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진동자료기반 시설물 재난대비 기반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disaster mitigation technology based on vibration measurement data. 1, 국내외 공공시설물 긴급안전성평가 현황 및 활용기술 조사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4
청구기호
620.86 -15-33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ii, 309 p. : 삽화, 지도, 표 ; 26 cm
총서사항
진동특성기반 시설물 재난 피해추정 및 평가 기술개발 ; 1 주요사업 ; 2014-06-02-01
제어번호
MONO1201526130
주기사항
[연구기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정성훈
부록: 기타 진동파괴 메커니즘 사진
참고문헌: p. 277-290
영어 요약 있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문 4

SUMMARY 6

제1장 서론 26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7

1.2. 연구목적 및 범위 29

제2장 진동계측자료 활용 국내ㆍ외 공공시설물 모니터링 및 안전성평가 기술 조사 33

2.1. 공공시설물의 진동계측자료 활용 모니터링 기술 및 현황 34

2.1.1. 현수교 및 사장교 34

2.1.2. 댐 및 저수지 48

2.1.3. 대형 건축물 56

2.1.4. 고속철도 60

2.1.5. 공항시설 63

2.1.6. 원자력 이용시설 68

2.1.7. 가스시설 70

2.1.8. 발전용 수력설비 70

2.1.9. 발전용 화력설비 74

2.1.10. 변전소 76

2.2. 공공시설물의 진동계측자료 활용 안전성평가 기술 및 현황 78

2.2.1. 현수교 및 사장교 78

2.2.2. 댐 및 저수지 82

2.2.3. 대형 건축물 85

2.2.4. 고속철도 86

2.2.5. 공항시설 90

2.2.6. 원자력 이용시설 92

2.2.7. 가스시설 93

2.2.8. 발전용 수력설비 94

2.2.9. 발전용 화력설비 95

2.2.10. 변전소 96

2.3. 소결 97

제3장 재난사례를 통한 국내ㆍ외 주요시설물 진동파괴 메커니즘 조사 및 분석 100

3.1. 진동 파괴의 주요 원인 101

3.1.1. 지진 101

3.1.2. 강풍 106

3.1.3. 충돌, 폭발 및 테러 108

3.2. 시설물별 파괴 메커니즘 및 피해 사례 109

3.2.1. 교량 109

3.2.2. 댐 118

3.2.3. 주요 건축물 122

3.2.4. 도로 및 철도 126

3.2.5. 터널 131

3.2.6. 항만 134

3.2.7. 발전 시설 138

3.3. 소결 141

3.3.1. 시설물 진동파괴 메커니즘 141

3.3.2. 시설물 사례별 피해유형 142

제4장 시설물별 가속도센서 설치위치 및 진동계측자료 활용 긴급 안전성평가 143

4.1. 긴급 안전성평가를 위한 시설물별 가속도센서 설치위치 및 운영 144

4.1.1. 자유장 144

4.1.2. 현수교 및 사장교 147

4.1.3. 댐 및 저수지 150

4.1.4. 건축물 153

4.1.5. 고속철도 156

4.1.6. 공항시설 157

4.1.7. 원자력 이용시설 157

4.1.8. 가스시설 158

4.1.9. 발전용 수력설비 158

4.1.10. 발전용 화력설비 159

4.1.11. 변전소 159

4.1.12. 지진가속도계측센서 표준규격 160

4.2. 진동계측자료 활용 시설물 안전성 평가지표 및 관리기준 현황 161

4.2.1. 현수교 및 사장교 161

4.2.2. 댐 및 저수지 162

4.2.3. 대형 건축물 163

4.2.4. 고속철도 164

4.2.5. 공항시설 165

4.2.6. 원자력 이용시설 165

4.2.7. 가스시설 166

4.2.8. 발전용 수력설비 167

4.2.9. 발전용 화력설비 167

4.2.10. 변전소 167

4.3. 진동계측자료 변환 및 분석방안 제시 168

4.3.1. 진동계측자료의 처리 및 데이터 변환 168

