0영상과 GPS/INS 다운로드 69

[그림 2.62] ADS 방사보정 70

[그림 2.63] Image Adjustment 설정창 70

[그림 2.64] Rectify 71

[그림 2.65] LI RGB 영상 71

[그림 2.66] 디지털 영상 생성 흐름도 72

[그림 2.67] DMC PostProcessing 창 72

[그림 2.68] Panchromatic 73

[그림 2.69] 촬영된 Multi Spectral 영상 73

[그림 2.70] Pan Sharpening 설정 74

[그림 2.71] Dodging 설정 74

[그림 2.72] DMC Postprocessing이 완료된 RGB 영상 74

[그림 2.73] LUT 생성 흐름도 75

[그림 2.74] DMC Image Analyst 메인화면 75

[그림 2.75] Gamma값 조정 76

[그림 2.76] Color Band 조정 창 76

[그림 2.77] Color Balance 조정 설정 77

[그림 2.78] Tonal Balance 조정 설정 77

[그림 2.79] 부산광역시 A지구 LUT 적용 전(상)과 후(하)의 영상 비교 78

[그림 2.80] 인천광역시 촬영 품질검사 79

[그림 2.81] 울산광역시 촬영 품질검사 80

[그림 2.82] 대전광역시 촬영 품질검사 80

[그림 2.83] 광주광역시 촬영 품질검사 81

[그림 2.84] 독도 촬영 품질검사 81

[그림 2.85] 부산광역시 A 지구 촬영 품질검사 82

[그림 2.86] 부산광역시 B지구 촬영 품질검사 82

[그림 2.87] 대구광역시 촬영 품질검사 83

[그림 2.88] 항공사진 오류종류 84

[그림 2.89] Radiometric오류 유형과 정상 데이터 비교 84

[그림 2.90] Geometric오류 유형과 정상 데이터 비교 85

[그림 2.91] LUT 적용 오류 유형과 정상 데이터 비교 85

[그림 2.92] 인천광역시 디지털항공영상 86

[그림 2.93] 울산광역시 디지털항공영상 86

[그림 2.94] 대전광역시 디지털항공영상 87

[그림 2.95] 광주광역시 디지털항공영상 87

[그림 2.96] 부산광역시 A지구 디지털항공영상 88

[그림 2.97] 부산광역시 B지구 디지털항공영상 88

[그림 2.98] 독도 디지털항공영상 89

[그림 2.99] 대구광역시 디지털항공영상 89

[그림 2.100] 사업지역에 사용된 상시 기준국 90

[그림 2.101] 촬영 일자별 비행궤적 94

[그림 2.102] 촬영 일자별 관측된 위성개수 96

[그림 2.103] 촬영 일자별 PDOP 수치 98

[그림 2.104] GPS/INS 통합 정확도 99

[그림 2.105] 최종 외부표정요소(EO값) 100

[그림 2.106] 항공촬영 DB 수행단계 흐름도 100

[그림 2.107] 항공촬영 DB 보안지역 검토 흐름도 101

[그림 2.108] 보안지역에 대한 위장처리 102

[그림 2.109] 위장처리 작업의 비정상영상과(중) 정상영상(우) 비교 103

[그림 2.110] 촬영기록부 상세내역 문서 104

[그림 2.111] 촬영기록코스 상세내역 문서 104

[그림 2.112] 촬영기록코스 상세내역 문서 105

[그림 2.113] 코스별 검사표 상세내역 문서 105

[그림 2.114] 관리파일 상세내역 문서 106

[그림 2.115] 사진주점 상세내역 문서 106

[그림 2.118] 촬영기록코스 상세내역 문서 107

[그림 2.117] XML 데이터 108

[그림 2.118] 영상에 대한 식별자 부여 및 생성된 XML 파일 108

[그림 2.119] NIX Batch 생성 설정 창 109

[그림 2.120] NIX Batch 생성 Option 설정 109

[그림 2.121] Pictometry장비 111

[그림 2.122] CaHbration 대상지역(경기도 안산시 일대) 113

[그림 2.123] 수직방향 카메라 검정용 기준점 배치도 114

[그림 2.124] South 방향 카메라 검정용 기준점 배치도 114

[그림 2.125] West 방향 카메라 검정용 기준점 배치도 114

[그림 2.128] North 방향 카메라 검정용 기준점 배치도 114

[그림 2.127] East 방향 카메라 검정용 기준점 배치도 114

[그림 2.128] 0번 카메라(수직) 115

[그림 2.129] 1번 카메라(경사) 115

[그림 2.130] 2번 카메라(경사) 115

[그림 2.131] 3번 카메라(경사) 115

[그림 2.132] 4번 카메라(경사) 116

[그림 2.133] Boresight파라미터 파일 116

[그림 2.134] Pictometry촬영 작업흐름도 117

[그림 2.135] 수치표고모델 117

[그림 2.136] 1/50,000 지형도 및 촬영 대상영역 Polygon 118

[그림 2.137] 촬영계획도 119

[그림 2.138] Swappy - 데이터저장장치(HDD) 120

[그림 2.139] Develop Image 120

[그림 2.140] Penta Directory 121

[그림 2.141] Penta Directory 수행과정 121

[그림 2.142] Penta Directory 수행결과 이력 122

[그림 2.143] 개별영상 Georeferencing 결과 122

[그림 2.144] Image Warehouse 123

[그림 2.145] 디지털 항공사진 품질검사 123

