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나쁜 장르의 B급 문화 / 슬라보예 지젝 외 지음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Le Monde+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2015
청구기호
306.4 -15-10
자료실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323 p. : 삽화, 표 ; 19 cm
총서사항
마니에르 드 부아 시리즈 ; 002
표준번호/부호
ISBN: 9791195417940
ISBN: 9791195417919(세트)
제어번호
MONO1201529226
주기사항
원표제: Manière de voir. 111, Culture des mauvais genres
판권기 지은이: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부록: 1. 미국에서의 비디오게임 판매량 추이, 세계영화제작 현황 ; 2. 국가별 가장 많이 번역된 작가 ; 3. 전 세계 음반 판매, 가장 많이 판매되는 음악 장르, 프랑스 음반시장

목차보기더보기


추천의 글/ 이택광-B급 문화의 불온성
서문/불법적 쾌락을 위하여

1부 스크린 위의 환상
· 슈퍼맨과 9.11 테러_메디 데르푸피, 장마크 제뉴이트, 지방 귀렐
· 시스의 복수-스타워즈 에피소드 혹은 팝 불교의 탄생_슬라보예 지젝
· 비디오 클립, 아랍 현대성의 창문_ 이브 곤잘레퀴하노
· 인도 영화의 마술적인 힘_ 엘리자베스 르케레
· 웃음을 위한 변론 - 이냐시오 라모네
· 위기 시대의 코미디 영화 - 이냐시오 라모네
· 좀비 영화의 정치학, 텅빈 눈으로 응시한 팍스아메리카나_실베스트르 메넹제
· 국가 전역을 떨게 하는 공포_ 스티븐 킹
· 미국 드라마, 그토록 다채로운 중독성_ 마르탱 뱅클레르
· 당신은 진보인가? 그럼 비디오게임을 즐겨라_스티브 던컴
· ‘팬 픽션’이 뜬다_모나 숄레

2부 심심풀이용 대중문화
· 라틴 아메리카의 ‘니켈로 도금한 발’_ 필립 비들리에
· 뉴욕, 거품의 도시_ 필립 비들리에
· 이탈리아의 추리소설 ‘암흑의 시대’를 다시 가다- 세르주 콰드뤼파니
· 대중소설이 영속성을 띠는 이유 _에블린 피에예
· 현대 여성들이 빠지는 연애소설_미셸 코키야
· 악에 맞서는 소년 구원자_ 이자벨 스마자
· ‘형이상학 실험장’, 공상과학의 미학_ 세르주 르망
· 공상과학소설의 명석한 예측들_ 이브 이 마노
· 우주탐사, 달러를 삼킨 블랙홀 _노만 스핀래드
· 펄프잡지는 내 상상력의 원동력_ 아이작 아시모프

3부 길들여지지 않은 자들의 음악
· 록, 제3의 신비주의 세계_ 에블린 피에예
· 하드록, 생동하는 전설_ 에블린 피에예
· 프랑스 인디 힙합, 슬럼을 향해 외치다 _ 토마 블롱도
· “모차르트, 무능한 작곡가”_ 글렌 굴드
· 바벨탑처럼 혼란스러운 아프리카 랩의 물결_장크리스토프 세르방
· 재즈와 랩에 담긴 흑인의 삶 재즈_ 코넬 웨스트
· ‘정돈 된’ 재즈라는 난제 _ 보리스 비앙
· 저항의 맥박을 담은 테크노_앙투안 칼비노
· 사라져 버린 테크노 음악의 매력 _ 실뱅 데스밀
· 라이, 알제리 젊은이들의 억눌린 노래 _ 라바 무주안

4부 한국 대중문화의 순응성, 또는 불온성
· 누가 독립영화를 식민화하나 _ 남다은
· 전쟁, 퇴조하는 영화적 시선 _ 안시환
· ‘서태지 데뷔 20년’ 문화사적 의미 _ 이동연
· 인디 음악, 창작과 행동의 불일치를 넘어 _ 서정민갑
· ‘연예인’이라는 이름의 민주시민 _ 김창남
· 10대들의 ‘팬덤’, 그들만의 민주주의 _ 이택광
· <슈퍼스타 K>의 오묘함: 참여하는 관객성, 친밀한 관음증_ 김성윤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046661 306.4 -15-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0002046662 306.4 -15-10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 출판사 책소개 (알라딘 제공)

    왜 B급 문화인가?