4.3.2. 진동계측자료의 분석방안 제시 172

4.4. 진동계측자료 활용 시설물 긴급 안전성 평가지표 제시 175

4.4.1. 현수교 및 사장교 175

4.4.2. 댐 및 저수지 185

4.4.3. 대형 건축물 189

4.4.4. 고속철도 192

4.4.5. 공항시설 193

4.4.6. 원자력 이용시설 194

4.4.7. 가스시설 195

4.4.8. 발전용 수력설비 196

4.4.9. 발전용 화력설비 197

4.4.10. 변전소 198

4.5. 진동계측자료 활용 시설물 긴급 안전성 평가방안 제시 199

4.5.1. 현수교 및 사장교 200

4.5.2. 댐 및 저수지 207

4.5.3. 대형 건축물 211

4.5.4. 고속철도 214

4.5.5. 공항시설 214

4.5.6. 원자력 이용시설 215

4.5.7. 가스시설 215

4.5.8. 발전용 수력설비 216

4.5.9. 발전용 화력설비 216

4.5.10. 변전소 216

4.6. 소결 217

제5장 자유장 계측자료 활용 가속도계측기 미설치 시설물 영향성 간접평가기법 조사 222

5.1. 연구 필요성 223

5.2. 가속도 계측기 미설치 시설물의 재난 사례 분석 223

5.3. 자유장 계측자료 활용 안전성 간접평가기법 조사 225

5.3.1. Spatial Interpolation of array ground motions for engineering analysis (Abrahamson, 1988) 225

5.3.2. Modeling of Earthquake ground motion in the frequency domain (Hjortur Thrainsson et al., 2000) 231

5.4. 기존 간접평가기법 비교 243

5.5. 소결 246

제6장 모바일 기기 및 노트북 내장 가속도계측센서 활용 재난 감지기술 현황 조사 247

6.1. 조사 개요 248

6.1.1. 연구배경 248

6.1.2. 연구내용 및 범위 249

6.1.3. 가속도 센서원리 및 구조 249

6.2. 모바일 기기 및 노트북 내장 가속도계측센서 기술동향 및 요소기술 분석 254

6.2.1. 모바일 기기 및 노트북 내장 가속도계측센서 기술동향 255

6.2.2. 업체동향 258

6.2.3. 국내외 재난안전 무선통신 서비스 동향 259

6.2.4. 모바일 기기 및 노트북 내장 가속도계측센서 요소기술 분석 262

6.3. 모바일 기기 및 노트북 내장 가속도계측센서 활용 현황 269

6.3.1. 국내외 현황 분석 269

6.3.2. 기술추세 및 수준분석 276

6.4. 소결 284

제7장 결론 285

7.1. 진동계측자료 활용 국내ㆍ외 안전성평가 기술 조사 및 긴급 안전성평가 286

7.2. 자유장 계측자료 활용 가속도계측기 미설치 시설물 영향성 간접평가기법 조사 289

7.3. 모바일 기기 및 노트북 내장 가속도계측센서 활용 재난 감지기술 현황 조사 290

참고문헌 292

[부록 A] 기타 진동파괴 메커니즘 사례사진 307

A.1. 교량 308

A.2. 댐 315

A.3. 주요 건축물 316

A.4. 도로 및 철도 319

A.5. 터널 321

A.6. 항만 322

A.7. 발전 시설 324

판권기 327

표 2.1. 통합 유지관리 센터 전체 통합관리 시스템 대상 교량 현황 35

표 2.2. 인천대교 계측센서 구축현황 42

표 2.3. Akashi Kaikyo Bridge의 계측항목 45

표 2.4. 홍콩 교량의 계측항목 48

표 2.5. 댐 수문의 정적계측 50

표 2.6. 댐 수문의 동적계측 51

표 2.7.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대상 저수지의 현황 52

표 2.8. 인천국제공항 통합계측관리시스템의 구성 64

표 2.9. 일본 공항의 계측시스템 정리 사항 66

표 2.10. 지진계 설치지점 대상 댐 71

표 2.11. 발전용 화력설비 지진가속도계측시스템 구축 현황 74

표 2.12. 지진관측시스템 구성기기별 설치지점 76

표 2.13. 영종대교의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79

표 2.14. 광안대교의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80