[그림 2.146] Data Import 124

[그림 2.148] 촬영 대상지역 누락여부 검수 125

[그림 3.1] 작업흐름도(지상기준점 측량) 126

[그림 3.2] 통합기준점 성과(부산광역시묘지구) 129

[그림 3.3] 통합기준점 성과(광주광역시) 129

[그림 3.4] 통합기준점 성과(대전광역시) 129

[그림 3.5] 통합기준점 성과(울산광역시) 129

[그림 3.6] 통합기준점 성과(인천광역시) 129

[그림 3.7] 데이터 불러오기 130

[그림 3.8] 점뿌리기 130

[그림 3.9] 광주광역시 기선해석의 예 131

[그림 3.10] 광주광역시 데이터 망 132

[그림 3.11] 대전광역시 데이터 망 134

[그림 3.12] 부산역광역시A지구 데이터 망[그림없음] 13

[그림 3.13] 부산역광역시B지구 데이터 망 135

[그림 3.14] 울산역광역시 데이터 망 136

[그림 3.15] 인천역광역시 데이터 망 138

[그림 3.16] 대구역광역시 데이터 망[그림없음] 13

[그림 3.17] 광주광역시 GPS/Leveling(고정값, 잔차값) 144

[그림 3.18] 대전광역시 GPS/Leveling(고정값, 잔차값) 145

[그림 3.19] 부산광역시묘지구 GPS/Leveling(고정값, 잔차값) 146

[그림 3.20] 울산광역시 GPS/Leveling(고정 값, 잔차값) 147

[그림 3.21] 인천광역시 GPS/Leveling(고정 값, 잔차값) 148

[그림 3.22] 새 프로젝트 생성 149

[그림 3.23] 프로젝트 Match2 149

[그림 3.24] 매칭결과 저장 150

[그림 3.25] 대구광역시 간접표고 산출 150

[그림 3.26] 센서모델 전/후 표정 요소 157

[그림 3.27] 사진기준점측량 작업흐름도 158

[그림 3.28] 메인창의 데이터 준비 160

[그림 3.29] 카메라 데이터 및 GPS/INS 데이터 불러오기 160

[그림 3.30] 데이터의 유효성 검증[그림없음] 14

[그림 3.31] 입력된 영상목록[그림없음] 14

[그림 3.32] 메인창의 블록구성 161

[그림 3.33] 블록 구성창 161

[그림 3.34] 블록 생성 161

[그림 3.35] 좌표계 설정 161

[그림 3.36] 지상기준점 불러오기 162

[그림 3.37] 지상기준점 도시 162

[그림 3.38] 추출된 자동점합점 164

[그림 3.39] 관측지역 블록 열기 164

[그림 3.40] 자동접합점 메뉴 열기 165

[그림 3.41] 추출된 자동접합점 165

[그림 3.42] 지상기준점 관측 창 166

[그림 3.43] 메인창의 조정 및 계산 167

[그림 3.44] 관측 완료된 블록파일 열기 168

[그림 3.45] 새로운 Scenario 생성 168

[그림 3.46] 사진기준점측량성과 조정 옵션 169

[그림 3.47] 블록조정 전·후 170

[그림 3.48] 블록조정 초기치 및 조정치 170

[그림 3.49] 성과 레포트 파일 열기 171

[그림 3.50] 사진기준성과 저장 171

[그림 3.51] 편위수정영상 전·후 171

[그림 3.52] 메인창의 편위수정영상 제작 172

[그림 3.53] 편위수정영상 제작 창 172

[그림 3.54] 인천광역시 기준점 선점부 173

[그림 3.55] 대전광역시 기준점 선점부 175

[그림 3.56] 광주광역시 기준점 선점부 176

[그림 3.57] 울산광역시 기준점 선점부 177

[그림 3.58] 부산광역시 기준점 선점부 178

[그림 3.59] 독도 기준점 선점부 179

[그림 3.60] Pictometry사진기준점 수행지역 지역 180

[그림 3.61] DMC 사진기준점 수행지역 지역 180

[그림 3.62] 사진기준점측량 작업흐름도 181

[그림 3.63] NVerse Photo Reg 메인창 182

[그림 3.64] 축소영상제작 182

[그림 3.65] 영상등록, DEM등록, 좌표계 설정 183

[그림 3.66] 접합점 배치도(좌: 수직영상, 우: 경사영상) 184

[그림 3.67] 접합점 개수 184

[그림 3.68] 접합점 관측 윈도우 185

[그림 3.69] 접합점 계산 결과 185

[그림 3.70] 지상기준점 입력 및 관측창 186

[그림 3.71] 지상기준점측량 좌표계 설정 창 186

[그림 3.72] 접합점 및 지상기준점 오차 187

[그림 3.73] 지상기준점 평면위치 및 높이오차 187

[그림 4.1] ALS60 항공레이저측량장비 196

[그림 4.2] ALTM Gemini 167 항공레이저측량장비 196

[그림 4.3] 작업지역(좌: 인천광역시, 우: 울산광역시)[그림없음] 15

[그림 4.4] 작업지역(좌: 광주광역시, 우: 대전광역시)[그림없음] 15

[그림 4.5] 작업지역(좌: 부산광역시, 우: 대구광역시) 197

[그림 4.6] 작업지역(독도) 197

[그림 4.7] GPS수신기 장착(ALS60) 199

[그림 4.8] GPS수신기 장착(ALTM) 199

[그림 4.9] 항공레이저측량 원리 200

[그림 4.10] 항공레이저측량 장비 구성 201

[그림 4.11] pulse(좌) 및 CW(우) 레이저의 측정 202

[그림 4.12] 스캐너 장치 : Oscillating mirror, Palmer scan, Rotating polygon, Fiber scanner 203