    “좋은 문화에 대한 기준은 어떤 것이든 국가권력과 자본이 임의로 정해서도 안 되고, 또한 그것이 하나뿐일 수는 없다. 각진 날을 세운 ‘프로크루스테스(Procrustes)’ 침대 같은 하나의 잣대만으로 좋은 문화를 정의하고 거기서 벗어나는 문화는 나쁜 문화로 매도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독선이다. 그것은 전체주의적 사고방식이다. 물론 어느 사회에나 좋은 문화에 대한 다양한 기준이 있기 마련이다. 그 기준들은 사회 내에 공존하면서 갈등하고 경쟁하며 발전한다. 다양한 집단들은 세대에 따라, 성별에 따라, 혹은 직업이나 계층에 따라, 교육수준에 따라 각기 나름의 기준이나 취향에 맞는 좋은 문화를 선택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타인의 취향이나 기준에 대해 자신의 것만큼이나 관용하고 이해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럴 때 비로소 사회 전체의 문화가 조화롭고 다양하며 창의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성일권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 발행인

    B급 문화의 불온성


    “현재의 문화를 논한다는 것은 표피적인 현상에 집착한다기보다, 그 문화의 본질을 구성하고 있는 형식의 논리를 파악하는 것에 가깝다. 그 논리는 투명한 형식의 이데올로기로서 작동하지만, 우리가 쉽사리 알아채지 못하는 것일 테다. ‘B급 문화’라는 형식은 결과적으로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드러내는 증상이기도 하다. 이 증상을 즐기는 대중의 욕망을 포착하는 글이 하나로 묶인다면, 우리는 현실을 이해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지도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이택광 /경희대 영미문화전공 교수

    불법적 쾌락을 위하여


    “TV 출연을 염두에 두지 않고 노래를 부르고, 예술적 품위의 관례에 개의치 않고 대중을 위한 영화를 찍는다는 것은 곧 공식적 예술에 수반되는 클리셰, 스타일, 목적성, 자기검열로부터 해방됨을 의미한다. 저평가되는 장르들은 형태의 배반이며, 의미의 배반이다. 이것들은 형태를 새롭게 하며, 의미에 질문을 제기한다.”
    -모나 숄레, 에블린 피에예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기자


    [마니에르 드부아]

    <마니에르 드 부아> 시리즈는 프랑스 르몽드의 자회사중 가장 돋보이는 르몽드 디플마티크에서 격월간으로 발행하는 잡지형태의 단행본으로, 국내에서는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코리아가 지난 2월 <좌파가 알아야 할 것들> 출간에 이어, 이번에 <나쁜 장르의 B급 문화>를 발행하게 됐다. 이번 <나쁜 장르의 B급문화>는 <마니에르 드 부아> 111호의 <나쁜 장르의 문화>(Culture des Mauvais Genres)를 기본 텍스트로 삼았고, 여기에 한국 학자들의 글을 추가했다. 저명한 외국 필진 29명과 국내 필진 7명의 글 총 38편을 실은 이 책은 세계 각국의 대중문화에서 꿈틀대는 창의성과 다양성, 자발성과 불온성, 그리고 그걸 수용하는 이들의 주체성을 담아내고자 했다. 앞서 <좌파가 알아야 할 것들>은 <마니에르 드 부아> 124호의 <집권좌파의 역사(L’histoire des gauches au pouvoir)>를 기본 텍스트로 삼았다.

    추후 발행될 <마니에르 드 부아> 시리즈는 다음과 같다.
    3편 <극우의 새로운 얼굴>
    4편 <감시당하는 당신, 웃어라>......
    6편 <이념전쟁>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는 <르몽드 세계사> 시리즈 4권과 <르몽드 환경아틀라스>, 최근에 세계 석학 30명의 글 40편을 묶어 총론격인 <르몽드 인문학>을 출간했으며, 출간 때마다 독자들의 열띤 호응을 받았다. ‘사유하는 방식’으로 번역되는 <마니에르 드 부아>는 프랑스에서만 매호 8~9만 부가 판매되고 있으며, 바칼로레아 준비는 물론, 대학원 석박사 준비 및 논문 작성의 레퍼런스로 각광받고 있다.
    더보기
  • 책속에서 (알라딘 제공)

    서문/ 불법적 쾌락을 위하여

    모나 숄레, 에블린 피에예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기자

    “당신이 아무리 ‘저급한’ 기쁨과 ‘고급스러운’ 기쁨을 떠들어봤자 예술은 당신에게 냉랭한 표정을 지을 것이다. 왜냐하면 예술은 상류지역에서뿐만 아니라 하류지역에서도 활동하기를 원하며, 그럼으로써 사람들에게 기쁨을 안겨주는 이상 조용히 내버려두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 베르톨트 브레히트, <연극을 위한 작은 지침서(Petit Organon pour le th??tre )>(L’Arche, Paris, 1970,1948)에서

    “오래 전부터 나는 가능한 모든 풍경을 소유하고 있다고 으스댔고, 회화 및 현대 시의 저명 인사들을 가소롭게 여겼다. 나는 문 위의 장식, 배경 그림, 곡예단 천막, 간판, 서민적인 채색삽화 등 하찮은 그림들을 좋아했고, 교회의 라틴어, 철자를 무시한 에로틱 서적, 우리 선조들의 소설, 요정이야기, 어린 시절의 작은 책, 오래 된 오페라, 순진한 리듬 등 유행 지난 문학을 좋아했다.” - 아르튀르 랭보, <지옥에서 보낸 한철(Une saison en enfer)>(Livre de poche, Paris, 1998, 1873)에서