표 2.15. 올림픽대교 및 행주대교 지진가속도계측시스템 관리기준(안) 80

표 2.16. 서해대교 지진가속도계측기 시스템 관리 기준 81

표 2.17. Akashi kaikyo Bridge의 차량통행 제한 기준 81

표 2.18. Ohohnaromon Bridge의 차량통행 제한 기준 81

표 2.19. Golden Gate Bridge의 지진 관리기준 82

표 2.20. 지진 시 댐 시설물 점검항목 84

표 2.21. 한국농어촌공사의 댐 관리 기준 84

표 2.22. 건축물 긴급 건전성평가 프로그램의 안전성 평가기준 85

표 2.23. 지진발생 시 운전 취급(1) 87

표 2.24. 지진발생 시 운전 취급(2) 88

표 2.25. 프랑스의 지진 서행 및 정지 경보체계 90

표 2.26. 일본의 지진 서행 및 정지 경보체계 90

표 2.27. 공항시설(전면 고가교량)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및 조치사항 91

표 2.28.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 내진설계값 93

표 2.29. 가스시설의 지진 관리기준 93

표 2.30. 일본의 가스시설 지진계측자료 관리기준 현황 94

표 2.31. 발전용 화력설비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현황 95

표 2.32. 변전소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현황 96

표 3.1. 시설물 별 진동파괴 메커니즘 141

표 3.2. 사례별 진동파괴 메커니즘 142

표 4.1. 자유장의 지진가속도센서 설치 방법 145

표 4.2. 현수교 및 사장교의 지진가속도계측센서 설치위치 147

표 4.3. 현수교 및 사장교의 지진가속도계측센서 설치 개수 149

표 4.4. 댐 및 저수지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위치 150

표 4.5. 댐 및 저수지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 순서 151

표 4.6. 댐 및 저수지의 지진가속도센서 계측성분 152

표 4.7. 건축물의 지진가속도계측센서 설치위치 및 성분 154

표 4.8. 건축물 평면형상에 따른 지진가속도센서 설치위치 및 개수 155

표 4.9. 고속철도의 지진가속도계측센서 설치위치 및 개수 156

표 4.10. 공항시설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방법 157

표 4.11. 원자력 이용시설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대상 157

표 4.12. 가스시설의 지진가속도계측기 설치위치 및 성분 158

표 4.13. 발전용 수력설비의 지진가속도 계측항목별 방법 158

표 4.14. 발전용 화력설비의 지진가속도 계측방법 159

표 4.15. 변전소의 지진가속도 계측방법 159

표 4.16. 지진가속도계측센서 표준규격 160

표 4.17. 영종대교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및 조치사항 161

표 4.18. 광안대교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및 조치사항 161

표 4.19. 한국수자원공사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및 조치사항 162

표 4.20. 한국농어촌공사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및 조치사항 162

표 4.21. 진주시청 긴급 건전성평가 결과 163

표 4.22. 한국철도시설공단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및 조치사항 164

표 4.23. 한국철도시설공단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및 조치사항 164

표 4.24. 공항시설(전면고가교량)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및 조치사항 165