[그림 4.13] 항공라이다 측량요소 203

[그림 4.14] 레이저파의 다중반사 204

[그림 4.15] 비행검정을 위한 검정지역(ALS60) 207

[그림 4.16] 비행검정을 위한 검정지역(ALTM) 207

[그림 4.17] ALS60 검정지역에 대한 라이다 데이터(좌: strip별 우: 고도별) 208

[그림 4.18] ALTM 검정지역에 대한 라이다 데이터(좌: strip별 우: 고도별) 208

[그림 4.19] Roll 오차 209

[그림 4.20] Roll 오차 보정 210

[그림 4.21] Pitch 오차 210

[그림 4.22] Picth 오차 보정 211

[그림 4.23] Heading 오차 211

[그림 4.24] Heading 오차 보정 212

[그림 4.25] Torsion 오차 212

[그림 4.26] Range 오차 213

[그림 4.27] 항공레이저측량 작업공정 214

[그림 4.28] FPES 촬영 계획 215

[그림 4.29] FPES 세부 설정 215

[그림 4.30] 촬영 계획(좌: 인천 우: 대전) 216

[그림 4.31] 촬영 계획(좌: 울산 우: 광주) 216

[그림 4.32] 촬영 계획(좌: 부산 우: 대구) 216

[그림 4.33] 촬영 계획(독도) 217

[그림 4.34] 상시기준점 성과(계속) 218

[그림 4.35] 상시기준점 성과(계속) 219

[그림 4.36] 상시기준점 성과(계속) 220

[그림 4.37] 상시기준점 성과 221

[그림 4.38] 디스플레이(IO40) 222

[그림 4.39] FCMS 촬영 제어 화면 223

[그림 4.40] 대용량 저장 장치 RAID 223

[그림 4.41] 코스도(대전, 광주, 울산, 인천, 대구, 부산, 독도) 224

[그림 4.42] IPAS Pro 도시 화면 225

[그림 4.43] Project설정 창 225

[그림 4.44] Project Name 생성 창 225

[그림 4.45] GPJ 파일 생성 226

[그림 4.46] 프로젝트 실행 창 226

[그림 4.47] GPS/INS 데이터 추출 227

[그림 4.48] 옵션설정 227

[그림 4.49] Extract 화면 228

[그림 4.50] Extract 결과 도시 화면 228

[그림 4.51] 프로젝트 실행 창 229

[그림 4.52] GNSS 실행 창 229

[그림 4.53] GrafNav 실행 화면 230

[그림 4.54] GrafNav 프로젝트 생성 230

[그림 4.55] 상시데이터 및 항공기 데이터, GPS데이터 변환 231

[그림 4.56] 변환된 상시데이터 및 항공기데이터 파일 로드 231

[그림 4.57] 상시기준국 성과 좌표 입력 232

[그림 4.58] 항공기 GPS 창 도시 232

[그림 4.59] 위성수신 사용값 설정 233

[그림 4.60] 비행궤적 창 도시 233

[그림 4.61] 프로세싱 결과값 확인 234

[그림 4.62] DGPS 처리결과(정방향/역방향 분리도) 234

[그림 4.63] DGPS 처리결과(DOP) 235

[그림 4.64] DGPS 처리결과(위성수) 235

[그림 4.65] Datum 설정 236

[그림 4.68] Lat 파일 생성 236

[그림 4.67] Lat 파일 IPAS 포맷 변환 237

[그림 4.68] IPAS Pro Processing 창 도시 237

[그림 4.69] Configuration 창 도시 238

[그림 4.70] GNSS Lever Arm 값 확인 238

[그림 4.71] sol파일 생성 239

[그림 4.72] DGPS 결과 도시 239

[그림 4.73] ALSPP 실행 화면 240

[그림 4.74] reg 파일 로드 240

[그림 4.75] IBRC 설정 241

[그림 4.76] IBRC 파일 로드 241

[그림 4.77] IBRC 파일 선택 242

[그림 4.78] Source Data 242

[그림 4.79] .sen 파일 경로 243

[그림 4.80] .sen 파일 로드 243

[그림 4.81] sol 파일 로드 244

[그림 4.82] sol 파일 선택 244

[그림 4.83] las 데이터 저장 경로 245

[그림 4.84] 옵션 설정 245

[그림 4.85] Projection 설정 246

[그림 4.86] 원점 설정 246

[그림 4.87] 고도자료 생성 247

[그림 4.88] Processing 진행 247

[그림 4.89] ProcLaser 폴더 내용 248

[그림 4.90] POSPac MMS 도시 화면 249

[그림 4.91] 프로젝트 생성 249

[그림 4.92] 프로젝트명 저장 249

[그림 4.93] 원시 데이터 Import 250

[그림 4.94] 지상 기준국데이터 Import 250

[그림 4.95] 로딩 후 확인화면 250

[그림 4.96] Antenna 탭에 수치 기입 251

[그림 4.97] 지상기준국 좌표확인 251

[그림 4.98] 데이터 확인 251

[그림 4.99] Pos Data 입력 252

[그림 4.100] Antenna 설정 252

[그림 4.101] Receiver 설정 252

[그림 4.102] 촬영 경로 및 지상 기준국데이터 확인 253

[그림 4.103] 지상기준국 좌표확인 253

[그림 4.104] 지상기준국의 정확한 좌표 기입 254

[그림 4.105] 지상기준국 위치 확인 254

[그림 4.106] 지상 기준국데이터와 POS 데이터 병합 255

[그림 4.107] 지상 기준국데이터와 POS 데이터 병합 255

[그림 4.108] Processing 화면 255

[그림 4.109] Processing 결과 확인 256

[그림 4.110] Processing mode 결과 확인 256

[그림 4.111] Position Accuracy(North) 결과 확인 257

[그림 4.112] GPS/INS 성과검토-PDOP 257

[그림 4.113] GPS/INS성과검토-위성 개수 258

[그림 4.114] Range파일, *.out파일 258

[그림 4.115] DASHMap 구동 258

[그림 4.116] range파일 import 259

[그림 4.117] 코스정보 확인 259

[그림 4.118] SBET파일 259

[그림 4.119] .out파일을 import창 259

[그림 4.120] .out파일을 import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창 260