    이 책에 언급된 작품들은 그 것이 저항문화와 대중문화 중 어디에 속하든 간에 공통점을 갖고 있다. 하나같이 초라하고 부적절하고 유치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적절하고 진지한 상류문화가 아닌 서민문화 혹은 천민문화로 간주된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이처럼 악명 높은 문화적 배경에서 세상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형성되고, 세상을 표현하는 새로운 방식이 탄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TV 출연을 염두에 두지 않고 노래를 부르고, 예술적 품위의 관례에 개의치 않고 대중을 위한 영화를 찍는다는 것은 곧 공식적 예술에 수반되는 클리셰, 스타일, 목적성, 자기검열로부터 해방됨을 의미한다. 저평가되는 장르들은 형태의 배반이며, 의미의 배반이다. 이것들은 형태를 새롭게 하며, 의미에 질문을 제기한다.
    그렇다고 이 장르들이 엘리트 여론에 기계적으로 역행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형태의 속물주의를 드러내고 있을 뿐이다. 또한 이 장르들이 상업성 짙은 졸작마저도 다수의 숨겨진 욕망을 초월적으로 구현한 작품인양 행세하고, 이를 흥행 성공의 요인으로 파악하자는 것도 아니다. 본질적으로 ‘상품’이라는 것은 여론의 비위를 맞춰주고 유혹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대중문화 상당 부분이 조작적이고 소외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1)
    그러나 대중문화가 (형식적으로나 내용적으로나) 과감성과 효율성을 겸비한다면 역설적이게도 흥미진진하면서도 시야를 밝혀주는 작품들을 탄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작품들을 편견 때문에, 아니면 팬들로 이뤄진 군중과의 동화를 꺼린다는 이유로 멀리한다면 안타까운 일이다. 또한 진부하거나 평범하거나 정말 조악한 대중문화 작품도 나름대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안토니오 그람시에서 롤랑 바르트에 이르는 위대한 전통적 비평가들도 지적했듯, 이러한 작품들에 찬사를 보내는 사회의 정신상태가 어떠한지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엘리트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관객, 독자, 청자는 수동적이지 않다. 조종을 일삼는 산업이 마음대로 모양을 빚을 수 있는 진흙과 같은 존재가 아니라는 말이다. 물론 작품을 조망하는 능력에는 수용자들 간의 격차, 특히 사회적 불평등이 존재하지만 어쨌든 이들은 항상 능동적 자세로 작품을 받아들인다. 자신의 관심사, 감수성, 당시에 품고 있던 의문에 따라 작품을 해석하고, 내 것으로 삼고, 변형한다.

    때로는 이러한 대중문화를 구성하고 때로는 여기에 반기를 들면서, 인정받은 주류 문화의 주변부에서 멸시당하면서도 꽃을 피우는 문화가 있다. 이른바 ‘마이너’ 문화이다. 무시당하던 이런 형태의 문화를 높이 평가한 대표적인 이들이 초현실주의자들, 그리고 1960년대 이후 활발하게 행동한 저항문화 운동가들이다. 이들은 기존 모델들과 거리를 두는 한편 어린 시절의 추억 속 상상과 비슷한 상상 세계와의 관계를 즐겼다. 즉 자유롭게, 아무런 강박관념도 없이, 모든 질서와 관습에서 해방된 채 오로지 쾌락에만 관심을 가졌다. 비즈니스 세계도 이러한 작품들의 매력을 간파하였다. 록음악과 만화가 전복적이라고? 누군가 이렇게 주장한다면 사람들은 웃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나쁜 장르’를 수거하여 이를 변형하고 중화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들 작품이 새로운 품위를 지니게 되었다고 흥미까지 사라지지는 않는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서 새롭게 탄생한 ‘나쁜 장르’들이 문화를 다시 창조하고 전복하고 해방시키는 데에 앞장서게 된다.

    문화의 위계를 따질 때 공허할 정도로 쉬운 작품들만이 흥행에 성공한다고 넘겨짚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크나큰 착오이다. 윌리엄 셰익스피어만 해도 19세기 전반 미국 서민문화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2) 탄광촌에 세워진 간이극장에서, 서부에서, 당구대 두 개를 연결해 급조한 무대에서도 그의 작품을 공연했다. 찰스 디킨스의 소설은 신문에 연재되어 수많은 독자들을 열광시키고, 울게 했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에는 귀족적 어투와 익살극적 요소가 공존하며, 디킨스의 소설은 멜로드라마성과 강렬한 희극성을 주저 않고 보여준다. 셰익스피어와 디킨스, 이 두 작가만 보더라도 천박함, 장르의 혼합, 정제되지 않은 문체를 거리낌 없이 구사하고 있다. 빅토르 위고가 말했듯 고상한 취향이란 “질서 유지를 위한 대비책”(3)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글 。 모나 숄레 Mona Chollet, 에블린 피에예 Evelyne Pieiller

    (1) ‘순응주의의 공장(La fabrique du conformisme)’, <마니에르 드 부아르> 96호, 2007.12 - 2008.01 참고.
    (2) Lawrence W. Levine, <상위문화, 하위문화. 미국에 등장한 문화적 위계질서의 등장(Culture d’en haut, culture d’en bas. L’emergence de hierarchies culturelles aux Etats-Unis)>, Roger Chartier, La Decouverte, Paris, 2010.
    (3) Victor Hugo, , Flammarion, Paris, 2003 (1864).
    더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