표 4.25. 원자력발전소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및 조치사항 165

표 4.26. 원자력발전소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및 조치사항 166

표 4.27. 가스시설물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및 조치사항 166

표 4.28. 발전용 화력설비(한국서부발전) 지진가속도 관리기준 및 조치사항 167

표 4.29. 댐 및 저수지의 안전성 평가지표 분류 169

표 4.30. 자유장의 지진동계측자료 평가지표 및 세부 분석내용 172

표 4.31. 지진구역계수 177

표 4.32. 위험도계수 177

표 4.33. 도로교의 내진등급과 설계지진 178

표 4.34. 현수교 및 사장교의 안전성 평가지표 분류 184

표 4.35. 댐 및 저수지의 내진등급과 설계지진 187

표 4.36. 지반계수 187

표 4.37. 댐 및 저수지의 안전성 평가지표 분류 189

표 4.38. 건축물의 지진구역계수 191

표 4.39. 건축물의 안전성 평가지표 분류 192

표 4.40. 공항시설 내 시설물별 내진등급 194

표 4.41. 현수교 및 사장교의 주요 안전성 평가지표 200

표 4.42. 케이블 단면 검토시 저항계수(Φu) 203

표 4.43. 사장교의 안전성평가 적용 예제 207

표 4.44. 댐의 주요 안전성 평가지표 207

표 4.45. 댐의 안전성평가 적용 예제 211

표 4.46. 대형 건축물의 주요 안전성 평가지표 211

표 4.47. 대형 건축물의 주요 안전성 평가지표 213

표 4.48. 국내 공공시설물의 안전성 평가지표 및 평가방안 제시 220

표 4.49. 사장교의 안전성평가 적용 예제 221

표 4.50. 댐의 안전성평가 적용 예제 221

표 5.1. 기하학적 보간 방법(Geometric Interpolation Schemes) 235

표 5.2. 세 가지의 모드 조합법 236

표 5.3. 각 관측소별 진앙거리 238

표 5.4. 관측소 PGA 계측 값과 보간 된 손상지역 PGA (East-West) 241

표 5.5. 관측소 PGA 계측 값과 보간 된 손상지역 PGA (North-South) 242

표 5.6. 기존 간접평가기법 비교 243

표 6.1. 국내 가속도 센서 관련 연구 과제 목록 256

표 6.2. 가속도 센서 유형 및 사양 비교 264

표 6.3. 시장동향 및 IT 기기용 연평균 성장률 269

표 6.4. 자연재해 모니터링ㆍ예측ㆍ대응 전략기술 설명 271

표 6.5. 자연재해 모니터링ㆍ예측ㆍ대응 전략기술 분야 기술수준 현황 275

표 6.6. 자연재해 모니터링ㆍ예측ㆍ대응 전략기술 분야 주요 5대 국가 기술격차 275

표 6.7. 주요 가속도 센서 간 상대적 비교 276

표 6.8. MPU-6500 사양 278

표 6.9. MEMS 센서 국내외 시장규모 전망 280

그림 1.1. 지진재난으로 인한 피해의 복합성 27

그림 2.1. 통합 유지관리 센터 전체 통합관리 시스템 대상 교량 분포도 34

그림 2.2. 삼천포대교 센서 배치도 36

그림 2.3. 삼천포대교 실시간 지진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예시 36

그림 2.4. 남해대교 전체 센서 배치도 37

그림 2.5. 남해대교 지진가속도계 배치도 37

그림 2.6. 서해대교 실시간 모니터링 모습 38

그림 2.7. 서해대교 센서 배치도 39

그림 2.8. 계측시스템과 기타 시스템간 연관 관계 개요도 39

그림 2.9. 영종대교 센서 배치도 40

그림 2.10. 광안대교 유지관리 계측기 전체 배치도 41

그림 2.11. 인천대교 계측센서 구축현황 42

그림 2.12. 인천대교의 계측시스템 구성도 42