[그림 4.121] Filters 화면 260

[그림 4.122] Filters 탭에서 정보 기입 261

[그림 4.123] Properties 뱀에 좌표체계 기입 261

[그림 4.124] 해당사업지 역의 좌표체계 기입 261

[그림 4.125] 확장자(.las)파일 선택 262

[그림 4.126] 저장 경로와 파일명 지정 262

[그림 4.127] 추출된 코스별 파일 262

[그림 4.128] 격자간격에 대한 점밀도(예, 격자간격 1m) 263

[그림 4.129] 기준점과 검사점 배치 264

[그림 4.130] 코스검사점 배치 265

[그림 4.131] 코스검사점에 대한 원시자료 표고 결정방법(lm 격자) 266

[그림 4.132] 지구의 측지학적 형상 268

[그림 4.133] 정표고 변환 점 분포도 274

[그림 4.134] 수치표면자료기록 형식(좌 : 타원체고, 우 : 정표고) 275

[그림 4.135] 마이크로스테이션에서 dgn파일 생성 275

[그림 4.136] 마이크로스테이션에서 Seed파일 지정 276

[그림 4.137] 마이크로스테이션에서 TerraSolution 연동 276

[그림 4.138] TerraSolution에서 연동될 Tool 지정 277

[그림 4.139] 기준점을 이용하여 제작된 지오이드 데이터 277

[그림 4.140] 지오이드 모델 적용설정(1) 278

[그림 4.141] 지오이드 모델 적용설정(2) 278

[그림 4.142] 변환 전 타원체고 278

[그림 4.143] 변환 후 정표고 278

[그림 4.144] 수치지면자료 구축 279

[그림 4.145] Class 분류(필터링)를 위한 매크로 실행과정 280

[그림 4.146] Class 분류 후 파일의 저장 280

[그림 4.147] 편집을 위한 포인트 불러오기(Open block) 281

[그림 4.148] Open block 활성 창 281

[그림 4.149] 분류성과의 import 완료 281

[그림 4.150] TerraModeler에서 Create Editable Model선택 282

[그림 4.151] Create Editable Model창 활성 282

[그림 4.152] Surface모델의 Name 설정 282

[그림 4.153] TerraModeler에 활성화 282

[그림 4.154] Display Shaded Surface 아이콘 선택 283

[그림 4.155] Display Shaded Surface창 활성 283

[그림 4.156] 마이크로스테이션에서 Surface모델 생성 전과 후 283

[그림 4.157] 육안검수를 통해서 확인된 식생 및 건물 284

[그림 4.158] TerraScan Toolbox 284

[그림 4.159] Classify Using Brush선택 284

[그림 4.160] Brush를 이용한 수동분류과정 285

[그림 4.161] 식생으로 분류된 지면 복구 285

[그림 4.162] 지면으로 분류된 건물 필터링 285

[그림 4.163] 지면으로 분류된 교량 필터링 286

[그림 4.164] 지면으로 분류된 주택 필터링 286

[그림 4.165] 미분류된 지면 필터링 286

[그림 4.166] 수치지면자료 단면검사 287

[그림 4.167] 지면 점으로 분류된 교량의 점검 및 수정 287

[그림 4.168] 인접접합점 배치 288

[그림 4.169] 수치지면자료 기록 형식 288

[그림 4.170] 3차원 음영기복으로 본 수치표고모델 289

[그림 4.171] 불규칙삼각망 구조(좌), 격자자료(우) 289

[그림 4.172] 마이크로스테이션에서 확인된 수치지면자료 Surface모델과 점자료 290

[그림 4.173] 내보내기 기능선택 290

[그림 4.174] Export 경로와 기본설정 지정 291

[그림 4.175] Triangulate surface창의 활성 291

[그림 4.176] Global Mapper 프로그램 활성 창 292

[그림 4.177] Global Mapper에서 격자파일 Open 292

[그림 4.178] 격자파일의 좌표계 선택 293

[그림 4.179] Export한 격자파일의 활성 293

[그림 4.180] Export Elevation Grid Format선택 294

[그림 4.181] 격자포맷형태 선택 294

[그림 4.182] ASCⅡ Grid Export Option창 활성 295

[그림 4.183] ASCⅡ파일의 저장경로 지정 295

[그림 4.184] 평면 음영기복도로 본 수치표고모델 296

[그림 4.185] 그라운드로 분류된 건물 재분류 296

[그림 4.186] 그라운드로 분류된 교량 재분류 296

[그림 4.187] 수치표고모델 표고 검증(좌) 및 수치표고모델의 정확도 점검방법(우) 297

[그림 4.188] 검사점 배치도 298

[그림 4.189] '12년 3차원 공간정보 구축사업 1/5,000인덱스 306

[그림 4.190] 음영기복도 제작 307

[그림 4.191] 등고선도 308

표제지

목차

제5장 디지털 실감정사영상 제작 337

1. 개요 337

1) 실감정사영상 구축대상지역 338

2. 실감정사영상지도 제작 343

1) 작업흐름도 343

2) 작업세부절차 344

3) 실감정사영상 성과 검수 356

제6장 3차원 공간정보 구축 370

1. 개요 370

1) 3차원 공간정보 구축지역 370

2) 구축항목 372

3)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 획득 373

2. 3차원 공간정보 구축 스키마 설계 378

1) 교통데이터 378

2) 시설물데이터 385

3) 수자원데이터 396

3. 3차원 공간정보 구축 400

1) 작업계획 401

2) 3차원 교통데이터 구축 402

3) 3차원 시설물데이터 구축 409

4) 3차원 수자원데이터 구축 418

5) 3차원 교통시설물데이터 구축 422

6) 3차원 기타데이터 구축 432

7) 가시화데이터 구축 433

4. 3차원 공간정보 구축결과 435

1) 교통데이터 435