그림 2.13. 한강 교량 안전감시시스템 대상 교량 43

그림 2.14. 행주대교 센서 설치 현황 43

그림 2.15. 올림픽대교 센서 설치 현황 44

그림 2.16. 지진가속도 계측시스템 구성 및 시스템 구축 교량 44

그림 2.17. Akashi Kaikyo Bridge의 센서 설치 위치 45

그림 2.18. 홍콩에서의 WASHMS 운영 교량 46

그림 2.19. 센서 설치 현황 47

그림 2.20. Stonecutters Bridge의 센서 설치 현황 47

그림 2.21. KEMS의 구성 및 모니터링 화면 49

그림 2.22. 댐 지진계 설치 사례(대청댐) 49

그림 2.23. 한국농어촌공사 내 통합관리시스템 운영 현황(1) 52

그림 2.24. 한국농어촌공사 내 통합관리시스템 운영 현황(2) 53

그림 2.25. 한국농어촌공사 내 통합관리시스템 운영 현황(3) 53

그림 2.26. 미국 DSPMT의 구성 및 운영체계 54

그림 2.27. New Hogan Dam 모니터링 사례 55

그림 2.28. 지진계측센서가 설치된 재향 군인 병원의 위치 57

그림 2.29. California, San Diego의 재향 군인 병원 모니터링 센서 위치도 57

그림 2.30. 네바다 주립대의 모니터링 센서 위치도 58

그림 2.31. 네바다 주립대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기능 흐름도 58

그림 2.32. 건물의 제원 59

그림 2.33. 상시 진동 기록 60

그림 2.34. 지진감시시스템 모식도 61

그림 2.35. 고속철도 감시모니터링 화면 61

그림 2.36. TGV에 설치된 지진관측소 분포도 및 지진관측소 전경 62

그림 2.37. TGV선로의 지진관측소 구성도 63

그림 2.38. 화물터미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65

그림 2.39. 간사이 공항의 강진계 배치 67

그림 2.40. 한국 표준형 원자로의 지진감시설비 설치 및 원전 주변의 정밀부지 지진관측망 현황 68

그림 2.41. 원자력 발전소의 지진계 설치상황 및 지진관측장치 69

그림 2.42. 수력발전댐 지진관측통보시스템 화면 구성도 72

그림 2.43. 도쿄전력의 수력발전댐 지진계의 설치 상황 73

그림 2.44. 도쿄전력의 LNG 화력발전소에 대한 지진계 설치 현황 75

그림 2.45. 도쿄전력의 변전소 지진계 설치 상황 77

그림 2.46. 재하시험 흐름도 78

그림 2.47. 문비의 안전성평가 흐름도 83

그림 2.48. 지진 발생 시 조치 흐름도 89

그림 2.49. 지진발생시 원전 비상대응 절차 92

그림 3.1. 탄성반발설 101

그림 3.2. 판구조운동론 102

그림 3.3. 국내 지진 발생 빈도 추이 104

그림 3.4. 규모별 국내 지진 발생 위치 105

그림 3.5. 타코마 브릿지 붕괴 모습 106

그림 3.6. 와류진동의 발생 원인 107

그림 3.7. 웨이크 갤로핑의 발생 원인 108

그림 3.8. 중국 쓰촨성 (전단파괴 예) 110

그림 3.9. 일본 니가타 (교좌장치 파손의 예) 111

그림 3.10. 지진하중 도달시 상부구조가 비틀리는 과정 112

그림 3.11. 칠레(2010) (교대 파손의 예) 113

그림 3.12. 미국 캘리포니아 (낙교의 예) 113

그림 3.13. 미국 켄터키 (충돌의 예) 114

그림 3.14. Hanshin Expressway, 전단파괴 114

그림 3.15. Hanshin Expressway, 교좌장치 파손 115

그림 3.16. Wangan Expressway, 낙교 115

그림 3.17. Hanshin Expressway, 전도 116

그림 3.18. Las Mercedes Bridge 117

그림 3.19. Colombo Street Bridge, 교대의 파손 118

그림 3.20. 지반 변형 메커니즘 119

그림 3.21. Lower Van Norman댐의 붕괴 메커니즘 119

그림 3.22. 파이핑의 진행 단계 120

그림 3.23. Hebgen Dam 121

그림 3.24. Lower Van Norman Dam 121

그림 3.25. Shih-Kang Dam 122

그림 3.26. National Palace of Haiti 124

그림 3.27. Ministry of the Interior 124

그림 3.28. World Trading Center, USA 125

그림 3.29. 칠레, 건물의 붕괴 126

그림 3.30. 지진파가 지반에 미치는 영향 127

그림 3.31. 니가타 주변 국도 128

그림 3.32. 일본 니가타 129

그림 3.33. 일본 니가타 (맨홀) 129

그림 3.34. 일본 니가타 (산사태) 130

그림 3.35. Kizawa Tunnel 132

그림 3.36. 터널 내부 균열 사진 133

그림 3.37. Longxi Tunnel 133

그림 3.38. Longdongxi Tunnel 134

그림 3.39. 고베 지진 당시 Rokko Island의 피해 상황 135

그림 3.40. Rokko Island 136

그림 3.41. Port of Kobe 136

그림 3.42. Port de Port-au-Prince (1) 137

그림 3.43. Port de Port-au-Prince (2) 137

그림 3.44. Port of Talcahuano 138

그림 3.45. 가시와자키 가리와 원전 139

그림 3.46. 일본 후쿠시마 제 1 원자력 발전소 140

그림 4.1. 자유장의 지진가속도센서 설치 방법 146

그림 4.2. 주탑별 지진가속도계측센서 설치의 예 148

그림 4.3. 진동계측자료 처리 및 분석 절차 168

그림 4.4. MiniSEED 변환 흐름도 170

그림 4.5. 차단 주파수 분석 및 추천값 결정 171

그림 4.6. 응답스펙트럼 및 지반의 고유주기 예시 172

그림 4.7. 현수교 및 사장교의 계측데이터 변환 175

그림 4.8. 주탑의 거동 181

그림 4.9. 주경간 중앙 상판의 거동 182

그림 4.10. 댐 및 저수지의 계측데이터 변환 185

그림 4.11. 댐 제체 및 측벽의 거동 188

그림 4.12. 대형 건축물의 계측데이터 변환 190

그림 4.13. 고유진동수에 따른 정적처짐 한계 205

그림 5.1. 멕시코시티지진의 진앙위치와 멕시코시티 지반 224

그림 5.2. 멕시코시티 지진의 응답스펙트럼 및 가속도 시간이력(Kramer, 1996) 225

그림 5.3. the SMART 1 array의 배열 형상 227

그림 5.4. 공간보간에 사용된 안쪽 원 관측소 가속도계 기록 228

그림 5.5. sample wavenumber spectrum (4Hz) 229

그림 5.6. noise coherency function 229

그림 5.7. empirical noise coherency function 230

그림 5.8. 관측소 C-00과 I-12사이의 공간보간 된 가속도 이력 231

그림 5.9. 공간보간의 개략도 232

그림 5.10. 타이완 Lotung의 SMART-1 가속도계 배열 형상 234

그림 5.11. 진앙지 및 각 관측소와 손상된 구조물의 위치 239

그림 5.12. 관측소 및 손상지역의 가속도 시간이력 (East-West components) 241

그림 5.13. 관측소 및 손상지역의 가속도 시간이력 (North-South components) 242

그림 6.1. 정전용량형 센서 형태(www.santec.co.kr) 252

그림 6.2.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www.santec.co.kr) 253