2) 시설물데이터 452

3) 수자원데이터 468

4) 교통시설물데이터 474

5) 기타 데이터 485

5. 3차원 공간정보 검수결과 491

1) 3차원 공간정보 성과검사 491

2) 3차원 교통데이터 491

3) 3차원 시설물데이터 496

4) 3차원 수자원데이터 528

5) 3차원 교통시설물데이터 529

6) 3차원 기타데이터 538

7) 3차원 엔진 융합검수 539

6. 정확도 평가 545

1) 평면정확도 평가 545

2) 수직정확도 평가 556

3) 검사점측량 정확도 평가 566

4)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2

제7장 독도의 3차원 고도화 구현 601

1. 개요 601

1) 기 구축된 3차원 공간정보 602

2) 3차원 고도화를 위한 촬영 계획 602

2. 독도의 고도화 방안 603

1) 불규칙삼각망(TIN)을 이용한 독도 고도화 603

2) 지형 데이터 3차원 제작 604

3. 구축결과 607

판권기 609

[표 5.1] 실감정사영상 정확도평가 결과 356

[표 5.2] 부산광역시 측량 검사점 좌표비교 357

[표 5.3] 부산광역시 수치지형도 검사점 좌표비교 358

[표 5.4] 인천광역시 측량 검사점 좌표비교 359

[표 5.5] 인천광역시 수치지형도 검사점 좌표비교 360

[표 5.6] 대구광역시 측량 검사점 좌표비교 361

[표 5.7] 대구광역시 수치지형도 검사점 좌표비교 362

[표 5.8] 광주광역시 측량 검사점 좌표비교 363

[표 5.9] 광주광역시 수치지형도 검사점 좌표비교 364

[표 5.10] 대전광역시 측량 검사점 좌표비교 365

[표 5.11] 대전광역시 수치지형도 검사점 좌표비교 366

[표 5.12] 울산광역시 측량 검사점 좌표비교 367

[표 5.13] 울산광역시 수치지형도 검사점 좌표비교 368

[표 5.14] 독도 측량 검사점 좌표비교 369

[표 5.15] 독도 수치지형도 검사점 좌표비교 369

[표 6.1] 3차원 공간정보 구축대상지역 371

[표 6.2] 3차원 공간정보 구축항목 372

[표 6.3] Pictometry제원 374

[표 6.4] 항공기 제원 374

[표 6.5] DMC 촬영방향 375

[표 6.6] 단위도로면 지형·지물·유형 정의 378

[표 6.7] 단위도로면 속성항목 정의 378

[표 6.8] 단위도로면 도메인 설계서-종류 379

[표 6.9] 단위도로면 도메인 설계서-종별 379

[표 6.10] 도로교차면 지형·지물 유형 정의 380

[표 6.11] 도로교차면 속성항목 정의 380

[표 6.12] 도로교차면 도메인 설계서 380

[표 6.13] 철도 지형·지물 유형 정의 381

[표 6.14] 철도 속성항목 정의 381

[표 6.15] 철도 도메인 설계서 381

[표 6.16] 교량 지형·지물 유형 정의 382

[표 6.17] 교량 속성항목 정의 382

[표 6.18] 교량 도메인 설계서 382

[표 6.19] 입체교차부 지형·지물 유형 정의 383

[표 6.20] 입체교차부 속성항목 정의 383

[표 6.21] 입체교차부 도메인 설계서 383

[표 6.22] 터널 지형·지물 유형 정의 384

[표 6.23] 터널 속성항목 정의 384

[표 6.24] 터널 도메인 설계서 384

[표 6.25] 일반주택 지형·지물 유형 정의 385

[표 6.26] 일반주택 속성항목 정의 385

[표 6.27] 공동주택 지형·지물 유형 정의 386

[표 6.28] 공동주택 속성항목 정의 386

[표 6.29] 공공기관 지형·지물 유형 정의 387

[표 6.30] 공공기관 속성항목 정의 387

[표 6.31] 산업시설 지형·지물 유형 정의 388

[표 6.32] 산업시설 속성항목 정의 388

[표 6.33] 문화/교육시설 지형·지물 유형 정의 389

[표 6.34] 문화/교육시설 속성 항목 정의 389

[표 6.35] 의료/복지시설 지형·지물 유형 정의 390

[표 6.36] 의료/복지시설 속성항목 정의 390

[표 6.37] 서비스시설 지형·지물 유형 정의 391

[표 6.38] 서비스시설 속성항목 정의 391

[표 6.39] 기타시설 지형·지물 유형 정의 392

[표 6.40] 기타시설 속성항목 정의 392

[표 6.41] 특수시설 지형·지물 유형 정의 393

[표 6.42] 특수시설 속성항목 정의 393

[표 6.43] 건물분야 도메인 설계서-명칭 394

[표 6.44] 건물분야 도메인 설계서-종류 394

[표 6.45] 건물분야 도메인 설계서-층수 395

[표 6.46] 건물분야 도메인 설계서-도엽번호 395

[표 6.47] 하천면 지형, 지물 유형 정의 396

[표 6.48] 하천면 속성 항목 정의 396

[표 6.49] 하천면 도메인 설계서 396

[표 6.50] 하천부속물 지형·지물 유형 정의 397

[표 6.51] 하천부속물 속성항목 정의 397

[표 6.52] 하천부속물 도메인 설계서 397

[표 6.53] 호안 지형·지물 유형 정의 398

[표 6.54] 호안 속성항목 정의 398

[표 6.55] 호안 도메인 설계서 398

[표 6.56] 제방 지형·지물 유형 정의 399

[표 6.57] 제방 속성항목 정의 399

[표 6.58] 제방 도메인 설계서 399

[표 6.59] 자료인수 목록 401

[표 6.60] 수치지형도(Ver2.0)중 교통데이터의 표준코드 및 속성 402

[표 6.61] 수치지형도(Ver2.0)중 교통데이터의 표준코드 및 속성(계속) 403

[표 6.62] 단위도로면 구축내용 405

[표 6.63] 차선 구축내용 405

[표 6.64] 도로중심선 구축내용 406

[표 6.65] 도로교차면 구축내용 406

[표 6.66] 단위철도면 구축내용 407

[표 6.67] 교량 구축내용 407

[표 6.68] 교각 구축내용 408

[표 6.69] 터널 구축내용 408

[표 6.70] 시설물 구축항목 409

[표 6.71] 시설물데이터의 표준코드 및 속성 409

[표 6.72] 시설물 구축내용 410

[표 6.73] 수자원데이터 구축항목 418

[표 6.74] 수자원데 이터 표준코드 및 속성 418

[표 6.75] 수자원데이터 표준코드 및 속성(계속) 419

[표 6.76] 하천부속물(댐) 구축내용 420

[표 6.77] 제방 구축내용 421

[표 6.78] 하천면 구축내용 421

[표 6.79] 안전표지판 구축내용 423

[표 6.80] 도로표지판 구축내용 424

[표 6.81] 교통신호등 구축내용 425

[표 6.82] 보행자신호등 구축내용 426

[표 6.83] 가로등 구축내용 427

[표 6.84] 가로수 구축내용 428

[표 6.85] 독립수 구축내용 428

[표 6.86] 버스정류장 표지판 구축내용 429

[표 6.87] 택시정류장 표지판 구축내용 429

[표 6.88] 육교 구축내용 430

[표 6.89] 횡단보도 구축내용 430

[표 6.90] 횡단보도 중앙선 구축내용 430

[표 6.91] 송전탑 구축내용 431

[표 6.92] 전주 구축내용 431

[표 6.93] 행정경계선 구축내용 432

[표 6.94] 행정경계면 구축내용 432

[표 6.95] 정확도 검사 기준표 545

[표 6.96] 수치도화원도성과를 이용한 3차원정확도(독도) 비교표 549

[표 6.97] 수치도화원도성과를 이용한 3차원정확도(부산광역시) 비교표 550

[표 6.98] 수치도화원도성과를 이용한 3차원정확도(인천광역시) 비교표 551

[표 6.99] 수치도화원도성과를 이용한 3차원정확도(울산광역시) 비교표 552

[표 6.100] 수치도화원도 성과를 이용한 3차원정확도(대전광역시) 비교표 553

[표 6.101] 수치도화원도 성과를 이용한 3차원정확도(광주광역시) 비교표 554

[표 6.102] 수치도화원도 성과를 이용한 3차원정확도(대구광역시) 비교표 555

[표 6.103] 항공레이저 성과를 이용한 수직정확도(부산광역시) 비교표 560

[표 6.104] 항공레이저 성과를 이용한 수직정확도(인천광역시) 비교표 561

[표 6.105] 항공레이저 성과를 이용한 수직정확도(울산광역시) 비교표 562

[표 6.106] 항공레이저 성과를 이용한 수직정확도(대전광역시) 비교표 563

[표 6.107] 항공레이저 성과를 이용한 수직정확도(광주광역시) 비교표 564

[표 6.108] 항공레이저 성과를 이용한 수직정확도(대구광역시) 비교표 565

[표 6.109] 항공레이저 성과를 이용한 수직정확도(독도) 비교표 566

[표 6.110] 광역시별 성과비교표 566

[표 6.111] 검사점 측량 성과를 이용한 3차원 정확도(부산광역시) 비교표 570

[표 6.112] 검사점 측량 성과를 이용한 3차원 정확도(인천광역시) 비교표 570

[표 6.113] 검사점 측량 성과를 이용한 3차원 정확도(울산광역시) 비교표 571

[표 6.114] 검사점 측량 성과를 이용한 3차원 정확도(대전광역시) 비교표 571

[표 6.115] 검사점 측량 성과를 이용한 3차원 정확도(광주광역시) 비교표 571

[표 6.116] 검사점 측량 성과를 이용한 3차원 정확도(대구광역시) 비교표 572

[표 6.117] 검사점 측량 성과를 이용한 3차원 정확도(독도) 비교표 572

[표 6.118] 부산광역시-일반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3

[표 6.119] 부산광역시-공동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3

[표 6.120] 부산광역시-산업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4

[표 6.121] 부산광역시-의료/복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4

[표 6.122] 부산광역시-문화/교육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5

[표 6.123] 부산광역시-서비스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5

[표 6.124] 부산광역시-공공기관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6

[표 6.125] 부산광역시-기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6

[표 6.126] 부산광역시-일반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7

[표 6.127] 부산광역시-공동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7

[표 6.128] 부산광역시-산업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8

[표 6.129] 부산광역시-의료/복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8

[표 6.130] 부산광역시-문화/교육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9

[표 6.131] 부산광역시-서비스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79

[표 6.132] 부산광역시-공공기관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0

[표 6.133] 부산광역시-기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0

[표 6.134] 인천광역시-일반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1

[표 6.135] 인천광역시-공동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1

[표 6.136] 인천광역시-산업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2