그림 6.3. 차세대 통합무선 재난 통신 266

그림 6.4. 용량형 가속도 센서의 구조 268

그림 6.5. 자연재해 모니터링ㆍ예측ㆍ대응 기술분야 전 세계 국가 연도별 논문 및 특허 출원수 변화 272

그림 6.6. 자연재해 모니터링ㆍ예측ㆍ대응 전략기술 논문 점유율 현황 272

그림 6.7. 자연재해 모니터링ㆍ예측ㆍ대응 전략기술 특허 점유율 현황 273

그림 6.8. 자연재해 모니터링ㆍ예측ㆍ대응 전략기술 논문 영향력 지수 현황 274

그림 6.9. 자연재해 모니터링ㆍ예측ㆍ대응 전략기술 특허 점유율 현황 274

그림 6.10. MPU-6500 Block Diagram 278

수식목차

식 (4.1) (제목없음) 173

식 (4.2) (제목없음) 174

식 (4.3) (제목없음) 177

식 (4.4) (제목없음) 179

식 (4.5) (제목없음) 179

식 (4.6) (제목없음) 180

식 (4.7) (제목없음) 180

식 (4.8) (제목없음) 181

식 (4.9) (제목없음) 183

식 (4.10) (제목없음) 183

식 (4.11) (제목없음) 186

식 (4.12) (제목없음) 191

식 (4.13) (제목없음) 201

식 (4.14) (제목없음) 202

식 (4.15) (제목없음) 202

식 (4.16) (제목없음) 202

식 (4.17) (제목없음) 203

식 (4.18) (제목없음) 203

식 (4.19) (제목없음) 204

식 (4.20) (제목없음) 208

식 (4.21) (제목없음) 209

식 (4.22) (제목없음) 209

식 (4.23) (제목없음) 212

식 (4.24) (제목없음) 212

식 (4.25) (제목없음) 213

식 (4.26) (제목없음) 214

식 (5.1) (제목없음) 225

식 (5.2) (제목없음) 226

식 (5.3) (제목없음) 226

식 (5.4) (제목없음) 226

식 (5.5) (제목없음) 227

식 (5.6) (제목없음) 230

식 (5.7) (제목없음) 232

식 (5.8) (제목없음) 232

식 (5.9) (제목없음) 236

식 (5.10) (제목없음) 237

그림 A.1. Antigua Street Footbridge, 전단파괴 308

그림 A.2. Colombo Street Bridge, 상부파손 308

그림 A.3. Horotane Overbridge, 교대 볼트 파손 309

그림 A.4. Cypress Street Viaduct, 전단파괴 309

그림 A.5. Cypress Street Viaduct, 낙교 310

그림 A.6. 이름없는 Pedestrian Bridge, 전단파괴 310

그림 A.7. Huilan Interchange, 교좌장치 파손 311

그림 A.8. Baihua Bridge, 낙교 311

그림 A.9. Paso Cladio Arrau, 내진장치 파손 312

그림 A.10. Tabul Bridge, 낙교 312

그림 A.11. Tennoh Bridge, 교대 파손 313

그림 A.12. 캐나다 온타리오, 차량 교량충돌 313

그림 A.13. 대한민국, 차량 케이블 충돌 314

그림 A.14. Zipingpu Dam, 댐체의 손상 315

그림 A.15. Fujinuma Auxiliary Dam, 댐체 붕괴 315

그림 A.16. Beichuan Middle School, 1층 모서리 붕괴 316

그림 A.17. Guangfu Junior High School 316

그림 A.18. Lahore Univ. of Eng. & Tech 317

그림 A.19. Alto Rio condominium, 외벽 전단파괴 317

그림 A.20. Church of the Sacred Heart 318

그림 A.21.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폭발, 1층] 318

그림 A.22. Railroad on Kobe, 지반변형 319

그림 A.23. Road on Christchurch 319

그림 A.24.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액상화 320

그림 A.25. 전단파괴 321

그림 A.26. Longchi Tunnel, Sidewall Deformation 321

그림 A.27. Rokko island, 횡방향 토압 322

그림 A.28. Port of Kobe, 액상화 322

그림 A.29. Port of Kobe, 액상화 323

그림 A.30. Port of Talclhuano, 쓰나미 323

그림 A.31. Transformer station in Yingxiu Town, 산사태 324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68228 620.86 -15-33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68229 620.86 -15-33 v.1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