[표 6.137] 인천광역시-의료/복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2

[표 6.138] 인천광역시-문화/교육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3

[표 6.139] 인천광역시-서비스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3

[표 6.140] 인천광역시-공공기관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4

[표 6.141] 인천광역시-기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4

[표 6.142] 울산광역시-일반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5

[표 6.143] 울산광역시-공동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5

[표 6.144] 울산광역시-산업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6

[표 6.145] 울산광역시-의료/복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6

[표 6.146] 울산광역시-문화/교육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7

[표 6.147] 울산광역시-서비스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7

[표 6.148] 울산광역시-공공기관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8

[표 6.149] 울산광역시-기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8

[표 6.150] 대전광역시-일반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9

[표 6.151] 대전광역시-공동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89

[표 6.152] 대전광역시-산업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0

[표 6.153] 대전광역시-의료/복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0

[표 6.154] 대전광역시-문화/교육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1

[표 6.155] 대전광역시-서비스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1

[표 6.156] 대전광역시-공공기관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2

[표 6.157] 대전광역시-기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2

[표 6.158] 광주광역시-일반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3

[표 6.159] 광주광역시-공동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3

[표 6.160] 광주광역시-산업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4

[표 6.161] 광주광역시-의료/복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4

[표 6.162] 광주광역시-문화/교육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5

[표 6.163] 광주광역시-서비스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5

[표 6.164] 광주광역시-공공기관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6

[표 6.165] 광주광역시-기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6

[표 6.166] 대구광역시-일반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7

[표 6.167] 대구광역시-공동주택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7

[표 6.168] 대구광역시-산업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8

[표 6.169] 대구광역시-의료/복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8

[표 6.170] 대구광역시-문화/교육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9

[표 6.171] 대구광역시-서비스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599

[표 6.172] 대구광역시-공공기관 가시화 정확도 평가 600

[표 6.173] 대구광역시-기타시설 가시화 정확도 평가 600

[그림 5.1] 정사영상과 실감정사영상의 비교 337

[그림 5.2] 대상지역 338

[그림 5.3] 부산광역시 339

[그림 5.4] 인천광역시 339

[그림 5.5] 대구광역시 340

[그림 5.6] 광주광역시 340

[그림 5.7] 대전광역시 341

[그림 5.8] 울산광역시 341

[그림 5.9] 독도 342

[그림 5.10] 작업흐름도 343

[그림 5.11] PLW modelworks 344

[그림 5.12] 실감정사영상 설정 창 345

[그림 5.13] 편위수정영상(초기실감정사영상)의 오류 345

[그림 5.14] 초기실감정사영상(편위수정영상) 제작 346

[그림 5.15] 작업단위 영상제작 347

[그림 5.16] 방사보정 전/후 비교 348

[그림 5.17] 활용된 영상의 SeamLine 예 349

[그림 5.18] 기하보정 전/후 영상비교 349

[그림 5.19] 보안지역 처리 전/후 영상비교 350

[그림 5.20] 폐색지역 처리 351

[그림 5.21] 중복영상처리 전/후 352

[그림 5.22] ERDAS Mosaic TOOL과 부산광역시 영상집성 결과 353

[그림 5.23] ERDAS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상집성 354

[그림 5.24] 1/5,000 도곽 단위 실감정사영상 354

[그림 5.25] 영상지도(부산광역시) 355

[그림 5.26] 실감정사영상 정확도평가 356

[그림 5.27] 부산광역시 실감정사영상 정확도 평가 점 배치도 357

[그림 5.28] 인천광역시 실감정사영상 정확도 평가 점 배치도 359

[그림 5.29] 대구광역시 실감정사영상 정확도 평가 점 배치도 361

[그림 5.30] 광주광역시 실감정사영상 정확도 평가 점 배치도 363

[그림 5.31] 대전광역시 실감정사영상 정확도 평가 점 배치도 365

[그림 5.32] 울산광역시 실감정사영상 정확도 평가 점 배치도 367

[그림 5.33] 독도 실감정사영상 정확도 평가 점 배치도 369

[그림 6.1] Pictometry장비 373

[그림 6.2] Cessna Caravan206 374

[그림 6.3] 4방향 디지털영상 취득 376

[그림 6.4] DMC 카메라의 제원 및 구조 376

[그림 6.5] DMC 카메라의 제원 및 구조 376

[그림 6.6] 영상 기반 차량 MMS를 이용한 위치측정 모델 377

[그림 6.7] 3차원 공간정보 구축 공정 400

[그림 6.8] 3차원 교통데이터의 기울어짐을 고려한 Vertex별 위치정보 구축 404

[그림 6.9] 구축된 교통데이터의 모습 404

[그림 6.10] 작업흐름도 411

[그림 6.11] Nverse Pro 메인창 412

[그림 6.12] Nverse Pro 2D 및 3D 화면 412

[그림 6.13] 시설물 3차원 모델링-직사각형 건물 412

[그림 6.14] 난간의 높이, 넓이 조정 기능 413

[그림 6.15] 시설물 3차원 모델링-돔형 건물 413

[그림 6.16] 시설물 3차원 모델링-경사형 건물 414

[그림 6.17] 시설물 3차원 모델링-건물에 구멍뚫기 414

[그림 6.18] 객체 검수 툴 415

[그림 6.19] 다방향 영상촬영(수직영상, 경사영상) 415

[그림 6.20] 3차원 가시화자료 구축 415

[그림 6.21] 3DS 파일 제작 416

[그림 6.22] TextureWorks 프로그램 416

[그림 6.23] 속성 데이터 구축과정 417

[그림 6.24] Viewer/엔진 검수 417

[그림 6.25] 작업흐름도 422

[그림 6.26] 교통시설물 가시화 433

[그림 6.27] 가시화데이터 구축 절차 434

[그림 6.28] 부산광역시 대표 시설물 539

[그림 6.29] 인천광역시 대표 시설물 540

[그림 6.30] 대전광역시 대표 시설물 541

[그림 6.31] 울산광역시 대표 시설물 542

[그림 6.32] 광주광역시 대표 시설물 543

[그림 6.33] 대구광역시 대표 시설물 544

[그림 6.34] 평면정확도 평가 배치도(부산광역시) 546

[그림 6.35] 평면정확도 평가 배치도(인천광역시) 546

[그림 6.36] 평면정확도 평가 배치도(울산광역시) 547

[그림 6.37] 평면정확도 평가 배치도(대전광역시) 547

[그림 6.38] 평면정확도 평가 배치도(광주광역시) 548

[그림 6.39] 평면정확도 평가 배치도(대구광역시) 548

[그림 6.40] 평면정확도 평가 배치도(독도) 549

[그림 6.41] 수직정확도 평가 배치도(부산광역시) 556

[그림 6.42] 수직정확도 평가 배치도(인천광역시) 557

[그림 6.43] 수직정확도 평가 배치도(울산광역시) 557

[그림 6.44] 수직정확도 평가 배치도(대전광역시) 558

[그림 6.45] 수직정확도 평가 배치도(광주광역시) 558

[그림 6.46] 수직정확도 평가 배치도(대구광역시) 559

[그림 6.47] 수직정확도 평가 배치도(독도) 559

[그림 6.48] 검사점 측량 배치도(부산광역시) 567

[그림 6.49] 검사점 측량 배치도(인천광역시) 567

[그림 6.50] 검사점 측량 배치도(울산광역시) 568

[그림 6.51] 검사점 측량 배치도(대전광역시) 568

[그림 6.52] 검사점 측량 배치도(광주광역시) 569

[그림 6.53] 검사점 측량 배치도(대구광역시) 569

[그림 6.54] 검사점 측량 배치도(독도) 570

[그림 7.1] 독도일원 601

[그림 7.2] 기 구축된 3차원 독도 602

[그림 7.3] 동일축척(1/355)에서 확인한 독도 Surface 모델(평면) 603

[그림 7.4] 동일축척(1/355)에서 확인한 독도 Surface 모델(입면) 603

[그림 7.5] TIN으로 완성된 독도 Surface모델 평면도(좌) 및 입면도(우) 604

[그림 7.6] TIN구조의 가시화 제작 과정 604

[그림 7.7] TIN구조의 가시화 배열 605

[그림 7.8] 가시화 제작 예시 605

[그림 7.9] 가시화 수정 전·후 606

[그림 7.10] 서도의 기존융합 방식(좌)과 지형을 객체화한 방식(우) 607

[그림 7.11] 동도의 기존융합 방식(좌)과 지형을 객체화한 방식(우) 607

[그림 7.12] 독도의 구축전경-동도 608

[그림 7.13] 독도의 구축전경-서도 608

[그림 7.14] 독도의 구축전경-선착장 608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33672 910.285 -15-6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33673 910.285 -15-6 v.2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